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843Y1 -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 - Google Patents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843Y1
KR200229843Y1 KR2020010004681U KR20010004681U KR200229843Y1 KR 200229843 Y1 KR200229843 Y1 KR 200229843Y1 KR 2020010004681 U KR2020010004681 U KR 2020010004681U KR 20010004681 U KR20010004681 U KR 20010004681U KR 200229843 Y1 KR200229843 Y1 KR 200229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shaft pin
bushing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복한
Original Assignee
배복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복한 filed Critical 배복한
Priority to KR2020010004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8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843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짝의 개폐시 문짝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축핀과의 마모발생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힘으로 부드럽게 문짝이 개폐되도록 힌지축핀이 결합되는 부분에 마모방지용 부싱을 구비시켜 문짝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문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에 힌지축핀을 구비한 고정브라켓트와; 상기 문짝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핀에 힌지공이 결합되는 회동브라켓트로 경첩을 구성하되, 상기 회동브라켓트의 중간부분에 체결블록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블록의 조정스크류와 길이방향으로 조정스크류의 조작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힌지공이 구비된 조정구가 나합되어 힌지공이 좌우로 위치가 이동자재되도록 구성한 문짝설치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조정구의 힌지공 내측에 통상의 메타로프리스트 재질의 부싱을 삽입하되, 상기 부싱은 내측에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이 외향 돌출 되어 상기 조정구의 일면에 밀착된 머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 제공된다.

Description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The bush device for conneting the pin of door hinge axes.}
본 고안은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짝의 개폐시 문짝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축핀과의 마모발생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힘으로 부드럽게 문짝이 개폐되도록 힌지축핀이 결합되는 부분에 마모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에 설치되어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는 데 이용되는 문짝은 목재, 철제 또는 유리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그 형태 및 크기에 있어 각양각색의 제품들이 선보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짝들은 거의 대부분이 건축구조물에 문틀을 형성하고 상기 문틀에 경첩을 이용하여 문짝을 설치하므로 서 상기 문짝이 개폐 가능토록 하였는바, 이때 사용되는 경첩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문틀(100)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에 힌지축핀(1)을 구비한 고정브라켓트(200)와; 상기 문짝(30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핀(1)에 힌지공(3a)이 결합되는 회동브라켓트(400)로 경첩을 구성하되, 상기 회동브라켓트(400)의 중간부분에 체결블록(50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블록(500)의 조정스크류(600)와 길이방향으로 조정스크류(600)의 조작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힌지공(3a)이 구비된 조정구(3)가 나합되어 힌지공(3a)이 좌우로 위치가 이동자재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문틀(10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200)의 하단에 구비된 힌지축핀(1)이 결합되는 조정구(3)의 힌지공(3a)과의 결합시 힌지축핀(1)을 기준으로 문짝(300)이 개폐되는데, 이때 개폐되는 문짝(300)은 바닥 면에 대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되어야만 문짝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정밀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안은 문짝의 반복적인 개폐에 의해 힌지축핀(1)과 결합되는 힌지공(3a)간의 마찰발생에 의한 마모로 바닥 면에 대해 문짝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서, 문짝의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에 의해 문짝을 교체하거나,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반복되는 문짝의 개폐에 따른 힌지축핀 및 조정구의 힌지공간의 마모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메트로프라스트 재질을 갖는 부싱을 힌지공에 구비하여 항상 일정한 힘으로 부드럽게 문짝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문틀과 경첩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경첩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요부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종단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문틀 200: 고정브라켓트
300: 문짝 400: 회동브라켓트
500: 체결블록 600: 조정스크류
1: 힌지축핀 3: 조정구
3a: 힌지공 5: 부싱
5a: 삽입부 5b: 머리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문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에 힌지축핀을 구비한 고정브라켓트와; 상기 문짝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핀에 힌지공이 결합되는 회동브라켓트로 경첩을 구성하되, 상기 회동브라켓트의 중간부분에체결블록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블록의 조정스크류와 길이방향으로 조정스크류의 조작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힌지공이 구비된 조정구가 나합되어 힌지공이 좌우로 위치가 이동자재되도록 구성한 문짝설치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조정구의 힌지공 내측에 통상의 메타로프리스트 재질의 부싱을 삽입하되, 상기 부싱은 내측에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이 외향 돌출 되어 상기 조정구의 일면에 밀착된 머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요부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종단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문틀(100)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에 힌지축핀(1)을 구비한 고정브라켓트(200)와; 상기 문짝(30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핀(1)에 힌지공(3a)이 결합되는 회동브라켓트(400)로 경첩을 구성하되, 상기 회동브라켓트(400)의 중간부분에 체결블록(50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블록(500)의 조정스크류(600)와 길이방향으로 조정스크류(600)의 조작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힌지공(3a)이 구비된 조정구(3)가 나합되어 힌지공(3a)이 좌우로 위치가 이동자재되도록 구성한 문짝설치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조정구(3)의 힌지공(3a) 내측에 통상의 메타로프리스트 재질의 부싱(5)을 삽입하되, 상기 부싱(5)은 내측에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공(3a)에 삽입되는 삽입부(5a)와, 상기 삽입부(5a)의 일단이 외향 돌출되어 상기 조정구(3)의 일면에 밀착된 머리부(5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부싱(5)은 조정구(3)의 힌지공(3a) 내측에 통상의 메타로프리스트 재질의 부싱(5)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공(3a)에 구비되는 부싱은 메타로프리스트(Metaloplast)재질로서, 이는 공지의 내용으로서 내마계수가 낮으며, 완전무결유로 사용되고, 내하중성이 높아 최대하중은 4,000kg/㎠이며, 또한 한계온도량이 -200℃ ~ 260℃이고, 단시간에는 300℃에서도 가능하다.
또한, 높은 안전성과 고정밀도를 유지하며, 열전도성이 크고 열팽창이 작으며, 내마모성이 커서 내구성이 좋고, 상대면의 마모를 주지 않는다.
한편, 상기 부싱(5)은 상기 힌지공(3a)에 내측이 통공된 삽입부(5a)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5a)의 일단에 외향 돌출된 머리부(5b)는 상기 조정구(3)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힌지공(3a)에 삽입된 부싱(5)에는 상기 힌지축핀(1)이 끼워지게 되고, 상기 부싱(5)에 끼워진 힌지축핀(1)은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메타로프리스트의 재질 특성상 문짝(300)의 개폐시 부싱(5)에 의해 힌지축핀(1)과 힌지공(3a)간의 마찰발생을 방지하여 마모발생이 생기지 않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힌지공(3a)에 결합된 힌지축핀(1)간의 반복적인 문짝(300)의 개폐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을 본 고안에서는 메타로프리스트의 재질을 갖는 부싱(5)을 사용하므로 서, 마찰발생을 방지 할 수 있어 종래의 문제점인힌지공(3a)과 힌지축핀(1)간의 마모에 의한 문짝(300)의 불균형발생으로 문짝(300)이 기울어져 바닥 면에 간섭되어 정상적인 개폐가 어려웠던 점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문짝의 개폐가 항상 일정한 힘으로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베어링적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반복되는 문짝(300)의 개폐에 따른 힌지축핀(1) 및 힌지공(3a)간의 마모발생을 메트로프라스트 재질을 갖는 부싱(5)을 힌지공(3a)에 구비하므로 서, 힌지축핀(1)과 힌지공(3a)간의 마모발생을 방지하여 문짝(300)의 개폐시 항상 일정한 힘으로 부드럽게 문짝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게된다.

Claims (1)

  1. 문틀(100)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에 힌지축핀(1)을 구비한 고정브라켓트(200)와; 상기 문짝(30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핀(1)에 힌지공(3a)이 결합되는 회동브라켓트(400)로 경첩을 구성하되, 상기 회동브라켓트(400)의 중간부분에 체결블록(50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블록(500)의 조정스크류(600)와 길이방향으로 조정스크류(600)의 조작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힌지공(3a)이 구비된 조정구(3)가 나합되어 힌지공(3a)이 좌우로 위치가 이동자재되도록 구성한 문짝설치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조정구(3)의 힌지공(3a) 내측에 통상의 메타로프리스트 재질의 부싱(5)을 삽입하되, 상기 부싱(5)은 내측에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공(3a)에 삽입되는 삽입부(5a)와, 상기 삽입부(5a)의 일단이 외향 돌출 되어 상기 조정구(3)의 일면에 밀착된 머리부(5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
KR2020010004681U 2001-02-22 2001-02-22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 KR200229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681U KR200229843Y1 (ko) 2001-02-22 2001-02-22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681U KR200229843Y1 (ko) 2001-02-22 2001-02-22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843Y1 true KR200229843Y1 (ko) 2001-07-19

Family

ID=7308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681U KR200229843Y1 (ko) 2001-02-22 2001-02-22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8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592A (ko) * 2017-02-07 2018-08-16 박형태 여닫이문의 피봇힌지
KR20230115171A (ko) * 2022-01-26 2023-08-02 장영근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592A (ko) * 2017-02-07 2018-08-16 박형태 여닫이문의 피봇힌지
KR101952261B1 (ko) 2017-02-07 2019-05-17 박형태 여닫이문의 피봇힌지
KR20230115171A (ko) * 2022-01-26 2023-08-02 장영근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KR102583978B1 (ko) * 2022-01-26 2023-10-05 장영근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5954B2 (en) Compact hin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EP1718832B1 (en) Hinge
US6564428B2 (en) Compound hinge
CZ277919B6 (en) Furniture door hinge
US10808441B2 (en) Sliding door and window roller assembly
US4773682A (en) Sash lock
EP1772578A1 (en) Hinge for glass door
JPH06288139A (ja) 隠し蝶番とその製造方法
KR200229843Y1 (ko)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
US6691370B2 (en) Continuous door hinge with multi-plastic bearings
PL186832B1 (pl) Zawias do skrzydłowo otwieranych ram, zwłaszcza do drzwi, okien itp.
KR102177949B1 (ko) 구조가 개선된 도어 클로저 장치
EE200200503A (et) Lengi suhtes liikuva aknatiivaga akna või ukse sulusesõlm ning avatava aknatiiva ja paigalseisva lengiga aken või uks
EP4185759B1 (en) Hidden hinge for flush or rebated door or window applications
JP5358042B2 (ja) 隠し丁番
KR10259748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GB2364744A (en) Adjustable hinge
KR200184292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KR200334571Y1 (ko) 도어힌지장치
KR0127576Y1 (ko) 냉장고의 도어힌지
KR200265517Y1 (ko) 업다운형 힌지조립체
KR980008429U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첵
KR100347037B1 (ko) 냉장고의 도어멈춤장치
KR200340468Y1 (ko) 도어힌지
JPH054118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