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787A - 수직형 도어 클로져 - Google Patents

수직형 도어 클로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787A
KR20020010787A KR1020000044264A KR20000044264A KR20020010787A KR 20020010787 A KR20020010787 A KR 20020010787A KR 1020000044264 A KR1020000044264 A KR 1020000044264A KR 20000044264 A KR20000044264 A KR 20000044264A KR 20020010787 A KR20020010787 A KR 2002001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ntle
door
piston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성
Original Assignee
이인성
도어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성, 도어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인성
Priority to KR102000004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0787A/ko
Publication of KR2002001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78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도어가 열릴 때 빠르게 열리고 닫힐 때 유압에 의해 서서히 닫히도록 하여 도어에 의한 소음 방지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를 위한 수직형 도어 클로져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 수납되어 도어의 회전을 전달하는 핀틀과, 실린더와 핀틀간을 탄지하는 스프링과, 실린더의 하단을 밀폐하는 아래마개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져에 있어서, 핀틀의 하면은 소정각도로 경사되어 형성되는 인볼류트곡선면으로 되고, 인볼류트곡선면에 밀착되는 베어링볼이 그 상면에 삽입되어 그 하단에 형성되는 소형실린더를 밀폐하는 탄지스프링으로 지지되는 상하진기구와, 핀틀의 하면과 아래마개로 밀폐되어 형성되는 상부오일룸과 소형실린더간에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직형 도어 클로져로서, 도어의 완만하고 부드러운 작동을 보장하여 소음이나 안전사고 등이 발생되지 않으며, 클로져로서의 높은 성능과 컴펙트화를 도모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수직형 도어 클로져{VERTICAL TYPE DOOR CLOSER}
본 발명은 출입도어가 열릴 때 빠르게 열리고 닫힐 때 유압에 의해 서서히 닫히도록 하여 도어에 의한 소음 방지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를 위한 수직형 도어 클로져에 관한 발명이다.
도어 클로져(Door closer)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현재는 사무용 및 거주용 건물의 일반 출입도어 또는 방화도어의 자동 폐쇄에 널리 사용되며, 따라서 이에 대한 많은 제안과 개선이 이루어져 왔는데, 그 일반적인 구성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작동유체가 수납되어 밀봉된 도어 폐쇄장치의 본체(200) 내에는 스프링(202)에 의해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밀리는 피스톤(201)이 내장된다. 이 피스톤(201)의 일측에는 랙(203)이 형성된다. 랙(203)에는 링크(205)의 제 1 아암의 일단에 형성된 피니언(204)이 치합된다.
피스톤(201) 내부에는 체크밸브(206)를 구비한 유로(207)가 형성되며, 피스톤(201)의 이동 경로 일측에는 대구경의 제 1 귀환유로(208)와 소구경의 제 2 귀환유로(209)가 형성된다.
본체(200)와 링크(205)는 도어와 문틀에 각각 고정된다. 도어를 열면, 피니언(204)이 회전하며 랙(203)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므로 피스톤(201)은 스프링(202)을 압축하면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도어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피스톤(201)은 스프링(202)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간다. 이때, 피스톤(201)의 선단이 제 1 귀환유로(208) 전방이면 유로(207)에서 피스톤(201)에 밀리는 작동유체가 제 1 귀환유로(208) 및 제 2 귀환유로(209)를 통해서 귀환하고, 피스톤(201)의 선단이 제 1 귀환유로(208)를 지나치면 소구경의 제 2 귀환유로(209)로만 작동유체가 귀환된다. 따라서, 도어는 폐쇄 직전에 감속되어 부드럽게 닫히므로 충격 및 소음이 방지된다.
상술한 원리를 통해 작동하는 도어 폐쇄장치가 도어(2)와 문틀(1)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모습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어(2)는 이를 둘러싸는 사각형의 문틀(1)의 일측에 힌지(H)로 결합된다.
한편 도어 폐쇄장치의 본체(200)는 도어(2)에 부착되고 링크(205)는 제 1 아암은 본체(200)에, 제 2 아암은 문틀(10)에 연결된다. 도어(2)를 열면 링크(205)가 회전하여 도어 폐쇄장치를 동작시킨다.
제 1 아암과 제 2 아암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제 2 아암에는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조정아암(205c)이 나사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되어있다. 조정아암(205c)을 통해 제 2 아암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폐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폐쇄장치는 링크(205)의 회전을 통해 수평으로 설치된 본체 내부의 피스톤(201)을 병진운동시키므로 본체(200)의 길이도 길고, 링크(205)가 상당히 대형으로서 도어(2)와 문틀(1)에서 돌출하여 도어(20)의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수직형 도어 클로져는 본인의 발명을 비롯하여 다수가 제시되고 있으나, 가장 초기의 형태로서는 일본의 수입품으로서 도 12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작동유체가 수납되는 실린더(101)내에는 스프링(103)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밀림되는 피스톤(102)이 설치되는데, 이 피스톤(102)은 외측에 스플라인 키(spline key: 102a)가 돌출되어 실린더(101) 내부에 형성된 키홈(101a)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며, 내측에 나사홈(102b)이 형성된다.
한편, 실린더(101)의 외부로 연장되는 핀틀(pintle: 104)은 그 상측이 문틀에 연결되는 제1브라켓(braket)(B1)과 결합되고, 하부 외부에는 피스톤(102)의 나사홈(102b)에 기어물림되는 다줄(multi-thread)나사(104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실린더(101)는 문측의 제2브라켓(B2)과 결합된다.
실린더(101)의 일측에는 작동유체의 이동을 위한 유로(106)를 형성하는 리브(rib: 105)가 형성되며, 이 유로(106)는 조정나사(107)에 의해 작동유체의 유량이 조절된다. 나머지 부호 108은 엔드캡(end cap), 109는 역지밸브이며, 110은 셋스크류(set screw)홈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직형 도어 클로져는 문의 개방에 의해 제2브라켓(B2)이 실린더(101)를 핀틀(104)에 대해 회전시키면, 스플라인키(102a) 및 키홈(101a)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므로 피스톤(102)은 회전대신 스프링(103)을 누르며 하측으로 이동된다.
문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고 나면 피스톤(102)은 스프링(103)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는데, 이때 역지밸브(109)가 차단된 상태로 작동유체가 입구유로(106c)를 통해 좁은 제1귀한유로(106a)로 귀환되므로 문의 폐쇄속도가 제한되고, 피스톤(102)이 제1귀환유로(106a) 선단을 통과하고 나면 작동유체가 더욱 좁은 제2귀환유로(106b)로 이동되므로 최종단계의 문의 폐쇄가 감속 및 완충된다.
여기서 실린더(102)는 문에 연결된 제2브라켓(B2)과 결합되어 회전에 대해 일체로 동작해야 하는 바, 위 종래의 구성에 있어 양자의 결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B2)의 연결헤드(H2)의 외주에 복수의 돌출부(11)를 형성하고 실린더(101)의 상단에 이 돌출부(111)와 맞물리는 결합홈(113)을 가지는 돌출턱(112)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실린더(101)내의 핀틀(10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문틀에 연결된 제1브라켓(B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문을 열면 이에 결합된 실린더(101)가 회전함으로써 핀틀(104)과 실린더(101)가 상대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핀틀(104)에 다줄나사(104a)로 결합된 피스톤(102)이 하강함으로써 자동폐쇄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초기 수직형 도어 클로져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예컨대 다줄나사에 의해 회전운동을 상하진운동으로 또 그 역으로 변환시켜야 하므로 나선간의 면접촉이 작으면 심한 마모가 발생되기 쉬워서 내구성이 떨어지며, 게다가 도어의 회전은 180。로 제한되어 이 각도내에서 상기 운동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다줄나사의 각도는 커질 수뿐이 없어서 이러한 급격한 각도를 가지는 다줄나사는 또한 손마모에 취약해지며, 실린더 내에 수납되는 스프링이 압축되었다가 복원됨에 따라 그 힘으로 도어를 다시 닫아주는 복원력으로 사용하는데 작은 실린더 내에 수납되는 스프링은 작아질 수뿐이 없으며, 이는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상승시키게 되어 부드러운 도어 닫힘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차적인 과제는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수직형 도어 클로져를 제공하면서 완만하고 부드러운 작동을 보장하여 소음이나 안전사고등이 발생될 소지를 원천봉쇄할 수 있도록 하며, 부차적으로는 자동도어 클로져로서의 성능을 높여서 그 구조를 컴펙트화 하면서도 그 내구성 및 성능은 오히려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이는 경사 회동을 하는핀틀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완충구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여 실현하는 것과, 다줄나선을 큰 직경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유로의 폭이 도어의 개방각도에 따라 변경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실현하는 것 및 오일룸을 2개로 분할하고 이들간에 연통하는 유로에서 유압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이하에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 전개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횡단면도,
도 10은 종래 발명의 구성상태 단면도,
도 11은 종래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 12는 종래 다른 발명의 구성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 부호
1. 문틀 11. 부착구 12. 스토퍼
2. 도어 21. 부착구 22. 스토퍼
3. 도어 클로져
30. 오링
31. 실린더 311. 가이드수단 311a. 나선 311b. 베어링볼
311c. 박음키 312. 요홈
32a. 완충구 321a. 윤활면 322a. 리테이너
323a. 피스톤로드 324a. 소형실린더
32b. 피스톤 321b. 다줄나사 322b. 스프링홈
323b. 핀틀수납부
33. 스프링
33a. 상하진기구 331. 탄지스프링 332. 베어링볼
34. 핀틀 341. 평활면 341a. 인볼류트곡선면
341b. 격벽 342. 회전제한부
343. 림 344. 캡홀더 345. 탠션볼트
346a. 수평요홈 346b. 수직요홈
35. 상부오일룸 35'. 우오일룸
36. 하부오일룸 36'. 좌오일룸
37. 유로 371. 체크밸브 371a. 볼 371b. 체크스프링
38.조절봉 381. 테이퍼부 381'. 첨부 382. 나선부
383. 머리부 384. 치구부
39. 아래마개 391. 나선부 392. 지축
101. 본체 101a. 키홈 102. 피스톤 102a. 스플라인키
102b. 나사홈 103. 스프링 104. 핀틀 104a. 다줄나사
105. 리브 106. 유로 106a. 제 1귀환로 106b. 제 2귀환로
106c. 입구유로
107. 조정나사 108. 엔드캡 109. 역지밸브 110. 셋스크류
B1. 제 1브라켓 B2. 제 2브라켓
200. 본체 201. 피스톤 202. 스프링 203. 랙
204. 피니언
205. 링크 205a. 제 1아암 205b. 제 2아암 205c. 조정아암
206. 체크밸브 207. 유로 208. 제 1귀환유로 209. 제 2귀환유로
H. 힌지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에서 상하방향인 횡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로서 도 3b는 역으로 세워서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a는 정상적으로 세워서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면 중앙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내에 수납되어 도어(2)의 회전을 전달하는 핀틀(34)과, 상기 실린더(31)와 핀틀(34)간을 탄지하는 스프링(33)과, 상기 실린더(31)의 하단을 밀폐하는 아래마개(39)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져(3)에 있어서, 상기 핀틀(34)의 하면은 소정각도로 경사되어 형성되는 인볼류트곡선면(341a)으로 되고, 상기 인볼류트곡선면(341a)에 밀착되는 베어링볼(332)이 그 상면에 삽입되어 그 하단에 형성되는 소형실린더(324a)를 밀폐하는 탄지스프링(331)으로 지지되는 상하진기구(33a)와, 상기 핀틀(34)의 하면과 아래마개(39)로 밀폐되어 형성되는 상부오일룸(35)과 상기 소형실린더(324a)간에 연통하는 유로(37)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로(37)와 별개로 또 다른 유로(37')가 상기 상하진기구(33a)내에 형성되어 체크밸브(371)가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로(37)상에 그 첨부가 유로(37)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도록 상기 아래마개(39)에 나합되어 설치되는 조절봉(38)이 추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에서 상하방향인 횡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핀틀(34)의 하단은 소정각도로 경사되어 그 밑면이 평활면(341)으로 되고, 상기 평활면(341)과 면착되는 윤활면(321a)의 양 하단에 대칭으로 부착되는 리테이너(322a)와, 상기 리테이너(322a)에 각각 수납되어 유체가 충만된 소형실린더(324a)를 밀폐하는 피스톤로드(323a)로 이루어지는 완충구(32a)와, 상기 완충구(32a)의 양측 소형실린더(324a)간을 연통하는 유로(37)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 전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에서 상하방향인 횡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부면 중앙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내에 수납되어 도어(2)의 회전을 전달하는 핀틀(34)과, 상기 실린더(31)내에 수납되어 상기 핀틀(34)과 맞물려 회전운동을 상하진운동으로 변환하는 피스톤(32b)과, 상기 피스톤(32b)의 하단을 탄지하는 스프링(33)과, 상기 실린더(31)의 내부로서 피스톤(32b)에 의하여 격리되는 상하부오일룸(35, 36)간을 연통하는 유로(37)와, 상기 상하부오일룸(35, 36)을 격리하는 피스톤(32b)에 설치되는 체크밸브(371)와, 상기 실린더(31)의 하단을 밀폐하는 아래마개(39)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져(3)에 있어서, 상기 핀틀(34)과 피스톤(32b)간에는 상하진 자재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32b)의 외주에는 다줄나사(321b)가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31)의 내주에 형성되는 가이드수단(311)으로 안내되고, 상기 유로(37)에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조절봉(38)이 삽지되고, 상기 스프링(33)은 상기 피스톤(32b)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23b)과 상기 아래마개(39)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93)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탄지 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311)이 상기 다줄나사(321b)와 나합되는 나선(311a)과 베어링볼(311b) 및 박음키(311c)중 어느 하나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 전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에서 상하방향인 횡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면 중앙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내에 수납되어 도어(2)의 회전을 전달하는 핀틀(34)과, 상기 실린더(31)와 핀틀(34)간을 탄지하는 스프링(33)과, 상기 실린더(31)의 하단을 밀폐하는 아래마개(39)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져(3)에 있어서, 상기 핀틀(34)의 하면에 축심에서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격벽(341b)이 형성되고, 상기아래마개(39)의 상면에도 축심에서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격벽(341b)이 형성되고, 상기 아래마개(39)에 형성되는 격벽(341b)에는 상기 핀틀(34)의 하면과 아래마개(39)의 상면 및 상기 격벽(341b, 341b)들에 의하여 구분되는 좌우오일룸(35', 36')간에 연통하는 유로(37)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격벽(341b)에는 상기 유로(37)와 병렬로 또 다른 유로(37')가 형성되어 체크밸브(371)가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로(37)상에 그 첨부가 유로(37)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도록 상기 아래마개(39)에 나합되어 설치되는 조절봉(38)이 추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다음과 같이 기능하는데, 먼저 본 발명의 설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문틀(1)측에 브라켓(11)이 착설되는 자리를 마련하고 브라켓(11)을 요입부에 끼운 후{물론, 요입부 없이 부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브라켓(11)이 문틀(1)에 돌출되어 미관이나 기능상 바람직하지는 않음} 소정 수량의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도어(2)측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브라켓(21)을 부착한 후{물론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어(2) 및 문틀(1)에서는 브라켓(11, 21)들이 이미 부착되어 제공되나, 여기서는 통상적인 도어라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일반적인 도어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함}, 캡홀더(344)로 2개의 브라켓(11, 21)을 동시에 관통시켜서 지지하고{이 상태에서는 도어(2)의 하부는 통상의 힌지(H)가 상부는 본 캡홀더(344)가 지지하므로 도어(2)가 문틀(1)에 정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 할 수 있음}, 본 발명의 도어 클로져(3)의 핀틀(34)을 상기 캡홀더(344)에 끼우면 도어(2)측의 브라켓(21)도 실린더(31)의 부착요홈(313)에 함께 끼워지며, 이후 스토퍼(12, 22)를 각각 체결하므로서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각부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구성에 의하면, 내부면 중앙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내에 수납되어 도어(2)의 회전을 전달하는 핀틀(34)과, 상기 실린더(31)와 핀틀(34)간을 탄지하는 스프링(33)과, 상기 실린더(31)의 하단을 밀폐하는 아래마개(39)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져(3)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통상적인 수직형 도어 클로져의 기본적인 하드웨어적 구성이고, 이와 더불어, 상기 핀틀(34)의 하면은 소정각도로 경사되어 형성되는 인볼류트곡선면(341a)으로 되고, 이에 밀착되는 상하진기구(33a)가 상기 인볼류트곡선면(341a)에 베어링볼(332)로서 접촉되게 되어 있으므로, 도어(2)와 문틀(1)이 상대적인 회전을 하면 실린더(31)와 핀틀(34)도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핀틀(34)의 하면은 인볼류트곡선면(341a)으로 되어 있어서, 이러한 회전은 탄지스프링(331)으로 지지되는 상하진기구(33a)를 소형실린더(324a) 내에서 부드럽게 상하진 시키게 된다. 즉, 핀틀(34)의 하면은 인볼류트곡선면(341a)이상하진기구(33a)를 눌러주는 작용을 하고, 탄지스프링(331)은 상하진기구(33a)를 밀어올려주는 작용을 하므로 상하진기구(33a)의 베어링볼(332)이 항상 인볼류트곡선면(341a)을 따라서 상하진하게 되며, 이때 인볼류트곡선이란 나선상을 이루는 곡선면을 칭하는 것으로 예컨대 원주상을 따라 약 20。 경사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강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도어(2)와 문틀(1)간에 상대적 회전을 한다고 기술하고 있는데, 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클로져(3)가 정방향으로 부착될 시에는 실린더(31)는 도어(2)와 연동되고 핀틀(34)은 문틀(1)에 고정되므로 핀틀(34)에 대하여 실린더(31)가 회전하게 되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클로져(3)가 역방향으로 부착될 시에는 실린더(31)는 문틀(1)에 부착되고 핀틀(34)이 도어(2)에 삽지되어 연동되므로 실린더(31) 에 대하여 핀틀(34)이 회전하게 되므로 상대적 회전으로 기술하는 것으로, 상기 양 도면의 어떠한 상태로도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기능상의 차이가 전혀 없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소형실린더(324a)는 오일이 주입되어 있으며, 상기 핀틀(34)의 하면과 아래마개(39)로 밀폐되어 형성되는 상부오일룸(35)과 상기 소형실린더(324a)간에 연통하는 유로(37)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오일룸(35)과 소형실린더(324a)간에 형성되는 좁은 유로가 상하진기구(33a)의 급속한 이동을 제한하게 되며, 이는 도어(2)의 급격한 개폐를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더구나, 스프링(33)은 실린더(31)와 핀틀(34)간을 탄지하는데, 특히 그 양단이 실린더(31)의 요홈(313) 및 핀틀(34)의 수평요홈(346a)에 각각 삽착되어 있어서핀틀(34)이 회전하면 시계의 태엽처럼 감겼다가 도어(2)측에 가해지는 개방하려는 힘이 해소되는 순간에 복원력이 실린더(31)와 핀틀(34)간의 상대적 회전력을 작용시켜 다시 원상태로 되돌리므로서 도어(2)가 자동 폐쇄되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상하진기구(33a)는 상기의 역순으로 작용되어 도어(2)가 서서히 폐쇄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참고 부호 392는 지축으로서 아래마개(39)의 중신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핀틀(34)의 하면 중앙을 축지지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핀틀(34)은 정숙한 회동이 가능하며, 게다가 상하진기구(33a)와의 접촉면에도 요입부를 형성시켜서 상하진기구(33a)가 제자리에서 상하진 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넘어서지 않음은 명백하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유로(37)와 별개로 또 다른 유로(37')가 상기 상하진기구(33a)내에 형성되어 체크밸브(371)가 설치된 것으로, 이는 체크밸브(371)가 설치되는 다른 유로(37')상에서 도어(2)의 개방시에는 체크밸브(371)가 유로를 개방하고, 그 역으로는 폐쇄를 하도록 하므로서 도어(2)의 개방시에 큰 유로(37+37')를 제공하도록 하므로 급격한 개방과 서서히 폐쇄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이 진정한 도어 클로져의 기능에 합치되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유로(37)상에 그 첨부가 유로(37)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도록 상기 아래마개(39)에 나합되어 설치되는 조절봉(38)이 추가된 것인데, 조절봉(38)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마개(39)의 중앙에서 상부로 박아 넣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위쪽에 설형(楔形)이나 구형(求刑)의 첨부로 되고 아래마개(39)에 나합되는 나선부(382) 및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머리부(383)에 형성되는 치구부(385)로 이루어지고, 머리부(383)에는 밀폐수단으로 오링(30)이 장입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단이 유로(37)의 단면적과 일치하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하므로서 일부 내지는 전부를 차단하여 오일의 유출량을 일정 이하로 하도록 하므로 이를 통해 유출량을 조절하므로서 도어 클로져(3)의 여닫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기본 구성인 도어 클로져(3)는 동일하나, 이러한 통상적인 수직형 도어 클로져의 기본적인 하드웨어적 구성과 더불어, 상기 핀틀(34)의 하단은 소정각도로 경사되어 그 밑면이 평활면(341)으로 되고, 완충구(32a)를 상기 평활면(341)과 면착되는 윤활면(321a)의 양 하단에 대칭으로 부착되는 리테이너(322a)와, 상기 리테이너(322a)에 각각 수납되어 유체가 충만된 소형실린더(324a)를 밀폐하는 피스톤로드(323a)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하여, 도어(2)나 문틀(1)측에 부착되어 도어(2)가 열리면 실린더(31)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하는 핀틀(34)에 의하여 그 하단에 형성되는 평활면(341)이 회전하면서 면접되는 윤활면(321a)과는 마찰없이 그 면을 틸팅(Tilting; 윤활면의 좌우측의 경사각도를 바꿈)시키게 되며, 이때 윤활면(321a)의 하단 양쪽에는 대칭으로 리테이너(322a)가 부착되어 양 리테이너(322a)간에는 서로 반대로 상하진하게 되는데, 이들 리테이너(322a)에 수납(유니버셜 조인트 형으로 수납되면틸팅에 대한 상하진이 부드럽게 이루어짐)되는 피스톤로드(323a)들이 그 하단에 형성되는 소형실린더(324a)내에서 펌핑운동을 하게 되며, 이는 상기 완충구(32a)의 양측 소형실린더(324a)간을 연통하는 유로(37)에 의하여 소형실린더(324a)내에 충만되어 있는 오일이 천천히 이동되므로 도어(2)의 급격한 개방 및 폐쇄를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핀틀(34)의 상부에는 대직경의 림(343)을 형성시켜야 실린더(3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칸막이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게 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더구나, 스프링(33)은 실린더(31)와 핀틀(34)간을 탄지하는데, 특히 그 양단이 실린더(31)의 요홈(313) 및 핀틀(34)의 수평요홈(346a)에 각각 삽착되어 있어서 핀틀(34)이 회전하면 시계의 태엽처럼 감겼다가 도어(2)측에 가해지는 개방하려는 힘이 해소되는 순간에 복원력이 핀틀(34)을 다시 원상태로 되돌리므로서 도어(2)가 자동 폐쇄되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완충구(32a)는 상기의 역순으로 작용되어 도어(2)가 서서히 폐쇄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구조는 종래의 도어 클로져들이 실린더(31)의 전체에 오일이 충만되어야 하는 구조임에 비하여 실린더(31)에 내장되는 2개의 소형실린더(324a)에만 오일을 채우면 되는 구조이므로 밀폐구조를 제공하기 쉬워서 컴펙트화가 용이하며 경제적이고, 그 작동도 훨씬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더구나 본 발명의 첫번째 구성(도 1 및 도 2에 도시)과 비교하면, 첫 번째 구성은 실린더(31)의 일부를 상부오일룸(35)으로 하고, 소형실린더(324a)를 대향하는 오일룸으로 하여 이들간을 연통하는 유로(37)에서 오일의 흐름을 일정속도로 하므로서 도어(2)의 개폐속도를 제한하도록 함에 비하여, 본 구성에서는 상부오일룸(35)을 생략하고 2개의 소형실린더(324a, 324a)간에 유로(37)를 형성시켜서 속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약간 복잡한 구조를 제공하나 정밀도는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도어 클로져(3)는 그 외피 역할을 겸하는 실린더(31)가 내부면 중앙부에 가이드수단(311)을 구비하고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이 실린더(31) 안에 도어(2)의 축에 삽입되는 핀틀(34)의 말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다시 이 핀틀(34)에 맞물려지는 피스톤(32b)이 내장되는데, 피스톤(32b)은 실린더(31)의 가이드홈(311)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소정 스트로크씩 승하강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다줄나사(321b)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피스톤(32b)의 하단에는 스프링(33)이 탄지되며, 상하부오일룸(35, 36)은 실린더(31)의 내부에 형성되어 피스톤(32b)에 의하여 격리되는데 이들간을 유로(37)가 연통하며, 상기 유로(37)와는 별도로 상하부오일룸(35, 36)을 격리하는 피스톤(32b)에 체크밸브(371)가 설치되고, 실린더(31)의 하단에는 아래마개(39)로 밀폐하도록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져(3)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도어 클로져(3)는 도어(3)가 열리면 핀틀(34)이 회전하고 이는 그대로 피스톤(32b)에 전달되어 피스톤(32b)이 실린더(31)에 대하여 회전되는데, 이들간에는 후술하는 다줄나사(321b)와 가이드수단(311)에 의하여 회전력이 상하진력으로 전환되어 피스톤(32b)이 하진하면서 스프링(33)을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32b)이 하진하면, 상부오일룸(35)은 확장하나 하부오일룸(36)은 축소되므로 오일이 유로(37)를 따라 하부오일룸(36)에서 상부오일룸(35)측으로 이행(移行)하게 되는데, 좁은 유로(37)에 의해 급격한 이행이 제한되나, 체크밸브(371)는 상부오일룸(35)측에 위치되는 볼(371a)이 체크스프링(371b)에 의하여 탄지되는 힘을 이기고 아래로 밀리면서 유로(37)가 확장되는 효과를 얻으므로 급속한 문 열림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문 닫힘은 압축된 스프링(33)의 탄지력이 자동닫힘을 촉발하게 되면, 상기의 역순으로 진행하게 되며, 이때 체크밸브(371)는 상부오일룸(35)측에 위치되는 볼(371a)이 체크밸브(371)로 형성하는 제 2의 유로를 차단하여 오일의 이동속도를 늦춰서 도어(2)가 서서히 닫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특히 핀틀(34)과 피스톤(32b)간에는 상하진 자재하도록 결합되게 하였는데, 이는 도어(2)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는 핀틀(34)이 도어(2)의 회전을 피스톤(32b)에 그대로 전달하기 위함이며, 물론 구조에 따라서는 핀틀(34)이 문틀(1)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실린더(31)가 도어에 고정되도록 하여 도어(2)가 여닫힘에 따라 실린더(31)와 피스톤(32b)간에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발생되도록 하기만 하면 성립이 되기 때문이며, 핀틀(34)과 피스톤(32b)간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상하진 자재토록 하는 구성으로는 예컨대, 핀틀(34)의 피스톤(32b)에 삽입되는 부분{회전제한부(342)임}을 단면이 각형을 이루도록 하고, 피스톤(32b)의 내부인 핀틀수납부(324b)도 이러한 핀틀(34)의 당해부분이 삽입되도록 구성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제한부(342)를 수직을 이루는 나선홈으로 하고 대응하는 핀틀수납부(324b)에도 수직의 암나선을 형성시키거나, 수직방향으로 키를 박아서 구성하거나 하는 것이며, 핀틀(34)의 상부에는 대직경의 림(343)을 형성시켜야 실린더(3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칸막이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32b)의 외주에는 다줄나사(321b)가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31)의 내주에 형성되는 가이드수단(311)으로 안내되도록 하였는데, 도어(2)가 회전됨에 따라 핀틀(34)이 함께 회전하면서 피스톤(32b)을 회전시키면 상기 다줄나사(321b)와 가이드수단(311)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상하진 운동으로 변환하게 되며, 이때 다줄나사(321b)는 종래의 발명에서는 전혀 채용된 적이 없는 피스톤(32b)의 외주에 형성되어 과거보다 훨씬 대직경으로 되므로 접촉면적을 넓히고 나선의 각도를 완화시킬 수 있어서 내구성 및 부드러운 변환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상부오일룸(35)은 실린더(31)의 상단에서 피스톤(32b)까지로 실린더(31)의 상단에는 핀틀(34)이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므로 핀틀(34)과 실린더(31)의 상단의 접촉부위에는 어느 한쪽{예컨대, 도면에서는 실린더(31)의 상단부}에 오링(30)을 삽장시키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하부오일룸(35, 36)간에는 피스톤(32b)과 실린더(31)간의 접촉면에 오링(30)을 설치하여 차단되도록 하고, 하부오일룸(36)의 하단인 실린더(31)에 나합되는 아래마개(39)에도 오링(30)을 설치하여 밀폐되도록 하였으며{물론, 아래마개(39)와 실린더(31)가 일체형으로 되거나 용접등에 의하여 접합된 경우에는 밀폐수단이 추가되지 않아도 되나, 이 경우에는 실린더(31)에 내장되는 부품의 조립이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는 않다}, 게다가 이들간을 연통하는 유로(37)에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조절봉(38)이 삽지되도록 하였는데, 즉, 조절봉(38)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마개(39)의 중앙에서 상부로박아 넣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길고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거나(도 3a에 설치상태) 작아지는(도 3b에 설치상태) 원기둥상의 테이퍼부(381)와 아래마개(39)에 나합되는 나선부(382) 및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머리부(383)에 형성되는 치구부(385)로 이루어지고, 머리부(383)에는 밀폐수단으로 오링(30)이 장입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테이퍼부(381)의 선단이 유로(37)의 일부를 차단하여 오일의 유출량을 일정 이하로 하도록 하는데, 하단으로 갈수록 테이퍼부(381)가 직경이 커져서 유로(37)는 점점 작아지므로 이를 통해 유출량을 조절하므로서 도어 클로져(3)의 여닫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게다가, 유로(37)는 도어(2)가 닫힐 때 특히 천천히 닫히도록 하고자 형성되는 것으로 도어(2)가 완전히 열린(180。부근)상태에서는 스프링(33)은 압축된 상태이고 유로(37)도 아주 작은 상태이므로 탄지된 스프링(33)의 강력한 탄지력을 낭비하지 않고 거의 그대로 피스톤(32b)에 전달되도록 하여 임계 정지마찰력을 이기고 넘을 수 있도록 하며, 거의 닫히는 근접점에서는 스프링(33)의 탄지력은 0에 가까워지지만 테이퍼부(381)에 의하여 유로(37)가 커지므로 계속하여 천천히 도어(2)가 닫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클로져(3)는 텐션볼트(34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핀틀(34)이 도어(2)가 닫히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프리텐션(Pre-Tension)을 주고자 구비되는 것으로, 이렇게 프리텐션이 걸린 도어 클로져(3)는 도어(2)가 마지막으로 완전히 닫히는 시점에서도 복원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문틀(1)에 도어(2)가 저촉되어 마찰력이 작용되어도 밀폐되도록 하게 된다.
더구나, 스프링(33)은 피스톤(32b)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23b)과아래마개(39)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93)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탄지 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압축과 동시에 피스톤(32b)의 회전력도 함께 받아서 비틀림력(Torque)도 가지게 되므로 양힘을 이용하여 도어의 자동닫힘을 실현하므로 산술적으로 2배의 작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는 역으로는 필요한 힘을 얻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크기를 1/2로 할 수 도 있으며, 동일한 규격의 스프링을 사용하면 그 수명을 2배 이상 늘린다거나 통상의 도어 클로져 보다 스프링(33)을 작게 한다거나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기본 구성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수단(311)이 상기 다줄나사(321b)와 나합되는 나선(311a)과 베어링볼(311b) 및 박음키(311c)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인데, 가이드수단(311)이 나선(311a)으로 된 경우에는 다줄나사(321b)와의 접촉면적이 가장 넓어서 회전운동을 상하진 운동으로 변형하기에 가장 안정적이나, 저항력은 높은 편이며, 저항력의 면에서는 가이드 수단(311)이 베어링볼(311b)로 된 것으로 이는 다줄나사(321b)의 어느 나선이 베어링볼(311b)에 거치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며, 가공의 면에서는 가이드 수단(311)이 박음키(311c)로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도 베어링볼(311b)과 동일하게 기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내부면 중앙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내에 수납되어 도어(2)의 회전을 전달하는 핀틀(34)과, 상기 실린더(31)와 핀틀(34)간을 탄지하는 스프링(33)과, 상기 실린더(31)의 하단을 밀폐하는 아래마개(39)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도어 클로져(3)에 있어서,상기 핀틀(34)의 하면에 축심에서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격벽(341b)이 형성되고, 상기 아래마개(39)의 상면에도 축심에서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격벽(341b)이 형성되고, 상기 아래마개(39)에 형성되는 격벽(341b)에는 상기 핀틀(34)의 하면과 아래마개(39)의 상면 및 상기 격벽(341b, 341b)들에 의하여 구분되는 좌우오일룸(35', 36')간에 연통하는 유로(37)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므로, 도어(2)와 문틀(1)간의 상대적 회전이 실린더(31)와 핀틀(34)간의 상대적 회전으로 전이(轉移)되면 핀틀(34)의 하면에 돌출되는 격벽(341b)과 실린더(31)에 고착되는 아래마개(39)의 상면에 돌출되는 격벽(341b)간에 상대적 회전이 발생되어 좌우오일룸(35', 36')의 체적이 축소/확장하게 되며, 이들 좌우오일룸(35', 36')은 좁은 유로(37)로 연통되므로 유체의 이행(移行)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상대적 회전속도가 제한되게 된다. 이때, 유로(37)는 도면에서는 비록 아래마개(39)측에 형성되는 격벽(341b)에 형성되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기술상으로는 핀틀(34)측에 형성되는 격벽(341b)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동일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도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격벽(341b)들은 각면에서 상하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좌우오일룸(35', 36')을 구분하기 위해 형성시키는 것이므로, 비록 도면에서는 부채꼴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형태의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기는 오일룸(35', 36')을 최대화 하므로서 힘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일자형의 좁은 폭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이 경우에도 후술하는 체크밸브(371)가 설치되는 구성에서는 이러한 설치 공간은 확보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핀틀(34)의 하면에 좌우오일룸(35', 36')이 형성되므로 핀틀(34)과 실린더(31)의내주간에는 오링(30)으로 밀폐됨은 당연하고, 또 아래마개(39)에도 오링(30)으로 밀폐되어야 하며, 핀틀(34)의 하단은 아래마개(39)와 이격되어 회전시에 축심을 따라 정확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축(392)이 핀틀(34)과 아래마개(39)간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도 일책이며, 아래마개(39)에는 나선을 형성하지 않고 실린더(31)하부에 밀어넣거나 강입(强??)하는 형태로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1)의 외주에서 나사를 박아 넣어서 스토퍼(22)로 기능하도록 하면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추가 수단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넘어서지 않음은 명백하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격벽(341b)에는 상기 유로(37)와 병렬로 또 다른 유로(37')가 형성되어 체크밸브(371)가 설치된 것으로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빠른 개방과 완만한 폐쇄를 보장하는 수단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유로(37)상에 그 첨부가 유로(37)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도록 상기 아래마개(39)에 나합되어 설치되는 조절봉(38)이 추가된 것으로, 이도 상술한 개폐속도의 조절을 위해 추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수직형 도어 클로져를 제공하며, 도어의 완만하고 부드러운 작동을 보장하여 소음이나 안전사고 등이 발생될 소지를 원천봉쇄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도어 클로져로서의 성능을 높여서 그 구조를 컴펙트화하면서도 그 내구성 및 성능은 오히려 높일 수 있도록 한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9)

  1. 내부면 중앙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내에 수납되어 도어(2)의 회전을 전달하는 핀틀(34)과, 상기 실린더(31)와 핀틀(34)간을 탄지하는 스프링(33)과, 상기 실린더(31)의 하단을 밀폐하는 아래마개(39)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져(3)에 있어서,
    상기 핀틀(34)의 하면은 소정각도로 경사되어 형성되는 인볼류트곡선면(341a)으로 되고,
    상기 인볼류트곡선면(341a)에 밀착되는 베어링볼(332)이 그 상면에 삽입되어 그 하단에 형성되는 소형실린더(324a)를 밀폐하는 탄지스프링(331)으로 지지되는 상하진기구(33a)와,
    상기 핀틀(34)의 하면과 아래마개(39)로 밀폐되어 형성되는 상부오일룸(35)과 상기 소형실린더(324a)간에 연통하는 유로(37)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도어 클로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틀(34)의 하단은 소정각도로 경사되어 그 밑면이 평활면(341)으로 되고,
    상기 평활면(341)과 면착되는 윤활면(321a)의 양 하단에 대칭으로 부착되는 리테이너(322a)와, 상기 리테이너(322a)에 각각 수납되어 유체가 충만된 소형실린더(324a)를 밀폐하는 피스톤로드(323a)로 이루어지는 완충구(32a)와,
    상기 완충구(32a)의 양측 소형실린더(324a)간을 연통하는 유로(37)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도어 클로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37)와 별개로 또 다른 유로(37')가 상기 상하진기구(33a)내에 형성되어 체크밸브(371)가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도어 클로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37)상에 그 첨부가 상기 유로(37)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도록 상기 아래마개(39)에 나합되어 설치되는 조절봉(38)이 추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도어 클로져.
  5. 내부면 중앙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내에 수납되어 도어(2)의 회전을 전달하는 핀틀(34)과, 상기 실린더(31)내에 수납되어 상기 핀틀(34)과 맞물려 회전운동을 상하진운동으로 변환하는 피스톤(32b)과, 상기 피스톤(32b)의 하단을 탄지하는 스프링(33)과, 상기 실린더(31)의 내부로서 피스톤(32b)에 의하여 격리되는 상하부오일룸(35, 36)간을 연통하는 유로(37)와, 상기 상하부오일룸(35, 36)을 격리하는 피스톤(32b)에 설치되는 체크밸브(371)와, 상기 실린더(31)의 하단을 밀폐하는 아래마개(39)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져(3)에있어서,
    상기 핀틀(34)과 피스톤(32b)간에는 상하진 자재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32b)의 외주에는 다줄나사(321b)가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31)의 내주에 형성되는 가이드수단(311)으로 안내되고,
    상기 유로(37)에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조절봉(38)이 삽지되고,
    상기 스프링(33)은 상기 피스톤(32b)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23b)과 상기 아래마개(39)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93)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탄지 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도어 클로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311)이 상기 다줄나사(321b)와 나합되는 나선(311a)과 베어링볼(311b) 및 박음키(311c)중 어느 하나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도어 클로져.
  7. 내부면 중앙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내에 수납되어 도어(2)의 회전을 전달하는 핀틀(34)과, 상기 실린더(31)와 핀틀(34)간을 탄지하는 스프링(33)과, 상기 실린더(31)의 하단을 밀폐하는 아래마개(39)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져(3)에 있어서,
    상기 핀틀(34)의 하면에 축심에서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격벽(341b)이 형성되고,
    상기 아래마개(39)의 상면에도 축심에서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격벽(341b)이 형성되고,
    상기 아래마개(39)에 형성되는 격벽(341b)에는 상기 핀틀(34)의 하면과 아래마개(39)의 상면 및 상기 격벽(341b, 341b)들에 의하여 구분되는 좌우오일룸(35', 36')간에 연통하는 유로(37)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도어 클로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41b)에는 상기 유로(37)와 병렬로 또 다른 유로(37')가 형성되어 체크밸브(371)가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도어 클로져.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37)상에 그 첨부가 유로(37)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도록 상기 아래마개(39)에 나합되어 설치되는 조절봉(38)이 추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1020000044264A 2000-07-31 2000-07-31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020010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264A KR20020010787A (ko) 2000-07-31 2000-07-31 수직형 도어 클로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264A KR20020010787A (ko) 2000-07-31 2000-07-31 수직형 도어 클로져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796U Division KR200209589Y1 (ko) 2000-07-31 2000-07-31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20000021795U Division KR200209588Y1 (ko) 2000-07-31 2000-07-31 수직형 도어 클로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787A true KR20020010787A (ko) 2002-02-06

Family

ID=1968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264A KR20020010787A (ko) 2000-07-31 2000-07-31 수직형 도어 클로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07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292A (ko) * 2002-09-19 2004-03-24 (주)대흥메탈 스프링식 경첩
KR100865308B1 (ko) * 2002-08-29 2008-10-27 주식회사 포스코 상승관 리드 자동개폐 장치
CN108756565A (zh) * 2018-06-06 2018-11-06 肇庆市高要区兆高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闭门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8545A (ja) * 1974-12-28 1976-07-08 Takeji Teraoka Tobiranojidotojisochi
US4103392A (en) * 1976-10-26 1978-08-01 Masco Corporation Door closing apparatus
US4756051A (en) * 1987-01-23 1988-07-12 Shy Haw Yaw Door-closer hinge with rotary-movement shock absorber
JPS6423575U (ko) * 1987-08-03 1989-02-08
JPH0893313A (ja) * 1994-09-20 1996-04-09 Nippon Electric Ind Co Ltd 開扉角度制限付丁番型ドアクローザ
JPH08312237A (ja) * 1995-05-15 1996-11-26 Nifco Inc 自動閉鎖型蝶番
JPH0993309A (ja) * 1995-09-26 1997-04-04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無線機
KR970040205A (ko) * 1995-12-22 1997-07-24 김태구 좌·우 분사 방식의 자동차 윈드실드와이퍼용 노즐
KR19990081808A (ko) * 1998-04-23 1999-11-15 신동승 도어용 힌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8545A (ja) * 1974-12-28 1976-07-08 Takeji Teraoka Tobiranojidotojisochi
US4103392A (en) * 1976-10-26 1978-08-01 Masco Corporation Door closing apparatus
US4756051A (en) * 1987-01-23 1988-07-12 Shy Haw Yaw Door-closer hinge with rotary-movement shock absorber
JPS6423575U (ko) * 1987-08-03 1989-02-08
JPH0893313A (ja) * 1994-09-20 1996-04-09 Nippon Electric Ind Co Ltd 開扉角度制限付丁番型ドアクローザ
JPH08312237A (ja) * 1995-05-15 1996-11-26 Nifco Inc 自動閉鎖型蝶番
JPH0993309A (ja) * 1995-09-26 1997-04-04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無線機
KR970040205A (ko) * 1995-12-22 1997-07-24 김태구 좌·우 분사 방식의 자동차 윈드실드와이퍼용 노즐
KR19990081808A (ko) * 1998-04-23 1999-11-15 신동승 도어용 힌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08B1 (ko) * 2002-08-29 2008-10-27 주식회사 포스코 상승관 리드 자동개폐 장치
KR20040025292A (ko) * 2002-09-19 2004-03-24 (주)대흥메탈 스프링식 경첩
CN108756565A (zh) * 2018-06-06 2018-11-06 肇庆市高要区兆高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闭门器
CN108756565B (zh) * 2018-06-06 2024-04-19 广东兆高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闭门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9895B1 (en) Hinge structure for self-closing doors or the like, particularly glass doors or the like, and assembly incorporating such structure
US8510911B2 (en) Automatic door closing hinge and double swing door structure
KR100202260B1 (ko) 자동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US20070067950A1 (en) Door closer
US5272787A (en) Overhead concealed door closer, mechanically, hydraulically operated
US5291630A (en) Damp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oor
JP2002512331A (ja) ヒンジ式自動ドア閉鎖機
US20010015033A1 (en) Automatic door-closing device
KR20030074566A (ko) 캠을 이용한 도어의 자동폐쇄장치
US5867866A (en) Door hinge with a built-in damper
KR20020010787A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0209588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0209589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JP2000136669A (ja) 緩衝機構付き自動閉扉蝶番
CN109415921B (zh) 铰接机构和铰接组件
KR20020030692A (ko) 기능이 강화된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0228240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JP2002021421A (ja) ドアの開閉装置
KR200187613Y1 (ko) 힌지형 도어 클로져
CN218407039U (zh) 一种可调速的自闭合页
US20040151599A1 (en) Continuously blockable arresting device
KR200257128Y1 (ko) 경첩
KR930010633B1 (ko) 도어 클로저
KR200326948Y1 (ko) 도어 클로저
KR200251796Y1 (ko) 안전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