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255B1 - 유리문 경첩 - Google Patents

유리문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255B1
KR101660255B1 KR1020150081613A KR20150081613A KR101660255B1 KR 101660255 B1 KR101660255 B1 KR 101660255B1 KR 1020150081613 A KR1020150081613 A KR 1020150081613A KR 20150081613 A KR20150081613 A KR 20150081613A KR 101660255 B1 KR101660255 B1 KR 101660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fixing
pivoting
support memb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기
Original Assignee
이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기 filed Critical 이남기
Priority to KR102015008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6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4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4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2011/1092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the angle between the hinge parts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구에 유리문을 설치 시 또는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유리문치우침정렬 각도의 치우침이 발생한 경우 유리문의 정렬 각도를 쉽고 빠르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문 경첩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220)와; 상기 고정부재(210)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20)를 회동축(330)으로 결합하여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재(230)와; 상기 회동축(330)에 의해 상기 회동지지부재(2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20)의 회동을 특정 각도에서 제한하는 캠부재(240); 및 상기 회동지지부재(230)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캠부재(240)의 돌출편(342)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홈(352)이 형성되어 나사 돌림 시 상기 돌출편(342)을 전후로 밀어 상기 캠부재(240)를 회동시키는 조절나사(2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경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리문 경첩{HINGE ASSEMBLY FOR GLASS DOOR}
본 발명은 출입구에 유리문을 설치 시 또는 설치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유리문 정렬 각도의 치우침이 발생한 경우 쉽고 빠르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문 경첩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사무실, 일반주택 등의 출입문, 욕실 등에 강화유리 등으로 제조된 유리문을 설치하는 사례가 점점 늘고 있으며, 이러한 강화 유리문의 개폐를 위해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경첩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경첩은 통상 유리문의 상, 하부에 일측을 고정설치하고 타측을 고정유리에 고정하여 회정축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유리문의 설치 및 개폐에 따른 지지 견고성과 설치 작업에 따른 편리성을 위한 구조를 갖는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리문 경첩의 일예를 나타낸다.
종래의 유리문 경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등의 고정 구조체(A)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그 고정부(11)에 힌지결합되어 대략 180°정도 회동되며, 유리문에 고정되는 회동부(12)와, 그 회동부(12)가 고정부(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동지지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회동지지수단은 홈영역을 가진 ' ㄷ' 자 형상을 취하며 고정부(11)에 나사결합되는 지지편(13)과, 지지편(13)의 홈영역에 개재되며 돌출부분과 오목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캠부재(14)와, 동축상에 회동부(12)와 캠부재(14)가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고 지지편(13)은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축(15)과, 회동부(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캠부재(14)를 가압하는 가압편(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유리문이 닫혀있는 경우 가압편(16)은 캠부재(14)의 오목부분을 가압하고 있다가, 유리문(10)을 열면 회동부(12)가 회동됨에 따라, 가압편(16)은 볼록부분을 지나면서 탄성바이어스되고, 다시 탄성복원되어 오목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제품사양에 따른 회동부(123)의 기준회동각도를 결정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종래에 따른 유리문 경첩은 제품사양에 따른 회동부(12)의 회동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회동각도 조정수단을 더 구비한다.
도 2는 종래의 유리문 경첩에 구비되는 회동각도 조정수단의 일예를 나타낸다.
회동각도 조정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편(13)의 홀영역에 마련된 수용홀(17)에 내재되는 돌출구(18)와, 지지편(13)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지지편(13)의 수용홈(17)과 연통되는 나사공(13a)과, 나사공(13a)에 각각 결합되어 조압작용으로 돌출구(18)를 가압함으로써, 회동부(12)의 회동각도를 조정하는 조정나사(19)를 포함한다.
이때, 캠부재(14)의 돌출구(18)를 수용하는 수용홈(17)의 내측공간은 캠부재(14)의 돌출구(18)가 수용홈(17)의 내벽에 걸릴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가지고 있고, 회동부(12)와 캠부재(14)가 회동축(15)에 억지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지지편(13)을 중심으로 회동부(12)의 미세회동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경첩을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구성부품들이 노화되거나 마모되어 유리문의 개폐시 회동부(12)가 제품사양에 따른 회동각도 만큼 회동되지 못해 개폐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우선 일측 조정나사(19)를 풀고, 타측 조정나사(19)를 조이거나, 또는 타측 조정나사(19)를 풀고 일측 조정나사(19)를 조이게 되면, 조정나사(19)는 조임 및 조임해제작용으로 캠부재(14)의 돌출구(18)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부(12)는 일측방향으로 미세회동되어 유리문의 개폐상태를 안정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리문 경첩에 적용된 회동각도 조정수단은 조정나사(19)가 지지편(13)의 양측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그 조정나사(19)를 조이거나 풀어 회동부(12)의 회동각도를 미세조정할 때, 두 명의 작업자가 유리문의 안팎에서 조정작업을 실시하거나, 한 명의 작업자가 유리문 안팎으로 왔다갔다 하면서 조정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회동부(12)는 양측 조정나사(19)의 조임 및 조임해제 작용으로 돌출구(18)를 가압함에 따라 미세회동되고, 그 돌출구(18)가 양측의 조정나사(19)에 지지되면서 회동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돌출구(19)에 작용하는 집중응력으로 인해 그 돌출구(18)가 파손되어 부품교체가 빈번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9561호(공개일: 2001.01.29) 한국등록특허 제10-1077529호(공개일: 2011.08.03)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문 경첩을 통해 설치되는 유리문의 정렬 각도를 쉽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유리문의 정렬 각도 조절시 무리한 가압에 의해 캠부재의 돌출편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조절나사가 풀림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과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경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구조체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리문을 고정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축으로 결합하여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재와; 상기 회동축에 의해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지지부재의 내부에 삽입 위치되는 돌출편이 구비되고 외주면으로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을 탄성적으로 삽입하여 특정 각도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캠부재; 및 상기 회동지지부재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캠부재의 돌출편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나사 돌림 시 상기 돌출편을 전후로 밀어 상기 캠부재를 회동시키는 조절나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경첩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홈은, 양측의 나사산부 사이에서 상기 나사산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부와 단차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은, 상기 고정홈을 직교방향으로 삽입하여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ㄷ' 자 형상의 걸림홈; 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삽입되어 나사 조임 시 끝단이 상기 돌출편(342)의 측면을 밀착하여 전후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나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캠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가압편을 외주면의 일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회동부재를 특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만곡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문 경첩에 따르면, 하나의 조절나사를 한 방향에서 조작하여 유리문의 정렬 각도를 쉽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나사에 의한 유리문의 정렬 각도를 조절하는 것과 아울러, 정렬 각도가 조절된 유리문의 정렬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나사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나사 조임에 의한 무리한 가압에 의해 캠부재의 돌출편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리문 경첩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절나사가 풀림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유리문의 정렬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리문 경첩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유리문 경첩에 구비되는 회동각도 조정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문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문 경첩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유리문 경첩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회동지지부재에 캠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회동지지부재에 캠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문 경첩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경첩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문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문 경첩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문 경첩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10)와, 회동부재(220)와, 회동지지부재(230)와, 캠부재(240) 및 조절나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고정부재(210)는 유리문(200)이 설치되는 공간에 인접하는 문틀과 같은 고정구조체(미도시함) 상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고, 회동부재(220)는 유리문(200)을 고정하여 고정부재(2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부재(210)와 회동부재(220)는 종래의 유리문 경첩의 구성과 큰 차이가 없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210)는 고정볼트(미도시함)를 이용하여 고정구조체에 고정할 수 있는 나사공(210a)이 다수 형성된다. 아울러, 이러한 고정부재(210)는 벽면체로 이루어진 고정구조체에 고정할 수 있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문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통상의 고정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회동부재(220)는 고정부재(210)와 회동지지부재(230)에 의해 지지되어 대략 180°정도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으로 유리문(2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판(222)과, 회동몸체(224)가 구비된다. 회동몸체(224)에는 후술될 가압편(3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설치홈과, 회동축(330)이 삽입되는 축공(221)이 형성된다.
회동지지부재(230)는 고정부재(210)의 나사공으로 삽입되는 고정볼트(210b)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고정부재(210)의 전면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으로, 회동부재(220)의 일단을 향하는 홈영역(232)을 가진 대략 ' ㄷ' 자 형상을 취하되, 종래와는 달리, 홈영역(232)을 통해 내부로 연통되는 내부공간(334)이 형성된다. 내부공간(334)은 회동지지부재(230)의 수평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면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지지부재(230)의 외부면에는 내부공간으로 관통하여 후술될 조절나사(25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나사홀(250a)이 형성된다. 이때, 나사홀(250a)은 내부공간(334)을 중심으로 조절나사(250)를 삽입 및 나사 조임을 가하기 위한 일측의 면만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양측의 면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회동지지부재(230)는 홈영역(232)의 상하부 양측이 각각 회동부재(220)를 향해 연장되어 회동축(330)을 수직 방향으로 삽입하여 결합하는 제1부분(430) 및 제2부분(432)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재(210)를 향하는 후면에는 전술한 고정볼트(210b)가 삽입되도록 하는 나사홈(230a)이 형성된다. 제1부분(430) 및 제2부분(432)에는 회동축(330)이 홈영역(232)을 가로지르도록 삽입하는 축공(231)이 형성된다.
캠부재(240)는 회동지지부재(230)의 홈영역(232)에 설치되며, 회동부재(220)에 구비되는 가압편(3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와, 작동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회동지지부재(230)의 내부공간(334)으로 삽입되는 돌출편(342)이 구비된다. 그리고, 작동부의 외주부는 대체로 원주 형상으로 라운딩된 형상을 이루되, 특정 각도의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만곡홈(340)이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유리문 경첩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부재(210)와, 회동부재(220)와, 회동지지부재(230) 및 캠부재(240)는 회동축(330)이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부재(210)와 회동지지부재(230)에 대해 캠부재(240)와 회동부재(220)가 각각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도 6은 회동지지부재(230)에 캠부재(24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회동지지부재(230)에 캠부재(24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회동부재(220)와 캠부재(240)는 회동축(330)에 억지로 끼워짐과 동시에 회동지지부재(230)는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동지지부재(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334)으로 삽입되는 캠부재(240)의 돌출편(342)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회동구간(340a)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회동부재(220)의 일단이 캠부재(240)의 작동부에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결국 회동부재(220)는 회동구간(340a)에 의해 정해지는 미세회동구간 범위 내에서 회동축(33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미세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회동부재(220)의 가압편(320)은 탄성수단(32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캠부재(240)의 작동부를 가압한다. 가압편(320)은 회동몸체(224)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설치홈(325)에 배치되되, 이러한 한 쌍의 설치홈(325) 가로지르는 지지축(322)이 결합되며, 지지축(322)은 회동몸체(224)에 내장된 탄성수단(324)에 의해 지지된다. 참고로, 이러한 가압편(320), 지지축(322) 및 탄성수단(324)의 구성은 종래의 유리문 경첩의 구성과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유리문(200)이 닫혀 있을 경우 가압편(320)은 캠부재(240)의 만곡홈(340)을 가압하고 있다가 유리문을 열면 회동부재(220)가 회동됨에 따라, 만곡홈(340)을 벗어나면서 볼록하게 라운딩된 부분에서 탄성수단(324)을 가압하여 압축 상태가 된다. 그리고, 회동에 의해 다른 만곡홈(340)에 수용되면서 다시 탄성복원되어 회동각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동이 저지된 상태로 유리문(200)의 정렬 위치를 고정한다.
조절나사(2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회동지지부재(230)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홀(250a)에 삽입되어, 회동지지부재(230)의 홈영역(232)을 통해 내부공간(334)으로 삽입되는 돌출편(342)을 가로질러 교차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조절나사(250)는 종래 구성과는 달리, 양단에 형성되는 나사산부(350) 사이에 캠부재(240)의 돌출편(342)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홈(352)이 형성된다. 고정홈(352)은 나사산부(350)를 이루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나사산부(350)와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캠부재(240)의 돌출편(342)이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절나사(250)가 회동지지부재(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 조임을 가하면 고정홈(352)이 직선 이동하여 캠부재(240)의 돌출편(342)을 전후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때, 조절나사(250)의 고정홈(352)에 고정되는 돌출편(342)은 캠부재(240)의 폭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단면 형상이 회동지지부재(230)를 향해 연장되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는 조절나사(250)의 고정홈(352)을 직교방향으로 삽입하여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ㄷ' 자 형상의 걸림홈(344)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나사(250)는 무두타입의 렌치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문 경첩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문 경첩의 작용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유리문이 고정된 회동부재(220)를 회동지지부재(230)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경우, 또는 설치하여 사용 중 노후 현상이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에, 유리문(200)이 출입구의 전후방의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져 출입구와의 간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격이 발생 시 회동지지부재(230)의 일측으로 삽입된 조절나사(250)를 조이거나 풀면 조절나사(250)가 삽입된 방향의 전후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조절나사(250)는 고정홈(352)에 캠부재(240)의 돌출편(342)을 걸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전후 이동에 의해 캠부재(240)의 돌출편(342)을 전술한 회동구간(340a) 내에서 전후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캠부재(240)가 회동축(330)을 중심으로 미세회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회동부재(220)의 가압편(320)을 탄성적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만곡홈(340)이 함께 회동하여 유리문(20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한다.
즉, 유리문이 도 8의 (a)와 같이 일측으로 치우쳐져 있는 경우, 예컨데, 출입구의 바깥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경우에는 조절나사(250)가 출입구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조이거나 풀어준다. 이 경우 캠부재(240)가 회동축(3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만곡홈(340)이 출입구의 안쪽으로 회동하고, 만곡홈(340)에 삽입 고정된 가압편(320)에 의해 유리문(200)을 원하는 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다.
반대로, 유리문(200)이 도 8의 (b)와 같이 출입구의 안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경우에는 조절나사(250)가 출입구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유리문(200)을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부재(240)를 회동시키는 조절나사(250)는 렌치 삽입구가 위치되는 회동지지부재(230)의 일측으로 나사 조임을 가해 유리문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캠부재(240)의 돌출편(342)은 회동지지부재(230)의 내부에 형성된 회동구간(340a)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동이 제한된다. 즉, 조절나사(250)를 조이는 경우 돌출편(342)이 고정홈(352)과 함께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다가 회동구간(340a)의 일단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는 시점에서 더 이상 조절나사(250)의 조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조절나사(250)를 푸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풀림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홈(352)과 함께 이동하는 돌출편(342)이 회동구간(340a)의 다른 일단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시점에서 더 이상 풀림이 진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절나사(250)가 풀려 회동지지부재(230)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한 개의 조절나사(250)를 통해 쉽고 신속하게 유리문(200)의 정렬각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지지부재(23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조임에 의해 끝단이 캠부재(240)의 돌출편(342)을 밀착하여 전후 이동을 저지시키는 고정나사(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나사(260)는 회동지지부재(230)에 조절나사(250)가 삽입되는 면과 같은 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홀(260a; 도 4를 참조)에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조절나사(250)와 동일한 방향에서 나사 조임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나사(260)를 더 구비함으로써, 유리문(200)의 정렬각을 조절시 먼저 고정나사(260)를 풀어 돌출편(342)에 가하는 밀착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조절나사(250)를 돌려 유리문 정렬각을 조절하고, 조절나사(250)를 통해 유리문 정렬이 완료되면 다시 고정나사(260)를 조여 돌출편(342)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캠부재(240)의 회동이 완전히 저지되어 유리문의 정렬 각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경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유리문
210: 고정부재
220: 회동부재
230: 회동지지부재
240: 캠부재
250: 조절나사
260: 고정나사
320: 가압편
330: 회동축
334: 내부공간
340: 만곡홈
342: 돌출편
344: 걸림홈
352: 고정홈

Claims (6)

  1. 고정구조체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10);
    상기 고정부재(2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리문(200)을 고정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부재(220);
    상기 고정부재(210)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20)를 회동축(330)으로 결합하여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재(230);
    상기 회동축(330)에 의해 상기 회동지지부재(2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지지부재(230) 에 삽입 위치되는 돌출편(342)이 구비되고 외주면으로 상기 회동부재(220)의 일단을 탄성적으로 삽입하여 특정 각도에서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캠부재(240); 및
    상기 회동지지부재(230)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캠부재(240)의 돌출편(342)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홈(352)이 형성되어 나사 돌림 시 상기 돌출편(342)을 전후로 밀어 상기 캠부재(240)를 회동시키는 조절나사(2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리문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352)은, 양측의 나사산부(350) 사이에서 상기 나사산부(35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경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352)은, 상기 나사산부(350)와 단차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경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342)은, 상기 고정홈(352)을 직교방향으로 삽입하여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ㄷ' 자 형상의 걸림홈(344);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경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재(230)에 삽입되어 나사 조임 시 끝단이 상기 돌출편(342)의 측면을 밀착하여 이동을 저지시키는 고정나사(2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경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240)는, 상기 회동부재(220)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가압편(320)을 외주면의 일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회동부재(220)를 특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만곡홈(3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경첩.
KR1020150081613A 2015-06-10 2015-06-10 유리문 경첩 KR101660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613A KR101660255B1 (ko) 2015-06-10 2015-06-10 유리문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613A KR101660255B1 (ko) 2015-06-10 2015-06-10 유리문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255B1 true KR101660255B1 (ko) 2016-09-27

Family

ID=5710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613A KR101660255B1 (ko) 2015-06-10 2015-06-10 유리문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2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19835A1 (it) * 2017-02-22 2018-08-22 Metalglas Bonomi S R L Cerniera regolabile, in particolare per porta a vetri
JP2020007893A (ja) * 2018-07-10 2020-01-16 松之門控設備股▲分▼有限公司 ガラスドア用自動復帰装置
KR20220138623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에코플러스 회전 도어용 프레임 커플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717A (ja) * 1998-08-10 2000-02-22 Ykk Corp 扉用蝶番
KR200219561Y1 (ko) * 2000-11-16 2001-04-02 장순명 유리문용 경첩
JP2008115604A (ja) * 2006-11-06 2008-05-22 Jeo Prince Takeshita Kk ガラス扉の回転支持装置
KR101077529B1 (ko) 2010-01-26 2011-10-28 권혁정 유리문용 경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717A (ja) * 1998-08-10 2000-02-22 Ykk Corp 扉用蝶番
KR200219561Y1 (ko) * 2000-11-16 2001-04-02 장순명 유리문용 경첩
JP2008115604A (ja) * 2006-11-06 2008-05-22 Jeo Prince Takeshita Kk ガラス扉の回転支持装置
KR101077529B1 (ko) 2010-01-26 2011-10-28 권혁정 유리문용 경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19835A1 (it) * 2017-02-22 2018-08-22 Metalglas Bonomi S R L Cerniera regolabile, in particolare per porta a vetri
JP2020007893A (ja) * 2018-07-10 2020-01-16 松之門控設備股▲分▼有限公司 ガラスドア用自動復帰装置
KR102106585B1 (ko) * 2018-07-10 2020-05-06 선-큐 도어 컨트롤즈 리미티드 유리문용 자동 복귀 장치
KR20220138623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에코플러스 회전 도어용 프레임 커플러
KR102574809B1 (ko) 2021-04-06 2023-09-06 주식회사 에코플러스 회전 도어용 프레임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255B1 (ko) 유리문 경첩
US6134751A (en) Adjustable window hinge
US11358170B2 (en) Sprinkler center bracket provided with locker for preventing loosening of cam lever coupled thereto
EP2004939B1 (en) Door derailing prevention member installation structure for elevator
CA2363781A1 (en) Mechanism and method for adjusting doors
KR20190133816A (ko) 도어용 힌지조립체
CN112888832B (zh) 用于围绕铰接轴线铰接地连接翼扇与框架的铰链的组件以及具有这种组件的铰链
US11898391B2 (en) Hinge and system for detachably connecting a door to a frame
KR101983842B1 (ko) 안전 자석경첩
EP1061219A1 (en) Hinge for casements
WO2019137177A1 (zh) 衣物处理设备的门组件和衣物处理设备
JPH0771157A (ja) ヒンジ
US20090229076A1 (en) Absorption mechanism for furniture doors
US10801253B2 (en) End load arm
KR200346760Y1 (ko)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101055953B1 (ko) 도어용 하부 힌지 조립체
KR101392231B1 (ko)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의 설치방법
CN212336992U (zh) 一种外锁紧式铰链和淋浴门
KR200408834Y1 (ko) 도어용 경첩 조립체
CN109914955A (zh) 一种宠物窝双向开门铰链
JP3976983B2 (ja) 建付け調整機能付き丁番
KR20160148727A (ko) 출입문용 경첩
KR102465423B1 (ko)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JP2001317262A (ja) ヒンジ装置
JP2003343145A (ja) ドア用ピボット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