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610Y1 -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610Y1
KR200373610Y1 KR20-2004-0023437U KR20040023437U KR200373610Y1 KR 200373610 Y1 KR200373610 Y1 KR 200373610Y1 KR 20040023437 U KR20040023437 U KR 20040023437U KR 200373610 Y1 KR200373610 Y1 KR 200373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shaft
ho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성
Original Assignee
이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성 filed Critical 이동성
Priority to KR20-2004-0023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6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6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2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or tract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의 힌지부에 제공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단이 도어틀측에 고정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나사결합되어 도어 회전시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샤프트와 나사결합되며 상하 승강되는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피스톤에 압축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압축 복원력을 제어하는 유압회로를 통해 도어 개폐시 도어틀측의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도어를 완충력 있게 개폐하게 되는 도어 완충기(100)를 포함하며;
저면 일측에 상기 도어 완충기(100)가 결합되어 힌지부를 이루고 상면으로 상기 샤프트(120)의 상단 다각부(122)가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도어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도어측 힌지브래킷(200); 상기 샤프트(120)의 다각부(122)와 상하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내측에 다각홀(310)이 형성되며, 그 상측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기어부(320)가 돌출 형성되는 텐션조절부재(300); 상기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핀(410)을 통해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기어부(320)와 맞물림 치합되는 기어부(420)가 형성되어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는 고정부재(400); 상기 도어측 브래킷(200)과 대응되는 상태로 체결구를 통해 도어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다각홀(310)과 동일한 다각홀(510)과, 그 중간부에 공회전되며 상향 돌출되는 나사부재(520)와, 타측에 상향 돌출되는 가이드바(530)를 가져서 된 도어틀측 브래킷(500); 도어틀에 내장되는 상태로 상기 도어틀측 브래킷(5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일측에 하향 이동시 상기 도어틀측 브래킷(500)의 다각홀(510)을 통과하여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다각홀(310)에 끼워지게 되는 다각키(610)가 하향 돌출되고, 중간부에 상기 나사부재(520)의 회전시 나사결합되는 나사홀(620)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가이드바(530)를 안내하도록 안내홀(630)이 형성되는 승강브래킷(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과 유압력으로 도어를 완충력있게 개폐하게 되는 도어 완충기가 도어의 내측에 내장된 상태에서 도어틀과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텐션력을 작업자가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외관의 미려함 및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A TENSION CONTROL STRUCTURE OF A DOOR FOR OPEN AND CLOSE DAMPING DEVICE}
본 고안은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과 유압력으로 도어를 완충력있게 개폐하게 되는 도어 완충기가 도어의 내측에 내장된 상태에서 도어틀과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간편하게 텐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의 미려함 및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건물에 적용되는 도어는, 출입을 위한 도어틀을 폐쇄하며 도어의 손잡이 당김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출입 및 폐쇄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도어의 힌지부에는 도어의 개폐시 유압 완충력을 제공하기 위한 도어개폐 완충기가 제공되며 이 도어 개폐 완충기는 서로 접하는 도어와 도어틀의 힌지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 개방시 하우징 내부의 샤프트 회전에 따른 피스톤의 상대운동으로 유압 완충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한 도어 개폐 완충기는 그 구조가 다수 제안된 바 있으나 그 한예로서 특허등록 제10-0403366호 도어 개폐 완충장치를 제시하며 도 1에서 그 요부만을 표시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부호는 편의상 등록된 도어 개폐 완충장치와 달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상하를 관통하는 각형홀을 가진 조절판(10), 상기 각형홀에 삽입되는 각형키와 상기 각형키의 하단에 형성한 원통형 홀더 바디와 상기 각형키와 홀더 바디를 관통하는 나사홀을 가진 상부 홀더(20), 상기 각형홀 및 상부 홀더를 관통하는 조절 볼트(30), 상기 상부 홀더가 통과하는 상부홀더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틀에 고정되는 고정판(40), 상면이 상기 고정판과 밀착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한 각형 바디 및 상기 원판부와 각형 바디를 관통하는 하부홀더홀을 가진 하부 홀더(50), 상기 하부 홀더의 각형 바디가 관통하는 하부홀더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회전판(60), 상면에 상기 하부 홀더의 각형 바디가 삽입되는 각형홈을 형성하고 하부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한 상부링, 내주면 상단에 형성한 링 나사홈과 상기 링 나사홈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하향 형성한 가이드 레일 및 내주면 하단에 형성한 캡 나사홈을 가지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연동하는 하우징(70), 상면에 상기 조절 볼트의 단부와 결합되는 탭핑홈을 가진 각형 로드와 상기 각형 로드의 하단에 형성한 칼라와 상기 칼라의 하단에 형성한 원형 로드와 상기 원형 로드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나사 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샤프트(80), 상기 칼라 하부에 설치되어 샤프트와 하우징 간의 마찰을 감쇠시키는 볼 베어링(90), 상기 볼 베어링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하부 링(92), 상기 하우징의 하부 링 아래에 삽입된 스프링(72),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한 외부 가이드 돌기와 내주면에 형성한 내부 가이드 돌기를 가진 링형 부재이며상기 하우징 회전시 연동하는 슬라이더(74),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더 가이드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나사 로드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가진 피스톤(82),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의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 밸브(84),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하는 실린더(86),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 하단의 캡 나사홈에 결합되는 캡(88)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힌지 하우징은 체결홀에 결합되는 조임볼트를 통해 상기 상부링과 회전판에 대해 하향 이동이 제한되는 하부홀더에 결합된다.
작동시에는 도어에 따른 회전판의 회전으로 하부 홀더와 함께 하우징내의 피스톤이 샤프트와의 상대운동으로 스프링의 압축 복원 및 유압력으로 도어의 개폐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에서 도어 개폐시의 텐션력은 하우징 또는 샤프트의 회전에 따른 스프링 압축력으로 조절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샤프트는 회전후 조절판과의 고정에 의해 텐션력이 조절되게 된다.
즉, 텐션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조절판을 회전시키면 되는데 이때, 조절판을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판이 회전방지상태로 끼워맞춤된 홀더를 회전시키고 이 홀더는 회전방지상태로 끼워맞춤된 샤프트를 회전시켜 텐션력을 조절하게 되고, 이후 조임볼트의 고정으로 샤프트의 회전을 억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샤프트는 조절볼트를 통해 상기 고정판과 결합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도어 완충기에 있어 텐션력 조절은 도어 완충기가 도어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또한 조절을 위한 공구 삽입 공간이 확보되는 경우에만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도어 완충기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외관의 미려함 또는 도난 우려의 목적으로 도어 내측에 설치하는 제품이 다소 출시되고 있지만 이는 텐션력 조절이 힘들어 설치 작업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 개폐 완충 수단은 텐션력 조절을 위해 도어용 힌지가 도어 외측에 돌출상태로 결합되도록 한 후 도어 힌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제공되는 조절수단을 통해 텐션력을 조절해야 하는 것으로 도어용 힌지를 도어 내측에 내장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도어 완충기들은 도어와 도어틀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텐션 조절이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압 완충력으로 도어를 완충력있게 개폐하는 구조의 도어 완충기를 갖는 도어가 도어틀에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 완충기내의 샤프트 텐션력을 설치시 작업자가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도어 완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평면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어 완충기 110: 하우징
120: 샤프트 122: 다각부
200: 도어측 힌지 브래킷 210: 홀
300: 텐션조절부재 310: 다각홀
320: 기어부
400: 고정부재 410: 고정핀
420: 기어부
500: 도어틀측 힌지 브래킷 510: 다각홀
520: 나사부재 530: 가이드바
600: 승강브래킷 610: 다각키
620: 나사홀 630: 안내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의 힌지부에 제공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단이 도어틀측에 고정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나사결합되어 도어 회전시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샤프트와 나사결합되며 상하 승강되는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피스톤에 압축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압축 복원력을 제어하는 유압회로를 통해 도어 개폐시 도어틀측의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도어를 완충력 있게 개폐하게 되는 도어 완충기를 포함하며; 저면 일측에 상기 도어 완충기가 결합되어 힌지부를 이루고 상면으로 상기 샤프트의 상단 다각부가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도어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도어측 힌지브래킷; 상기 샤프트의 다각부와 상하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내측에 다각홀이 형성되며, 그 상측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기어부가 돌출 형성되는 텐션조절부재; 상기 도어측 힌지브래킷의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핀을 통해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기어부와 맞물림 치합되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는 고정부재; 상기 도어측 브래킷과 대응되는 상태로 체결구를 통해 도어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다각홀과 동일한 다각홀과, 그 중간부에 공회전되며 상향 돌출되는 나사부재와, 타측에 상향 돌출되는 가이드바를 가져서 된 도어틀측 브래킷; 도어틀에 내장되는 상태로 상기 도어틀측 브래킷의 상면에 안착되며, 일측에 하향 이동시 상기 도어틀측 브래킷의 다각홀을 통과하여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다각홀에 끼워지게 되는 다각키가 하향 돌출되고, 중간부에 상기 나사부재의 회전시 나사결합되는 나사홀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가이드바를 안내하도록 안내홀이 형성되는 승강브래킷;을 더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완충기에서 도어 완충기의 텐션조절장치를 분리시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여기서 종래 제시된 도어 완충기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 실시된 바와같이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어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 상태 평면도이다.
도 2 또는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본 고안은, 도어를 완충력 있게 개폐하도록 도어측 힌지에 제공되는 공지의 도어 완충기(100)와, 도어측 힌지브래킷(200)과, 텐션조절부재(300)와, 고정부재(400)와, 도어틀측 힌지브래킷(500)과, 승강브래킷(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 완충기(100)는, 종래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는 것이며, 도어의 힌지부에 제공되는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단이 도어틀측에 고정되는 샤프트(120)와 상기 샤프트(120)와 나사결합되어 도어 회전시 상기 하우징(110)내에서 상기 샤프트(120)와 나사결합되며 상하 승강되는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피스톤에 압축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압축 복원력을 제어하는 유압회로를 통해 도어 개폐시 도어틀측의 상기 샤프트를중심으로 회전하며 도어를 완충력 있게 개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120)는 본 고안의 주요 기술적 수단에 해당되는 것으로, 도어틀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측의 하우징(110)내에 결합되는 것이며 이들간의 상대운동시 탄발력이 제공된다. 즉, 도어의 개폐시 하우징내에 제공되는 공지의 스프링, 피스톤, 유압회로 등에 의해서 완충력있게 도어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샤프트(120)는, 상단에 다각키 형상의 다각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다각부(122)는 상기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의 일측에 제공되는 홀(210)을 통해 노출되어지되 상기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의 상면과 동일면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은, 일측 저부에 상기 도어 완충기(100)가 결합되며 타측 표면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도어의 상단부홈의 일측 힌지부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된다. 이에따라 상기 도어 완충기(100)는 도어의 프레임 내측에 내장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면의 힌지부에는 홀(210)이 형성되고 이 홀(210)을 통해 상기 도어 완충기(100)의 샤프트(120)의 상단 다각부(122)가 노출되게 된다.
상기 텐션조절부재(300)는, 중심에 축방향을 따라 상기 샤프트(120)의 다각부(122)와 상하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다각홀(310)이 형성되며, 그 하단부 외주면은 상기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의 홀(21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측부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기어부(320)가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회전시 상기 샤프트(120)가 회전되면서 텐션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핀홀에 고정핀(410)을 통해 결합되며, 일측단부에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기어부(320)와 맞물림 치합되는 기어부(420)가 형성되어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텐션조절부재(300)를 회전시켜 상기 샤프트(120)에 텐션력이 발생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400)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회전이 억제되어 상기 샤프트(120)는 텐션력을 발생하며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00)는 그 외형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외측 둘레를 따라 기어부가 형성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도어틀측 브래킷(500)은, 상기 도어측 브래킷(200)과 대응되는 상태로 체결구를 통해 도어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다각홀(310)과 동일한 다각홀(510)이 형성되고, 또한 그 중간부에 공회전되며 상향 돌출되는 나사부재(520)가 결합된다. 그리고 타측에는 상향 수직상태로 돌출되는 가이드바(530)가 구비된다.
상기 나사부재(520)는 하단부가 상기 도어틀측 힌지브래킷(500)의 안내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편(524)을 통해 고정되고 이를 감싸는 부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그 저면에는 회전을 위한 조절홈(52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530)는 상기 도어틀측 힌지브래킷(500)의 타측에 상기 나사부재(520)와 나란히 설치되며 체결구(532)를 통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승강브래킷(600)은, 상기 도어틀측 브래킷(500)의 상면에 안착되어 도어틀내에서 상하 승강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이며, 일측 저면에 체결구를 통해 다각키(610)가 하향 돌출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다각키(610)는, 하향 이동시 상기 도어틀측 브래킷(500)의 다각홀(510)을 통과하여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다각홀(310)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그 중간부에는 상기 나사부재(520)의 회전시 나사결합되는 나사홀(620)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재(520)의 조임 및 풀림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브래킷(600)을 승하강 시키게 된다. 또한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바(530)를 안내하도록 안내홀(630)이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조립 및 설치시에는, 먼저 도어틀측 힌지브래킷(500)의 상면에 승강브래킷(60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어틀측 힌지브래킷(500)을 도어틀의 저면 홈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시킨다. 이후 도어의 상단부에 도어 완충기(100)를 갖는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을 체결구를 통해 결합시킨 다음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의 홀(210)을 통해 노출되는 샤프트(120)의 다각부(122)에 텐션조절부재(300)의 다각홀(31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를 회전시켜 샤프트(120)에 탄발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그런다음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의 상면에 고정부재(400)를 고정핀(410)을 통해 결합시켜 고정부재(400)의 기어부(420)와 텐션조절부재(300)의 기어부(320)가 치합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회전을 억제시킨다.
이후, 도어를 도어틀에 밀착시키되 도어를 소정각도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다음 도어틀측 힌지브래킷(500)의 저면으로 노출된 나사부재(520)의 조절홈(522)을 통해 나사부재(5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부재(520)와 나사결합된 승강브래킷(600)이 나사결합되면서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때 승강브래킷(600)의 다각키(610)가 함께 하향이동되어 텐션조절부재(300)의 다각홀(310)에 끼워맞춤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다각키(610)가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다각홀(310)에 쉽게 끼워맞춤 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어를 소정폭 유동시키면서 결합되도록 하면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고정부재(400)의 고정핀(410)을 통해 고정부재(400)를 해제시킨후 도어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도어는 완충력있게 텐션력이 조절된 상태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는,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시 텐션조절부재와 고정부재를 통해 먼저 텐션력을 조절한 상태에서 도어틀측의 힌지인 다각키를 하강시켜 힌지 연결되도록 하고 이후 고정부재를 탈거하여 도어에 텐션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도어틀에 도어 완충기를 갖는도어를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되고 더불어 텐션력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어의 힌지부에 제공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단이 도어틀측에 고정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나사결합되어 도어 회전시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샤프트와 나사결합되며 상하 승강되는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피스톤에 압축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압축 복원력을 제어하는 유압회로를 통해 도어 개폐시 도어틀측의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도어를 완충력 있게 개폐하게 되는 도어 완충기(100)를 포함하며;
    저면 일측에 상기 도어 완충기(100)가 결합되어 힌지부를 이루고 상면으로 상기 샤프트(120)의 상단 다각부(122)가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도어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도어측 힌지브래킷(200);
    상기 샤프트(120)의 다각부(122)와 상하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내측에 다각홀(310)이 형성되며, 그 상측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기어부(320)가 돌출 형성되는 텐션조절부재(300);
    상기 도어측 힌지브래킷(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핀(410)을 통해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기어부(320)와 맞물림 치합되는 기어부(420)가 형성되어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는 고정부재(400);
    상기 도어측 브래킷(200)과 대응되는 상태로 체결구를 통해 도어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다각홀(310)과 동일한 다각홀(510)과, 그 중간부에 공회전되며 상향 돌출되는 나사부재(520)와, 타측에 상향 돌출되는 가이드바(530)를 가져서 된 도어틀측 브래킷(500);
    도어틀에 내장되는 상태로 상기 도어틀측 브래킷(5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일측에 하향 이동시 상기 도어틀측 브래킷(500)의 다각홀(510)을 통과하여 상기 텐션조절부재(300)의 다각홀(310)에 끼워지게 되는 다각키(610)가 하향 돌출되고, 중간부에 상기 나사부재(520)의 회전시 나사결합되는 나사홀(620)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가이드바(530)를 안내하도록 안내홀(630)이 형성되는 승강브래킷(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0)가 그 외형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외측 테두리 둘레를 따라 기어부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KR20-2004-0023437U 2004-08-17 2004-08-17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KR200373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37U KR200373610Y1 (ko) 2004-08-17 2004-08-17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37U KR200373610Y1 (ko) 2004-08-17 2004-08-17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610Y1 true KR200373610Y1 (ko) 2005-01-21

Family

ID=4944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437U KR200373610Y1 (ko) 2004-08-17 2004-08-17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6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467B1 (ko) * 2022-01-12 2023-06-13 박건 접이식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467B1 (ko) * 2022-01-12 2023-06-13 박건 접이식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7091C (en) Gate support device
JP5535580B2 (ja) 自動開閉扉蝶番
KR19990081808A (ko) 도어용 힌지
KR20020061687A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200215984Y1 (ko) 오토힌지의 텐션조절장치
TWI237085B (en) Two-way door closer
KR200373610Y1 (ko)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CA2876892A1 (en) Adjustable operator worm gear drive with robust bearing surfaces
KR200338218Y1 (ko) 도어 개폐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EP3679215B1 (en) Gate closer suited to be retrofitted onto a gate with an eyebolt hinge
JP2705371B2 (ja) 門扉の自動閉鎖装置
KR200396924Y1 (ko) 문짝용 경첩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KR200388916Y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200215990Y1 (ko) 비틀림력을 갖는 도어 힌지의 구조
KR100778899B1 (ko)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KR200338219Y1 (ko) 도어 개폐 완충기의 해체 방지구조
KR10259748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JP2604809Y2 (ja) ドア等の自動復帰ヒンジ
KR100511563B1 (ko)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KR200271646Y1 (ko) 경첩형 도어개폐장치
KR200267338Y1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KR200368537Y1 (ko) 연결아암을 이용한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장치
KR20040106025A (ko) 다용도 힌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연결구조
KR200149147Y1 (ko) 문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