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705B1 -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705B1
KR102060705B1 KR1020190095949A KR20190095949A KR102060705B1 KR 102060705 B1 KR102060705 B1 KR 102060705B1 KR 1020190095949 A KR1020190095949 A KR 1020190095949A KR 20190095949 A KR20190095949 A KR 20190095949A KR 102060705 B1 KR102060705 B1 KR 102060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or
unit
hinge assembly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희
Original Assignee
강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희 filed Critical 강대희
Priority to KR1020190095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도어의 개폐에 의해 동반 회전되는 제2하우징의 개폐각도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곡선부;와, 상기 제2하우징에 축설되고, 제1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스프링지지부가 일체로 부분 형성된 고정샤프트;와, 상기 스프링지지부 사이로 개재되는 다수의 스프링에 의해 승강되게 탄설되는 승강가압부; 및 상기 승강가압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가이드곡선부를 따라 가압 밀착되어 이동되는 접촉블럭;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가압부는 스프링지지부를 감싸는 형태로 "∩" 형상을 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는 승강가압부와 동반회전될 수 있도록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곡선부는 도어의 0 ~ 90°회전반경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분 형성되고, 도어 개방시 냉기의 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해 도어를 45°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형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접촉블럭은 가이드곡선부에 가압 밀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태이되, 접촉단부에는 "∧"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V"형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THE UPWARD OPEN TYPE DOOR HINGE ASSEMBLY}
본 발명은 냉장고에 고정되는 결합플레이트를 갖는 중공의 제1하우징과, 도어에 고정되는 결합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호 간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된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도어 개방시 냉기의 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해 도어를 45°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는 내부에 구비된 냉동장치들에 의해 압축-응축-팽창-증발의 냉동사이클을 반복수행하면서 냉장고의 내부를 지속적으로 냉각하게 되며, 저장되는 식품의 종류 또는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온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냉장고는 그 기능과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방으로 개구된 저장공간에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장착되는 서랍식 냉장고와, 상방으로 개구된 저장공간을 상/하 회동에 의해 차폐하는 도어가 장착되는 뚜껑식 냉장고와, 상기 서랍식 냉장고와 뚜껑식 냉장고가 혼합된 복합식 냉장고로 대별된다.
한편, 전술한 뚜껑식과 냉장고의 개폐를 위해서는 상기 도어가 상하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와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힌지장치는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종래의 김치 냉장고용 힌지(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21260호)의 경우에는 캠과, 힌지축의 구조가 매우 복잡에 내구성이 떨어지고, 또한 냉장고 도어를 45°로 부분 오픈시킬 수 없기 때문에 냉기가 외부로 급격히 발산되어 에너지 소모가 크고, 또한 냉장고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식품이 변질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212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도어의 개폐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도어 개방시 냉기의 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해 도어를 45°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조비와 분해조립이 편리한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냉장고에 고정되는 결합플레이트를 갖는 중공의 제1하우징과, 도어에 고정되는 결합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호 간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된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사기 도어의 개폐에 의해 동반 회전되는 제2하우징의 개폐각도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곡선부;와, 상기 제2하우징에 축설되고, 제1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스프링지지부가 일체로 부분 형성된 고정샤프트;와, 상기 스프링지지부 사이로 개재되는 다수의 스프링에 의해 승강되게 탄설되는 승강가압부; 및 상기 승강가압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가이드곡선부를 따라 가압 밀착되어 이동되는 접촉블럭;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가압부는 스프링지지부를 감싸는 형태로 "∩" 형상을 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는 승강가압부와 동반회전될 수 있도록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곡선부는 도어의 0 ~ 90°회전반경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분 형성되고, 도어 개방시 냉기의 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해 도어를 45°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형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접촉블럭은 가이드곡선부에 가압 밀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태이되, 접촉단부에는 "∧"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V"형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가이드곡선부는 두께가 가변되는 2개의 만곡면과, 두개의 만곡면이 교차되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는 "∧"형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스프링지지부에는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조립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샤프트는 스프링지지부에서 승강가압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방향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스토퍼봉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스토퍼봉은 스프링지지부에 탄설된 승강가압부의 자유단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고정샤프트는 제1하우징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하우징의 외측 단부로 노출된 부분에 스냅링이 결합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도어가 90°오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9시 방향에 형성된 만곡면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삽입바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접촉블럭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바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더 형성되되, 상기 삽입바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삽입홈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에 따르면, 도어를 45°에서 정지시킬 수 있어 냉기의 손실을 최소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만곡면의 가변되는 두께와, "∧"형 돌기의 높이차로 도어의 닫침 속도를 늦출 수 있게 되고, 이는 결국 도어의 개폐충격을 최소할 수 있어 도어 또는 냉장고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곡선부와, 고정샤프트와, 승강가압부 및 접촉블럭로 이루어져 있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조비와 분해조립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의 단면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장고에 고정되는 결합플레이트(P)를 갖는 중공의 제1하우징(100)과, 도어(410)에 고정되는 결합플레이트(P)를 갖고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호 간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하우징(200)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어(410)의 개폐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도어(410) 개방시 냉기의 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해 도어를 45°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3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3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가이드곡선부(110)와, 고정샤프트(210)와, 승강가압부(230) 및 접촉블럭(231)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곡선부(110)는 도어(410)의 개폐에 의해 동반 회전되는 제2하우징(2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느 것은 물론, 개폐각도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곡선부(110)는 도어(410)의 0 ~ 90°회전반경에 대응되는 위치인 9시방향에서 12시방향에 걸쳐 부분 형성된다.
상기 고정샤프트(210)는 상기 제2하우징(200)에 축설되어 동반 회전하고, 제1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스프링지지부(211)가 일체로 부분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샤프트(210)는 제1하우징(100)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하우징(100)의 외측 단부로 노출된 부분에 스냅링(214)이 결합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을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가압부(230)는 상기 스프링지지부(211) 사이로 개재되는 다수의 스프링(220)에 의해 승강되게 탄설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지지부(211)에는 스프링(2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조립돌기(2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가압부(230)는 스프링지지부(211)를 감싸는 형태로 "∩" 형상을 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211)는 승강가압부(230)와 동반회전될 수 있도록 사각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고정샤프트(210)는 스프링지지부(211)에서 승강가압부(2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방향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스토퍼봉(2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각 스토퍼봉(213)은 승강가압부(230)의 자유단부에 밀착되어 승강가압부(230)가 고정샤프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리 위치가 이동되어 스프링지지부(2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승강가압부(230)는 도어가 오픈되거나 폐쇄되면 고정샤프트(21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곡선부(110)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동시에 선회된다.
상기 가이드곡선부(110)는 2개의 만곡면(111)과, 두개의 만곡면(111)이 교차되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는 "∧"형 돌기(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블럭(231)은 상기 승강가압부(230)의 중앙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가이드곡선부(110)에 가압 밀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태이되, 접촉단부에는 "V"형 홈(231a)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2개의 만곡면(111)은 승강가압부(230)를 통해 도어(410)의 개폐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각 만곡면(111)의 가변되는 두께로 인해 도어(410)의 닫침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또한 "∧"형 돌기(112)와 맞물리는 접촉블럭(231)의 "V"형 홈(231a)을 통해 도어를 45°에서 정지시킬 수 있어 도어(410) 개방시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410)가 90°직립되어 오픈될 경우,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오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9시 방향에 형성된 만곡면(111)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삽입바(111a)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접촉블럭(231)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바(111a)에 대응되는 삽입홈(231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삽입바(111a)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삽입홈(231b)에 자력으로 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삽입홈(231b)과 삽입바(111a)는 상호 간 위치가 바꿔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삽입홈(231b)과 삽입바(111a)는 접촉블럭(231)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곡률지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된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는 가이드곡선부(110)와, 고정샤프트(210)와, 승강가압부(230) 및 접촉블럭(231)로 이루어져 있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조비와 분해조립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의 단면 작동도이다.
먼저 도 3과 같이, 도어(4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접촉블럭(231)이 90°방향에 위치되고, 만곡면(111)과는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냉장고(400)에 식료품을 넣거나 뺄 경우, 도어(410)를 45°개방시키면 냉장고(400) 내의 냉기가 발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도어(410)를 45°개방시키면 상기 제2하우징(200)과, 고정샤프트(2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샤프트(210)의 스프링지지부(211)에 결합된 승강가압부(230)와 접촉블럭(231)이 회전하게 되면서, 가이드곡선부(110)의 "∧"형 돌기(112)에 "V"형 홈(231a)이 맞물려 도어(410)를 45°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도 5와 같이, 도어(410)를 90°직립시켜 오픈시킬 경우, 만곡면(111)에 연장된 삽입바(111a)가 접촉블럭(231)의 삽입홈(231b)에 삽입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간 고정되기 때문에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오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어(410)가 90°오픈된 상태에서 도어(410)를 폐쇄할 경우, 일정 힘을 가하여 도어(410)를 밀치면 상기 도어(410)는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데, 이 때 상기 접촉블럭(231)은 승강가압부(230)를 통해 스프링(220)의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이므로, 상기 만곡면(111)의 가변되는 두께와, "∧"형 돌기(112)의 높이차로 도어의 닫침 속도를 늦출 수 있게 되고, 이는 결국 도어(410)의 개폐충격을 최소할 수 있어 도어 또는 냉장고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 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제1하우징 110: 가이드곡선부 111: 만곡면
111a: 삽입바 112: "∧"형 돌기
200: 제2하우징 210: 고정샤프트 211: 스프링지지부
212: 조립돌기 213: 스토퍼봉
214: 스냅링 220: 스프링
230: 승강가압부 231: 접촉블럭
231a: "V"형 홈 231b; 삽입홈
300: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400: 냉장고 410: 도어
P: 결합플레이트

Claims (5)

  1. 냉장고(400)에 고정되는 결합플레이트(P)를 갖는 중공의 제1하우징(100)과, 도어(410)에 고정되는 결합플레이트(P)를 갖고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호 간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하우징(200)으로 구성된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도어(410)의 개폐에 의해 동반 회전되는 제2하우징(200)의 개폐각도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곡선부(110);
    상기 제2하우징(200)에 축설되고, 제1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스프링지지부(211)가 일체로 부분 형성된 고정샤프트(210);
    상기 스프링지지부(211) 사이로 개재되는 다수의 스프링(220)에 의해 승강되게 탄설되는 승강가압부(230); 및
    상기 승강가압부(230)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가이드곡선부(110)를 따라 가압 밀착되어 이동되는 접촉블럭(2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가압부(230)는 스프링지지부(211)를 감싸는 형태로 "∩" 형상을 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211)는 승강가압부(230)와 동반회전될 수 있도록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곡선부(110)는 도어(410)의 0 ~ 90°회전반경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분 형성되고, 도어(410) 개방시 냉기의 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해 도어를 45°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형 돌기(1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접촉블럭(231)은 가이드곡선부(110)에 가압 밀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태이되, 접촉단부에는 "∧"형 돌기(112)가 삽입될 수 있는 "V"형 홈(231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곡선부(110)는 두께가 가변되는 2개의 만곡면(111)과, 두개의 만곡면(111)이 교차되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는 "∧"형 돌기(1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지지부(211)에는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조립돌기(212)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샤프트(210)는 스프링지지부(211)에서 승강가압부(2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방향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스토퍼봉(213)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스토퍼봉(213)은 스프링지지부(211)에 탄설된 승강가압부(230)의 자유단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샤프트(210)는 제1하우징(100)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하우징(100)의 외측 단부로 노출된 부분에 스냅링(214)이 결합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을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410)가 90°오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9시 방향에 형성된 만곡면(111)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삽입바(111a)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접촉블럭(231)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바(111a)에 대응되는 삽입홈(231b)이 더 형성되되,
    상기 삽입바(111a)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삽입홈(231b)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KR1020190095949A 2019-08-07 2019-08-07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KR102060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949A KR102060705B1 (ko) 2019-08-07 2019-08-07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949A KR102060705B1 (ko) 2019-08-07 2019-08-07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705B1 true KR102060705B1 (ko) 2019-12-30

Family

ID=6910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949A KR102060705B1 (ko) 2019-08-07 2019-08-07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7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468Y1 (ko) 2003-11-11 2004-01-31 박재현 도어힌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468Y1 (ko) 2003-11-11 2004-01-31 박재현 도어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39613B (zh) 冰箱
KR101295735B1 (ko) 냉장고 도어용 힌지 장치
KR102196314B1 (ko) 냉장고
KR101311168B1 (ko) 냉장고 자동문
CN101135218B (zh) 一种大型冷柜门体的自动关闭结构
EP2857779B1 (en) Turnover beam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same
CN215332165U (zh) 铰链及具有其的制冷设备
WO2022194234A1 (zh) 铰链及具有其的制冷设备
CN215889720U (zh) 铰链及具有其的制冷设备
KR100602218B1 (ko) 플렌치도어 타입 냉장고의 냉장실도어 실링장치
CN104329878B (zh) 一种双向开关门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冰箱
KR102060705B1 (ko) 상향 오픈형 도어 힌지 조립체
JP2008134002A (ja) 冷蔵庫
CN109708397A (zh) 离合自动开门装置及冰箱
US9650820B2 (en) Structural arrangement in pneumatic floor spring
CN104328965A (zh) 一种双向开关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冰箱
KR101219797B1 (ko) 냉장고 홈바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KR100453011B1 (ko) 김치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100596987B1 (ko) 힌지장치
CN202273525U (zh) 隐藏式弹性闭门器
KR101755641B1 (ko) 김치냉장고 도어개폐용 힌지장치
KR200275106Y1 (ko) 힌지장치
KR200340468Y1 (ko) 도어힌지
KR200253511Y1 (ko) 힌지장치
CN212716259U (zh) 一种用于冰箱的闭门器、闭门装置、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