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994A - 도어 회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회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994A
KR20200121994A KR1020190044670A KR20190044670A KR20200121994A KR 20200121994 A KR20200121994 A KR 20200121994A KR 1020190044670 A KR1020190044670 A KR 1020190044670A KR 20190044670 A KR20190044670 A KR 20190044670A KR 20200121994 A KR20200121994 A KR 20200121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oor
coupled
support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민
Original Assignee
강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민 filed Critical 강태민
Priority to KR1020190044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1994A/ko
Publication of KR2020012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도어에 설치되며 축 결합부를 가지는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의 축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틀에 결합되는 지지축 및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축의 외측을 지지축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회전부하를 제공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회전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도어 회전 지지장치{AN APPARATUS FOR SUPPORTING ROTATION OF DOOR}
본 발명은 도어 회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회전된 상태에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도어 회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물이나 사무용 건물 또는 상업적 건물에는 특정 공간에 창문도어(이하 '도어'라 함)가 설치되어 있는데, 고층 건물일수록 안전상의 이유로 인하여 여닫이 도어보다는 미닫이 도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닫이 도어의 경우에는 창틀(도어틀)에 대해서 도어가 소정 각도 선회되면서 개폐되도록 된 구성을 가진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20)의 경우에는, 창틀(10)에 대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선회시켜서 열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어(20)가 90도 각도로 완전히 열릴 경우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흔들리게 되어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링크부재(30)가 창틀(10)과 도어(20)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링크부재(30)를 설치하게 되면,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바람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도어(20)를 여는 각도에 제한이 따른다. 또한, 링크부재(30)가 오랜 사용 시 손상되거나, 부식될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여 도어(20)의 개폐동작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20)를 원하는 각도만큼만 선회시켜서 열지 못하고, 링크부재(30)가 허용하는 최대한의 선회각도까지 완전히 선호시켜서 개방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으며,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도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도어(20)가 흔들리거나, 닫혀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04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개방된 상태에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 회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회전 지지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며, 축 결합부를 가지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축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틀에 결합되는 지지축; 및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축의 외측을 상기 지지축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회전부하를 제공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도어를 도어틀에 대해 최대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고, 개방된 상태에서 자세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은, 외측면이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치 본체 내부의 수용부에 위치하는 축 몸체; 상기 축 몸체의 일단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축부; 상기 축 몸체의 타단으로 돌출 연장되어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축부; 및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축부에서 비원형으로 연장되는 도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일정한 각도씩 회전시켜서 고정할 수 있게도어 도어의 개폐동작을 단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결합부는, 상기 제1축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이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부벽에 형성되는 제1축 결합부; 및 상기 제2축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베어링이 결합되며, 상기 제1축 결합부에 마주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외로 관통 형성되는 제2축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지지축을 장치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자연스러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축 몸체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수용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섭부재; 상기 수용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부재를 상기 축 몸체 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수용부의 개방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지지축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결정된 회전각도에서 흔들리거나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도록 자세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차단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및 상기 차단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위치조정 가능하도록 스크류 결합되며, 위치 이동시 상기 와셔를 연동시켜서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조절하여 도어의 회전부하를 결정하여 외력(바람 등)에 대응하여 도어를 안정하게 자세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 회전 지지장치에 따르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선회각도를 최대 90도 각도로 확대할 수 있어서, 도어의 개방감을 최대로 늘릴 수 있다.
또한, 도어의 개방을 위한 선회시, 선회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조절하여 자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어를 개방한 특정 각도에서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리거나 자동으로 선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완전히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에서도 도어가 흔들리거나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바람 등에 의해 도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창문 도어를 나타내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회전 지지장치가 적용된 창문 도어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회전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축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회전 지지장치가 적용된 창문 도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지지축을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지지브라켓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회전 지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회전 지지장치(100)는 도어틀(10)과 도어(20)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20)의 개방각도를 조절하고, 개방된 상태에서 자세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회전 지지장치(100)는 장치 본체(110)와, 장치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 조절용 지지축(120)과, 가압유닛(130)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 본체(110)는 도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어(10)의 외측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유닛(130)에 장착되는 수용부(111)를 가진다. 상기 수용부(111)는 장치 본체(110)의 양단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고정캡(115)이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가압유닛(130)이 결합된다.
또한, 장치 본체(110)에는 상기 지지축(1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결합부(123)가 형성된다. 축 결합부(123)는 수용부(111)의 내부벽에 형성되는 제1축 결합부(123a)와, 수용부(111)와 장치 본체(110)의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축 결합부(123b)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축(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장치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축(120)은 축 결합부(1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축(120)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축 몸체(121)와, 축 몸체(121)의 일단으로 돌출 연장되는 제1축부(123)와, 축 몸체(121)의 타단으로 돌출 연장되는 제2축부(125) 및 상기 제2축부(125)에서 비원형으로 연장되는 도어틀 결합부(127)를 구비한다.
축 몸체(121)는 그 외측이 비원형 즉,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6각 내지 8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축 몸체(121)는 수용부(111) 내부를 상하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압유닛(130)에 접촉되어 가압된다. 여기서, 축 몸체(121)의 외측의 다각형 각각의 소위 다각 평면 사이의 경계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가압유닛(130)이 축 몸체(12)의 다각 평면들 사이를 넘어갈 때, 부드럽게 넘어가도록 하여 지지축(120)의 각도 조절시 소음 없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부(123)는 축 몸체(121)의 일단에서 동축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결합부(123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부(123a)에는 제1축부(12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124)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축부(125)는 장치 본체(110)의 제2결합부(123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도 제2결합부(123b)에 제2축부(12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베어링(126)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틀 결합부(127)는 제2축부(125)에서 비원형으로 연장되며, 장치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도어틀 결합부(127)는 도어틀(127)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30)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어틀 결합부(127)의 단부에는 체결홀(127a)이 형성되어, 지지브라켓(30)과 볼트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틀 결합부(127)가 지지브라켓(3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20)를 선회시키면, 지지축(120)이 장치 본체(110)에 대해 회전운동하면서, 도어(20)의 회전을 지지하고, 회전 각도 즉, 개방 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개방된 상태에서 자세를 고정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30)은 도 2,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틀(10)의 외측 기준면(10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도어틀(10)과 도어(20)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지지브라켓(30)은 도어틀(10)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31)와, 도어(2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33)와, 제1 및 제2결합부(31,33)를 연결하는 단차 연결부(32)를 가진다. 제2결합부(33)에는 도어틀 결합부(127)가 결합되도록 비 비원형의 결합홀(3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지지브라켓(30)은 도어(20)와 도어틀(10) 사이의 틈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며, 구체적으로는 도어틀(10)의 일면의 기준면(11)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제2결합부(33)가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0)은 도어(2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설치되며, 상부의 지지브라켓(30)에는 상기 도어틀 결합부(127)가 결합되면, 하부의 지지브라켓(30')에는 회전 지지축이 결합된다.
상기 가압유닛(130)은 상기 축 몸체(121)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간섭부재(131)와, 상기 수용부(11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부재(131)를 축 몸체(121)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33)와, 상기 수용부(111)의 타단을 차단하도록 결합되어 탄성부재(133)를 지지하는 차단부재(135)를 구비한다.
상기 간섭부재(131)는 수용부(11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축 몸체(121)의 외측면 즉, 다각평면에 강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지지축(120)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억제한다. 탄성부재(133)는 수용부(111)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간섭부재(131)를 축 몸체(121) 쪽으로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간섭부재(133)가 축 몸체(121)에 밀착되도록 하여 지지축(120)의 자유로운 회전을 억제하는 억제력 즉, 부하를 제공한다.
상기 차단부재(135)는 수용부(111)의 타단부에 스크류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차단부재(135)에는 탄성력 조절볼트(137)가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탄성부재(133)와 차단부재(135) 사이에는 와셔(139)가 설치도어 탄성부재(133)의 타단을 지지한다. 따라서 탄성력 조절볼트(137)를 회전시켜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와셔(139)의 위치가 변하면서 탄성부재(133)의 압축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지지축(120)의 회전시 작용하는 부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도어 회전 지지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상부측 프레임에 설치되고, 지지축(120)의 도어틀 결합부(127)는 지지브라켓(30)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20)의 하부에는 단순 힌지(200)가 지지브라켓(30')과 결합되어 도어(2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를 닫힌 상태에서, 최대 90도 각도까지 선회시켜서 개방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축(120)의 축 몸체(121)가 8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도어(20)를 닫힌 상태에서 90도 각도로 열린 상태까지 8단계로 구분하여 각도 조절하여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개방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도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유닛(130)의 가압력이 축 몸체(121)의 다각평면(121a)에 작용하게 되어, 바람이나 충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선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20)에 힘을 주어 더 열거나 닫는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몸체(121)가 회전하면서 다각명면(121a)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간섭부재(131)를 밀게 되어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정 각도 회전된 축 몸체(121)는 다각평면(121a)이 간섭부재(131)와 마주하게 되면, 모서리부분에 접촉되어 밀려났던 간섭부재(131)가 탄성부재(133)에 의해 다시 이동되어 축 몸체(121)의 다각평면(121a)을 강하게 가압하게 됨으로써 지지축(120)은 자세 고정되어 외력(바람, 충격 등)에 의해 도어(20)가 흔들리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도어틀 20..도어
100..도어 회전 지지장치 110..장치 본체
120..지지축 130..가압유닛
131..간섭부재 133..탄성부재
135..차단부재 137..조절볼트

Claims (5)

  1. 도어에 설치되며, 축 결합부를 가지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축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틀에 결합되는 지지축; 및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축의 외측을 상기 지지축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회전부하를 제공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회전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외측면이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치 본체 내부의 수용부에 위치하는 축 몸체;
    상기 축 몸체의 일단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축부;
    상기 축 몸체의 타단으로 돌출 연장되어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축부; 및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축부에서 비원형으로 연장되는 도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회전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결합부는,
    상기 제1축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이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부벽에 형성되는 제1축 결합부; 및
    상기 제2축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베어링이 결합되며, 상기 제1축 결합부에 마주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외로 관통 형성되는 제2축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회전 지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축 몸체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수용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섭부재;
    상기 수용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부재를 상기 축 몸체 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수용부의 개방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회전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차단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및
    상기 차단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위치조정 가능하도록 스크류 결합되며, 위치 이동시 상기 와셔를 연동시켜서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회전 지지장치.
KR1020190044670A 2019-04-17 2019-04-17 도어 회전 지지장치 KR20200121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670A KR20200121994A (ko) 2019-04-17 2019-04-17 도어 회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670A KR20200121994A (ko) 2019-04-17 2019-04-17 도어 회전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994A true KR20200121994A (ko) 2020-10-27

Family

ID=7313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670A KR20200121994A (ko) 2019-04-17 2019-04-17 도어 회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19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480Y1 (ko) 1998-01-20 2000-08-01 박명규 도어용 힌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480Y1 (ko) 1998-01-20 2000-08-01 박명규 도어용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132B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200215984Y1 (ko) 오토힌지의 텐션조절장치
JP5638713B2 (ja) サッシ
JP4215128B2 (ja) ガラス製扉用の蝶番機構
KR20200121994A (ko) 도어 회전 지지장치
KR101874254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482725B1 (ko)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KR10160987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JP6670504B2 (ja) 頑丈な軸受面を有する調節自在な操作ウォーム歯車駆動装置
KR20180034037A (ko) 도어의 위치 조절 및 각도 유지가 가능한 플랩형 도어 힌지
KR100452229B1 (ko) 글라스 도어의 고정장치
KR20190002676U (ko) 스윙 도어
KR101874253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464816B1 (ko) 도어 스토퍼장치
KR10259748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KR100972789B1 (ko) 도어고정장치가 내장된 여닫이 도어
KR100424583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JP3735801B2 (ja) ヒンジ装置
KR101451819B1 (ko) 안전도어
KR19990010016U (ko) 도어용 경첩의 개방각도 조절장치
KR20180117398A (ko) 도어 스토퍼를 구비하는 경첩
KR20150085872A (ko) 힌지장치
EP1533439B1 (en) Servo-lifting device
CN211818664U (zh) 窗紧固件
KR200355903Y1 (ko) 여닫이창용 키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