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737B1 -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737B1
KR102090737B1 KR1020180119227A KR20180119227A KR102090737B1 KR 102090737 B1 KR102090737 B1 KR 102090737B1 KR 1020180119227 A KR1020180119227 A KR 1020180119227A KR 20180119227 A KR20180119227 A KR 20180119227A KR 102090737 B1 KR102090737 B1 KR 102090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p
pivot
connect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복
Original Assignee
김해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복 filed Critical 김해복
Priority to KR1020180119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8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와 문틀을 뒤틀림에 따른 갭 보정이 가능한 경첩 기능의 피봇 어셈블리로 연결한 것이며, 이에 따라 문틀로부터 도어를 분리시키지 않고 누구나 쉽게 공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문틀을 기준으로 도어의 뒤틀림에 따른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갭을 간편하게 보정하면서 도어의 개폐 불량을 개선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Pivot assembly that can compensate for door gap}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갖으며 물건 수납이 가능한 거실용 가구나 씽크대와 같은 주방용 가구 또는 장롱이나 이불장 및 옷장 등과 같은 안방용 가구, 그리고 건물 내,외부 등에 출입을 위해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틀(또는 본체)과 도어 사이에 갭(gap) 발생시 이를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공간을 갖으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거실용 가구 또는 씽크대와 같은 주방용 가구 또는 장롱이나 이불장 및 옷장 등과 같은 안방용 가구이거나, 건물 내,외부 등에는 도어가 설치되며, 이러한 도어는 개폐 방식에 따라 크게 여닫이식과 미닫이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여닫이식 도어는 경첩을 통해 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여닫이식 도어에 적용되는 경첩은, 도어에 고정될 수 있는 제 1 고정부와, 문틀(또는 본체)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경첩에 의해 도어의 개폐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경첩에 의해 개폐 회전이 가능한 도어는, 그 사용 연한에 따라 최초 설치된 상태에서 뒤틀림이 발생하게 되면서, 도어와 문틀 사이에는 갭이 생기고, 이러한 갭으로 인해 도어의 개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지만, 종래에는 경첩을 분리시키지 않고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갭을 보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즉, 종래 도어와 문틀을 연결하는 경첩은 고정체로서 그 설치 위치는 항상 고정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도어와 문틀 사이에 갭 발생시, 경첩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도어 또는 문틀의 마주하는 면(面)을 깍아내리거나 또는 경첩 분리 부위에 일정두께를 가지는 별도의 갭 보정 판재를 부착한 후 이에 경첩을 재설치하여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갭을 없애도록 하였지만, 상기와 같은 갭 보정 방식은 작업이 복잡하고, 특히 숙련자가 아니면 도어 뒤틀림에 따른 갭 보정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등의 한계가 존재하였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658호(공고일 2005.11.2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894호(공고일 2006.01.24.)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5715호(공개일 2008.10.29.) 등록특허공보 제10-1552218호(공고일 2015.09.11.)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4463호(공개일 2018.02.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문틀로부터 도어를 분리시키지 않고 외부에서 문틀을 기준으로 도어의 뒤틀림에 따른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갭을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는, 문틀의 일측면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고정부; 도어의 상,하면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회전을 가이드하며,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 사이에 갭 발생시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의 수직 라인 갭 또는 수평 라인 갭을 보정하는 피봇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문틀의 일측면 상,하단에 각각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구를 형성하여둔 수직 고정판; 및, 상기 수직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피봇부가 결합되는 제 1 연결구를 형성하여둔 제 1 수평 연결판;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도어의 상,하면 일측에 각각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체결구를 형성하여둔 수평 고정판; 및, 상기 수평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피봇부가 결합되는 제 2 연결구를 형성하여둔 제 2 수평 연결판;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봇부는, 상기 제 1 연결구에 체결 고정되는 링 타입의 고정체;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 연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관통된 것으로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 사이의 수직 라인에 대한 갭 조정을 가이드하는 편심홀을 형성하여둔 회전체; 상기 제 2 수평 연결판의 상면에서 상기 제 2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를 형성하면서 내부 중공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둔 회전 이동형의 피봇몸체; 및, 상기 회전체의 편심홀에 선단부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 사이의 수평 라인에 대한 갭 조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피봇몸체의 내부 중공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피봇 몸체의 회전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 핀;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편심홀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편심홀의 위치 변경에 따라 상기 편심홀에 선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 핀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 사이의 수직 라인에 대한 갭을 넓게 또는 좁게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 1 연결구에 체결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체의 외주면에는 제 1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축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핀홀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으로 걸림되는 제 1 고정핀에 의해 상기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 1 연결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 직경은 상기 제 1 연결구를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연결구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구는 각형 구조를 이루는 홀이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 1 연결구에 체결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이 각형 구조를 이루는 링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구는 원형 홀이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원형 홀을 이루는 상기 제 2 연결구에서의 회전이 가능한 원형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편심홀과 상기 가이드 핀의 선단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봇몸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핀에는 제 2 핀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피봇몸체는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핀홀에 체결되는 제 2 고정핀에 의해 회전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와 문틀을 갭 보정이 가능한 경첩 기능의 피봇 어셈블리로 연결한 것이고, 이를 통해 문틀로부터 도어를 분리시키지 않고 누구나 쉽게 공구(예; 드라이버 등)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문틀을 기준으로 도어의 뒤틀림에 따른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갭을 간편하게 보정하면서 도어의 개폐 불량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봇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봇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봇 어셈블리를 통해 문틀과 도어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봇 어셈블리의 편심홀 회전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봇 어셈블리의 피봇 몸체가 회전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4a 및 도 4b의 편심홀 회전 또는 도 6a 및 도 6b의 피봇 몸체 회전 이동에 따라 문틀과 도어 사이의 수직 라인 갭(G1', G1) 또는 수평 라인 갭(G2, G2')을 조정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봇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봇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봇 어셈블리를 통해 문틀과 도어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A, A')는 종래 경첩을 대체한 것으로, 제 1 고정부(10), 제 2 고정부(20), 피봇부(30), 제 1 고정핀(40), 제 2 고정핀(50)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고정부(10)는 문틀(100)의 일측면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수직 고정판(11)과 제 1 수평 연결판(12)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수직 고정판(11)은 상기 문틀(100)의 일측면 상,하단에 각각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30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수직 고정판(11)에는 상기 체결부재(300)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구(11a)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수평 연결판(12)은 상기 수직 고정판(11)으로부터 90°방향으로 꺽이면서 연장된 수평판으로서, 상기 피봇부(30)가 결합되는 제 1 연결구(12a)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결구(12a)는 각형 구조를 이루는 홀이고,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의 홀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피봇부(30)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고정체(3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각형 구조는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고정부(20)는 상기 문틀(100)에 결합되는 상기 제 1 고정부(10)에 대응하여 도어(200)의 상,하면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수평 고정판(21)과 제 2 수평 연결판(22)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 고정판(21)은 상기 도어(200)의 상,하면 일측에 각각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30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수평 고정판(2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체결구(21a)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 고정판(21)은 상기 수직 고정판(11)과 L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수평 연결판(22)은 상기 수평 고정판(21)으로부터 90°방향으로 꺽이면서 연장된 수평판으로, 상기 피봇부(30)가 결합되는 제 2 연결구(22a)를 형성하여둔 것이며, 상기 제 2 수평 연결판(22)은 상기 제 1 수평 연결판(12)과 상하 적층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수평 연결판(12)이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수평 연결판(22)은 상기 제 1 수평 연결판(12) 위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적층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연결구(22a)는 상기 피봇부(3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원형 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피봇부(30)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10, 20)의 일단, 즉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 연결판(12, 22)을 연결하여 상기 도어(200)의 개폐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문틀(100)과 상기 도어(200) 사이에 갭 발생시 상기 문틀(100)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200)의 수직 라인 갭(G1) 또는 수평 라인 갭(G2)을 보정하는 것이며, 고정체(31), 회전체(32), 피봇몸체(33), 가이드 핀(34)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체(31)는 상기 제 1 수평 연결판(12)의 상기 제 1 연결구(12a)에 체결 고정되는 링 타입의 구조물로서, 이는 각형 구조의 홀인 상기 제 1 연결구(12a)에 체결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이 상기 제 1 연결구(12a)의 각형 구조와 동일한 각형 구조를 이루는 링 구조물인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체(31)는 외주면에 제 1 핀홀(31a)이 형성된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고정체(31)는 상기 제 1 연결구(12a)에 체결되면서 외부로 일부 노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 핀홀(31a)에 제 1 고정핀(40)이 관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32)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 연결판(12, 22)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체(31)에 결합되는 축부(32a)와, 상기 축부(32a)를 관통하여둔 것으로 상기 문틀(100)과 상기 도어(200) 사이의 수직 라인에 대한 갭(G1) 조정을 가이드하는 편심홀(32b)을 형성하여둔 것이고, 상기 축부(32a)에는 걸림홈(32c)을 형성하여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 1 핀홀(31a)을 상기 제 1 고정핀(40)이 관통할 때, 상기 제 1 고정핀(40)은 상기 걸림홈(32c)에 걸림되면서, 상기 고정체(31)와 상기 회전체(32)는 상기 제 1 연결구(12a)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결합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32)의 직경은 상기 제 1 연결구(12a)를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연결구(12a)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됨은 물론, 상기 편심홀(32b)은 상기 회전체(32)의 회전에 따라 위치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편심홀(32b)의 위치 변경에 따라 상기 편심홀(32b)에 선단부(34a)가 끼움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 핀(34)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문틀(100)과 상기 도어(200) 사이의 수직 라인에 대한 갭(G1)을 넓게 또는 좁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피봇몸체(33)는 상기 제 2 수평 연결판(22)의 상면에서 원형 홀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제 2 연결구(2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피봇몸체(33)에는 상기 제 2 연결구(22a)에 안착되는 플랜지(33a)가 형성됨은 물론, 내부 중공부에는 나사산(33b)을 형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피봇몸체(33)에는 상기 제 2 고정핀(5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절개부(33c)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핀(34)은 상기 회전체(32)의 편심홀(32b)에 선단부(34a)가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피봇몸체(33)의 내부 중공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33b)에 체결되는 나사산(34b)이 형성되며, 상기 피봇몸체(33)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방향(도면 기준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도면 기준 하방향)으로 회전 이동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 핀(34)은 피봇 몸체(33)가 상기 가이드 핀(34)을 축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문틀(100)과 상기 도어(200) 사이의 수평 라인에 대한 갭(G2)을 조정할 때 그 회전 이동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34)에는 제 2 핀홀(34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고정핀(50)이 상기 절개부(33c)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핀홀(34c)에 체결시, 상기 피봇몸체(33)는 회전 이동이 제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편심홀(32b)과 상기 가이드 핀(34)의 선단부(34a)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는 상기 회전체(32)와 상기 피봇몸체(33)가 경첩 기능으로서 회전을 통해 상기 도어(200)의 개폐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어셈블리(A, A')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도어(200)의 상,하단을 문틀(100)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도어(200)의 개폐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결 구조에서, 첨부된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0)와 상기 문틀(100) 사이에서 상단 또는 하단에 수직 라인의 갭이 발생하여, 상기 도어(200)의 개폐 회전이 불량해지거나 또는 상기 문틀(100)로 상기 도어(200)의 닫힘이 불량해지는 경우, 우선 고정체(31)에 형성되는 제 1 핀홀(31a)에서 제 1 고정핀(40)을 분리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고정핀(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있던 회전체(32)의 축부(32a)는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축부(32a)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32)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축부(32a)에는 편심홀(3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편심홀(32b)에는 가이드 핀(34)의 선단부(34a)가 체결되어 있는 바, 상기 회전체(32)를 회전시켜 상기 축부(32a)에 형성되는 편심홀(32b)을 도 4b에서와 같이 도어(200)에 근접되도록 회전시키거나 또는 도 4a에서와 같이 문틀(100)에 근접되도록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편심홀(32b)에 선단부(34a)가 체결된 상기 가이드 핀(34) 또한 상기 도어(200) 또는 상기 문틀(100)에 근접하는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서, 내부 중공부에 상기 가이드 핀(34)이 결합된 피봇몸체(33)는 도어(200)측 또는 문틀(10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봇 몸체(33)가 도어(200)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피봇 몸체(33)가 결합되는 제 2 고정부(20)가 연동하여 함께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문틀(100)과 상기 도어(200) 사이의 갭(G1)은 넓어지게 된다.
반면, 상기 피봇 몸체(33)가 문틀(100)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피봇 몸체(33)가 결합되는 상기 제 2 고정부(20)가 연동하여 함께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문틀(100)과 상기 도어(200) 사이의 갭(G1')은 좁아질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조정 작업을 반복하여, 상기 문틀(100)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200)의 수직 라인에 대한 갭(G1, G1')을 정상적인 범위, 즉 상기 도어(200)의 정상적인 개폐 회전이 가능한 범위내로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결 구조에서,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0)와 상기 문틀(100) 사이에서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 라인의 갭이 발생하여, 상기 도어(200)의 개폐 회전이 불량해지거나 또는 상기 문틀(100)로 상기 도어(200)의 닫힘이 불량해지는 경우, 우선 가이드 핀(34)의 제 2 핀홀(34c)에서 제 2 고정핀(50)을 분리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2 고정핀(5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있던 피봇 몸체(33)와 상기 피봇 몸체(33)의 내부 중공부에 결합된 가이드 핀(34)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피봇 몸체(33)는 상기 가이드 핀(34)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피봇 몸체(33)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피봇 몸체(3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피봇 몸체(33)가 도 5a에서와 같이 제 2 고정부(20)의 제 2 수평 연결판(22)을 밀거나 또는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수평 연결판(22)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0)의 상,하 수평 라인은 각각 문틀(100)에 근접 또는 멀어지는 갭(G2, G2') 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와 같은 조정 작업을 반복하여, 상기 문틀(100)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200)의 수평 라인에 대한 갭(G2, G2')을 정상적인 범위, 즉 상기 도어(200)의 정상적인 개폐 회전이 가능한 범위내로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거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제 1 고정부 11; 수직 고정판
11a; 제 1 체결구 12; 제 1 수평 연결판
12a; 제 1 연결구 20; 제 2 고정부
21; 수평 고정판 21a; 제 2 체결구
22; 제 2 수평 연결판 22a; 제 2 연결구
30; 피봇부 31; 고정체
31a; 제 1 핀홀 32; 회전체
32a; 축부 32b; 편심홀
32c; 걸림홈 33; 피봇몸체
33a; 플랜지 33b; 나사산
33c; 절개부 34; 가이드 핀
34a; 선단부 34b; 나사산
34c; 제 2 핀홀 40; 제 1 고정핀
50; 제 2 고정핀 100; 문틀
200; 도어 300; 체결부재

Claims (11)

  1. 문틀의 일측면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고정부;
    도어의 상,하면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회전을 가이드하며,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 사이에 갭 발생시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의 수직 라인 갭 또는 수평 라인 갭을 보정하는 피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문틀의 일측면 상,하단에 각각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구를 형성하여둔 수직 고정판; 및,
    상기 수직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피봇부가 결합되는 제 1 연결구를 형성하여둔 제 1 수평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도어의 상,하면 일측에 각각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체결구를 형성하여둔 수평 고정판; 및,
    상기 수평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피봇부가 결합되는 제 2 연결구를 형성하여둔 제 2 수평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부는,
    상기 제 1 연결구에 체결 고정되는 링 타입의 고정체;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 연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관통된 것으로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 사이의 수직 라인에 대한 갭 조정을 가이드하는 편심홀을 형성하여둔 회전체;
    상기 제 2 수평 연결판의 상면에서 상기 제 2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를 형성하면서 내부 중공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둔 회전 이동형의 피봇몸체; 및,
    상기 회전체의 편심홀에 선단부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 사이의 수평 라인에 대한 갭 조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피봇몸체의 내부 중공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피봇 몸체의 회전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 1 연결구에 체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체의 외주면에는 제 1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축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핀홀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으로 걸림되는 제 1 고정핀에 의해 상기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 1 연결구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홀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 사이의 수직 라인에 대한 갭을 넓게 또는 좁게 조정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편심홀의 위치 변경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직경은 상기 제 1 연결구를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연결구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구는 각형 구조를 이루는 홀이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 1 연결구에 체결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이 각형 구조를 이루는 링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구는 원형 홀이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원형 홀을 이루는 상기 제 2 연결구에서의 회전이 가능한 원형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홀과 상기 가이드 핀의 선단부는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몸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핀에는 제 2 핀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피봇몸체는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핀홀에 체결되는 제 2 고정핀에 의해 회전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KR1020180119227A 2018-10-05 2018-10-05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KR102090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27A KR102090737B1 (ko) 2018-10-05 2018-10-05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27A KR102090737B1 (ko) 2018-10-05 2018-10-05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737B1 true KR102090737B1 (ko) 2020-03-18

Family

ID=6999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227A KR102090737B1 (ko) 2018-10-05 2018-10-05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73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116B2 (ja) * 1993-04-05 1996-08-14 日本ドアーチエック製造株式会社 ピボットヒンジ
JP3716343B2 (ja) * 2001-12-11 2005-11-16 有限会社ベスト青梅 軸調整ヒンジ
KR200401658Y1 (ko) 2005-08-19 2005-11-21 장유량 도어경첩
KR200406894Y1 (ko) 2005-10-24 2006-01-24 강성태 고정구가 부착된 도어경첩
KR100714549B1 (ko) * 2004-05-27 2007-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힌지장치
KR20080095715A (ko) 2007-04-24 2008-10-29 강성태 도어용 경첩
KR101552218B1 (ko) 2015-06-02 2015-09-11 부성정밀(주) 열림각도 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경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116B2 (ja) * 1993-04-05 1996-08-14 日本ドアーチエック製造株式会社 ピボットヒンジ
JP3716343B2 (ja) * 2001-12-11 2005-11-16 有限会社ベスト青梅 軸調整ヒンジ
KR100714549B1 (ko) * 2004-05-27 2007-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힌지장치
KR200401658Y1 (ko) 2005-08-19 2005-11-21 장유량 도어경첩
KR200406894Y1 (ko) 2005-10-24 2006-01-24 강성태 고정구가 부착된 도어경첩
KR20080095715A (ko) 2007-04-24 2008-10-29 강성태 도어용 경첩
KR101552218B1 (ko) 2015-06-02 2015-09-11 부성정밀(주) 열림각도 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5635E (en) Adjustable casement hinge
US20130014345A1 (en) Hidden door hinge
EP2912248B1 (en) Concealed hinge for furniture doors and doors
RU2217567C1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узел с петлей для дверей, окон и т.п.
RU2309234C2 (ru) Шарнирный механизм
US5375296A (en) Adjustable hing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inset doors
KR102090737B1 (ko)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IE86891B1 (en) Hinge for a door or the like
EP4343094A1 (en) Load-bearing accessory, and window
US11859426B2 (en) Hinge assembly
US20210285270A1 (en) Door hinge
US10801253B2 (en) End load arm
US8413381B2 (en) Hinge
KR101077987B1 (ko)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JP6687920B2 (ja) 二軸ヒンジ、およびその二軸ヒンジを備えた止水扉、並びに二軸ヒンジを用いた扉の取り付け方法
GB2620359A (en) Adjustable Hinge
JP3235352U (ja) ヒンジ装置及びドア構造
KR100262397B1 (ko) 냉장고의 도어높이 조절장치
WO2004067888A1 (en) Three directional adjustable hinge
KR102517606B1 (ko) 도어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창호
US6925683B2 (en) Hinge
CN112211515A (zh) 一种门缝微缝三维可调重型暗铰链
US658259A (en) Combined blind-hinge and storm-window fastener.
WO2020113916A1 (zh) 一种铰接组件和相关的活动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