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491A -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491A
KR20180108491A KR1020180033240A KR20180033240A KR20180108491A KR 20180108491 A KR20180108491 A KR 20180108491A KR 1020180033240 A KR1020180033240 A KR 1020180033240A KR 20180033240 A KR20180033240 A KR 20180033240A KR 20180108491 A KR20180108491 A KR 20180108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unting body
mounting
contact surfac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010B1 (ko
Inventor
사샤 유스틀
네지브 예자
페터 에트뮬러
그레고르 하아브
Original Assignee
하바 슬라이딩 솔루션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바 슬라이딩 솔루션스 아게 filed Critical 하바 슬라이딩 솔루션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108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6Bottom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91Top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05Y2201/692Rollers having vertical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4Rotary motion around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2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loor or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Gat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미닫이 문과 같은 슬라이딩 요소(8)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1)는, 바닥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 본체(121)를 갖는 장착부(12), 장착부(12)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슬라이딩 요소(8)의 하부측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안내 부재(11), 및 잠금 요소(16)를 포함하고, 잠금 요소로 장착부(12)와 안내 부재(11) 사이의 연결이 고정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부재(11)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안내 본체(14)와 안내 발부(142)를 포함하고, 안내 본체(14)는 안내 축선(y)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안내 칼럼(141)을 포함하며, 안내 발부(142)는 장착 본체(121)의 상부측 상에 안착되고 또한 조인트 요소(15)에 의해 장착 본체(121)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안내 발부(142)는 안내 축선(y)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피봇 축선(x)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ADJUSTABLE GUIDE DEVICE FOR A SLIDING ELEMENT}
본 발명은 방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딩 요소, 특히 미닫이 문을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을 분리 또는 분할하거나 또는 방 개구 또는 창문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유리 또는 목재로 만들어진 미닫이 문과 같은 슬라이딩 요소가 종종 사용되고 있으며, 미닫이 문은 일반적으로 2개의 캐리지로 레일을 따라 안내된다. US9290977B2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캐리지를 갖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방 개구를 단단히 폐쇄하기 위해 슬라이딩 요소를 방 개구 앞에서 또한 최종적으로 방 개구 쪽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캐리지가 슬라이딩 요소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따라서 슬라이딩 요소는 상부측에서 방 개구 쪽으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슬라이딩 요소와 방 개구의 가장자리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시일 또는 시일링 가스켓이 접촉되어 원하는 정도로 압축될 수 있다. 슬라이딩 요소의 상부측 뿐만 아니라 하부측에서도 이 작동을 정확히 수행하기 위해, 슬라이딩 요소의 하부측에 안내 장치가 제공되고, 슬라이딩 요소의 하부측은 그 안내 장치로 안내된다.
예컨대 US5678280A에도 개시되어 있는 이러한 종류의 안내 장치는 일반적으로 장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를 포함한다. 장착부는 장착 스크류에 의해 바닥에 체결되고, 안내 부재가 옆에서 슬라이딩 요소의 하부측에 인접하거나 그에 제공되어 있는 홈에 결합하도록 위치되어 있고, 그래서 슬라이딩 요소는 정해진 평면 내에서 안내된다. 설치 후에 종종 슬라이딩 요소의 이동 방향에 대한 안내 장치의 변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종종 장착부에는 길이 방향 슬롯이 제공되어 있고, 이 슬롯을 통해 장착 스크류가 안내된다. 조절이 필요한 경우, 장착 스크류를 예컨대 돌려서 풀고, 그런 후에, 길이 방향 슬롯의 길이로 정해지는 조절 범위 내에서 안내 장치가 변위된다. 이러한 조절 절차는, 슬라이딩 요소가 안내 장치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된 후에만 수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조절 절차는 안내 장치는 어는 정도로 변위시될 필요가 있는지에 의해 추정된다. 그러므로, 조절 절차는 상당한 수고로 여러 번 반복될 필요가 있다.
US9290977B2에는 안내 부재를 갖는 대안적인 안내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안내 부재는 안내 요소로 설명한 바와 같은 슬라이딩 요소의 하부측과 접촉하고 또한 장착부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안내 부재는 편심적으로 설계되어 있고 피봇식으로 지지되며 장착부 내부에 둘러싸이고 또한 고정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스크류를 푼 후에, 안내 요소가 원하는 대로 위치될 때까지 안내 부재가 회전될 수 있다. 편심적으로 설계되어 있고 그래서 비교적 부피가 큰 안내 부재의 일체화로 인해, 비교적 부피가 큰 장착부가 얻어진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안내 장치의 조절 범위는 비교적 작고 장착부의 폭의 일부분에 달한다. 또한, 조절은 일반적으로 복수회의 시도를 필요로 한다. 또한, 슬라이딩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충격을 받아 안내 부재가 자동으로 풀리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한다.
WO2012031313에는 폴딩(folding) 패널 어셈블리를 위한 안내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안내 어셈블리는 어셈블리를 안내 채널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본체 부분 및 폴딩 패널에의 부착을 위해 힌지를 통과하는 볼트를 지니고 있는 제2 본체 부분을 포함하고, 제2 본체 부분은 제1 본체 부분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배향되도록 제1 본체 부분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이리하여,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설정될 수 있는 단일의 안내 어셈블리로 2개의 다른 안내 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 복잡한 설계에도 불구하고, 조인트 기구 및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이 안내 어셈블리는 제2 본체 부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지 않고, 제2 본체 부분은 서로 반대되는 2개의 위치 사이에서만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요소, 특히 미닫이 문을 위한 개선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요소가 그의 하부측에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횡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게 해주는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가 창안되어야 한다.
조절 절차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또한 적은 수고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조절 절차는 신속하게 최적의 결과를 주어야 하고 또한 반복적인 시도가 회피될 수 있다.
안내 장치가 슬라이딩 요소, 즉 미닫이 문과 접촉하고 또한 혹시 슬라이딩 요소의 하부측에 있는 안내 홈 또는 안내 레일에 결합하는 경우에도, 안내 장치는 바람직하게 모든 방향에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조절 범위는, 정확히 위치되지 않은 안내 장치의 새로운 설치가 통상적으로 필요 없도록 충분히 넓어야 한다.
설치 후에 안내 장치가 저절로 풀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또한, 적은 공간이 필요하고 선택적으로 또한 움직이지 않는 부품, 즉 안내 장치의 장착부가 슬라이딩 요소의 하부측에 제공되어 있는 홈 또는 레일에 수용될 수 있도록 안내 장치는 슬림해야 한다. 안내 장치는 눈에 보이지 않아야 하고 여전히 쉽게 조작될 수 있어야 한다.
위의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적 사항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다른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미닫이 문과 같은 슬라이딩 요소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는, 바닥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 본체를 갖는 장착부, 장착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슬라이딩 요소의 하부측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안내 부재, 및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잠금 요소로 장착부와 안내 부재 사이의 연결이 고정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안내 본체와 안내 발부를 포함하고, 안내 본체는 안내 축선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안내 칼럼을 포함하며, 안내 발부는 장착 본체의 상부측 상에 안착되고 또한 조인트 요소에 의해 장착 본체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안내 발부는 안내 축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피봇 축선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안내 발부의 하부측에는 바람직하게 제1 구조화된 접촉 표면이 제공되어 있고, 이 제1 구조화된 접촉 표면은 장착 본체의 상부측에 제공되어 있는 제2 구조화된 접촉 표면에 인접한다. 두 접촉 표면은 바람직하게 서로 상보적인 3차원 구조를 포함하고, 따라서 안내 발부의 하부측은 형상 잠금 방식으로 장착 본체의 상부측에 맞물리고, 또한 더 큰 힘의 충격, 예컨대 바람의 충격이 슬라이딩 요소에 가해지더라도 안내 부재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1 접촉 표면과 제2 접촉 표면은, 장착부와 안내 부재가 연결되면 형상 잠금 방식으로 서로에 맞물리게 되는 구조화된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L-형인 안내 본체는 피봇 축선 주위로, 즉 안내 발부의 전방측 주위로 회전할 수 있어, 안내 요소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안내 칼럼이 슬라이딩 요소를 원하는 슬라이딩 평면 내로 변위시키기 위해 횡방향으로 밖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장착 본체와 안내 본체는 서로 상하로 배치되고 슬림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장착 본체의 폭은 유리하게는 대략 안내 칼럼의 직경 및/또는 안내 발부의 직경에 대응한다. 따라서, 안내 장치, 특히 장착 본체는 그러한 작은 치수로 만들어질 수 있어, 장착 본체는 슬라이딩 요소의 하부측에 제공되어 있는 안내 홈 안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볼트형 조인트 요소를 풀면, 안내 부재가 장착 본체와의 견고한 연결에서 해제되며, 필요에 따라, 안내 발부의 길이에 따라 정해지는 비교적 넓은 조절 범위에 걸쳐 회전될 수 있고, 안내 발부의 길이는 장착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을 따르는 장착 본체의 치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설치되는 장착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은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요소의 주행 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며, 따라서 더 긴 안내 발부가 지지될 수 있다. 장착 본체의 폭에 대한 길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10 이다. 장착 본체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안내 발부의 폭 보다 크지 않으며, 따라서, 안내 칼럼이 밖으로 회전되지 않을 때 안내 장치의 전체 폭은 대략 안내 발부의 폭에 대응한다.
설치 후에, 안내 장치는 일반적으로 안내 축선과 피봇 축선이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피봇 축선과 안내 축선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50 mm, 더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25 mm 의 범위에 있다. 안내 발부의 길이는 이에 따라 선택된다.
접촉 표면의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조절 절차 중에 안내 부재가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한 형상 잠금 방식으로 장착 본체에 다시 연결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1 접촉 표면과 제2 접촉 표면은 피봇 축선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화된 요소를 포함하는데, 장착부와 안내 부재가 연결되면 그들 구조화된 요소는 형상 잠금 방식으로 서로에 맞물리게 된다. 구조화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상보적으로 또는 반대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파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 파형은 피봇 축선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며, 그래서 파 정상부와 파 중공부의 가장자리는 피봇 축선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안내 발부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90°로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밖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한 장착 본체는 비교적 슬림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접촉 표면은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구조화된 요소, 예컨대 파 정상부와 파 중공부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안내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5°내지 15°범위 내의 단계 또는 증분으로 장착 본체 주위로 회전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장착 본체로부터 안내 본체를 풀고 안내 본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돌리고 마지막으로 안내 본체를 고정시킴으로써, 안내 장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볼트형 조인트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장착 본체에 제공되어 있는 제1 피봇 구멍(제1 접촉 표면에 인접하거나 그로부터 둘러싸여 있음) 및 안내 발부에 제공되어 있는 제2 피봇 구멍(제2 접촉 표면에 인접하거나 그로부터 둘러싸여 있음) 안에 유지되고, 또한 피봇 축선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된다.
조인트 볼트의 축은 바람직하게는 나사 부재를 포함하고, 이 나사 부재는 장착 본체에 제공되어 있는 오목부 안으로 연장된다. 오목부에는 너트 형태의 잠금 요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잠금 요소는 나사 부재에서 회전될 수 있다. 고정 요소를 체결하면, 조인트 볼트의 볼트 헤드가 안내 발부에 가압될 수 있고, 그래서 제1 및 제2 구조화된 접촉 요소가 서로에 가압된다. 고정 요소와 제1 및 제2 접촉 표면을 서로로부터 푼 후에, 안내 부재를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거나 조절할 수 있다. 안내 부재를 풀거나 체결하기 위해, 대략 장착 본체의 중심부 또는 하부측의 높이에 있는 오목부에 자유롭게 있는 잠금 요소, 예컨대, 너트를 공구, 예컨대 단부 개방형 렌치(wrench)로 잡아 돌릴 수 있다. 공구는 잠금 요소를 잡기 위해 슬라이딩 요소의 하측 가장자리 아래에서 잠금 요소 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래서, 슬라이딩 요소의 하부측에는, 단지 수 밀리미터의 높이를 갖는 작은 틈만 제공되면 되는데, 이러한 틈은 공구를 잠금 요소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잠금 요소가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피봇 축선은 장착 본체의 단부에 위치되고, 장착 본체에 있는 수용 개구(장착 스크류를 수용하는 역할을 함)가 장착 본체의 중간 부분 및/또는 다른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피봇 구멍은 자유롭게 노출되어 있는 외팔부에 제공되며, 이 외팔부는 장착 본체의 일 단부에서 장착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외팔부 아래에는 상기 오목부가 제공되어 있고, 이 오목부는 잠금 요소, 예컨대 너트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측에서 제1 구조화된 접촉 표면을 갖는 외팔부는 바람직하게는 장착 본체의 일체적인 부분이다. 그러나, 장착부는 모듈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컨대 장착 스크류 중의 하나로 외팔부에 연결될 수 있다.
외팔부 아래에서 장착 본체는 바람직하게 안정화 링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안정화 링에는 링 개구가 제공되어 있고, 이 링 개구는 제1 및 제2 피봇 구멍과 동축으로 정렬되어 있다. 안정화 링은 조인트 요소, 즉 조인트 볼트의 단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조인트 볼트의 단부는 안정화 부재를 형성하고, 이 안정화 부재는 안정화 링 안에서 축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유지되며, 외팔부와 안정화 링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잠금 요소가 오목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 요소가 나사 부재로부터 풀리면, 그 잠금 요소는 안정화 부재 및 안정화 링에 의해 유지되고 다시 나사 부재 상으로 쉽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안내 본체와 조인트 요소는 일체적으로 또는 기계적 연결 수단, 예컨대 압입 끼워맞춤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조인트 요소, 즉 조인트 볼트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이 연결 부재는 압입 끼워맞춤으로 제1 피봇 구멍에 유지된다.
안내 본체와 조인트 요소는 또한 서로에 대응하는 형상 요소를 포함하고, 이 형상 요소에 안내 본체와 조인트 요소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내 본체에 작용하는 힘은 장착 본체에 직접 전달될 수 있고, 장착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장착 스크류로 바닥에 연결된다.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장착 본체는, 바람직하게 안내 칼럼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베어링 쉘을 포함하고, 이 베어링 쉘은 안내 발부에 인접하고 또한 작용하는 힘을 장착 본체에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하중이 조인트 연결부로부터 유리하게 완화된다.
안내 칼럼은 안내 요소의 실시 형태에 제공될 수 있고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고/있으며 롤러 또는 바퀴와 같은 주행 요소 또는 날개 요소 또는 플라스틱 코팅과 같은 활주 요소를 지지할 수 있다. 그래서, 안내 칼럼은 임의의 단면, 예컨대 날개 형태를 갖는 단순한 칼럼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내 요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안내 요소는 일측 또는 양측에서 슬라이딩 요소의 하부측에 접하거나 또는 그 하부측에 제공되어 있는 안내 홈 또는 안내 레일에서 안내된다.
안내 칼럼에는 바람직하게 축방향 보어가 제공되어 있고, 이 보어 안에는 축이 안착되고, 이 축은 안내 롤러 또는 안내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다.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안내 칼럼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칼럼 요소가 제공되며, 이 칼럼 요소는 선택 가능한 거리로 서로 나사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고 또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문틀(88) 앞에서 슬라이딩 시스템(7)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고 하부측에서 안내 홈(81)을 갖는 슬라이딩 요소, 즉 미닫이 문(8)을 나타내며, 안내 홈은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바닥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안내 장치(1)가 그 안내 홈에 결합한다.
도 2는 도 1의 안내 장치(1) 중의 하나를 나타내며, 안내 장치는 하부측에서 종단면으로 나타나 있는 미닫이 문(8)의 안내 홈(81) 안에 결합되어 있고, 안내 홈에는 안내 레일(82)이 제공되어 있고, 이 실시 형태에서 안내 홈은 미닫이 문(8)의 전방측(83)에서 폐쇄되어 있다.
도 3은 안내 부재(11)를 갖는 도 2의 안내 장치(1)를 나타내며, 안내 부재는 종단면으로 나타나 있는 안내 레일(82)에 안내 요소, 즉 안내 바퀴(13)로 결합하고, 안내 장치는 또한 장착부(12)를 가지며, 이 장착부는 바닥에 장착되고 조인트 요소(15)에 의해 안내 부재(11)와 연결된다.
도 4a는 도 2의 안내 장치(1)를 분해도로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의 안내 장치(1)를 나타내며, 안내 부재(11)와 장착부(12)의 요소들은 다른 각도에서 나타나 있다.
도 5는 서로 대향하는 구조화된 접촉 표면(123, 143)을 갖는 장착부(12) 및 안내 부재(11)의 안내 본체(14)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2의 안내 장치를 도 7a에 나타나 있는 A - A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본 것을 나타낸다.
도 7a는 안내 부재(11)가 밖으로 회전되지 않은 도 2의 안내 장치를 나타낸다.
도 7b는 안내 부재(11)가 우측으로 회전되어 있는 도 2의 안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은 예컨대 US9290977B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시스템(7)에 의해 문틀(88) 앞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는 슬라이딩 요소, 즉 미닫이 문(8)을 나타낸다. 슬라이딩 시스템(7)은 예컨대 2개의 캐리지를 포함하는데, 이 캐리지는 슬라이딩 요소(8)에 연결되고 하나의 또는 복수의 레일에 의해 경로를 따라 안내된다. 그리하여 변위는 방 개구에 평행하게 수행되거나 또는 방 개구에 평행하게 폐쇄 단계까지 수행될 수 있고, 이 폐쇄 단계에서 슬라이딩 요소는 방 개구 쪽으로 안내된다. 방 개구를 단단히 폐쇄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요소는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정확하게 안내되어야 하고 또한 주어진 거리로 방 개구, 즉 문틀 또는 거기에서 제공되어 있는 케이싱(88)까지 안내되어야 한다. 하부측에서 슬라이딩 요소(8)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해, 2개의 본 발명의 장치(1)가 바닥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 안내 장치는 슬라이딩 요소(8)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안내 홈(81) 안에 결합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안내 홈(81)은 전방 측에서 개방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도 2의 실시 형태에서, 안내 홈(81)은 슬라이딩 요소(8)의 전방측(83)에서 폐쇄되어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양 대안예에서, 조절을 위해 안내 장치(1)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도 3 참조).
도 2는 도 1의 안내 장치(1) 중의 하나를 나타내는데, 이 안내 장치는 하부측에서, 종단면으로 나타나 있는 미닫이 문(8)의 안내 홈(81) 안에 결합하고, 그 문에는 안내 레일(82)이 제공되어 있다. 안내 레일(82)은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U-프로파일을 가지며, 중간 부재(821) 및 옆에서 이 중간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측면 부재(822)를 가지고 있고, 측면 부재의 내측면은 안내 요소(13)를 위한 주행 표면을 형성한다. 안내 레일(82)(예컨대, 슬라이딩 요소에 나사 결합됨) 아래에는, 다소 큰 공간이 안내 홈(81) 내부에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는데, 이 공간에 안내 장치(1)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용된다. 슬라이딩 요소(81)의 하부측과 바닥 사이에는 틈이 자유롭게 유지되며, 이 틈을 통해 공구가 안내될 수 있다(도 3 참조). 안내 장치(1)의 유리한 구성으로 인해, 이 틈은 공구의 전달만 가능하게 해주는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안내 장치(1)는 바닥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12) 및 안내 부재(11)를 포함하며, 이 안내 부재는 조인트 요소(15)에 의해 장착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고정 요소(16)에 의해 금궈질 수 있다. 안내 부재(11)에는, 안내 레일(82) 내부에서 안내되고 안내 레일의 측벽(822)을 따라 구를 수 있는 안내 요소, 즉 안내 바퀴(13)가 제공되어 있다.
도 3은 안내 부재(11)를 갖는 도 2의 안내 장치(1)를 나타내며, 안내 부재는, 안내 본체(14)에 의해 지지되는 안내 바퀴(13)로 안내 레일(82)(종단면으로 나타나 있음) 안에 결합한다. 장착부(12)(2개의 장착 스크류(9)(도 7a 참조)에 의해 바닥에 장착됨)는 장착 본체(121)를 포함하고, 이 장착 본체에는 이의 하부측에서 오목부(129)가 제공되어 있다. 오목부(129)에는 잠금 요소, 즉 너트(16)가 제공되고, 이 너트로 나사 볼트(15)가 체결되고 또한 안내 본체(14)가 장착 본체(121)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장착 본체(121)에 연결되는 안정화 링(126)이 오목부(129) 안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지만 이 안정화 링은 작은 높이만 갖는다. 그래서, 너트(16)는 사실상 바닥의 바로 위쪽에 유지되며 공구, 예컨대, 나타나 있는 단부 개방형 렌치(wrench)로 잡혀 돌려질 수 있다. 단부 개방형 렌치는 너트(16)를 풀거나 체결하기 위해 문 아래에서 옆으로 또는 전방측으로부터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장치(1)는 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편리하게 조작, 즉 조절될 수 있다. 안내 바퀴(13)는 안내 레일(82) 내부에서 안내되고, 안내 본체(14)는 안내 홈(81) 안에 완전히 수용되고 슬림한 장착 본체(121)도 대부분 안내 홈 안에 수용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는 장착부(12)의 장착 본체(121)와 안내 부재(11)를 갖는 도 2의 안내 장치(1)를 분해도로 나타내며, 안내 부재는 조인트 요소, 즉 조인트 볼트(15)에 단단히 연결되는 안내 본체(14) 및 안내 요소, 즉 축(131)에 의해 유지되는 안내 바퀴(13)를 포함한다. 또한 잠금 요소(16)가 나타나 있는데, 이 잠금 요소로 조인트 볼트(15)가 체결될 수 있다. 도 4a에는, 고정 요소(16)를 제외하고는, 장치 부품들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래서, 한편으로, 안내 본체(141)와 조인트 볼트(15), 및 다른 한편으로는 축(131)과 안내 바퀴(13)가 서로 연결된다.
도 4b에는, 관련된 특징적 사항이 더 잘 보이도록 장치 부품들이 서로의 쪽으로 향해 된다.
안내 본체(14)는 안내 칼럼(141) 및 일 부분에서 안내 칼럼(141)에 연결되어 있는 안내 발부(142)를 포함한다. 안내 발부(142)는 장착 본체(121)의 상부측 상에 배치되고 그래서 장착 본체(121)에 일체화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기다란 대칭적인 장착 본체(121)에는 슬림한 설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착 본체(121)의 폭은 대략 안내 칼럼(141)의 직경에 대응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요소(8)의 하부측에 제공되어 있는 안내 홈(81)과 비교하여, 안내 장치(1)는 매우 좁게 설계되어 있고 또한 여전히 넓은 범위에 걸쳐 조절될 수 있다.
안내 발부(142)에는 피봇 구멍, 즉 피봇 보어(140)(도 4b 참조)가 제공되어 있고, 이를 통해 조인트 볼트(15)의 축(152, 153, 154, 155)이 삽입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인 볼트(15)의 축은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는 복수의 축 부재(152, 153, 154, 155)를 포함하고, 이들 축 부재는 서로에 대해 단차져 있고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축 부재(152)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골 부분을 갖는 연결 부재인데, 그 골 부분은 압력을 받으면 안내 발부(142)의 피봇 보어(140) 내부에서 변형되어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연결은 안내 장치(1)의 작동 중에는 해제될 수 없다. 도 4a는 안내 본체(141)와 조인트 볼트를 단일체로서 나타낸다. 이 연결을 안정화시키고 또한 하중을 제거하기 위해, 안내 본체(141)와 조인 볼트(15) 사이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이 추가로 제공된다. 안내 칼럼(141)에는, 길이 방향 축선(y)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결합 홈(1411)이 제공되어 있고, 이 결합 홈은 피봇 보어(140), 즉 볼트 헤드(151) 쪽을 향한다. 볼트 헤드(151)에는 결합 홈(1411)의 형태에 대응하는 절취부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 헤드(151)는 형상 잠금 방식으로 결합 홈(1411)에 유지되고 회전될 수 없으며, 그래서, 힘이 작용하면, 조인트 볼트(15)의 축의 연결 부재(152)와 안내 발부(142) 사이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된다.
조인트 볼트(15)의 축의 통과 부재(153)(감소된 직경을 갖는 연결 부재(152)에 인접함)는 장착 본체(121)에 제공되어 있는 피봇 보어(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나사 부재(154)(감소된 직경을 갖는 통과 부재(153)에 인접함)는 너트(16)와 상호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안정화 부재(155)(감소된 직경을 갖는 나사 부재(154)에 인접함)는 안정화 링(126) 안으로 삽입되고, 이리하여, 너트(16)가 나사 부재(154)로부터 풀릴 때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너트(16)는 장착 본체(121)의 외팔부(124)(관련된 피봇 보어(120)가 제공되어 있음)와 안정화 링(126) 사이에 유지된다. 외팔부(124)와 안정화 링(126)은 바람직하게는 장착 본체(121)의 일체적인 부재이거나, 형상 잠금 방식으로 장착 본체(121)에 연결되고 예컨대 장착 스크류(9) 중의 하나로 고정되는 모듈의 부재이다. 장착 스크류(9)를 삽입하기 위해, 장착 본체(121)에는 장착 보어(127, 128)가 제공되어 있다. 제1 장착 보어(127)는 대략 장착 본체(121)의 중심부에 제공되어 있다. 외팔부(124)가 제공되어 있는 장착 본체(121)의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장착 본체(121)의 단부에는 제2 장착 보어(128)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본체(121)는, 바닥에서 장착 스크류(9)가 장착되는 받침부 및 안정적인 외팔부(124)를 갖는 일종의 스프링 보드로서 형성되며, 외팔부가 스프링 보드를 형성한다. 또한, 베어링 쉘(125)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베어링 쉘은 전방측에서 외팔부(124)에 인접하고, 안내 발부(142)와 장착 본체(121) 사이의 형상 잠금 연결이 적어도 일 측에서 상기 베어링 쉘로 이루어지고, 그리하여, 조인트 볼트(15)와 한편으로 장착 본체(121) 및 다른 한편으로는 안내 본체(14) 사이의 연결부에 대한 하중이 감소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구조화된 접촉 표면(143, 123)이 안내 발부(142)의 하부측 및 장착 본체(121), 즉 외팔부(124)의 상부측에 제공되어 있고, 이들 접촉 표면은 서로 상보적인 형태를 포함하고, 또한 장착 본체(121)에 대한 안내 발부(142)의 다른 회전 위치에서 항상 형상 잠금 방식으로 서로에 맞물리게 된다. 접촉 표면(123, 143)의 구조체는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화된 요소를 가지며, 이 구조화된 요소는 서로에 대응하는데, 즉 서로 상보적으로 되어 있다 . 이러한 목적으로, 서로 상보적인 오목부 및 융기부가 균일하게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오목부는 개구, 보어 또는 파 중공부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융기부는 형성물, 원추 또는 파 정상부일 수 있다. 서로 결합하는 보어와 원추에 의해 양호한 형상 잠금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화된 요소는 조절을 위해 서로로부터 쉽게 풀리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파형이 특히 유리하며, 이 파형은 서로로부터 쉽게 풀릴 수 있고 또한 이 파형으로 양호한 형상 잠금 연결이 여전히 이루어질 수 있다.
나타나 있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1 접촉 표면(123) 및 제2 접촉 표면(143)은 피봇 축선(x)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화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장착부(12)와 안내 부재(11)의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구조화된 요소는 형상 잠금 방식으로 서로에 맞물리게 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파형의 구조화된 요소가 제공되고, 이는 피봇 축선(x), 즉 피봇 보어(120, 140)를 부분적으로 또는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완전히 둘러싼다. 파 정상부와 파 중공부는 항상 피봇 축선(x)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리하여, 장착 보어(127, 128)로 가는 방향의 연장이 최대이고 횡방향으로 또한 베어링 쉘(125)로 가는 방향으로는 상당히 감소되어 있다. 따라서, 구조화된 요소를 갖는 접촉 표면(123, 143)은 그러므로 피봇 축선(x)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구조화된 요소의 수 및 형태는, 안내 부재(11)가 바람직하게는 5°내지 15°범위 내의 증분으로 단계적으로 장착 본체(121) 주위를 회전할 수 있고 또한 고정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구조화된 요소는 장착 본체(12)와 안내 발부(142)의 일체적인 부분이고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코팅되거나 처리되는데, 예컨대 경화된다. 대안적으로, 구조화된 요소는 또한 모듈에 제공될 수 있고, 이 모듈은 장착 본체(121), 즉 안내 발부(142)에 연결된다.
안내 칼럼(141) 및 안내 요소(13)의 축(131)(안내 칼럼(141)의 상부측에 제공되어 있는 축방향 보어(149) 안에 삽입될 수 있음)은 그들의 길이 방향 축선으로 안내 축선(y)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되며, 그 안내 축선은 안내 장치(1)의 설치 후에 통상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다. 그러나 조인트 볼트(15)의 축(152, 153, 154, 155)은 피봇 축선(x)을 규정하며, 조인트 볼트(15)가 풀린 후에는 안내 본체(14),즉 안내 칼럼(141)이 상기 피봇 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피봇 축선(x)과 안내 축선(y)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25 mm, 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0 mm 이다. 이에 따라 안내 발부(142)의 길이가 정해진다. 따라서, 고정 요소(16)가 풀린 후에, 안내 부재(14)는 바깥쪽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대략 ±90°로 일측 또는 다른 측으로 회전될 수 있고, 그래서, 슬라이딩 요소(8)의 슬라이딩 면을 규정하는 안내 축선(y)은 바깥쪽으로 대응 각도 만큼 일측 또는 다른 측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부측에서 제1 파형의 구조화된 접촉 표면(123)이 제공되어 있는 외팔부(124)를 갖는 장착 본체(121), 및 하부측에서 제2 파형의 구조화된 접촉 표면(143)이 제공되어 있는 안내 발부(142)를 갖는 안내 본체(14)가 나타나 있다. 외팔부(124) 아래에는, 링 개구(1260)를 갖는 안정화 링(126)이 나타나 있고, 링 개구는 조인트 볼트(15)의 축의 안정화 부재(155)를 수용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6은 도 7a에 나타나 있는 A - A 선을 따라 절단된 도 2의 안내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다. 안내 발부(142)에 의해 수용되어 있는 연결 부재(152), 장착 본체(121), 즉 외팔부(124)에 의해 수용되는 통과 부재(153), 너트(16)에 연결되는 나사 부재(154), 및 안정화 링(126)에 유지되는 안정화 부재(155)를 갖는 조인트 볼트(15)의 요소가 나타나 있다. 또한, 조인트 볼트(15)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되어 있는 피봇 축선(x)이 나타나 있다. 또한, 안내 요소, 즉 안내 바퀴(13)의 축(131)이 안내 칼럼(141)에 제공되어 있는 축방향 보어(149) 안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하부측에서 제2 접촉 표면(141)을 갖는 안내 발부(142)가 장착 본체(121)의 상부측에 제공되어 있는 제1 접촉 표면(123) 상에 안착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안내 축선(y)이 나타나 있고, 이 안내 축선은 안내 칼럼(141)과 축(131)을 통해 동축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봇 축선(x)과 안내 축선(y)은 서로 떨어져 위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안내 부재(11)는 중심에서 장착 본체(121)의 위쪽에 유지되고, 일측 또는 다른 측으로 밖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따라서 안내 측선(y)은 장착 본체(121)의 길이 방향 축선(z)과 교차하고, 이 길이 방향 축선은 또한 안내 부재(11)의 회전 위치에 무관하게 피봇 축선(x)과 교차한다. 피봇 축선(x)과 안내 축선(y)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대략 안내 칼럼(141)의 직경에 대응하고 또한 대략 안내 바퀴(13)의 직경에도 대응한다. 따라서, 안내 축선(y)은 일 측 또는 다른 측으로 대략 장착 본체(121)의 폭의 절반 만큼 회전될 수 있고, 그래서 비교적 큰 조절 범위가 얻어지며, 정확한 위치로부터의 안내 장치(1)의 더 큰 편차도 그 조절 범위로 보상될 수 있다.
도 7a는 안내 부재(11)가 밖으로 회전되지 않은 도 2의 안내 장치를 나타낸다.
도 7b는 안내 부재(11)가 우측으로 회전되어 있는 도 2의 안내 장치를 나타낸다.
1 안내 장치
11 안내 부재
12 장착부
120 제1 피봇 구멍
121 장착 본체
123 제1 구조화된 접촉 표면
124 외팔부
125 베어링 쉘
126 안정화 링
1260 링 개구
127, 128 수용 개구
129 오목부
13 안내 요소, 안내 바퀴
131 축
14 안내 본체
140 제2 피봇 구멍
141 안내 칼럼
1411 결합 홈
142 안내 발부
143 제2 구조화된 접촉 표면
149 축방향 보어
15 조인트 요소, 바람직하게는 조인트 볼트
151 볼트 헤드
152 연결 부재
153 통과 부재
154 나사 부재
155 안정화 부재
16 잠금 요소
7 안내 레일 및 캐리지를 갖는 안내 시스템
8 슬라이딩 요소, 미닫이 문
81 안내 홈
82 안내 레일
821 안내 레일(8)의 중간 부재
822 안내 레일(8)의 측면 부재
83 안내 홈(81)의 전방측(개방/폐쇄됨)
88 프레임
9 스크류
x 피봇 축선
y 안내 축선

Claims (15)

  1. 미닫이 문과 같은 슬라이딩 요소(8)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1)로서,
    바닥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 본체(121)를 포함하는 장착부(12), 상기 장착부(12)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요소(8)의 하부측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안내 부재(11), 및 잠금 요소(16)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요소로 상기 장착부(12)와 안내 부재(11) 사이의 연결이 고정되거나 해제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부재(11)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안내 본체(14)와 안내 발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본체(14)는 안내 축선(y)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안내 칼럼(141)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발부(142)는 상기 장착 본체(121)의 상부측 상에 안착되고 또한 조인트 요소(15)에 의해 상기 장착 본체(121)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안내 발부(142)는 상기 안내 축선(y)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피봇 축선(x) 주위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안내 발부(142)의 하부측에는 제1 구조화된 접촉 표면(123)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구조화된 접촉 표면은 상기 장착 본체(121)의 상부측에 제공되어 있는 제2 구조화된 접촉 표면(143)에 인접하며, 상기 제1 접촉 표면(123)과 제2 접촉 표면(143)은, 상기 장착부(12)와 안내 부재(11)가 연결되면 형상 잠금 방식으로 서로에 맞물리게 되는 구조화된 요소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축선(y)과 피봇 축선(x)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된 요소는 상기 피봇 축선(x)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봇 축선(x)을 파형으로 둘러싸는 상기 구조화된 요소의 수는, 상기 안내 부재(11)가 5°내지 15°범위 내의 증분으로 상기 장착 본체(121) 주위로 회전할 수 있고 또한 고정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요소(15)는 볼트형이고, 상기 제1 접촉 표면(123)에 인접하거나 제1 접촉 표면(123)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상기 장착 본체(121) 내의 제1 피봇 구멍(120) 및 상기 제2 접촉 표면(143)에 인접하거나 제2 접촉 표면(143)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상기 안내 발부(142) 내의 제2 피봇 구멍(140) 안에 상기 피봇 축선(x)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되어 유지되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형 조인트 요소(15)는 상기 안내 발부(142)의 상부측에 인접하는 볼트 헤드(151)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본체(121)는 일단부에서 외팔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외팔부에는 상기 제1 접촉 표면(123)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 요소(16)는 너트 형태로 상기 외팔부(124) 아래에 제공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조인트 요소(15)의 나사 부재(154)를 둘러싸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본체(121)는 상기 외팔부(124) 아래에 유지되는 안정화 링(126)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안정화 링에는 상기 제1 피봇 구멍(120) 및 제2 피봇 구멍(140)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되어 있는 링 개구(1260)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안정화 링은 상기 볼트형 조인트 요소(15)의 안정화 부재(155)를 둘러싸며, 그리하여, 상기 잠금 요소(16)는 상기 외팔부(124)와 안정화 링(126) 사이에 고정되어 유지되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장착 본체(121)의 폭은 대략 상기 안내 칼럼(141)의 폭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장착 본체(121)의 폭은 대략 상기 안내 발부(142)의 폭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본체(14)와 조인트 요소(15)는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안내 본체(14)와 조인트 요소(15)는 기계적 연결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본체(14)와 조인트 요소(15)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 요소(1411; 151)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본체(121)는 상기 안내 발부(142)에 인접하는 베어링 쉘(124)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칼럼(141)은 안내 요소로서 역할하거나, 안내 칼럼(141)은 안내 바퀴 또는 활주 요소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안내 요소(13)를 유지하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칼럼(141)에는 축방향 보어(149)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안내 바퀴(13)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축(131)이 상기 축방향 보어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칼럼(141)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바람직하게, 서로 나사 결합되거나 필요에 따라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칼럼 요소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KR1020180033240A 2017-03-23 2018-03-22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KR102458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2589.0 2017-03-23
EP17162589.0A EP3379012A1 (de) 2017-03-23 2017-03-23 Justierbare führungsvorrichtung für ein schiebe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491A true KR20180108491A (ko) 2018-10-04
KR102458010B1 KR102458010B1 (ko) 2022-10-21

Family

ID=5841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240A KR102458010B1 (ko) 2017-03-23 2018-03-22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323447B2 (ko)
EP (2) EP3379012A1 (ko)
JP (1) JP7082396B2 (ko)
KR (1) KR102458010B1 (ko)
CN (1) CN108625706B (ko)
AR (1) AR111532A1 (ko)
AU (1) AU2018202036B2 (ko)
BR (1) BR102018005667B1 (ko)
CA (1) CA2997737C (ko)
CL (1) CL2018000747A1 (ko)
MX (1) MX2018003505A (ko)
SG (1) SG10201801916Y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63159A1 (de) * 2019-04-30 2022-03-09 SCHÜCO International KG Schiebetür mit einem schiebeflüg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715A (ja) * 2003-06-13 2005-01-06 Nakao Seisakusho:Kk 吊り戸の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6955A (en) * 1934-02-08 1936-01-07 Nat Pneumatic Co Antirattler door guide
US3182350A (en) * 1963-03-18 1965-05-11 Alvin E Witten Adjustable hanger device for sliding doors
US3287759A (en) * 1964-09-21 1966-11-29 Lawrence Brothers Convertible suspension arrangement for sliding doors
US3526995A (en) * 1969-02-03 1970-09-08 Robert M Saunders Roller assembly for sliding doors
US3895670A (en) * 1972-01-03 1975-07-22 Laminite Plastics Mfg Corp Space divider
US3805324A (en) * 1972-09-11 1974-04-23 L Johnson Pivot means for folding doors
US3866658A (en) * 1974-01-28 1975-02-18 Lester L Smith Pivotal support and guide hardware for folding doors
GB1503786A (en) * 1974-11-08 1978-03-15 Acme General Corp Lower pivot assembly and support for a swinging or folding door
US4064590A (en) * 1976-07-02 1977-12-27 Smith Lester L Top guide pivot for bifold doors
JPS57137580A (en) * 1981-02-17 1982-08-25 Nippon Aluminium Mfg Sash roller
US4386646A (en) * 1982-04-28 1983-06-07 Alliance Metal Products Inc. Folding door hardware
US5070575A (en) * 1989-08-04 1991-12-10 Post Industries, Inc. Vertically adjustable sliding door suspension system
US5054163A (en) * 1991-01-04 1991-10-08 John Sterling Corporation Bottom pivot assembly for folding doors
US5349783A (en) * 1993-02-26 1994-09-27 The Stanley Works Twin wheel guide for sliding doors
ATE200133T1 (de) 1994-03-28 2001-04-15 Hawa Ag Vorrichtung zur führung von verschiebbaren elementen
US5548869A (en) * 1994-03-31 1996-08-27 Arthur Cox & Sons, Inc. Adjustable pivot door assembly
JP3738323B2 (ja) * 1997-06-27 2006-01-25 新関西ベアリング株式会社 吊車型のランナー
JP4132166B2 (ja) * 1997-12-24 2008-08-13 リョービ株式会社 引戸案内具
JP2001152729A (ja) * 1999-11-29 2001-06-05 Nakao Seisakusho:Kk 戸の案内装置
US7159278B2 (en) * 2005-02-24 2007-01-09 Yale Security Inc. Caster
JP2007303182A (ja) * 2006-05-12 2007-11-22 Kuriki Manufacture Co Ltd 吊戸のガイドピン
JP4896615B2 (ja) * 2006-07-24 2012-03-14 コクヨファニチャー株式会社 可動間仕切装置及び引き戸取付ユニット
EP2218858B1 (de) * 2009-02-15 2013-10-16 Hawa Ag Laufwerk für ein Trennelement, Trennelement und Vorrichtung
ES2397458T3 (es) * 2009-04-28 2013-03-07 Hawa Ag Dispositivo de desplazamiento para sostener de forma pivotante elementos de separación, y artículo de mobiliario
NZ605060A (en) * 2010-09-09 2014-01-31 Rmd Ind Pty Ltd Pharmaceutical formulation in the form of bilayered tablets comprising hmg-coa reductase inhibitor and irbesartan
ES2762167T3 (es) 2012-07-11 2020-05-22 Hawa Sliding Solutions Ag Dispositivo de guiado, carro y carril de rodadura
KR200474799Y1 (ko) * 2012-08-01 2014-10-15 주식회사 케이씨씨 미서기 창호
PL2740870T3 (pl) * 2012-12-05 2022-01-03 Hawa Sliding Solutions Ag Urządzenie w postaci prowadnicy dla przesuwnych oraz obrotowych elementów oddzielających oraz jednostka funkcjonalna
JP6472135B2 (ja) * 2015-02-12 2019-02-20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上吊引戸の前後方向調整付下ガイド
CN205477040U (zh) * 2016-01-28 2016-08-17 卢礼胜 一种趟门上框导向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715A (ja) * 2003-06-13 2005-01-06 Nakao Seisakusho:Kk 吊り戸の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740545A (en) 2020-11-27
BR102018005667B1 (pt) 2023-10-31
AU2018202036A1 (en) 2018-10-11
SG10201801916YA (en) 2018-10-30
BR102018005667A2 (pt) 2018-10-30
MX2018003505A (es) 2018-11-09
CA2997737A1 (en) 2018-09-23
CN108625706A (zh) 2018-10-09
AU2018202036B2 (en) 2022-05-26
US10323447B2 (en) 2019-06-18
AR111532A1 (es) 2019-07-24
KR102458010B1 (ko) 2022-10-21
JP2018159259A (ja) 2018-10-11
CL2018000747A1 (es) 2018-06-08
EP3379012A1 (de) 2018-09-26
US20180274275A1 (en) 2018-09-27
CN108625706B (zh) 2021-03-12
EP3379013A1 (de) 2018-09-26
CA2997737C (en) 2021-10-19
JP7082396B2 (ja)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3483B2 (ja) 旋回可能に保持された仕切り要素の変位装置及び家具製品
KR102328957B1 (ko) 슬라이딩 요소용 조절가능한 마운팅 장치 및 슬라이딩 장치
KR100785706B1 (ko) 창문용 호차
US8099904B2 (en) Mechanism for the installment of a door or other similar closure having a rotational-sliding movement
JPH02304187A (ja) 押込み可能なドア付き家具
KR20190014558A (ko) 회동식 창호시스템의 창호스테이바 유닛
KR20180108491A (ko)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KR20140135823A (ko) 평행하게 열어 둘 수 있으며 상기 평행 상태에서 수평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KR101860577B1 (ko) 윈도우 또는 도어의 이동 가능한 윙을 위한 피팅
KR20190133816A (ko) 도어용 힌지조립체
CN111094681B (zh) 用于在窗户或门上的被遮盖的装置的转动配件
KR102072149B1 (ko) 3중 슬라이딩 연동 도어의 하부롤러 어셈블리
KR101660255B1 (ko) 유리문 경첩
US20220259909A1 (en) Fitting Arrangement
US20080115327A1 (en) Mounting Plate for Adjustably Mounting Furniture Hinges on the Frame of Articles of Furniture
EP1722057A2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Door and Window Hinges
NZ740545B2 (en) Adjustable guide device for a sliding element
KR200254755Y1 (ko) 가구용 힌지
KR200187436Y1 (ko) 창문용 호차
KR200266300Y1 (ko) 이동식 절첩문의 하부슬라이드 롤러
CN218912603U (zh) 一种隐藏式连接结构
EP3942135B1 (en) Hinge for doors or windows
KR102227359B1 (ko) 힌지 장치
WO2024051045A1 (zh) 无轨道下承重推拉门
JP2527353Y2 (ja) 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