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872B1 - 도어 개폐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872B1
KR101609872B1 KR1020150012679A KR20150012679A KR101609872B1 KR 101609872 B1 KR101609872 B1 KR 101609872B1 KR 1020150012679 A KR1020150012679 A KR 1020150012679A KR 20150012679 A KR20150012679 A KR 20150012679A KR 101609872 B1 KR101609872 B1 KR 101609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ball
spherical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자
Priority to KR102015001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을 여닫을 때 사용되는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형문에 설치하여 문을 개폐할 때 회전축이 변위되어 경첩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개폐가 가능한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첩은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부방향으로 제1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와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일측방향으로 제2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회전부;와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힌지부의 타측으로 몸체가 돌출되도록 관통하여 구비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볼;및 상기 볼트의 돌출된 나사부에 끼움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경첩의 회전축이 형성되는 연결부에 움직임이 가능한 볼을 구비하여 구면형상의 문이 개폐되면서 회전축의 비틀림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여 안정적인 구형문의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구면형상의 문에 직접 설치가 가능하여 문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문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문의 외관을 곡면으로 하여 디자인을 강조하는 경우에는 미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경첩{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본 발명은 문을 여닫을 때 사용되는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형문에 설치하여 구형문을 개폐할 때 회전축이 변위되어 경첩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개폐가 가능한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또는 아파트등의 출입문과 자동차에는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문이 장착되며, 상기 일방향 문은 문과 문틀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첩에 의해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경첩은 통상, 두 부재의 사이에 장착되어 하나의 부재를 자유롭게 개폐시켜 줄 수 있는 자재로, 두 개의 지지요소가 힌지로 연결되고, 각 지지요소는 각각 문과 문틀에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순한 구조의 경첩을 사용할 경우에는 경첩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경첩이 마모되거나 문의 하중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 문이나 문틀에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유압식 경첩 등 문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경첩들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경첩은 문을 개방시킴에 따라 이 문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편이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스프링에 비틀림이 발생되어 반발력을 갖게 되며, 그 후 상기한 반발력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개방시켰던 문을 놓게 되면 문이 폐쇄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경첩은 일직선상에 적어도 두 개가 설치되어 작동하므로 평면의 문에만 설치할 수 있으며 구면형상의 문에는 경첩의 중심회전축이 일치하지 않아 비틀림 현상이 일어나므로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경첩이 문 또는 문틀에서 뜯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직접 설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구면형상의 문에 경첩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설치하였는데 이런 경우에 내부공간을 차지하여 문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특히 문의 외관을 곡면으로 하여 디자인을 강조하는 경우에는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4-00201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면형상의 문에도 직접 설치가 가능한 경첩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첩의 회전축이 형성되는 연결부에 움직임이 가능한 볼을 구비하여 구면형상의 문이 개폐되면서 회전축의 비틀림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여 구형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경첩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면형상의 문에 직접 설치가 가능하여 문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는 경첩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설치하였는데 이런 경우에 내부공간을 차지하여 문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특히 문의 외관을 곡면으로 하여 디자인을 강조하는 경우에는 미관을 해치지 않는 경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부방향으로 제1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와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일측방향으로 제2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회전부;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힌지부의 일측으로 몸체가 돌출되도록 관통하여 구비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볼;및 상기 볼트의 돌출된 몸체에 끼움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11)의 타측에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1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힌지부(21)의 일측에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2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홈(13)과 제2홈(23)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홈(13)과 제2홈(23)의 사이에 상기 볼(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11)의 일측은 상기 볼트(50)의 상기 몸체(51)와 1.5 내지 2.5mm의 유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50)는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 0 내지 30°의 범위에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면형상의 문에도 직접 설치가 가능한 경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첩의 회전축이 형성되는 연결부에 움직임이 가능한 볼을 구비하여 구면형상의 문이 개폐되면서 회전축의 비틀림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여 안정적인 구형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면형상의 문에 직접 설치가 가능하여 문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문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문의 외관을 곡면으로 하여 디자인을 강조하는 경우에는 미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다른 측면에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회전축이 기울어진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다른 측면에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회전축이 기울어진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첩(1)은 복수개의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상부방향으로 제1힌지부(11)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10);와 복수개의 결합홈(22)이 형성되고, 일측방향으로 제2힌지부(21)가 돌출 형성된 회전부(20);와 관통홀(33)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11)와 제2힌지부(21)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힌지부(11)의 일측으로 몸체(51)가 돌출되도록 관통하여 구비되는 볼트(50)에 의해 결합되는 볼(30);및 상기 볼트(50)의 돌출된 상기 몸체(51)에 끼움설치된 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는 복수개의 결합홈(12)이 형성되어 나사 또는 못 등의 수단으로 인하여 문틀에 고정되며, 상부방향으로 상기 제1힌지부(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20)는 복수개의 결합홈(22)이 형성되어 나사 또는 못 등의 수단으로 인하여 문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측방향으로 상기 제2힌지부(21)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제2힌지부(21)는 수평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각도를 이루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힌지부(21)의 일측은 상기 제1힌지부(11)의 타측과 마주보며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11)의 타측에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1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힌지부(21)의 일측에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2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홈(13)과 제2홈(23)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그 사이에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볼(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힌지부(11)와 제2힌지부(21)는 이격되어 위치하며, 그 사이에 상기 볼(30)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이격되는 폭은 5 내지 7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30)의 반지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볼(30)은 중심부에 관통홀(33)이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부(11)와 제2힌지부(21)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힌지부(11)의 일측으로 상기 몸체(51)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볼트(50)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볼(30)은 상기 제1,2홈(13,23)에 안착되며 구비된다. 이때 유격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하여 구형문에 경첩(1)이 장착되어 문을 개폐할 시에 발생하는 회전축의 비틀림에 따라 상기 볼(30)이 움직이며 경첩의 회전축을 잃지 않게 되므로 경첩이 손상되지 않고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볼트(50)는 상기 제1,2힌지부(11,21)와 상기 관통홀(33)을 관통하여 상기 제1힌지부(11)의 일측으로 상기 몸체(51)가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돌출된 상기 몸체(51)에 상기 스프링(40)을 설치하고 상기 너트(6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2힌지부(11,21)와 상기 볼(30)은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볼(3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볼트(50)에 의해서 결합된 상기 제1,2힌지부(11,21)와 상기 볼(30)의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에 의해 경첩(1)의 결합구조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구형문의 개방 시에 상기 회전부(20)가 비틀리면서 상기 스프링(40)이 압축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40)에 장력이 형성되며 형성된 장력에 의해 비틀린 경첩(1)의 상태가 지지되어 개방된 구형문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4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힌지부(1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힌지부(21)의 타측에 구비되거나 상기 제1힌지부(11)의 일측과 상기 제2힌지부(21)의 타측 모두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경첩(1)이 구형문에 설치된 경우에 구형문이 개폐되는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경첩(1)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형문에 설치되는데, 구형문의 개폐를 위해서는 각각의 경첩(1)이 서로 다른 회전축에 의해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구형문을 개방하면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볼트(50)가 회전축이 변위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이에 의해 상기 제1,2힌지부(11,21) 사이에 구비된 볼(30)이 동시에 움직이며 상기 제1힌지부(11)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40)이 압축된다. 이때, 상기 볼(30)의 움직임과 상기 스프링(40)의 지지작용에 의해 경첩(1)은 회전축을 잃지 않고 상기 회전부(20)가 비틀리며 구형문이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 경첩(1)의 회전축의 변위를 위한 유격이 경첩(1)의 힌지연결부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볼트(50)가 기울어지며 상기 스프링(40)이 압축되게 되면 상기 스프링(40)에 장력이 발생하는데, 이 장력은 비틀어진 회전축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경첩(1)의 회전축이 비틀려도 복수개의 경첩(1)이 각각의 회전축을 유지하기 때문에 구형문이 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개폐될 때 비틀림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에 상기 스프링(40)은 장력에 의해서 상기 볼트(50)에 의해 고정된 결합부분이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힌지부(11)를 지지하며, 개방된 문이 개방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볼트(50)가 관통하는 상기 제1힌지부(11)의 일측은 상기 볼트(50)의 상기 몸체(51)와 1.5 내지 2.5mm의 유격을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2mm의 유격이 형성되며, 유격으로 인하여 상기 볼트(50)의 변위가 가능하고 따라서 경첩(1)의 회전축의 변위가 가능하게 되어 구형문의 개폐가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볼트(50)는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 0 내지 30°의 범위에서 변위가 가능하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스프링(40)이 압축되며 상기 회전부(20)가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비틀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개방된 문의 위치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문의 무게에 의해 갑자기 닫히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문이 개방되고 상기 볼트(50)가 상기 스프링(40)을 압축하며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개방된 문의 위치가 고정되고, 닫을 시에는 다시 각각의 경첩의 회전축이 변위되면서 문을 닫을 수 있으며, 압축된 상기 스프링(40)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경첩(1)의 유격을 잡아주며 문의 안정적인 닫힘상태를 유지해준다.
한편, 상기한 스프링(40)의 복원력이 커서 그 복원력의 크기를 작게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너트(60)의 위치조절을 통하여 상기 스프링(40)의 길이조절을 하여 복원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첩(1)은 구형문에도 설치할 수 있지만 평면의 문에도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첩(1)을 구형문에 복수개 설치하게 되면, 구형문이 개폐될 때 회전축을 잃지 않고 상기 경첩(1)이 비틀리며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경첩(1)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며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회전축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상기 볼(30)과 상기 볼(30)에 의하여 발생하는 유격을 잡아주는 상기 스프링(40)의 장력의 작용으로 인해 구형문이 개폐되기 때문에 종래의 경첩에서 일어나는 비틀림 현상으로 인해 경첩(1)이 분해되거나 편마모가 발생하는 등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첩(1)은 구형문에도 직접 설치가 가능하므로 구형문에 설치할 경우에 내부에 매립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내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설치가 간편하여 설치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경첩
10 : 고정부 11 : 제1힌지부
12 : 결합홈 13 : 제1홈
20 : 회전부 21 : 제2힌지부
22 : 결합홈 23 : 제2홈
30 : 볼 33 : 관통홀
40 : 스프링 50 : 볼트
51 : 몸체 60 : 너트

Claims (4)

  1.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부방향으로 제1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10);와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일측방향으로 제2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회전부(20);와
    관통홀(33)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11)와 제2힌지부(21)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힌지부(11)의 일측으로 몸체(51)가 돌출되도록 관통하여 구비되는 볼트(50)에 의해 결합되는 볼(30);및
    상기 볼트(50)의 돌출된 상기 몸체(51)에 끼움설치된 스프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11)의 타측에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1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힌지부(21)의 일측에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2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홈(13)과 제2홈(23)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홈(13)과 제2홈(23)의 사이에 상기 볼(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11)의 일측은 상기 볼트(50)의 상기 몸체(51)와 1.5 내지 2.5mm의 유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50)는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 0 내지 30°의 범위에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0150012679A 2015-01-27 2015-01-27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609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679A KR101609872B1 (ko) 2015-01-27 2015-01-27 도어 개폐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679A KR101609872B1 (ko) 2015-01-27 2015-01-27 도어 개폐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872B1 true KR101609872B1 (ko) 2016-04-07

Family

ID=5578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679A KR101609872B1 (ko) 2015-01-27 2015-01-27 도어 개폐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8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2163A (zh) * 2018-12-17 2019-04-16 中国航发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球形挤压收口面紧密性的装置
CN112854933A (zh) * 2021-02-20 2021-05-28 安徽尼诺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安装门
CN114439330A (zh) * 2022-03-14 2022-05-0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铰链装置及汽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2163A (zh) * 2018-12-17 2019-04-16 中国航发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球形挤压收口面紧密性的装置
CN112854933A (zh) * 2021-02-20 2021-05-28 安徽尼诺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安装门
CN114439330A (zh) * 2022-03-14 2022-05-0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铰链装置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557B1 (ko) 2축 힌지 및 상기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
CN108699872B (zh) 用于家具的门扇的具有弹性打开部件的铰链
CN107532444B (zh) 一种用于家具的减速铰链
KR10160987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US20130318746A1 (en) Biaxial Hinge
US20150315832A1 (en) Soft-closing hinge for use in furniture
US20160032636A1 (en) American damper concealed hinge
KR100938132B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JP2011094445A (ja) 自動開閉扉蝶番
EP3380691A1 (en) Concealed external hinge with 180 degree rotation
EP2781676A1 (en) Concealed hinge with an automatic return device toward a closed position
KR101482725B1 (ko)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KR20170121907A (ko) 폴딩도어의 양방향 회전식 절첩장치
RU2443839C2 (ru) Поворотная опора для прижи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закры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US10400492B2 (en) Hidden hinge
TW202033872A (zh) 家具鉸鏈
US20150176319A1 (en) Cam-type oil-free automatic door closer
JP6570560B2 (ja) 丁番
JP2007056515A (ja) 二軸ヒンジ装置
KR20180034037A (ko) 도어의 위치 조절 및 각도 유지가 가능한 플랩형 도어 힌지
KR20180130137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경첩
KR101802639B1 (ko) 중장비용 스토퍼 힌지
US20070284063A1 (en) Table utility bay door assembly
KR101916534B1 (ko) 도어 체커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 힌지
KR102142731B1 (ko)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