KR200253507Y1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507Y1
KR200253507Y1 KR2020010025341U KR20010025341U KR200253507Y1 KR 200253507 Y1 KR200253507 Y1 KR 200253507Y1 KR 2020010025341 U KR2020010025341 U KR 2020010025341U KR 20010025341 U KR20010025341 U KR 20010025341U KR 200253507 Y1 KR200253507 Y1 KR 200253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hinge bracket
spring
sl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권병
Original Assignee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5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507Y1/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김치냉장고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측힌지브래키트와, 김치냉장고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측힌지브래키트와, 이들 힌지브래키트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샤프트와, 힌지샤프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추어 본체측힌지브래키트의 대략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센터샤프트와, 센터샤프트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설된 슬라이드블록과, 슬라이드블록의 고정돌기와 도어측힌지브래키트의 링크핀공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블록과 도어측힌지브래키트를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와, 슬라이드블록을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센터샤프트 상에 개재된 스프링과, 본체측힌지브래키트의 절곡편에 의해 본체측힌지브래키트에 고정되어 스프링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센터샤프트의 단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도어를 15정도 개방하면, 스프링의 탄력이 슬라이드블록과 링크를 통해 도어에 작용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며, 닫을 때는 스프링의 탄력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안정적인 도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어를 열림각 15도 정도에서 중간정지되게 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힌지장치{HINGE DEVICE}
본 고안은 고정부재에 대하여 유동부재를 회동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 여닫이식 도어가 채용된 김치냉장고의 도어를 회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냉장고는 주부들이 많이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김치냉장고는 상부 여닫이식 도어가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의 무게에 의한 자중으로 도어를 열고 닫는데 애로점이 있다. 즉, 도어를 열고자 할 때는 도어의 무게에 의한 자중을 극복하여야 하며, 또 닫을 때는 도어가 자중에 의해 빠른 속도로 내려오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김치냉장고는 특성상 도어를 어느 정도 개방한 상태에서 내부의 음식(김치)을 꺼내야 하기 때문에, 도어가 중간 정도 열린 상태에서 정지될 필요가 있다. 도어를 완전히 열어 놓고 김치를 꺼낼 수도 있으나, 그러면 냉기의 유출이 심하여 김치의 보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반적인 단순한 구조의 힌지장치, 예컨대 본체측힌지브래키트와 도어측힌지브래키트가 힌지샤프트에 의해 단순하게 연결된 구조의 힌지장치는 김치냉장고의 힌지장치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김치냉장고 도어를 소정각도 이상 열거나 닫으면 자동으로 완전히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도어를 보다 원활히 개폐할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김치냉장고 도어를 중간 열림 상태로 정지시킬 수 있어, 김치냉장고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도 1a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본체측힌지브래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도어측힌지브래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힌지샤프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센터샤프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슬라이드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링크를 나타낸 도면,
도 8a 및 8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슬라이드부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9a 및 9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탄성수단을 구성하는 스프링 및 스프링가이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10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가이드 브래키트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완충수단을 구성하는 제 2 스프링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본체측힌지브래키트 12a;힌지공
20;도어측힌지브래키트 22a;힌지공
22b;링크핀공 30;힌지샤프트
40;센터샤프트 50;슬라이드블록
52,52';고정돌기 60,60';링크
65;링크핀 70;슬라이드부시
80;스프링 85;제 1 스프링가이드
90;가이드플레이트 95;스토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김치냉장고 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베이스판의 양측에 수직판이 연결되고, 이 수직판에는 한 쌍의 힌지공과 절곡편이 각각 형성된 본체측힌지브래키트; 김치냉장고 도어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고정판의 양측에 연결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판에는 한 쌍의 힌지공과 링크핀공이 각각 형성된 도어측힌지브래키트; 상기 본체측힌지브래키트와 도어측힌지브래키트를 서로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힌지브래키트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샤프트; 상기 힌지샤프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추어 상기 본체측힌지브래키트의 대략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센터샤프트; 상기 센터샤프트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설된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고정돌기와 상기 도어측힌지브래키트의 링크핀공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블록과 도어측힌지브래키트를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 상기 슬라이드블록을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센터샤프트 상에 개재된 스프링; 및 상기 본체측힌지브래키트의 절곡편에 의해 본체측힌지브래키트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센터샤프트의 단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시가 센터샤프트상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센터샤프트 상에는 스프링의 작용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스프링가이드가 센터샤프트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도어의 개방시 상기 스프링에 의한 도어의 반동을 억제하여 주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블록과 센터샤프트 머리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쿠션스프링과, 이 쿠션스프링의 작용을 안내하기 위하여 센터샤프트 상에 개재된 스토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도 1a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본체측힌지브래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도어측힌지브래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힌지샤프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센터샤프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슬라이드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링크를 나타낸 도면, 도 8a 및 8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슬라이드부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9a 및 9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탄성수단을 구성하는 스프링 및 스프링가이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10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가이드 브래키트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완충수단을 구성하는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본체측힌지브래키트, 20은 도어측힌지브래키트, 30은 힌지샤프트, 40은 센터샤프트, 50은 슬라이드블록, 60 및 60'는 링크, 70은 슬라이드부시, 80은 스프링, 85는 제 1 스프링가이드, 90은 가이드플레이트, 그리고, 95는 스토퍼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측힌지브래키트(10)와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는 힌지샤프트(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는 상기 힌지샤프트(30)를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센터샤프트(40)는 본체측힌지브래키트(10)의 대략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블록(50)은 상기 센터샤프트(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드블록(50)은 한 쌍의 링크(60)(60')에 의해 상기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와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시(70)는 상기 슬라이드블록(50)의 일측에 접촉하도록 센터샤프트(40)에 끼워져 있으며, 스프링(80)은 상기 슬라이드부시(70)와 가이드플레이트(9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스프링가이드(85)와 스토퍼(95)는 센터샤프트(40)의 슬라이드블록(50)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측힌지브래키트(10)는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의 양측에 한 쌍의 수직판(12)(12')이 연결(일체로 절곡형성될 수도 있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11)에는 본체측힌지브래키트(10)를 김치냉장고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공(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판(11)의 양측에는 같은 목적의 나사공(13a)을 가지는 한 쌍의 고정편(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직판(12)(12')의 일측에는 힌지공(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판(12)(12')의 타측에는 한 쌍의 절곡편(14)(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는 도 1a, 도 1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1)의 양측에 한 쌍의 연결판(22)(22')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21)에는 다수의 고정공(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22)(22')에는 힌지공(22a)과 링크핀공(22b)이 인접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샤프트(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31)의 일측에는 머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링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힌지샤프트(30)에 의해 본체측힌지브래키트(10)와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는 서로 상대적인 회동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센터샤프트(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1)의 일측에 머리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머리부(42)에는 관통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센터샤프트(40)는 도 1a 및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부(42)의 관통공(42a)에 상기한 힌지샤프트(30)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가이드플레이트(90)에 고정된 상태로 본체측힌지브래키트(1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1)의 중앙에는 센터샤프트(40)가 끼워지는 관통공(51a)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51)의 양측에는 링크고정돌기(52)(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블록(50)은 도 1a 및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센터샤프트(40)에 그의 관통공(51a)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센터샤프트(40)를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링크(60)(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61)[2개 같은 구조이므로 1개의 링크(6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의 양측에 연결공(61a)(61b)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링크(60)는 도 1a 및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의 일측 연결공(61a)이 상기 슬라이드블록(50)의 일측 고정돌기(52)에 끼워지고 타측 연결공(61b)이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의 링크핀공(22b)에 링크핀(65)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블록(50)과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슬라이드블록(50)은 센터샤프트(40)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시(70)는 슬라이드블록(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71)의 중앙에는 관통공(71a)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71)의 대략 중앙에는 플랜지부(7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72)의 일측에는 소경돌출부(73)가, 타측에는 대경돌출부(7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부시(70)는 관통공(71a)에 센터샤프트(40)가 끼워지는 상태로 슬라이드블록(50)의 일측에 결합되는데, 소경돌출부(73)가 슬라이드블록(50)의 관통공(51a)에 끼워지도록 센터샤프트(40) 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스프링(80)은 상기 슬라이드블록(50)과 가이드플레이트(90)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록(50)을 탄성 지지하도록 센터샤프트(40)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80)으로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또한, 센터샤프트(40)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 가이드(85)가 설치될 수있다. 이 스프링 가이드(85) 역시 센터샤프트(40)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85a)이 형성된다.
가이드플레이트(90)는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91)의 중앙에는 센터샤프트(40)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공(91a)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본체측힌지브래키트(10)의 양측 절곡편(14)(14')이 삽입되는 슬릿(9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플레이트(90)는 센터샤프트(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스토퍼(95)는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도어를 개방할 때, 도어가 스프링(80)의 탄력에 의해 급격하게 열리면서 입게될 충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쿠션스프링의 안내를 위한 것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가이드(85)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이드블록(50)과 센터샤프트(40)의 머리부(42)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스토퍼는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설치하는 경우가 사용측면이나 부품의 보호 측면에서 유리함은 당연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조립된 상태를 보면, 도 1a 및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김치냉장고의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측힌지브래키트(10)와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는 힌지샤프트(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샤프트(40)는 상기 힌지샤프트(30)와 가이드플레이트(90)에 고정된 상태로 본체측힌지브래키트(10)의 대략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센터샤프트(40)에 슬라이드블록(50), 슬라이드부시(70), 스프링(80) 및 스프링가이드(85)와 스토퍼(9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블록(50)은 링크(60)(60')에 의해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블록(50)은 스프링(80)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링크(60)(60')의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 연결부위가 센터샤프트(40)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므로, 스프링의 탄력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도어에는 스프링의 탄력에 해당하는 만큼의 밀폐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안정된 도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가 힌지샤프트(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가 회전함에 따라 링크(60)(60')도 같이 움직이게 된다. 즉, 링크의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 연결부위가 점점 센터샤프트(40)의 높이와 가까운 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링크의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 연결부위가 센터샤프트(40)와 동일한 선상에 위치할 때, 도어 중량과 스프링의 하중값이 일치하면서 도어는 중간정지를 하게 된다. 이 때의 도어 열림각이 대략 15도 정도이다. 15도 이상 도어를 올리면, 링크의 도어측힌지브래키트(20) 연결부위가 센터샤프트(40)보다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의 하중값이 도어 중량보다 큰 힘을 내어 프리 오픈(free open)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도어가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자동으로 셋팅된 각도까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릴 때, 약 85도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쿠션스프링의 힘에 의해 스프링에 의한 도어의 반동을 억제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어를 열 때와 반대로 도어를 닫을 때는, 링크가 상기의 반대 운동을 하게되는데, 도어 닫힘각이 15도 이전까지는 스프링 하중값이 도어 중량보다 크기 때문에, 도어가 열리는 성질을 가지게 되고, 15도 도달하면 중간정지를, 그리고, 도어가 15도 이하로 내려오면,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면서 닫히게 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프링의 탄력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도어 밀폐력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김치냉장고의 도어 개폐를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해주며, 또한, 스프링을 변경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도어의 프리 스톱 또는 프리 오픈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 오픈이란 일정각도 이상 도어를 열어주면 셋팅된 각도까지 자동으로 열리게 해주는 방법이고, 프리 스톱은 일정각도 이상 도어를 열어도 사용자가 열어준 상태대로 정지하고 있게 해주는 방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 개폐시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슬라이드블록과 링크에 의해 도어에 작용하기 때문에, 도어를 보다 쉽게 개폐시킬 수 있다. 즉, 도어 개폐 작동의 원활성을 도모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및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의 중간정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김치냉장고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 닫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도어가 열림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냉기 유출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나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김치냉장고 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베이스판의 양측에 수직판이 연결되고, 이 수직판에는 한 쌍의 힌지공과 절곡편이 각각 형성된 본체측힌지브래키트;
    김치냉장고 도어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고정판의 양측에 연결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판에는 한 쌍의 힌지공과 링크핀공이 각각 형성된 도어측힌지브래키트;
    상기 본체측힌지브래키트와 도어측힌지브래키트를 서로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힌지브래키트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샤프트;
    상기 힌지샤프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추어 상기 본체측힌지브래키트의 대략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센터샤프트;
    상기 센터샤프트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설된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고정돌기와 상기 도어측힌지브래키트의 링크핀공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블록과 도어측힌지브래키트를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
    상기 슬라이드블록을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센터샤프트 상에 개재된 스프링; 및
    상기 본체측힌지브래키트의 절곡편에 의해 본체측힌지브래키트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센터샤프트의 단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시가 센터샤프트 상에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센터샤프트 상에는 스프링의 작용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스프링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의 개방시 상기 스프링에 의한 도어의 반동을 억제하여 주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블록과 센터샤프트 머리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2020010025341U 2001-08-21 2001-08-21 힌지장치 KR200253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41U KR200253507Y1 (ko) 2001-08-21 2001-08-21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41U KR200253507Y1 (ko) 2001-08-21 2001-08-21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507Y1 true KR200253507Y1 (ko) 2001-11-22

Family

ID=7308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341U KR200253507Y1 (ko) 2001-08-21 2001-08-21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5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3851B2 (en) Hinge
US6564428B2 (en) Compound hinge
US6393664B1 (en) Compression spring hinge mechanism
SG188842A1 (en) Stay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RU2013112332A (ru) Холодильник
US7752710B2 (en) Sliding hinge
JP2005146625A (ja) ヒンジ装置
US20210372178A1 (en) Multi-link hinge
US20130312221A1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cylinder alignment shoulder bushing
CA2779919C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hinge keeper
US20130312220A1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damper alignment spacer bushings
KR200253507Y1 (ko) 힌지장치
EP3850178B1 (en) Hinged device for appliances and furnishings with end speed damping
KR102180678B1 (ko)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613455B1 (ko) 멀티링크 힌지
US20050204510A1 (en) Hidden hinge with 270 degree rotation
KR200340468Y1 (ko) 도어힌지
KR200237393Y1 (ko) 힌지장치
KR20000017402U (ko) 슬라이딩 타입의 플립 개폐장치
KR102060705B1 (ko)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KR200253511Y1 (ko) 힌지장치
KR100389439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0275106Y1 (ko) 힌지장치
KR200275852Y1 (ko) 도어힌지
EP3903050B1 (en)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door with an adjustable opening and closing fo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