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359B1 -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359B1
KR102227359B1 KR1020200046133A KR20200046133A KR102227359B1 KR 102227359 B1 KR102227359 B1 KR 102227359B1 KR 1020200046133 A KR1020200046133 A KR 1020200046133A KR 20200046133 A KR20200046133 A KR 20200046133A KR 102227359 B1 KR102227359 B1 KR 10222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mber
bolt
nut
tighten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부
Original Assignee
박영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부 filed Critical 박영부
Priority to KR102020004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27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을 서로 접힐 수 있도록 연결하는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대상물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2 대상물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를 상기 제2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회전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연결부는, 상기 제2 결합부에 일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직접 결합되는 연결 부재;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제1 면과 일면이 마주보는 연장 부재;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를 관통하는 조임 볼트 및 상기 조임 볼트와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일면을 향해 상기 연결 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방향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간격 조절 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힌지 장치{HINGE DEVICE}
본 발명은 문짝 및 문틀 등의 대상물 간을 접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에서 대상물 간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힌지는 문짝과 문틀과 같은 두개의 대상물을 서로 쌍을 이루도록 서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수단이다.
일반적으로 힌지는 이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건물 내외부의 출입문 뿐만 아니라, 차량 및 기계·전자 제품 등의 다양한 종류의 도어에 채용되는 도어 회전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는 일단 대상물에 설치되면 설치 위치에 오차가 발생되어 문짝 및 문틀에 조립 편차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편차는 조립 이후의 대상물의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조립 편차가 일단 발생되면 조립 이후에 조립 편차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립 편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초에 힌지가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어야 하나 사실상 이는 거의 불가능하며, 따라서 현재는 육안 확인에 의해서만 맞추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져 조립 편차 발생 가능성이 높고, 조립 편차가 발생되면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해체 후 다시 조립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에서 대상물 간에 상대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을 서로 접힐 수 있도록 연결하는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대상물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2 대상물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를 상기 제2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회전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연결부는, 상기 제2 결합부에 일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직접 결합되는 연결 부재;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제1 면과 일면이 마주보는 연장 부재;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를 관통하는 조임 볼트 및 상기 조임 볼트와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일면을 향해 상기 연결 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방향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간격 조절 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면을 바라볼 때, 상기 간격 조절 볼트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영역에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 볼트는 무두 볼트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에는 상기 조임 볼트가 관통하고 상기 조임 너트가 삽입되는 너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너트는 상기 간격 조절 볼트와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너트 삽입홈 내에 위치되는 너트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머리부는 상기 연결 부재가 위치된 방향을 바라보고, 상기 조임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라운드지게 제공되는 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 삽입홈은 내주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둘레면과 맞물리도록 라운드 지게 제공되는 맞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축방향을 향하는 양 끝단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 대응되는 영역의 외측 끝단에 상기 축 방향을 따라 만입되고, 내주면이 나사면으로 형성되는 거리 조절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연결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양 끝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2 결합부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응되는 영역을 관통하여 끝단이 상기 거리 조절 볼트홀 내에 위치되는 힌지축; 및 상기 거리 조절 볼트홀에 맞물리게 삽입되고 상기 나사면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거리 조절 볼트홀의 깊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거리 조절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는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에서 대상물 간에 상대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힌지 장치의 일 측면을 보여주는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힌지 장치의 반대 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부재, 연장 부재, 간격 조절 볼트 및 결합 부재가 조합되는 모습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제2 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결합부 및 연장 부재를 일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임 너트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연장 부재의 일 예를 조임 너트가 삽입되는 면이 보이도록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모든 간격 조절 볼트가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여진 조임 볼트 및 조임 너트와 연결 부재 및 연장 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간격 조절 볼트의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른 상태에서 조여진 조임 볼트 및 조임 너트와 연결 부재 및 연장 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힌지 장치의 제1 결합부가 하강된 상태에서 회전 연결부 및 제2 결합부의 연결 부재에 대응되는 영역의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힌지 장치의 제1 결합부가 상승된 상태에서 회전 연결부 및 제2 결합부의 연결 부재에 대응되는 영역의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힌지 장치(1000)의 일 측면을 보여주는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힌지 장치(1000)의 반대 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1000)는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을 서로 접힐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은 각각 문짝 및 문틀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은 각각 문틀 및 문짝일 수 있다.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은 그 외 서로 힌지 장치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을 축으로 회전되어 서로 접힐 것이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힌지 장치(1000)는 제1 결합부(100), 제2 결합부(200) 및 회전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100)는, 제1 대상물에 결합된다. 제1 결합부(1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결합부(100)는 기역자형, 크랭크형 및 T자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100)에는 체결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0)는 제결홀(110)을 관통하여 제1 대상물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제1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될 모든 종류의 볼트는 6각 렌치 볼트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십자 머리 볼트 또는 일자 머리 볼트 등 다양한 종류의 볼트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00)는, 제2 대상물에 결합된다. 제2 결합부(200)는 연결 부재(12)의 축방향을 향하는 양 끝단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00)는 대체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제2 결합부(200)의 연결 부재(12)에 대응되는 영역(22), 즉 연결 부재(12)와 연결되는 영역(22)은 길이 방향이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이 서로에 대해 회전되는 축 방향으로 제공되는 원기둥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이 각각 문짝 및 문틀인 경우 축 방향은 연직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결합부(200)에는 체결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00)는 체결홀(210)을 관통하여 제1 대상물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제2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00)의 연결 부재(12)에 대응되는 영역(22)을 제외한 영역(21)은 기역자형, 크랭크형 및 T자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연결부(300)는 제1 결합부(100)를 제2 결합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연결부(300)는 연결 부재(12), 연장 부재(101), 결합 부재(17, 18),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 힌지축(30), 탄성 부재(15), 보강 부재(14), 길이 조절 볼트(23) 및 캡볼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부재(12), 연장 부재(101), 간격 조절 볼트(16a, 16b) 및 결합 부재(17, 18)가 조합되는 모습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부재(12)의 제2 면(12b)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결합부(100) 및 연장 부재(101)를 일면(101a)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부재(12)는 제2 결합부(200)에 일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직접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12)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부재(12)에는 간격 조절 볼트홀(160) 및 너트 몸통부 삽입홈(170)이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조절 볼트홀(160)은 연결 부재(12)의 제1 면(12a) 및 제2 면(12b)을 관통하도록 제공된다. 간격 조절 볼트홀(160)에는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가 관통된다. 제2 면(12b)을 바라볼 때, 간격 조절 볼트홀(160)은 복수개가 서로 다른 영역에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너트 몸통부 삽입홈(170)은 연결 부재(12)의 제2 면(12b)에 형성된다. 너트 몸통부 삽입홈(170)은 간격 조절 볼트홀(160)의 제2 면(12b)을 향한 방향의 끝단과 연통된다. 너트 몸통부 삽입홈(170)에는 연장 부재(101)를 관통한 조임 너트(18)의 너트 몸통부(182)가 삽입된다.
연장 부재(101)는 제1 결합부(100)로부터 연장된다. 연장 부재(101)는 연결 부재(12)의 축 방향에 수직인 제1 면(12a)과 일면(101a)이 마주보도록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장 부재(10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장 부재(101)에는 조임 볼트(17)가 관통하고 조임 너트(18)가 삽입되는 너트 삽입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는 연결 부재(12)의 제2 면(12b)으로부터 연장 부재(101)의 일면을 향해 간격 조절 볼트홀(160)을 통해 연결 부재(12)를 관통하여 나사 방향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연결 부재(12)의 제1 면(12a)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된다. 제2 면(12b)은 연결 부재(12)의 제1 면(12a)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면이다.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는 나사 머리가 제공되지 않는 무두 볼트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 머리의 간섭이 없어 제1 면(12a)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의 조절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면을 바라볼 때,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영역에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가 제1 면(12a)으로부터 돌출되면 각각의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의 돌출된 끝단은 서로 연장 부재(101)의 일면(101a)의 서로 다른 영역(150a, 150b, 150c, 150d)을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조임 볼트(17) 및 조임 너트(18)가 느슨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를 회전시켜 끝단이 제1 면(12a)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연결 부재(12) 및 연장 부재(101) 간의 경사 방향 및 경사도를 조절한다. 이 후, 조임 볼트(17) 및 조임 너트(18)를 조여 조절된 경사를 유지한 상태로 연결 부재(12) 및 연장 부재(101)를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따라서, 제1 결합부(100) 및 제2 결합부(200) 간의 결합 각도를 각각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임 너트(18)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연장 부재(101)의 일 예를 조임 너트(18)가 삽입되는 면이 보이도록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결합 부재(17, 18)는 연결 부재(12) 및 연장 부재(101)를 결합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17, 18)는 서로 결합되어 연결 부재(12) 및 연장 부재(101)를 결합시키는 조임 볼트(17) 및 조임 너트(18)를 포함한다.
조임 볼트(17)는 연결 부재(12) 및 연장 부재(101)를 관통한다. 조임 너트(18)는 연결 부재(12) 및 연장 부재(101)를 관통한 조임 볼트(17)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임 너트(18)는 너트 머리부(181) 및 너트 몸통부(182)를 포함한다. 조임 너트(18)에는 내측면이 나사면으로 제공되는 볼트홀(183)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볼트홀(183)에는 조임 볼트(17)가 삽입된다.
너트 머리부(181)는 조임 볼트(17)와 조여진 상태에서 너트 삽입홈(111) 내에 위치된다. 너트 머리부(181)는 둘레면(181a)을 포함한다. 둘레면(181a)은 연결 부재(12)가 위치된 방향을 바라보는 면이다. 둘레면(181a)은 볼트홀(183)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연결 부재(12)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라운드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너트 삽입홈(111)은 내주면의 일부 영역에 너트 머리부(181)의 둘레면(181a)과 맞물리도록 라운드지게 제공되는 맞둘레면(111a)을 포함할 수 있다. 너트 삽입홈(111)의 맞둘레면(111a)보다 연결 부재(12)를 향한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영역은 너트 머리부(18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너트 머리부(181)보다 넓게 제공될 수 있다.
너트 몸통부(182)는 너트 머리부(181)로부터 연결 부재(12)가 위치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너트 몸통부(182)는 너트 머리부(181)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너트 몸통부(182)는 조임 너트(18)가 조임 볼트(17)와 결합되어 조여지면 너트 삽입홈(111)을 관통하여 연결 부재(12)에 형성된 너트 몸통부 삽입홈(170)으로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너트 몸통부 삽입홈(170) 및 너트 몸통부(182)는 각각 서로 맞물리는 직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임 너트(18) 및 조임 볼트(17)를 조일 때, 너트 몸통부 삽입홈(170)이 너트 몸통부(182)를 잡아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조일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모든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가 제1 면(12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여진 조임 볼트(17) 및 조임 너트(18)와 연결 부재(12) 및 연장 부재(101)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의 제1 면(12a)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른 상태에서 조여진 조임 볼트(17) 및 조임 너트(18)와 연결 부재(12) 및 연장 부재(101)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둘레면(181a) 및 맞둘레면(111a)이 각각 라운드지게 제공됨으로써, 각각의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의 제1 면(12a)으로부터 돌출된 길이 조절에 의해 연결 부재(12) 및 연장 부재(101) 간의 경사가 변경되더라도 조임 볼트(17) 및 조임 너트(18)를 안정적으로 조일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힌지 장치(1000)의 제1 결합부(100)가 하강된 상태에서 회전 연결부(300) 및 제2 결합부(200)의 연결 부재(12)에 대응되는 영역(22)의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힌지 장치(1000)의 제1 결합부(100)가 상승된 상태에서 회전 연결부(300) 및 제2 결합부(200)의 연결 부재(12)에 대응되는 영역(22)의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결합부(200)는 연결 부재(12)에 대응되는 영역(22)의 외측 끝단에 축 방향을 따라 만입되는 거리 조절 볼트홀(220)이 형성된다. 거리 조절 볼트홀(220)은 내주면이 나사면으로 형성된다. 거리 조절 볼트홀(220)에는 길이 조절 볼트(23)가 삽입된다. 거리 조절 볼트홀(220)은 캡볼트(2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캡볼트(24)가 제공됨으로써, 거리 조절 볼트홀(22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힌지축(30)은 연결 부재(12)의 양 끝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보강 부재(14) 및 제2 결합부(200)의 연결 부재(12)에 대응되는 영역을 관통하여 끝단이 거리 조절 볼트홀(220) 내에 위치된다. 힌지축(30)은 제2 면(12b)을 관통한 고정 볼트(13)에 의해 연결 부재(1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볼트(13)는 제2 면(12b)을 관통하여 힌지축(30)에 형성된 고정 홈(31)에 맞물리도록 조여짐으로써 힌지축(30)을 연결 부재(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볼트(13)는 무두 볼트로 제공될 수 있다.
보강 부재(14)는 연결 부재(12) 및 제2 결합부(200)의 연결 부재(12)에 대응되는 영역(22)의 사이에 제공된다. 보강 부재(14)는 축 방향을 향하는 양 끝단이 각각 제2 결합부(200)의 연결 부재(12)에 대응되는 영역(22)에 형성되는 보강 부재 삽입홈(221) 및 연결 부재(12)에 형성되는 보강 부재 안착홈(121)에 삽입된다. 보강 부재 삽입홈(221)은 제2 결합부(200)의 연결 부재(12)에 대응되는 영역(22)의 연결 부재(12)를 바라보는 면에 만입되게 형성된다. 보강 부재 안착홈(121)은 연결 부재(12)의 축 방향을 향하는 양 끝단에 만입되게 형성된다. 보강 부재 삽입홈(221) 및 보강 부재 안착홈(121)은 각각 보강 부재(14)와 맞물리는 크기를 가진다.
탄성 부재(15)는 보강 부재(14)에 보강 부재 안착홈(121)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15)는 보강 부재(14) 및 제2 결합부(200)의 연결 부재(12)에 대응되는 영역(22)의 사이에 힌지축(30)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15)은 보강 부재(14)에 형성되는 스프링 수용홈(141)과 보강 부재 삽입홈(221)이 이루는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보강 부재(14)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고, 탄성 부재(15)에 의해 보강 부재 안착홈(12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힌지축(3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길이 조절 볼트(23)는 거리 조절 볼트홀(220)에 맞물리게 삽입된다. 길이 조절 볼트(23)는 거리 조절 볼트홀(220)의 나사면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거리 조절 볼트홀(220)의 깊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길이 조절 볼트(23)는 거리 조절 볼트홀(220)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무두 볼트로 제공될 수 있다. 축 방향이 연직 방향으로 제공되는 경우, 힌지축(30) 및 길이 조절 볼트(23)가 연결 부재(12)를 기준으로 위쪽에 제공되는 경우, 힌지축(30)이 거리 조절 볼트홀(220)에 돌출되는 길이 및 길이 조절 볼트(23)의 위치에 따라 힌지축(30)의 끝단 및 길이 조절 볼트(23)는 길이 조절 볼트(23)는 거리 조절 볼트홀(220) 내에서 접촉될 수 있다. 힌지축(30) 및 길이 조절 볼트(23)가 연결 부재(12)를 기준으로 아래 쪽에 제공되는 경우 힌지축(30)은 길이 조절 볼트(23)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힌지축(30)이 길이 조절 볼트(23)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힌지축(30)의 끝단이 길이 조절 볼트(23)에 형성된 힌지축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 길이 조절 볼트(23)를 이용하여 제2 결합부(200)에 대한 제1 결합부(100)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때, 축 방향은 연직 방향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결합부(100)를 도 1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2에 도시된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200)에 대해 제1 결합부(100)가 상대적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먼저, 연결 부재(12)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위치되는 캡볼트(24)를 제거하여 거리 조절 볼트홀(220)을 개방한다. 이후, 길이 조절 볼트(23)를 회전시켜 거리 조절 볼트홀(220)을 따라 상승시킨다. 이 때, 아래쪽 길이 조절 볼트(23)에 의해 지지되는 아래쪽 힌지축(30) 또한 상승하면서, 연결 부재(12) 및 연결 부재(12)와 연결된 제1 결합부(100)가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연결 부재(12)와 함께, 위쪽 힌지축(30)이 상승함으로써, 제1 결합부(100)의 최대 상승 높이는 위쪽 길이 조절 볼트(23)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위쪽 캡볼트(24)를 제거하고, 위쪽 길이 조절 볼트(23)를 회전시켜 길이 조절 볼트(23)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아래쪽 길이 조절 볼트(23)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제1 결합부(100)의 최대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거리 조절 볼트홀(220)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캡볼트(24)를 이용하여 거리 조절 볼트홀(220)을 닫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절 볼트(23)를 이용하여 제1 결합부(100)의 제2 결합부(200)에 대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이 문짝과 문틀로 제공되는 경우, 힌지 장치(1000)가 문짝과 문틀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문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1000)는 간격 조절 볼트(16a, 16b, 16c, 16d)를 이용하여 제2 결합부(200)에 대한 제1 결합부(100)의 결합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고, 길이 조절 볼트(23)를 이용하여 제2 결합부(200)에 대한 제1 결합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대상물 간에 상대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1000)는 연결 부재(12)를 기준으로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대칭적으로 제공됨으로써, 문짝 및 문틀에 적용되는 경우 등에서 상하 방향을 돌려 문짝의 좌측 및 우측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힌지 장치 100: 제1 결합부
200: 제2 결합부 300: 회전 연결부
12: 연결 부재 101: 연장 부재
16a, 16b, 16c, 16d: 간격 조절 볼트
17: 조임 볼트 18: 조임 너트
181a: 둘레면 30: 힌지축
15: 탄성 부재 14: 보강 부재
23: 길이 조절 볼트 24: 캡볼트

Claims (5)

  1.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을 서로 접힐 수 있도록 연결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물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2 대상물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를 상기 제2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회전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연결부는,
    상기 제2 결합부에 일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직접 결합되는 연결 부재;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제1 면과 일면이 마주보는 연장 부재;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를 관통하는 조임 볼트 및 상기 조임 볼트와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일면을 향해 상기 연결 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방향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간격 조절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부재에는 상기 조임 볼트가 관통하고 상기 조임 너트가 삽입되는 너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너트는 상기 간격 조절 볼트와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너트 삽입홈 내에 위치되는 너트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머리부는 상기 연결 부재가 위치된 방향을 바라보고, 상기 조임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라운드지게 제공되는 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 삽입홈은 내주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둘레면과 맞물리도록 라운드 지게 제공되는 맞둘레면을 포함하는 힌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을 바라볼 때, 상기 간격 조절 볼트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영역에 이격되게 제공되는 힌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볼트는 무두 볼트로 제공되는 힌지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축방향을 향하는 양 끝단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 대응되는 영역의 외측 끝단에 상기 축 방향을 따라 만입되고, 내주면이 나사면으로 형성되는 거리 조절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연결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양 끝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2 결합부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응되는 영역을 관통하여 끝단이 상기 거리 조절 볼트홀 내에 위치되는 힌지축; 및
    상기 거리 조절 볼트홀에 맞물리게 삽입되고 상기 나사면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거리 조절 볼트홀의 깊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거리 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힌지 장치.
KR1020200046133A 2020-04-16 2020-04-16 힌지 장치 KR10222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133A KR102227359B1 (ko) 2020-04-16 2020-04-16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133A KR102227359B1 (ko) 2020-04-16 2020-04-16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359B1 true KR102227359B1 (ko) 2021-03-11

Family

ID=7514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133A KR102227359B1 (ko) 2020-04-16 2020-04-16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3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08660U1 (de) * 1998-05-15 1999-09-16 Niemann Hans Dieter Tür- oder Fensterdrehband
US20030006628A1 (en) * 2001-07-03 2003-01-09 Volvo Trucks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mounting
KR20160042722A (ko) * 2014-10-11 2016-04-20 박영부 도어용 힌지 장치
JP6045580B2 (ja) * 2011-07-11 2016-12-14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ノードを構成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08660U1 (de) * 1998-05-15 1999-09-16 Niemann Hans Dieter Tür- oder Fensterdrehband
US20030006628A1 (en) * 2001-07-03 2003-01-09 Volvo Trucks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mounting
JP6045580B2 (ja) * 2011-07-11 2016-12-14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ノードを構成する方法
KR20160042722A (ko) * 2014-10-11 2016-04-20 박영부 도어용 힌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9351C (en) Low-profile threshold barrier
AU769885B2 (en) Hinge for an opening door or window frame
US20030177605A1 (en) Hinge device with a returning member for automatically closing an open door
EP1698752B1 (en) An adjustable hinge for heavy doors and windows
US20140331565A1 (en) Door assembly
KR101968628B1 (ko) 피봇 힌지 장치
KR102227359B1 (ko) 힌지 장치
KR102242184B1 (ko) 스위치 캐비넷용 힌지 조립체
KR20190133816A (ko) 도어용 힌지조립체
EP0715046A1 (en) Knob-type closure device
AU2013337586B2 (en) Adjustable hinge
KR101640993B1 (ko) 도어용 힌지 장치
US6070362A (en) Adjustable hinging fitting for a door or window
US10138664B2 (en) Hinge with adjustable axis location and locking mechanism
US10801253B2 (en) End load arm
EP2202368B1 (en) A handle body with a connection device, in particular a recessed handle
EP3942135B1 (en) Hinge for doors or windows
GB2429488A (en) Sealing arrangement for positioning between a closure member and a frame
KR10259748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도어용 호차
CN101258298B (zh) 用于门、窗或类似件的铰链
GB2410990A (en) An adjustable bump stop
KR20180108491A (ko)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EP3005919B1 (en) A fixation device for a shower door system
KR102090737B1 (ko)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GB2262309A (en)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