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423B1 -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423B1
KR102465423B1 KR1020220070078A KR20220070078A KR102465423B1 KR 102465423 B1 KR102465423 B1 KR 102465423B1 KR 1020220070078 A KR1020220070078 A KR 1020220070078A KR 20220070078 A KR20220070078 A KR 20220070078A KR 102465423 B1 KR102465423 B1 KR 102465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unting
hinge
furniture
gu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환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장애인고용창출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장애인고용창출협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장애인고용창출협회
Priority to KR102022007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6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hinge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가구의 본체로부터 도어가 회전 개폐되도록 장착하기 위한 가구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본체에 고정되는 본체장착부와 가구의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장착부가 연결회동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 형태의 가구용 경첩에 있어, 상기 도어장착부의 홀컵이 함몰 삽입되게 한 도어 내 설치홈에 별도 구비의 마운팅 가이더를 삽입하여 상기 도어장착부가 마운팅 가이더와 함께 도어에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경첩을 이용하여 도어와 가구본체를 단순 조립하는 과정만으로도 도어에 대한 시공후 보정 및 교정 작업없이 도어의 수직 및 수평 상태가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것이고, 복수의 도어를 갖는 가구의 경우 각 도어 간 간격이나 틈새가 일정하게 연출될 수 있는 것이며, 마운팅 가이더를 통해 수직 및 수평 상태로 고정된 경첩은 도어의 개폐시 작용하는 부하 및 도어 자체의 하중으로 인한 경첩 고정부에서의 회전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여 도어 및 경첩 간 상호 고정력이 가일층 향상되는 동시에 부하 및 하중을 경첩 전체로 분산 지지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경첩에 대한 사용 수명 연장은 물론 가구 전체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Furniture hinge assembly with mounting guider}
본 발명은 수납가구의 본체로부터 도어가 회전 개폐되도록 장착하기 위한 가구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장이나 장롱 및 붙박이장과 책장 및 캐비닛과 같은 수납가구는 물론 싱크대와 조리대와 같은 주방가구 및 신발장과 같은 일반가구의 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경첩이, 별도 구비의 마운팅 가이더에 의해 수평 및 수직 상태로 간편 장착되는 것은 물론 경첩의 장착 상태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기울어짐이나 들뜸을 방지하는 동시에 부하에 의한 경첩의 비틀림이나 회전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간 도어의 수평 및 수직 정렬 상태가 미려하게 연출될 수 있도록 한 경첩 어셈블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가구로 대표되는 장롱이나 붙박이장 혹은 책장이나 캐비닛 또는 욕실장 등에는 가구 전면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단일 혹은 적어도 2개체 이상의 도어가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수납가구 이외 싱크대와 조리대 혹은 식탁 등의 주방가구와 신발장 등의 일반가구 등에도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다양한 가구에 구비되는 도어는 별도의 경첩을 통해 상기 가구본체에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의 경첩은 힌지축과 한 쌍의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경첩에 의해 도어의 단순 회전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지거나, 본체장착부와 도어장착부 및 연결회동부의 조합으로 된 개선된 구조의 경첩에 의해 도어의 수직 및 수평 상태에 대한 조정 또는 전,후 방향으로의 조정을 가능하도록 하여 장기간 도어의 사용 및 설치 상태에서도 도어의 처짐이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한 보강형 경첩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첩은 근자에 들어 더욱 안정적인 작동과 견고한 내구성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조적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233937호와 같이 가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제1 마운팅플레이스와, 오목한 홀컵이 형성된 플랜지를 가지고 도어에 고정되는 제2 마운팅플레이스와, 상기 제1, 제2 마운팅플레이스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탄력적으로 접힘과 펼침 작용을 하는 작동링크로 이루어진 가구용 경첩에 있어서: 작동링크의 전면에 외향으로 돌출되어 가압하는 가압돌기; 및 가압돌기와 마주하도록 플랜지의 홀컵 바닥면에 결합되며, 작동링크의 접힘과 펼침 작용에 따라 가압돌기와의 접촉 및 비접촉으로 가압 및 가압 해지되어 유체를 배출하고 그로부터 유체를 충진하여 도어의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유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가구용 경첩의 회동 감속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7417호의 경우 가이드링크를 갖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에 제 1 및 제 2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접힘과 펼침작용을 하는 제 1 및 제 2 작동링크와, 상기 제 2 작동링크의 타단부에 제 3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2 작동링크에 대해 접힘과 펼침작용을 하는 타단부에 홀이 형성된 제 3 작동링크와,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링크에 제 4 및 제 5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가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제 1 마운팅플레이스와, 상기 가이드링크와 제 3 작동링크의 타단부에 제 6 및 제 7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직각으로 꺾였을 때 상기 가이드링크가 들어갈 수 있도록 오목한 홀컵이 형성된 플랜지를 갖고 여닫이문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 2 마운팅플레이스로 이루어진 가구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크는 두 축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링크의 두 축은 상기 홀컵의 내측 양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링크의 두 축 사이에 가이드링크 수축 방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링크 수축 방지판은, 상기 제 2 마운팅플레이스의 플랜지의 일부면이 절개되어 상기 홀컵의 아래쪽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가구용 경첩이 안출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993874호의 경우에는 가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본체 마운팅플레이스, 도어에 고정되고 홀 컵이 형성되는 도어 마운팅플레이스, 상기 본체 마운팅플레이스와 도어 마운팅플레이스에 양측이 각각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어 마운팅플레이스를 회전작동시키는 작동링크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구가 결합되는 가구의 본체와 도어에는 체결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장착홈에는 상기 본체 마운팅플레이스와 도어 마운팅플레이스를 고정하는 체결구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장착된 가구용 경첩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 제20-0490969호의 경우에는 개구부를 갖는 가구나 싱크대 등의 본체 내측면에 고정되는 본체고정부를 포함한 바디부와, 상기 본채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도어 내측면에 고정된 도어고정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조립시간 단축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도어 개폐용 유압식 경첩 연결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다양한 경첩은 가구본체 및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의 설치 과정에서 평판 형태로 된 가구본체 및 도어로부터 정확한 수평 및 수직 상태로 고정되지 못하므로 반복적인 조립 및 시공후 교정 또는 조정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고, 상기의 경첩이 수평 및 수직 상태로 정확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어의 여닫이 부하 및 도어 자체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도어의 처짐이나 들뜸 혹은 도어와 경첩 간의 고정력이 약화되거나 상실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즉, 전기한 바와 같은 경첩의 설치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가구의 도어에 경첩이 설치될 위치를 표시하거나 가늠한 상태에서 경첩의 도어장착부에 형성된 홀컵이 삽입되게 한 설치홈을 선행하여 타공 작업한 후, 상기 도어장착부의 홀컵이 도어 설치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어장착부의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 상기 도어장착부를 도어의 배면에 볼트 고정하게 된다.
이어, 상기의 도어에 적어도 2개체 이상의 경첩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가구본체의 전면에 밀착시킨 후, 경첩의 본체장착부를 가구본체의 측부 내면에 밀착시켜 볼트 고정함에 따라 상기 도어가 경첩에 의해 가구본체의 전면으로부터 회전 개폐되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에 사전 형성되는 설치홈을 이용하여 경첩의 도어장착부를 삽입 및 고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경첩이 정확히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삽입하고 볼트 고정시켜야 하는 것이나, 통상적으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실수나 전동공구의 진동 및 시공시간의 촉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상기 경첩이 수평인 상태로 고정되지 못하고 다소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가 빈번한 것이고, 상기의 경첩의 도어장착부가 경사진 형태로 도어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의 경첩은 가구본체의 내면에도 경사진 형태로 고정될 수 밖에 없어 결국 상기의 도어는 가로 및 세로 끝단이 정확한 수평 및 수직 상태를 형성하지 못한 상태로 가구본체에 빈번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도어가 전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이유와 원인에 의해 초기 기울어진 형태로 장착되는 바, 가구본체에 대하여 도어를 장착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기울어진 형태의 도어를 교정하기 위한 추가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고, 이러한 도어에 대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교정 작업은 고도의 숙련도와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더딜 뿐만 아니라 가구의 전체적인 조립 생산력 및 시공성을 떨어트리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전기한 바와 같이 경첩이 기울어진 상태로 가구본체 및 도어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여닫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와 도어 자체의 하중이 경첩에 고르게 작용하지 못하고 도어장착부 또는 본체장착부나 연결회동부에 집중되면서 상기 경첩의 휨이나 변형이 발생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조정 및 교정 작업을 통해 수평 및 수직 상태가 만들어진 도어는 빠른 시간 내에 다시 기울어진 상태로 복귀되므로 정렬 상태의 도어를 얻기 위해서는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조정 및 교정이 필요한 것이고, 상기와 같이 경첩이 부하 및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경첩 자체의 상호 연결부에서 국부 피로누적으로 인해 휨이나 변형이 빠르게 진행되어 경첩의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은 물론 그로 인해 가구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33937 (2013.02.08. 등록) 대한민국공개실용 20-2009-0007417 (2009.07.22.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93874 (2019.06.21.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90969 (2020.01.22.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가구본체에 고정되는 본체장착부와 가구의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장착부가 연결회동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 형태의 가구용 경첩에 있어, 상기 도어장착부의 홀컵이 함몰 삽입되게 한 도어 내 설치홈에 별도 구비의 마운팅 가이더를 삽입하여 상기 도어장착부가 마운팅 가이더와 함께 도어에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마운팅 가이더에 의해 도어에 대하여 경첩이 정확한 수평 및 수직 상태로의 고정이 빠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마운팅 가이더에 의해 경첩에 작용하는 도어의 개폐 부하 및 도어 자체의 하중이 경첩에 안정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들 개폐 부하 및 도어 하중으로 인해 경첩의 고정 상태가 약화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별도의 도어 조정 작업이 불필요하거나 최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첩 및 가구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되는 홀컵 및 도어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를 갖는 도어장착부와; 가구본체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마운팅플랜지를 갖는 본체장착부와; 상기 본체장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조정볼트가 구비된 조정지지부와; 상기 도어장착부 및 조정지지부를 탄력적으로 상호 힌지 결합하는 연결회동부로 구성된 가구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도어장착부는 별도 구비의 마운팅 가이더와 함께 도어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마운팅 가이더는 도어장착부의 홀컵이 삽입되게 한 수용홈을 갖는 가이드컵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컵의 일측으로는 도어의 측부 끝단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지지편부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부의 끝단에는 도어의 측부 끝단면에 밀착되게 한 계지편부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도어장착부에 구비된 고정플레이트의 일측단에는 상,하로 이격된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가이더의 지지편부 표면에는 상기 끼움홈으로 일측 끝단이 각기 삽입되게 한 가이드돌부 한 쌍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지지편부 및 계지편부에는 상기 가구용 경첩의 조정지지부 및 연결회동부와의 상호 간섭이 회피되게 한 절취홈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에 경첩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마운팅 가이더는 상기 경첩의 도어장착부가 도어에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고정되게 하는 동시에 경첩의 본체장착부가 가구본체에 정확한 위치로 고정되도록 하므로, 경첩을 이용하여 도어와 가구본체를 단순 조립하는 과정만으로도 도어에 대한 시공후 보정 및 교정 작업없이 도어의 수직 및 수평 상태가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것이고, 복수의 도어를 갖는 가구의 경우 각 도어 간 간격이나 틈새가 일정하게 연출될 수 있는 것이며, 마운팅 가이더를 통해 수직 및 수평 상태로 고정된 경첩은 도어의 개폐시 작용하는 부하 및 도어 자체의 하중으로 인한 경첩 고정부에서의 회전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여 도어 및 경첩 간 상호 고정력이 가일층 향상되는 동시에 부하 및 하중을 경첩 전체로 분산 지지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경첩에 대한 사용 수명 연장은 물론 가구 전체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와 도어 간 장착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에 대한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의 도어장착부 및 마운팅 가이더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의 도어장착부 및 마운팅 가이더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의 도어장착부 및 마운팅 가이더를 또 다른 방향에서 보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의 도어장착부와 마운팅 가이더가 결합된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의 마인팅 가이더를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의 경첩을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 및 도어에 대한 분리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가 도어에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가 도어에 고정된 상태의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와 도어 간 장착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에 대한 전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의 도어장착부 및 마운팅 가이더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의 도어장착부 및 마운팅 가이더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의 도어장착부 및 마운팅 가이더를 또 다른 방향에서 보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의 도어장착부와 마운팅 가이더가 결합된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첩 어셈블리(100)는, 도어(10)에 형성된 설치홈(11)에 삽입되는 홀컵(111) 및 도어(10)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12)를 갖는 도어장착부(110)와; 가구본체(2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마운팅플랜지(121)를 갖는 본체장착부(120)와; 상기 본체장착부(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조정볼트(131)(131')가 구비된 조정지지부(130)와; 상기 도어장착부(110) 및 조정지지부(130)를 탄력적으로 상호 힌지 결합하는 연결회동부(140)와; 상기 도어장착부(110)와 함께 도어(10)에 장착되는 별도 구비의 마운팅 가이더(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도어장착부(110)는 도어(10)의 내측면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가구본체(20)에 도어(10)를 고정하기 전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도어장착부(110)에 형성된 홀컵(111)이 삽입되기 위한 설치홈(11)을 선행하여 가공 형성한 후, 상기 도어장착부(110)의 홀컵(111)을 상기 설치홈(11)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의 고정플레이트(112)는 도어(1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고정플레이트(112)에 형성된 관통의 체결공(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으로 나사못이나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나사못이나 고정볼트가 박혀 견고하게 고정되게 함에 따라 상기 도어(10)에 대한 도어장착부(110)의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상기의 본체장착부(120)는 가구본체(2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플랜지(12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마운팅플랜지(121)에 형성된 체결공(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으로 나사못이나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가구본체(20)의 내측면에 나사못이나 고정볼트를 박아 고정함에 따라 상기 본체장착부(120)와 가구본체(20)가 견고하게 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본체장착부(120)에는 복수 개의 조정볼트(131)(131')가 구비된 조정지지부(13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조정볼트(131)(131')의 회전을 통해 본체장착부(120)로부터 조정지지부(130)가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어 이들 조정볼트(131)(131')의 미세 회전으로 가구본체(20)에 장착되는 도어(10)에 대한 수직과 수평 및 전,후 방향으로의 조정이 어느정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조정지지부(130)의 끝단과 상기 도어장착부(110) 사이에는 연결회동부(140)가 구비되어 있고, 연결회동부(140)는 상기 도어장착부(110)와 조정지지부(130)에 각기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연결회동부(140) 내에는 금속의 코일스프링 등이 구비되어 있어 도어(10)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회동부(140)가 탄력적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도어(10)의 완전 개방 상태가 유지되게 하거나, 닫힘 과정에서 경첩 스스로의 회전 복귀력으로 인해 도어(10)가 자동으로 닫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정지지부(130)와 연결회동부(140)의 사이에는 별도 구비의 압축댐퍼(도면에는 미도시함)를 삽입하여 도어(10)의 닫힘 과정에서 상기의 압축댐퍼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10)는 자동 닫힘 과정에서 닫힘 직전 압축댐퍼에 의해 도어(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면서 저속의 부드러운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댐퍼 구조의 경첩도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가구용 경첩은 공지공용의 구성과 작용에 해당되는 바 구체적인 구조 설명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별도 구비의 마운팅 가이더(200)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장착부(110)가 마운팅 가이더(200)와 함께 도어(10)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마운팅 가이더(200)는 도어장착부(110)의 홀컵(111)이 삽입되게 한 수용홈(211)을 갖는 가이드컵(210)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컵(210)의 일측으로는 도어(10)의 측부 끝단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지지편부(220)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부(220)의 끝단에는 도어(10)의 측부 끝단면에 밀착되게 한 계지편부(230)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장착부(110)에 구비된 고정플레이트(112)의 일측단에는 상,하로 이격된 끼움홈(113)(113')을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가이더(200)의 지지편부(220) 표면에는 상기 끼움홈(113)(113')으로 일측 끝단이 각기 삽입되게 한 가이드돌부(221)(221') 한 쌍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지지편부(220) 및 계지편부(230)에는 상기 가구용 경첩(100)의 조정지지부(130) 및 연결회동부(140)와의 상호 간섭이 회피되게 한 절취홈부(222)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마운팅 가이더(200)를 도어(10)에 형성된 설치홈(11)에 삽입하게 되면 마운팅 가이더(200)의 가이드컵(210) 외면이 설치홈(11)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마운팅 가이더(200)의 지지편부(220)는 도어(10)의 내표면에 밀착되는 것이며, 마운팅 가이더(200)의 계지편부(230)는 도어(10)의 측단부 끝면에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의 마운팅 가이더(200)는 도어(10) 및 설치홈(11)에 대하여 상호 비회전 상태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마운팅 가이더(200)는 원형의 도어(10) 설치홈(11)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계지편부(230)가 도어(10)의 측단 끝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설치홈(11)으로부터 비회전 상태의 상호 결합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고, 추가로 상기 가이드컵(210)의 수용홈(211) 바닥부에 형성된 체결공(212)(212')으로 나사못이나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도어(10)에 박히도록 하면 상기 마운팅 가이더(200)는 도어(10)의 설치홈(11)으로부터 비회전 상태의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 가이더(200)의 지지편부(220)에 상,하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부(221)(221')는 상기 도어장착부(110)의 고정플레이트(112)에 형성된 끼움홈(113)(113')으로 삽입되어, 상기 도어장착부(110)의 홀컵(111)이 마운팅 가이더(200)의 가이드컵(210) 내 수용홈(211)으로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고, 지지편부(220) 및 계지편부(230)에 걸쳐 형성된 절취홈부(222)는 경첩의 연결회동부(140)가 상기 지지편부(220) 및 계지편부(230)와 간섭되는 것을 회피시켜 도어(10)의 여닫음 과정에서 연결회동부(140)와의 상호 간섭이나 방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마운팅 가이더(200)의 계지편부(230) 내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231)(231')를 더 형성하여 이러한 보강리브(231)(231')가 도어(10)의 측부 끝단면에 밀착 계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강리브(231)(231')에 의해 상기 계지편부(230)가 도어(10)의 끝단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젖혀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물론 도어(10)의 측단면에 대한 계지편부(230)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상기 도어(10) 및 설치홈(11)에 대한 마운팅 가이더(200)의 상호 고정력 및 회전 억제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의 장착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상적인 가구용 도어(10)의 배면에는 도어(10)의 크기나 형태 또는 무게에 따라 적어도 2개체 이상의 경첩이 고정되는 것으로, 경첩의 소요 개수에 따라 도어(10)의 배면에 상응하는 개수의 설치홈(11)을 도 7의 도시와 같이 미리 작업해두어야 하는 것이고, 상기 설치홈(11)으로 마운팅 가이더(200)의 가이드컵(210)을 삽입하는 동시에 마운팅 가이더(200)의 계지편부(230)가 도어(10)의 측단끝면에 밀착되도록 삽입하면 상기의 마운팅 가이더(200)는 계지편부(230)와 도어 끝단면 간의 계지력에 의해 상기 설치홈(11)으로부터 비회전 상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마운팅 가이더(200)의 가이드컵(210) 수용홈(211) 내 체결공(212)(212')을 통해 별도의 나사못 또는 체결볼트를 도어(10) 설치홈(11) 내 바닥면에 박아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의 마운팅 가이더(200)는 도어(10) 및 설치홈(11)에 대하여 더욱 견고한 비회전 상태로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조립에 의해 단일 개체의 형태를 갖는 가구용 경첩(100) 중 도어장착부(110)의 홀컵(111)이 상기 마운팅 가이더(200)의 가이드컵(210)에 형성된 수용홈(211)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과 동시에 도어(10)의 배면에 밀착되는 도어장착부(110)의 고정플레이트(112)를 상기 도어에 견고하게 나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가구용 경첩(100)은 도어장착부(110)의 홀컵(111)을 도어(10)의 설치홈(1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마운팅 가이더(200)는 도어(10)의 측단끝면에 밀착되는 계지편부(230)에 의해 도어(10)의 수직 및 수평 방향과 정확하게 일치된 방향으로 마운팅 가이더(20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마운팅 가이더(200)에 도어장착부(110)의 홀컵(111)을 삽입함과 동시에 마운팅 가이더(200)의 가이드돌부(221)(221') 끝단이 상기 도어장착부(110)의 고정플레이트(112)에 형성된 끼움홈(113)(113')으로 삽입 계지됨에 따라 상기 도어장착부(110)는 물론 가구용 경첩(100)이 도어(10)에 대하여 정확한 수직 및 수평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가이드돌부(221)(221')와 끼움홈(113)(113') 간의 상호 결합 계지력에 의해 가구용 경첩은 정확한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비회전 상태로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첩 어셈블리 중 도어장착부(110)가 도어(10)에 정확한 위치로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0)를 가구본체(20)의 전면 개구부에 밀착 시킨 후,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가구용 경첩의 본체장착부(120)를 가구본체(20)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본체장착부(120)의 마운팅플랜지(121)를 가구본체(20)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면 가구본체(20)에 대하여 도어(10)의 정렬 장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것이므로 상기 도어(10)에 대한 간격이나 방향 조정 등의 시공후 교정 및 보정 작업이 불필요하거나 매우 축소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구본체(20)에 도어(10)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어(10)를 반복적으로 여닫는 과정에서 가구용 경첩(100)에는 상당한 부하가 작용하게 되는 것이고, 도어(10) 자체의 무게 역시 가구용 경첩(100)에 하중을 지속적으로 가하게 될 것인데, 이러한 부하 및 하중으로 인해 기존에는 경첩의 나사 체결부가 느슨해지거나 경첩 자체의 변형이 발생하면서 시간이 경화함에 따라 도어(10)의 일측에 대한 처짐이 발생하여 도어의 여닫음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첩 어셈블리 중 마운팅 가이더(200)는 상기와 같은 가구용 경첩에 부하 및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상기의 경첩(10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부하 및 하중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 도어(10)의 여닫이 과정 및 자체의 하중은 가구용 경첩(100)의 도어장착부(110)와 연결회동부(140)에 대부분 집중되는 것은 물론 일부는 상기 본체장착부(120)에 작용할 것인데, 상기 마운팅 가이더(200)는 도어(10) 및 설치홈(1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돌부(221)(221')의 끝단이 본체장착부(120)의 고정플레이트(112)에 형성된 끼움홈(113)(113')으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도어장착부(110)에 작용하는 도어(10) 간의 상호 회전력은 상기 가이드돌부(221)(221')와 끼움홈(113)(113')의 결합 고정력에 의해 마운팅 가이더(200)로 전달 및 확산되면서 상기의 도어장착부(110)가 회전되려는 힘을 억제하는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부하 및 하중의 분산 작용 및 회전 억제력으로 인해 상기 연결회동부(140)에 작용하는 비틀림 부하와 하중은 상대적으로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운팅 가이더(200)를 이용하여 가구용 경첩(100)을 정확한 위치로 빠르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마운팅 가이더(200)를 통해 고정되는 가구용 경첩(100)으로 인해 가구본체(20)에 장착되는 도어(10) 역시 장착 직후 조정이나 보정 작업이 최소화될 수 있어 시공성 및 조립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마운팅 가이더(200)는 도어(10)와 가구용 경첩(100) 간의 부하 및 상호 작용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호 고정력을 가일층 향상시키므로 장기간 도어(10)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도어(10)의 초기 장착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도어의 처짐으로 인한 반복적인 교정 및 보정 작업이 불필요한 것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균일한 간격을 갖고 도어가 지속적으로 정렬되어 있어 가구 본래의 목적과 미려함을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유지 및 관리의 측면에서도 지극히 유리한 특장점을 연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도어 11 : 설치홈
20 : 가구본체
100 : 가구용 경첩
110 : 도어장착부 111 : 홀컵
112 : 고정플레이트 113,113' : 끼움홈
120 : 본체장착부 121 : 마운팅플랜지
130 : 조정지지부 131,131' : 조정볼트
140 : 연결회동부
200 : 마운팅 가이더
210 : 가이드컵 211 : 수용홈
212,212' : 체결공
220 : 지지편부 221,221' : 가이드돌부
222 : 절취홈부
230 : 계지편부 231,231' : 보강리브

Claims (3)

  1. 도어(10)에 형성된 설치홈(11)에 삽입되는 홀컵(111) 및 도어(10)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12)를 갖는 도어장착부(110)와; 가구본체(2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마운팅플랜지(121)를 갖는 본체장착부(120)와; 상기 본체장착부(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조정볼트(131)(131')가 구비된 조정지지부(130)와; 상기 도어장착부(110) 및 조정지지부(130)를 탄력적으로 상호 힌지 결합하는 연결회동부(140)로 구성된 가구용 경첩(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장착부(110)는 별도 구비의 마운팅 가이더(200)와 함께 도어(10)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마운팅 가이더(200)는 도어장착부(110)의 홀컵(111)이 삽입되게 한 수용홈(211)을 갖는 가이드컵(210)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컵(210)의 일측으로는 도어(10)의 측부 끝단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지지편부(220)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부(220)의 끝단에는 도어(10)의 측부 끝단면에 밀착되게 한 계지편부(230)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도어장착부(110)에 구비된 고정플레이트(112)의 일측단에는 상,하로 이격된 끼움홈(113)(113')을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가이더(200)의 지지편부(220) 표면에는 상기 끼움홈(113)(113')으로 일측 끝단이 각기 삽입되게 한 가이드돌부(221)(221') 한 쌍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지지편부(220) 및 계지편부(230)에는 상기 가구용 경첩(100)의 조정지지부(130) 및 연결회동부(140)와의 상호 간섭이 회피되게 한 절취홈부(222)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마운팅 가이더(200)의 가이드컵(210)에는 관통의 체결공(212)(212')을 더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2)(212')을 통해 도어(10)의 설치홈(11) 바닥면으로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도어(10)에 대한 마운팅 가이더(200)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마운팅 가이더(200)의 계지편부(230) 내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231)(231')를 더 형성하여, 상기 보강리브(231)(231')가 도어(10)의 측부 끝단면에 밀착 계지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KR1020220070078A 2022-06-09 2022-06-09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KR102465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078A KR102465423B1 (ko) 2022-06-09 2022-06-09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078A KR102465423B1 (ko) 2022-06-09 2022-06-09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423B1 true KR102465423B1 (ko) 2022-11-11

Family

ID=8404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078A KR102465423B1 (ko) 2022-06-09 2022-06-09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4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48U (ja) * 1993-06-22 1995-01-24 高橋金物株式会社 家具用蝶番
US5632064A (en) * 1995-02-01 1997-05-27 Lautenschlaeger; Reinhard Cabinet hinge
JP2004332373A (ja) * 2003-05-07 2004-11-25 Sugatsune Ind Co Ltd スライドヒンジ
KR20090007417U (ko) 2008-01-18 2009-07-22 유상현 가구용 경첩
KR101233937B1 (ko) 2011-07-05 2013-02-15 유상현 가구용 경첩의 회동 감속장치
KR101993874B1 (ko) 2018-12-07 2019-06-27 신안케이에프 주식회사 가구용 경첩
KR200490969Y1 (ko) 2019-03-13 2020-03-02 조영란 도어 개폐용 유압식 경첩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48U (ja) * 1993-06-22 1995-01-24 高橋金物株式会社 家具用蝶番
US5632064A (en) * 1995-02-01 1997-05-27 Lautenschlaeger; Reinhard Cabinet hinge
JP2004332373A (ja) * 2003-05-07 2004-11-25 Sugatsune Ind Co Ltd スライドヒンジ
KR20090007417U (ko) 2008-01-18 2009-07-22 유상현 가구용 경첩
KR101233937B1 (ko) 2011-07-05 2013-02-15 유상현 가구용 경첩의 회동 감속장치
KR101993874B1 (ko) 2018-12-07 2019-06-27 신안케이에프 주식회사 가구용 경첩
KR200490969Y1 (ko) 2019-03-13 2020-03-02 조영란 도어 개폐용 유압식 경첩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44471B (zh) 用于家具的翻板配件、家具主体的侧壁以及具有侧壁的家具
US8307502B2 (en) Integrated hinge assembly
RU2467141C2 (ru) Потайная дверная петля
US7594300B2 (en) Adjustable hinge
US6286262B1 (en) Fitting having support arm or swing arm for supporting a turning sash or a turning-tilting sash
JP2015526617A (ja) ドアヒンジ
AU2004221739B2 (en) Fitting
US20040034966A1 (en) Cabinet hinge installable by one person
KR102465423B1 (ko)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JPH09235935A (ja) 閉鎖要素、特に折畳戸/引戸の扉用支持体
KR102465568B1 (ko) 결속형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KR102519272B1 (ko) 도어 고정형 마운팅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어셈블리
US5765262A (en) Hinge for the articulated connection of two leaves of a door
KR19990015197U (ko) 냉장고의 하부힌지어셈블리
JPH03271477A (ja) 扉、窓等の揺動式開き戸用折りたたみ腕支え具
KR102234170B1 (ko) 서랍 측면 간격 조정용 모듈러가 구비된 서랍기능 수납가구
US20230145622A1 (en) Hinge
CN217925414U (zh) 一种铰链座
CN219158721U (zh) 一种三维可调铝框门阻尼铰链装置
JPH11241557A (ja) スライド・スイング式ドア装置
RU2775117C2 (ru) Фурнитура створки для предмета мебели, боковая стенка корпуса мебели и предмет мебели, имеющий боковую стенку
JP5346579B2 (ja) ヒンジ
CN212027481U (zh) 一种快装窄边框玻璃门铰链
KR100770425B1 (ko) 가구 힌지용 댐핑 장치
CN215332171U (zh) 一种埋入式铰链的稳固装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