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486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486B1
KR102597486B1 KR1020220075542A KR20220075542A KR102597486B1 KR 102597486 B1 KR102597486 B1 KR 102597486B1 KR 1020220075542 A KR1020220075542 A KR 1020220075542A KR 20220075542 A KR20220075542 A KR 20220075542A KR 102597486 B1 KR102597486 B1 KR 10259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or
adjustment
rotatably coupled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식
Original Assignee
유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식 filed Critical 유광식
Priority to KR1020220075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개시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는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개구된 중공형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과,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와,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봉 및 조절볼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절볼트는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브라켓의 회전에 대응하여 피벗 운동 가능한 조절부 및 회전축봉과 나사 결합되도록 조절부에 돌출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ROLLER FOR SLIDING DOOR WITH CONTROL HEIGH}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도어의 높이 조절을 유지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면서 출입 또는 통풍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도어는 개폐방식에 따라 미닫이, 여닫이 등의 형태로 구분된다.
이 중 미닫이 도어는 도어의 개폐가 쉽도록 도어의 저면에 도어용 호차가 설치된다. 도어용 호차는 롤러와 롤러를 감싸면서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을 도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도어의 저면에 고정된 도어용 호차는 도어의 하부에 배치된 도어틀에 설치된 레일에 결합된다. 이때 도어용 호차에 구성된 롤러가 도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레일을 타고 회전하게된다. 그러므로 도어의 개폐를 쉽게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도어용 호차는 도어의 개폐 과정 중에 롤러가 도어틀 등에 설치된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운행되도록 도어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해야 된다. 또한, 롤러의 설치높이가 잘 맞지 않는 경우 도어의 저면이 도어틀과 마찰을 일으킬수있다. 또한, 도어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되는 경우, 롤러의 설치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구조의 롤러 높낮이 조절구조가 호차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롤러 높낮이 조절구조가 적용된 호차들은 도어틀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한 후 도어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도어를 사용하다 보면, 도어의 개폐시 발생하게 되는 진동이나,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호차의 높이 조절을 했던 볼트에 진동이 전달되어 볼트가 풀리거나 이탈되면서 도어가 도어틀 등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3551호 (발명의 명칭 : 창문용 호차, 2001. 10. 2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도어제점을 해결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도어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도어의 높이 조절을 유지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는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개구된 중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상기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봉; 및 상기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전에 대응하여 피벗 운동 가능한 조절부와, 상기 회전축봉과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조절부에 돌출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조절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볼트결합홀; 및 상기 조절부의 피벗 중심을 형성하도록 상기 조절볼트결합홀에 구비되는 피벗돌부;이 포함되고, 상기 조절부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피벗돌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몸체; 상기 피벗돌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링; 및 상기 조작몸체와 상기 고정링 사이에 상기 피벗돌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구비 되도록 상기 조작몸체와 상기 고정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봉은, 몸체; 상기 몸체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돌기; 상기 안착돌기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볼트결합홀; 상기 볼트결합홀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고, 상기 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풀림방지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도어의 높이 조절을 유지하기위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부의 세부 결합관계를 통해 외부에서 조절부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홈에 삽입되는 지지핀의 결합관계를 통해 높낮이 조절시 고정홈에 가해지는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봉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회전축봉에 결합되는 풀림방지너트로 인해 조절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 할 수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호차와 도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호차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호차에서 회전브라켓이 하우징에 삽입되어 하우징으로부터 롤러가 하강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호차에서 조절볼트의 나사부와 회전축봉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호차에서 회전브라켓이 하우징에서 회전되어 하우징으로부터 롤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도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지금부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는 하우징(10)과, 회전브라켓(30)과, 롤러(R)와, 회전축봉(40) 및 조절볼트(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중공형의 함체이다. 하우징(10)의 하부는 개구되어 있다.
하우징(10)에는 조절볼트결합홀(110) 및 피벗돌부가 포함된다.
조절볼트결합홀(110)에는 조절볼트(20)의 조절부(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볼트결합홀(110)은 하우징(1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조절볼트결합홀(110)은 하우징(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되도록 하우징(10)에 관통 형성된다.
피벗돌부는 조절볼트결합홀(110)에 구비된다. 피벗돌부는 조절볼트(20)의 조절부(21)의 피벗 중심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피벗돌부는 걸림턱(111) 및 지지핀(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걸림턱(111)은 조절볼트결합홀(1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111)은 링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걸림턱(111)에는 조절볼트(20)의 조절부(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걸림턱(111)은 조절볼트(20)에 구비된 고정홈(210)에 삽입되도록한다.
지지핀(P)은 하우징(10)에 관통 형성되는 핀결합홀(1111)에 고정된다. 지지핀(P)은 보절볼트결합홀(1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지지핀(P)에는 조절볼트(20)의 조절부(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핀(P)은 조절볼트(20)에 구비된 고정홈(210)에 삽입되도록 한다.
하우징(10)에는 고정홀(120)이 포함된다. 고정홀(120)은 하우징(1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된다. 고정홀(120)은 조절볼트결합홀(110)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하우징(10)에는 축지지부(130)가 포함된다. 축지지부(130)는 조절볼트결합홀(110)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축지지부(130)에는 회전브라켓(30)의 회전 중심을 나타내는 힌지축(H)이 결합된다. 축지지부(130)는 힌지축(H)이 결합되도록 하우징(10)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에서 하우징(10)은 제1케이스(11)와, 제1케이스(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케이스(12) 및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5)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1)에는 고정홀(120)과, 조절볼트결합홀(110) 및 힌지축(H)이 결합되는 축지지부(130)가 포함된다. 고정홀(120) 및 조절볼트결합홀(110)는 일부만 제1케이스(11)에 형성된다.
제2케이스(12)에는 고정홀(120)과, 조절볼트결합홀(110) 및 힌지축(H)이 결합되는 축지지부(130)가 포함된다. 고정홀(120) 및 조절볼트결합홀(110)은 일부만 제2케이스(12)에 형성된다.
그러면,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의 결합에 따라 고정홀(120)과 조절볼트결합홀(110)은 완전한 홀 형태를 나타네므로, 하우징(10)에 관통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다.
결합부재(15)는 제1케이스(11)에 상호 이격 배치되고 제1케이스(11)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151) 및 제2케이스(12)에 상호 이격 배치되고 결합돌기(151)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152)를 포함한다.
결합돌기(151)는 복수개가 제1케이스(11)에 상호 이격 배치된다. 결합돌기(151)는 제1케이스(11)에 돌출 형성된다.
결합부(152)는 복수개가 제2케이스(12)에 상호 이격 배치된다. 결합부(152)는 제2케이스(12)에 돌출 형성된다. 결합부(152)에는 결합돌기(151)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부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5)는 결합돌기(151)와 결합부(152)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결합돌기(151)와 결합부(152)중 다른 하나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볼트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도어(D)의 하부에 결합된다.
도어(D)의 하부에는 하우징(10)이 끼움 결합되는 호차결합홀(1)이 구비된다. 그러면, 하우징(10)은 도어(D)의 하부에 구비된 호차결합홀(1)에 끼움 결합되고, 고정부재가 고정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D)에 나사 결합되므로 하우징(10)을 도어(D)에 고정시킬 수 있다.
회전브라켓(30)은 하우징(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브라켓(30)은 하부가 개구된 중공형의 함체를 나타낼 수 있다.
회전브라켓(30)에는 힌치축(H)이 결합되는 축결합홀(31)과, 회전축봉(4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부(32) 및 롤러(R)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축결합부(33)가 포함된다.
축결합홀(31)은 회전브라켓(30)에 관통 형성된다.
안착부(32)는 회전축봉(40)의 안착돌기(4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착부(32)는 회전브라켓(30)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다.
롤러축결합부(33)는 롤러(R)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이 결합된다. 롤러축결합부(33)는 회전브라켓(30)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다.
축결합홀(31)과 안착부(32) 및 롤러축결합부(33)는 상호 이격 배치된다.
롤러(R)는 회전브라켓(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롤러(R)는 도어(D)의 이동에 따라 도어틀에 형성된 레일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다. 이때, 롤러(R)가 회전되므로, 도어(D)를 쉽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축봉(40)은 회전브라켓(30)의 안착부(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봉(40)은 몸체(41)와, 안착돌기(411)와, 볼트결합홀(412)과, 안착홈(413) 및 풀림방지너트(440)을 포함한다.
몸체(41)는 다각형이나 원기둥 형상의 블럭으로 이루어진다.
안착돌기(411)는 몸체(4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다. 안착돌기(411)는 회전브라켓(30)의 안착부(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볼트결합홀(412)은 안착돌기(411) 사이에서 몸체(41)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다. 볼트결합홀(412)에는 조절볼트(20)의 나사부(22)가 나사 결합된다.
안착홈(413)은 볼트결합홀(412)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된다.
풀림방지너트(440)는 안착홈(413)에 결합된다. 풀림방지너트(440)에는 조절볼트(20)의 나사부(22)가 나사 결합된다. 풀림방지너트(44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갖는 한편 신축 가능하므로, 조절볼트(20)의 나사부(22)를 파지할 수 있고, 충격이나 진동에서 조절볼트(20)의 나사부(22)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절볼트(20)는 조절부(21) 및 나사부(22)를 포함한다.
조절부(21)는 하우징(10)의 조절볼트결합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부(21)는 피벗돌부를 기준으로 조절볼트결합홀(110)에서 피벗 운동 가능하다. 조절부(21)의 회전 방향은 조절부(21)의 피벗 운동방향과 수직을 이룬다.
조절부(21)는 조작몸체(213)와, 고정링(211) 및 연결부재(212)를 포함한다.
조작몸체(213)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피벗돌부의 일측에서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조작몸체(213)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부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고정링(211)은 피벗돌부의 타측에 구비된다. 고정링(211)은 조작몸체(213)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연결부재(212)는 조작몸체(213)와 고정링(211)을 연결시킨다.
연결부재(212)의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고정홈(210)이 형성된다. 고정홈(210)은 조작몸체(213)와 고정링(211) 사이에 형성된다. 고정홈(210)에는 피벗돌부가 삽입된다.
나사부(22)는 회전축봉(40)의 볼트결합홀(412)과 풀림방지너트(440)에 나사 결합되도록 조절부(21)에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호차결합홀(1)에 하우징(10)을 삽입한 다음,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하우징(10)을 도어(D)에 고정한다. 도어(D)에 결합된 하우징(10)의 롤러(R)는 도어틀의 레일에 결합되도록 한다.
하우징(10)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된 조절볼트(20)의 조절부(23)를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우징(10)의 조절볼트결합홀(110)에서 조절부(2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조절볼트(20)의 나사부(22)는 회전축봉(40)의 볼트결합홀(412)과 풀림방지너트(440)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나사 결합된다.
일예로,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조절부(2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나사부(22)는 회전축봉(40)에 정향향으로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브라켓(30)은 조절볼트결합홀(412)로부터 이격되면서 힌지축(H)을 기준으로 정회전되므로, 하우징(10)으로부터 롤러(R)가 하강하게 되고, 롤러(R)를 레일에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므로, 회전브라켓(30)이 정회전되면서 스토퍼(미도시)에 지지되면, 회전브라켓(30)의 회전이 정지되고, 회전브라켓(30)의 추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조절볼트(20)의 조절부(21)는 피벗돌부를 기준으로 피벗 운동되고, 회전축봉(40)은 안착돌기(411)를 기준으로 피벗 운동하게 되므로, 회전브라켓(3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절볼트(20)의 나사부(22)는 볼트결합홀(412)과 풀림방지너트(440)에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나사부(22)의 정회전이 완료되면, 풀림방지너트(440)는 나사부(22)를 파지하는 한편, 나사부(22)에 밀착되므로, 풀림방지너트(440)에 의해 나사부(22)는 도어(D)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롤러(R)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부(2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나사부(22)는 회전축봉(40)에 역향향으로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브라켓(30)은 조절볼트결합홀(412)로 접근하면서 힌지축(H)을 기준으로 역회전되므로, 하우징(10)으로부터 롤러(R)가 상승하게 되고, 롤러(R)를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내부 상면에 회전브라켓(30)이 지지되면, 회전브라켓(30)의 회전이 정지되고, 회전브라켓(30)의 추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조절볼트(20)의 조절부(21)는 피벗돌부를 기준으로 피벗 운동되고, 회전축봉(40)은 안착돌기(411)를 기준으로 피벗 운동하게 되므로, 회전브라켓(3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절볼트(20)의 나사부(22)는 볼트결합홀(412)과 풀림방지너트(440)에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나사부(22)의 역회전이 완료되면, 풀림방지너트(440)는 나사부(22)를 파지하는 한편, 나사부(22)에 밀착되므로, 풀림방지너트(440)에 의해 나사부(22)는 도어(D)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롤러(R)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에 따르면, 도어(D)에 결합되는 도어용 호차가 도어(D)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높이 조절을 유지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21)의 세부 결합관계를 통해 외부에서도 조절부(21)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홈(210)에 삽입고정되는 지지핀(P)의 결합관계를 통해 높낮이 조절시 고정홈(210)에 가해지는 지지력을 증가 시킬수 있다.
또한, 회전축봉(40)의 세부 결합 관계를통해 회전축봉(40)에 결합되는 풀림방지너트(440)로 인해 조절볼트(20)가 풀리는것을 방지 할 수있다.
D: 도어 H: 힌지축 P: 지지핀
R: 롤러 1: 호차결합홀 10: 하우징
11: 제1케이스 110: 조절볼트결합홀 111: 걸림턱
1111: 핀결합홀 120: 고정홀 130: 축지지부
12: 제2케이스 15: 결합부재 151: 결합돌기
152: 결합부 20: 조절볼트 21: 조절부
22: 나사부 210: 고정홈 211: 고정링
212: 연결부재 213: 조작몸체 30: 회전브라켓
31: 축결합홀 32: 안착부 33: 롤러축결합부
40: 회전축봉 41: 몸체 411: 안착돌기
412: 볼트결합홀 413: 안착홈 440: 풀림방지너트

Claims (3)

  1.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개구된 중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상기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봉;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전에 대응하여 피벗 운동 가능한 조절부와, 상기 회전축봉과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조절부에 돌출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조절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볼트결합홀; 및 상기 조절부의 피벗 중심을 형성하도록 상기 조절볼트결합홀에 구비되는 피벗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피벗돌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몸체; 상기 피벗돌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링; 및 상기 조작몸체와 상기 고정링 사이에 상기 피벗돌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구비되도록 상기 조작몸체와 상기 고정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봉은,
    몸체;
    상기 몸체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돌기;
    상기 안착돌기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볼트결합홀;
    상기 볼트결합홀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고, 상기 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풀림방지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KR1020220075542A 2022-06-21 2022-06-2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KR10259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542A KR102597486B1 (ko) 2022-06-21 2022-06-2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542A KR102597486B1 (ko) 2022-06-21 2022-06-2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486B1 true KR102597486B1 (ko) 2023-11-01

Family

ID=8874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542A KR102597486B1 (ko) 2022-06-21 2022-06-2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4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551Y1 (ko) 1998-10-02 2001-10-29 박노수 창문용 호차
KR102096748B1 (ko) * 2019-09-20 2020-05-27 정희섭 창호용 로울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551Y1 (ko) 1998-10-02 2001-10-29 박노수 창문용 호차
KR102096748B1 (ko) * 2019-09-20 2020-05-27 정희섭 창호용 로울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8858B2 (en) Hinge plate
US6912812B2 (en) Sliding door apparatus
US62962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latching devices
US5822832A (en) Hinge for doors
KR10259748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KR101482725B1 (ko)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EA017972B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угловая опора для створки окна, двери или т.п.
KR100434953B1 (ko)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US6070362A (en) Adjustable hinging fitting for a door or window
KR101916534B1 (ko) 도어 체커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 힌지
KR100452229B1 (ko) 글라스 도어의 고정장치
KR102627043B1 (ko) 도어 유격방지 장치
KR200373610Y1 (ko)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KR200231963Y1 (ko) 충격흡수장치 및 2중 길이조절장치를 구비한 도어스톱
KR102470229B1 (ko) 가구용 경첩
KR20200121994A (ko) 도어 회전 지지장치
JP2001317262A (ja) ヒンジ装置
KR102227359B1 (ko) 힌지 장치
EP1036904A2 (en) Security device
KR200361354Y1 (ko) 플로어힌지
JPH1150724A (ja) 窓用ヒンジ
KR102363523B1 (ko) 토션 조절이 가능한 도어 손끼임 방지장치
KR200401113Y1 (ko) 글라스도어의 고정장치
JP3597915B2 (ja) 扉用ハンドル
KR0129318Y1 (ko) 자동차 도어 글라스의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