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613Y1 - 힌지형 도어 클로져 - Google Patents

힌지형 도어 클로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613Y1
KR200187613Y1 KR2020000004480U KR20000004480U KR200187613Y1 KR 200187613 Y1 KR200187613 Y1 KR 200187613Y1 KR 2020000004480 U KR2020000004480 U KR 2020000004480U KR 20000004480 U KR20000004480 U KR 20000004480U KR 200187613 Y1 KR200187613 Y1 KR 200187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ston
cylinder
groove
door clo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성
Original Assignee
도어소프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어소프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어소프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4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6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ricti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Mechanical means for force or torque adjustment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6Mechanical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8Valve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식 도어에 설치되어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하는 도어 클로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문틀에 지지하는 힌지가 도어클로져기능을 겸비하도록 하는 힌지형 도어 클로져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고 내부면에 스플라인키를 형성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스플라인키에 나합되는 다줄나사가 형성되고, 림이 형성되는 핀틀과, 림의 스프링홈과 피스톤의 스프링홈에 삽입되어 핀틀의 외주에 감겨지는 스프링과, 피스톤에 의하여 격리되는 상하부오일룸간을 연통하는 유로와, 피스톤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와로 이루어지는 도어클로져를 구비하고; 실린더와 캡부 각각에는 문틀과 도어에 고정되는 브라켓들이 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의 완만하고 부드러운 작동을 보장하여 소음이나 안전사고등이 발생될 소지를 원천봉쇄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자동도어 클로져로서의 성능을 높여서 그 구조를 컴펙트화하였으며, 도어의 개방이 임의의 각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힌지형 도어 클로져{Door closer of a hinge type}
본 고안은 여닫이식 도어에 설치되어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하는 도어 클로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문틀에 지지하는 힌지가 도어클로져기능을 겸비하도록 하는 힌지형 도어 클로져에 관한 고안이다.
도어 클로져(Door closer)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현재는 출입문의 대부분에 설치되는 경향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많은 제안과 개선이 이루어져 왔는데, 이에는 현재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스프링식 경첩'과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소39-20189호의 '도어 체크' 및 한국 특허등록 제199816호의 '경첩에 설치되는 도어체크'등이 있으며, 상기 전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1)과 도어(2)에 나사못(47)으로 고정되는 각각의 브라켓(41, 41)들의 그 타단부에 형성되는 통상체(42, 42)간을 중첩시키고 핀(43)으로 연결되는 경첩(4)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는 통상체(42)안에 내장되는 부쉬(46)와, 상기 부쉬(46)와 상기 상하 통상체(42, 42)를 막아주는 받침(44)의 요입홈(441)간에 탄지되어 장설되는 스프링(45)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일본국의 실용신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을 수납한 실린더(31) 안에 오일이 유통하는 공동 고정진축(34)을 감장하고, 당해 진축(34)내에 변(391)을 개재하여 상하로 오일의 유통공을 천공한 실린더 안에 표면에 나선상의 구(요홈; 321)를 천설하여 이들 구(321)내에 실린더(31)에 심은 유도돌자(341)를 감합시킨 피스톤(32)을 감장하고, 당해 실린더(31)의 내측에 키(311)를 감착하고, 이들 키(311)를 상기 진축의 외측 천설한 키구에 감합하고, 실린더(31)를 도어(2)의 개폐에 회전자재로 된 도어체크'로 구성되고, 상기 후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 하우징(31)과; 일단의 원주부 측면을 평탄하게 한 측단부(34)와, 타단은 직경을 감소시켜 상기 하우징(31)에 수납되는 소경부(34)로 하고, 상기 측단부(34)와 소경부(34)의 사이를 상기 하우징(31)의 내경과 일치시켜서 환상요부에 샤프트스토퍼로 삽입 고정하고, 상기 소경부(34)의 상부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가이드핀(341)과, 상기 소경부(34) 하단에서 입구는 확대되고 축심을 따라 일정 높이 천공되는 오일통로(37)와, 상기 오일통로(37)의 선단부에서 소경부(34)의 주연부간을 관통하는 오일홀(37)과, 상기 소경부(34)가 그 내측단이 사선절단되고, 소경부(34)의 외주연부에는 요입되는 베어링홈이 다수의 강구를 삽지하여 이루어지는 원기둥형의 샤프트(34)와; 일단의 측부에서 소정의 직경으로 만곡되어 슬리트상으로 천공되는 핀슬리트(321)와, 내주면에 소정깊이와 면적으로 요입된 오일패스(37)와 하부 외주면을 따라 요입되고 일측에 축심으로 천공된 관통홀을 가지는 요입홈에 조절오링(322)이 삽지되고, 하부는 직경이 감소된 단경부(34)로 되어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와 상기 샤프트(34)의 소경부(34)에서 상기 가이드핀(341)이 삽지되게 장착되는 핀슬리트(321)와, 그 외주연에서 축방향으로 길게 요입되는 키홈(311)에 상기 하우징(31)의 원통부에서 관통되는 키스토퍼로 지지되는 입체캠(32)과; 상기 입체캠(32)의 하단과 상기 지지스토퍼사이에 탄지되어 장설되는 스프링(33)과; 첨부가 테이퍼져서 상기 오일통로(37)의 확대된 입구에 계합하는 원추부(381)로 되고, 원주형 몸체와 하단은 상기 하우징(31)의 밀폐부(30)에 나착되는 나선부(382)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몸체는 상기 밀폐부(30)에 함입되는 조절나사(38)와; 상기 내부공간(35, 36)에 오일을 채우고 상기 샤프트(34)와 하우징(31) 사이와 상기 소경부(34)와 입체캠(32) 사이 및 상기 밀폐부(30)와 조절나사(38) 사이를 밀폐시키는 오링(3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에 설치되는 도어체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발명들중 공지의 스프링식 경첩은 스프링(45)의 비틀림력이 도어(2)의 정지 모멘트를 이길 수 있는 정도이면 이에 의하여 개방된 도어(2)가 복원되게 하여 자동으로 도어(2)가 닫히게는 되나, 닫힐 때 스프링(45)의 비틀림력에 반대되는 힘은 전혀 없으므로 도어(2)가 닫히면서 점점 가속되어 굉음의 발생은 물론 출입자의 손이나 발등이 문과 문틀사이에 끼여서 닫히는 등의 안전사고등을 유발할 수 있어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상기 일본국의 실용신안은 상술한 것을 개량한 것으로, 실린더 안에 상하로 격리된 오일룸이 좁은 통공으로 연통되게 만들고 도어(2)의 개폐에 따라 이들 상하의 오일룸의 체적에 변화를 주어 오일이 좁은 통공을 통과하도록 하므로서 도어(2)의 급격한 폐쇄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므로, 본 고안에서와 같은 자동 폐쇄는 기대할 수 없게 된다.
게다가, 한국의 등록 특허는 상술한 것을 보다 개량한 것으로, 상기한 구성개념뿐만 아니라 상하진 하는 실린더의 하단에 스프링을 탄지 시켜서 이루어지므로, 스프링의 탄지력이 복원력으로 작용되게 하면서 오일룸간을 연통하는 좁은 통공이 도어의 급격한 폐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면서 안전하고 완만한 도어 닫힘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다만, 그 내부 구조가 부적절하여 요구하는 성능이 제대로 도출되지 않는 점이 있었다.
이에 본인은 '유압힌지가 구비된 도어 개폐장치'를 개발하여 1999년 3월 19일부로 특허출원을 하였는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일측단이 문틀(1) 내벽에 힌지되어 스프링(45) 탄지력으로 회동하게 되는 도어(2) 개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2)의 하단 힌지축에는 상기 힌지축을 감싸는 상태로 양단이 각각 도어(2)와 문틀(1)에 고정되어 회동되는 도어(2)를 복원시키도록 스프링(45)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2)의 상측에는 도어(2) 닫힘시 상기 스프링(45)의 탄지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유압힌지를 구비하되; 상기 유압힌지는, 내부면 중앙부에 가이드홈(311)을 대향 구비하고 상향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가이드홈(311)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가이드돌기를 구비하고 내부면에 나사부(341)를 형성하는 승강체(32)와, 일단이 문틀(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체(32)의 나사부(341)에 결합되는 나사부(341)가 형성되는 고정축(34)과, 상기 승강체(32)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31)내의 상하부오일룸(35, 36)을 구획하게 되는 피스톤부재(32)와, 상기 실린더(31)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오일룸(35, 36)을 연통시키게 되는 오일통로(37)와, 상기 피스톤부재(32)에 상기 하부오일룸(36)에 저장된 오일이 상부오일룸(35)으로 일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크밸브(39)와, 상기 실린더(31)의 저면에 구비되어 회동시 상기 오일통로(37)의 오일압력을 조절하도록 된 압력조절밸브(38) 및 상기 실린더(31)의 상부 개방면을 커버하게 되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힌지가 구비된 도어 개폐장치'로 구성되어 도어의 상측 힌지부에 도어 닫힘시 닫힘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유압힌지를 도어와 일체로 구비하므로써, 도어가 유압힌지에 의해 열림동작에서는 빠르게 열리고 닫힘동작에서는 오일압력에 의해 서서히 닫히게 됨에 따라 도어 닫힘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발명과 더불어 계속적인 연구 개발로 그 후 다수의 개량된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으나, 이들은 공히 문틀(1)에 도어(2)를 회전자재롭게 지지시키는 경첩(4)을 구비시키고, 이와는 별개로 제작되는 도어클로져(3)로서 도어(2)의 폐쇄를 도모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힌지와 일체화된 도어 클로져와는 차별화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차적인 과제는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힌지형 도어 클로져를 제공하면서 도어의 개방이 임의의 각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하여 완만하고 부드러운 작동을 보장하여 소음이나 안전사고등이 발생될 소지를 원천봉쇄할 수 있도록 하며, 부차적으로는 자동도어 클로져로서의 성능을 높여서 그 구조를 컴펙트화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의 선행 출원들을 보다 개선하여 힌지 일체형의 도어클로져로서 개발한 것인데, 이를 이하에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의 발췌상태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기능의 작용상태 모식도,
도 6은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 일부 단면도,
도 7은 종래 다른 고안의 구성상태 단면도,
도 8은 종래 또 다른 고안의 구성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의 구성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문틀
2. 도어
3. 도어클로져
30. 밀폐부
31. 실린더 311. 가이드부 312. 씰링
32. 피스톤 321. 스플라인키 322. 오링 323. 스프링홈
33. 스프링
34. 핀틀 341. 다줄나사 342. 림 343. 스프링홈
344. 부싱
35. 상부오일룸 36. 하부오일룸 37. 유로
38.유량조절기 381. 테이퍼부 382. 나선부 383. 머리부
384. 오링
39. 체크밸브 391. 볼 392. 스프링
4. 경첩
41. 브라켓 42. 통상체 43. 핀 44. 받침
441. 요입홈 45. 스프링 46. 부쉬 47. 나사못
51. 경사슬로트 52. 돌기 53. 스토퍼 531. 요홈
54. 삽입구
6. 캡부
61.삽입홈 62. 스토퍼홈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 클로져를 장착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면 중앙부에 가이드부(311)를 구비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가이드홈(311)를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형성되고 내부면에 스플라인키(321)를 형성하는 피스톤(32)과, 그 하단은 상기 피스톤(32)의 스플라인키(321)에 나합되는 다줄나사(34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대직경의 림(342)이 형성되는 핀틀(34)과, 상기 림(342)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43)과 피스톤(32)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23)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핀틀(34)의 외주에 감겨지는 스프링(33)과, 상기 실린더(31)의 내부로서 피스톤(32)에 의하여 격리되는 상하부오일룸(35, 36)간을 연통하는 유로(37)와, 상기 상하부오일룸(35, 36)을 격리하는 피스톤(32)에 설치되는 체크밸브(39)와, 로 이루어지는 도어클로져(3)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클로져(3)의 실린더(31)와 핀틀(34)의 상단부가 그 삽입홈(61)에 삽입되는 캡부(6) 각각에는 문틀(1)과 도어(2)에 나사못(47)으로 고정되는 브라켓(41, 41)들이 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로(37)상에 유량조절기(38)가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정지수단을 잘 알 수 있도록 전개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1)의 상단에 다수의 경사슬로트(5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슬로트(51)의 직전에 돌기(52)가 부설되고, 육면체상으로 그 전면에 요홈(531)이 형성되는 스토퍼(53)가 상기 캡부(6)의 하면에 요입된 스토퍼홈(62)에 수납되고, 상기 경사슬로트(51)의 단면에는 상기 요홈(531)에 삽입되는 삽입구(54)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도어클로져(3)는 그 외피 역할을 겸하는 실린더(31)가 내부면 중앙부에 가이드부(311)를 구비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이 실린더(31) 안에 피스톤(32)이 내장되는데, 피스톤(32)은 실린더(31)의 가이드홈(311)를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에는 예컨대 요입홈(構)과 키(Key)의 조합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기타 본인의 선행출원에서는 특정된 다각형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며, 또한 피스톤(32)의내부면에는 스플라인키(321)를 형성하여 핀틀(34)의 하단에 형성시킨 다줄나사(341)와 나합되도록 하였는데, 스플라인키(321)와 다줄나사(341)의 결합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상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고 후술하는 각부들의 역할에 의거하여 도어(2)의 급격한 폐쇄를 방지하게 되므로 주요기능부로서 정밀가공이 되어야 완전한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데, 상술한 종래 고안중 한국등록특허인 '도어체크'가 슬리트홈과 돌기의 계합에 의하여 이러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과 비교하면, 슬리트홈과 돌기의 계합은 돌기의 양옆면과 슬리트의 양옆이 접하므로 2점간의 마찰임에비해 본고안의 다줄나사(341)와 스플라인키(321)는 다점(줄수 X 2)간의 마찰이므로 그 내구성이 월등 높으며, 또한 핀틀(34)의 상부에는 대직경의 림(342)이 형성되는 데 이는 실린더(31)와 원활하게 회전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하며, 스프링(33)은 상기 핀틀(34)의 외주에 감겨지는데 그 양단은 상기 림(342)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43)과 피스톤(32)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23)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스프링(33)은 압축/인장에 따른 탄성력과 함께 피스톤(32)과 핀틀(34)간에 발생되는 회전에 따른 비틀림력(Torque)도 함께 수용하여 이들 양힘을 이용하여 도어의 자동닫힘을 실현하므로 산술적으로 2배의 작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는 역으로는 필요한 힘을 얻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크기를 1/2로 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규격의 스프링을 사용하면 그 수명을 2배이상 늘릴 수 있게 되며, 유로(37)는 상기 실린더(31)의 벽면에 설치되는데 실린더(31)의 내부로서 피스톤(32)에 의하여 격리되는 상하부오일룸(35, 36)간을 연통하도록 되어 피스톤(32)의 상하진에 의하여 오일룸(35, 36)의 체적이 변경될때 오일룸(35, 36)내를 채우고 있는 오일들이 상하부오일룸(35, 36)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유로(37)의 단면적과 사용 오일의 점성에 따라 오일의 이동량이 결정되므로 도어(2)의 계폐속도와 밀접하게 관계되며, 체크밸브(39)가 상기 상하부오일룸(35, 36)을 격리하는 피스톤(32)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2)의 축심(반드시 축심일 필요는 없으나 유체역학상 저항이 가장 적으므로 축심에 설치될 때 효율이 가장 높음)에 소정 규격의 천공을 하고 천공 보다 직경이 큰 볼(391)이 그 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392)에 의하여 천공을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 상부오일룸(35)에서 하부오일룸(36)으로의 오일의 이동은 상시 개방상태이나 그 역방향은 차단되므로, 도어(2)의 개방시에는 상기 유로(37)와 더불어 체크밸브(39)라는 별개의 유로가 형성되어 도어(2)의 개방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며, 도어(2)의 폐쇄시에는 체크밸브(39)라는 유로는 폐쇄되므로 작은 유로(37)에 의하여 서서히 도어(2)가 닫히게 되며, 본 고안에서는 피스톤(32)이 최상단에 위치할 때 도어(2)가 만개(滿開)되도록 하였는데(상술한 종래 고안들은 이와는 반대임), 이는 비록 본 고안이 실린더(31)의 상부에는 씰링(312)을 준비하고, 실린더(31)의 하단을 밀폐부(30)로 완전히 밀봉하도록 하였으나, 예기치 않게 오일이 누유(漏油)되어 오일룸(35, 36)에 일부 공기가 포함되어도 부력에 의하여 상부오일룸(35)에만 공기가 존재하도록 되며, 따라서 도어(2)가 마지막 닫히는 부분에서 가속도가 붙어도 오일이 적절히 감속을 하여 급격한 도어(2)의 닫힘이나 굉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밀폐부는 본 도면에서는 나사식으로 착탈되도록 예시하고 있는데 이는 실린더(31)내에 내장되는 각 부품의 조립의 편의를 위한 준비이므로 공지된 어떠한 개폐구조라도 채용이 가능하며, 이때 상술한 밀폐를 위한 수단의 부가는 필수 이다. 더구나, 상하부오일룸(35, 36)간의 격벽인 피스톤(32)은 움직이는 구조체이므로 밀폐를 위해 실린더(31)와 접촉되는 외주에 오링(322)과 같은 밀폐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도어클로져(3)의 실린더(31)와 핀틀(34)의 상단부가 그 삽입홈(61)에 삽입되는 캡부(6) 각각에는 문틀(1)과 도어(2)에 나사못(48)으로 고정되는 브라켓(41, 41)들이 부착되는데, 이렇게 브라켓(41, 41)들이 문틀(1)과 도어(2)에 각각 부착되어 종래의 경첩역할을 겸하도록 되어 있으며, 예컨대 도어(2)에 실린더(31)측의 브라켓(41)이 부착되면 캡부(6)의 브라켓(41)은 문틀(1)에 부착되는데, 이때 핀틀(34)의 상부는 실린더(31) 및 도어(2)와 간섭없이 도어(2)위에 위치되는 문틀(1)의 캡부에 삽착되어야 하므로 핀틀(34)의 상단 부분에는 저항을 최소화 하면서 회전이 자재롭도록 부싱(344)을 개재시키는 것은 통상적인 구조이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유량조절기(38)가 상기 유로(37)상에 설치된 것으로, 유량조절기(38)가 유로의 개방 단면적을 조절하도록 하여 도어의 폐쇄속도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일 예로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383)에는 공구의 형상에 맞는 요입홈(- 자 또는 + 자 등)을 형성시키고, 몸체는 나선부(382)로 하여 실린더(31)에 구비되는 탭에 나합되도록 하고, 선단은 테이퍼부(381)로 하여 상단이 유로(37)의 중앙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머리부(383)가 실린더(31)의 하단보다 밑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장비의 보호 및 안전사고등의 예방에 긴요하다.
본 고안의 또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31)의 상단에 다수의 경사슬로트(5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슬로트(51)의 직전에 돌기(52)가 부설되고, 육면체상으로 그 전면에 요홈(531)이 형성되는 스토퍼(53)가 상기 캡부(6)의 하면에 요입된 스토퍼홈(62)에 수납되고, 상기 경사슬로트(51)의 단면에는 상기 요홈(531)에 삽입되는 로드(54)가 형성된 것을 추가 하였는데,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마다 형성되는 경사슬로트(51)는 일측은 거의 수직에 가깝게 요입되어 형성되고 이로부터 경사되어 올라가는 형상이므로, 스토퍼(53)의 양단면중 어느 한쪽이 수직으로 요입되는 면에 맞물려서 멈추어지도록 하여 도어(2)를 소정 각도에서 개방측으로는 정지시키고 폐쇄측으로는 부드럽게 닫기도록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제 5도인 모식도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도어(2)를 여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화살표 '0'는 여는 방향임), 캡부(6)의 하면에 형성되는 스토퍼구(62)는 스토퍼(53)의 폭과 삽입구(54)의 길이를 더한 것보다는 약간 넓게 형성된 것으로, 도어(2)가 열리는 방향(화살표 '0'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삽입구(54)가 요홈(531)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토퍼(53)를 들고 있는 상태이므로 경사슬로트(51)에 관계없이 개방이 되며, 또 삽입구(54)가 요홈(531)에 삽입되어 있지 않는경우일지라도 스토퍼(53)가 진행방향으로 보아 스토퍼홈(62)의 뒤쪽에 위치되어 자중에 의하여 하단으로 떨어지게 되나, 경사슬로트(51)는 진행방향으로 올라가는 경사를 가지므로 걸리지 않고 계속 진행될 수 있어서 부드럽게 열리게 되며, 이 상태에서 손을 놓으면, 도어(2)가 상술한 구조의 작용에 의하여 서서히 닫히는데, 이때는 스토퍼(53)가 경사슬로트(51)의 수직에 가까운 면에 걸려지므로 이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더이상 닫기지 않고(도 5b 상태) 소정각도 열려진 상태로 멈춰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구(54)가 요홈(53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스토퍼(53)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경사슬로트(51)의 직전에 돌기(52)를 부설하여 스토퍼(53)가 상기 돌기(52)에 걸려서 약간의 저항을 받으므로서 스토퍼(53)가 스토퍼홈(62)의 뒤쪽으로 밀리도록 하여 삽입구(54)와 요홈(531)간의 결착을 해소시키고, 이는 자중에 의하여 스토퍼(53)가 자동으로 떨어지게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2)가 소정 각도로 개방되어 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어(2)를 닫고자 할 때에는 도어(2)를 개방 방향으로 조금 더 열어주면 스토퍼(53)는 경사슬로트(51)를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는데(도 5a의 좌측상태), 이 상태에서 손을 놓으면 도어(2)가 폐쇄방향으로 되돌아가면서 삽입구(54)가 스토퍼(53)의 요홈(531)을 찌르고 들어가게 되며(도 5c의 좌측상태),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53)가 경사슬로트(51)와 간섭없이 되돌아가게 되므로(도 5c의 우측상태), 도어(2)가 전혀 지장없이 완전 폐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폐쇄시 스토퍼(53)와 경사슬로트(51)의 수직면(단턱)간의 간섭을 확실히 배제하기 위해서는 스토퍼(53)에 형성되는 요홈(531)의 초입부분을 확장된 홀(접시머리상 홀)로 하고, 스토퍼(53)의 첨부도 테이퍼를 주어 이들간에 결합시에 스토퍼(53)가 약간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경사슬로트(51)의 직전에 설치되는 돌기(52)와의 간섭도 회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경사슬리트(51)는 스토퍼(53)와 결합되는 것이므로 스토퍼(53)의 회전축을 동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형성되는 것이며, 경사슬리트(51)의 원주길이가 허용하는한 좁은 간격으로 다수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개방각도를 다수의 각도로 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 고안들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면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힌지형 도어 클로져를 제공하며, 도어의 완만하고 부드러운 작동을 보장하여 소음이나 안전사고등이 발생될 소지를 원천봉쇄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자동도어 클로져로서의 성능을 높여서 그 구조를 컴펙트화하므로서 경첩(힌지)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어의 개방이 임의의 각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내부면 중앙부에 가이드부(311)를 구비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가이드홈(311)를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형성되고 내부면에 스플라인키(321)를 형성하는 피스톤(32)과, 그 하단은 상기 피스톤(32)의 스플라인키(321)에 나합되는 다줄나사(34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대직경의 림(342)이 형성되는 핀틀(34)과, 상기 림(342)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43)과 피스톤(32)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23)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핀틀(34)의 외주에 감겨지는 스프링(33)과, 상기 실린더(31)의 내부로서 피스톤(32)에 의하여 격리되는 상하부오일룸(35, 36)간을 연통하는 유로(37)와, 상기 상하부오일룸(35, 36)을 격리하는 피스톤(32)에 설치되는 체크밸브(39)와, 로 이루어지는 도어클로져(3)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클로져(3)의 실린더(31)와 핀틀(34)의 상단부가 그 삽입홈(61)에 삽입되는 캡부(6) 각각에는 문틀(1)과 도어(2)에 나사못(48)으로 고정되는 브라켓(41, 41)들이 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도어 클로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37)상에 유량조절기(38)가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도어 클로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1)의 상단에 다수의 경사슬로트(5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슬로트(51)의 직전에 돌기(52)가 부설되고, 육면체상으로 그 전면에 요홈(531)이 형성되는 스토퍼(53)가 상기 캡부(6)의 하면에 요입된 스토퍼홈(62)에 수납되고, 상기 경사슬로트(51)의 단면에는 상기 요홈(531)에 삽입되는 삽입구(54)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도어 클로져.
KR2020000004480U 2000-02-18 2000-02-18 힌지형 도어 클로져 KR200187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480U KR200187613Y1 (ko) 2000-02-18 2000-02-18 힌지형 도어 클로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480U KR200187613Y1 (ko) 2000-02-18 2000-02-18 힌지형 도어 클로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613Y1 true KR200187613Y1 (ko) 2000-07-15

Family

ID=1964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480U KR200187613Y1 (ko) 2000-02-18 2000-02-18 힌지형 도어 클로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6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509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정지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WO2006025663A1 (en) * 2004-08-20 2006-03-09 I-One Innotech Co., Ltd. Slim type hinge apparatus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WO2006036044A1 (en) * 2004-08-24 2006-04-06 I-One Innotech Co., Ltd. Hinge apparatus for heavy door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509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정지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WO2006025663A1 (en) * 2004-08-20 2006-03-09 I-One Innotech Co., Ltd. Slim type hinge apparatus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WO2006036044A1 (en) * 2004-08-24 2006-04-06 I-One Innotech Co., Ltd. Hinge apparatus for heavy door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0427B (zh) 使门、门扇或类似物实现旋转运动的铰链
JP3789894B2 (ja) ドア開閉装置
WO2006025663A1 (en) Slim type hinge apparatus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US11505978B2 (en) Hinge for the controlled rotary movement of a door, a door leaf or similar
WO2022063008A1 (zh) 一种双向启闭门轴
CA2089756C (en) Damper mechanism
KR200187613Y1 (ko) 힌지형 도어 클로져
WO2011131955A1 (en) Damped self-closing hinge
JP2023511607A (ja) 自閉式液圧緩衝ヒンジ
KR100509724B1 (ko) 다용도 힌지장치
KR100483362B1 (ko)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KR20120044882A (ko) 실린더 장치
JP2007321960A (ja) 2ウェイバルブ及びドアチェック装置
WO2005035349A1 (en) Steering damper for a motorcycle
KR100284872B1 (ko)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
JP2906321B2 (ja) リフト閉止ユニットの開閉弁装置
KR100509725B1 (ko) 다용도 힌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연결구조
CN219691329U (zh) 一种液压功能轴
JP5073372B2 (ja) ドアクローザ
KR100340225B1 (ko) 유압식 완충용 경첩
KR200384983Y1 (ko) 다단 유압 조절이 가능한 도어 힌지
KR200251796Y1 (ko) 안전 경첩
CN217106601U (zh) 一种一体式阻尼合页
KR930010633B1 (ko) 도어 클로저
KR20020010787A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