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987B1 -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 Google Patents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987B1
KR101077987B1 KR1020090009956A KR20090009956A KR101077987B1 KR 101077987 B1 KR101077987 B1 KR 101077987B1 KR 1020090009956 A KR1020090009956 A KR 1020090009956A KR 20090009956 A KR20090009956 A KR 20090009956A KR 101077987 B1 KR101077987 B1 KR 101077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door
hinge
hole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593A (ko
Inventor
오세진
오금성
Original Assignee
오금성
오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금성, 오세진 filed Critical 오금성
Priority to KR1020090009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9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힌지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양측으로부터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는 힌지공을 갖는 유동블럭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유동블럭은 제1고정부재의 측부로부터 삽입된 조정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정볼트의 회전을 통해 유동블럭이 슬라이딩되게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상부 일측이나 하부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유압식 힌지장치의 힌지축이나 도어프레임의 피봇축과 결합되는 힌지공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도어와 프레임 간의 균일한 수직 틈새의 형성은 물론 도어의 원활한 회전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자동 닫힘 도어가 시공된 상태에서도 도어의 기울어짐을 보정하거나 틈새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 힌지고정구 내의 유동블럭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에 대한 설치 시간의 단축은 물론 시공 인력의 감소 등 매우 뛰어난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 것이다.
자동닫힘도어, 힌지고정구, 고정부재, 유동블럭, 힌지공, 조정볼트

Description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Hinge fixing device of auto-closing door capable of adjustment of position of hinge hall}
본 발명은 유압식 힌지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한 자동 닫힘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닫힘 도어의 상부 일측 또는 하부 일측에 장착되는 힌지고정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프레임 또는 유압식 힌지장치로부터 돌출되는 힌지축 또는 피봇축과의 정확한 힌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도어프레임과 자동 닫힘 도어 간의 균일하고 세밀한 간격 조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도어용 힌지고정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자가 여닫이 도어를 통과한 후에 도어가 열려져 있는 경우에는 실내의 냉,난방 효과가 떨어져 많은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며, 실외의 매연 또는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의 환경의 열악하게 한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동 닫힘 도어용 유압식 힌지장치가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압식 힌지장치에 의한 자동 닫힘 도어는, 도어가 설치될 바닥 부에 유압식 힌지장치를 매설하고, 상기 도어의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에는 각각 힌지고정구를 결합 형성하여, 도어의 하부 일측에 위치한 힌지고정구는 유압식 힌지장치의 회전축과 결합되게 하고 도어의 상부 일측에 위치한 힌지고정구는 도어프레임의 상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피봇축과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의 도어가 유압식 힌지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이 바닥부에 유압식 힌지장치를 매설함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도어의 하부 일측에 슬림형 유압식 힌지장치를 직접 장착하고 이와 대응하는 바닥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만을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의 상부 일측에는 힌지고정구를 체결하고 이와 대응하는 도어프레임의 상부에는 피봇축을 하향 돌출 형성하여 이들의 힌지 결합을 통해 개방 상태의 도어가 자동으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유압식 힌지장치가 바닥부에 매설되거나 도어에 직접 장착되는 것과 무관하게 상기의 도어에는 힌지축 또는 피봇축과의 힌지 결합을 가능케 하는 힌지고정구가 사용되어야 하는 것인데, 상기의 힌지고정구는 통상적으로 도어와의 체결수단과 힌지축 또는 피봇축과의 힌지 고정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자동 닫힘 도어를 설계 및 시공함에 있어 유압식 힌지장치의 회전축과 도어 프레임의 피봇축 및 이들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고정구 간의 정확한 수직선상 시공 및 체결이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이들의 정밀한 시공으로 인해 도어 프레임과 도어 간에는 균일한 틈새가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힌지고정구는 유압식 힌지장치의 힌지축이나 도어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피봇축이 결합되기 위한 힌지공이 힌지고정구에 단순히 홈 형태로 가공된 구조를 갖고 있어 자동 닫힘 도어를 설치하는 경우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즉, 전기한 바와 같이 자동 닫힘 도어와 도어프레임은 서로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평행 설치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고,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도 도어의 원활한 회전 작동을 위한 수직방향으로의 균일한 틈새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인데, 미리 설치된 상태의 힌지축이나 피봇축에 대하여 힌지고정구의 설치 위치가 균일하지 못한 경우에는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틈새가 불균일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힌지축이나 피봇축이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어긋나 시공된 경우에도 균일하고 일정한 틈새를 형성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힌지축과 피봇축 또는 힌지고정구의 불균일한 고정 설치가 발생하는 경우 시공 상태의 도어는 원활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어 간의 상호 간섭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위치의 이동이 용이한 힌지고정구의 재조립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힌지고정구를 반복적으로 분해와 조립하는 작업을 통해 힌지축 및 피봇축에 대한 힌지고정구의 체결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게 되므로 자동 닫힘 도어를 시공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늘어나게 됨은 물론 힌지고정구를 도어로부터 분해 하여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시켜 재장착하는 과정에서 힌지고정구와 도어 간의 틈새가 발생하므로 이들 상호간의 견고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어와 힌지고정구 간의 틈새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어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도어와 힌지고정구 간의 고정력 상실로 이어지므로 이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힌지축이나 피봇축에 대한 힌지고정구의 위치 조정은 도어로부터 힌지고정부를 분해하여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중량체인 도어를 잡아주는 작업자와 힌지고정구를 분해 및 조립하는 작업자 등 적어도 2인 이상이 도어 설치에 대한 틈새 조정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은 물론 극히 불량한 작업성으로 인해 작업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도어의 양측으로부터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는 힌지공을 갖는 유동블럭이 슬라이딩되게 결합 형성하며, 상기 유동블럭은 제1고정부재의 측부로부터 삽입된 조정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정볼트의 회전을 통해 유동블럭이 슬라이딩되게 구성함으로써,
힌지고정구가 도어에 견고하게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조정볼트의 회전만으로도 힌지공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힌지고정구 및 그 힌지고정구에 의한 힌지결합부에 대한 조정작업이 갖는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코너절취부에 밀착 고정되게 한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를 각기 분할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는 힌지공이 형성된 유동블럭이 노출되도록 삽입하며, 상기의 유동블럭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결합상태의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측부로부터 삽입되는 조정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조정볼트의 회전에 따라 유동블럭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하되,
결합된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하부와 일측에는 도어의 코너절취부가 삽입되게 한 이격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상부 일측이나 하부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유압식 힌지장치의 힌지축이나 도어프레임의 피봇축과 결합되는 힌지공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도어와 프레임 간의 균일한 수직 틈새의 형성은 물론 도어의 원활한 회전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자동 닫힘 도어가 시공된 상태에서도 도어의 기울어짐을 보정하거나 틈새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 힌지고정구 내의 유동블럭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에 대한 설치 시간의 단축은 물론 시공 인력의 감소 등 매우 뛰어난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를 도어에 결합한 상태의 시공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를 도어에 결합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를 도어에 결합한 상태의 외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는 서로 분할 형성된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 및 유동블럭(30)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고정부재(10)의 일측면에는 안치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안치홈(11)의 하부에는 안내홈(1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10)에는 제2고정부재(10)와 서로 결합되기 위한 볼트삽입공(13)(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20)의 일측면에는 제1고정부재(10)와 대응하는 안치홈(21)과 안내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제2고정부재(20)를 제1고정부재(10)와 결합하기 위한 너트공(23)(23')이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안치홈(11) 내에 별도의 유동블럭(30)을 삽입한 상태에서 분할의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를 서로 체결 형성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 유동블럭(30)의 양측에는 돌출된 걸림턱부(32)(3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걸림턱부(32)(32')가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안내홈(12)(22)으로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의 유동블럭(30)을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대향 안치홈(11)(21) 내에 삽입하면, 상기의 유동블럭(30)은 결합상태의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로부터 이탈되지는 않고 횡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은 자유로 운 상태가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유동블럭(30)에는 수직의 힌지공(31)과 횡방향의 나사공(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힌지공(31)으로는 유압식 힌지장치의 회전축이나 도어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피봇축이 삽입되는 것이고, 상기의 나사공(33)에는 제1고정부재(10)의 일측부로부터 삽입된 조정볼트(40)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조정볼트(40)의 회전에 의해 유동블럭(30)이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제1고정부재(10)의 안치홈(11) 일측에는 조정볼트(40)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14)을 형성하고, 상기의 결합공(14)에는 제1고정부재(1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조정볼트(40)가 끼워져 안치홈(11)의 내부로 노출되게 하되, 상기 조정볼트(40)에는 원형의 고정홈(41)을 형성하여 상기의 고정홈(41)에 별도의 고정링(60)을 체결함에 따라 상기의 조정볼트(40)는 제1고정부재(10)로부터 자유로운 회전은 이루어지는 반면 상기 고정링(60)에 의해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정볼트(40)에 상기 유동블럭(30)의 나사공(33)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의 조정볼트(40)를 회전시키면, 상기의 조정볼트(40)는 머리부와 고정링(60)에 의해 유동하지 못하므로 결국 유동블럭(30) 만이 조정볼트(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동블럭(30)의 슬라이딩 작용은 힌지공(31)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결국 힌지축이나 피봇축과 상기의 힌지공(31)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정볼트(40) 만을 회전시켜 이들의 정확한 상호 힌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체결은 별도의 체결볼트(50)(50') 및 체결너트(51)(51')의 상호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고정부재(10)에 형성된 볼트삽입공(13)(13')으로 체결볼트(50)(50')를 삽입한 상태에서 제2고정부재(20)의 너트공(23)(23')에 위치하는 체결너트(51)(51')와 서로 견고하게 조립하면 이들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견고한 조립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를 도어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체결볼트(50)(50')와 체결너트(51)(51')가 가조립되게 한 상태에서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대향면에 형성된 이격공간부(S) 내측으로 도어(100)의 코너절취부(101)가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의 체결볼트(50)(50')와 체결너트(51)(51')를 견고하게 조립하면 이들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 및 도어(100)가 서로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도어(100)에 밀착되는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대향면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쿠션부재(70)(70')를 부착 형성하게 되면, 금속재로 된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가 유리재인 도어(10)와 간섭하여 발생하는 충격이나 파손 및 균열 등을 예방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자동 닫힘 도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의 도시와 같이 유압식 힌지장치(110)가 도어(100)의 하단에 직접 고정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의 힌지고정구를 도어(100)의 상부 일측에만 고정 형성하면 될 것이고, 유압식 힌지장치(110)가 도 6의 도시와 같이 바닥부에 매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어(100)의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에 모두 힌지고정구를 장착함에 따라 도어(10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된 힌지고정구는 도어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된 피봇축에 힌지 결합되게 하는 것이고, 도어(10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된 힌지고정구는 매립된 유압식 힌지장치(110)의 힌지축과 서로 힌지 결합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어(100)에 결합된 상태의 힌지고정구에 있어 일측으로 노출되는 조정볼트(40)를 회전시켜 내부의 유동블럭(30)이 슬라이딩하면서 힌지축 또는 피봇축과의 정확한 힌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도어의 설치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어 및 도어프레임과의 간격이나 틈새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간편하게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제1고정부재(10) 및 제2고정부재(20)의 외면에는 별도의 장식커버판(80)(80')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볼트(50)(50')와 체결너트(51)(51') 등이 은폐되게 하면서도 장식커버판(80)(80')이 갖는 고유의 광택이나 질감을 통해 상기의 힌지고정구에 대한 다양한 장식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인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일측면에 돌출된 계지핀(81)을 각기 형성하고,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외면을 따라 절곡 형성된 장식커버판(80)(80')에는 양측면에 조립공(82)(82')을 형성하여, 일측 조립공(82)으로 상기의 계지핀(81)이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타측의 조립공(82')을 통해 삽입되는 조립볼트(83)(83')가 제1고정부 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측면에 각기 나사 체결되게 함으로써, 상기의 장식커버판(80)(80')에 대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장식커버판(80)(80')은 제1고정부재(10) 및 제2고정부재(20)를 서로 조립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은폐시킬 수 있으면서도 외부로 화려한 장식 효과를 연출하므로 더욱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부각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의 장식커버판(80)(80')은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또는 동합급이나 합성수지재, 비닐지, 부직포, 필름지와 같이 재질이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장식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를 도어에 결합한 상태의 시공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를 도어에 결합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를 도어에 결합한 상태의 외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에 의한 자동 닫힘 도어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압식 힌지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경우의 설치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에 의한 자동 닫힘 도어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압식 힌지장치가 바닥부에 매설된 경우의 설치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구에 결합되는 장식커버판을 분리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고정부재 11 : 안치홈
12 : 안내홈 13,13' : 볼트삽입공
14 : 결합공
20 : 제2고정부재 21 : 안치홈
22 : 안내홈 23,23' : 너트공
30 : 유동블럭 31 : 힌지공
32,32' : 걸림턱부 33 : 나사공
40 : 조정볼트 41 : 고정홈
50,50' : 체결볼트 51,51' : 체결너트
60 : 고정링
70,70' : 쿠션부재
80,80' : 장식커버판 81 : 계지핀
82,82' : 조립공 83,83' : 조립볼트
100 : 도어 101 : 코너절취부
110 : 유압식 힌지장치

Claims (8)

  1. 도어(100)의 양측면에 밀착되게 한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를 각기 분할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사이에는 힌지공(31)이 형성된 유동블럭(30)이 노출되도록 삽입하며, 상기의 유동블럭(30)에 형성된 나사공(33)에는 결합상태의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측부로부터 삽입되는 조정볼트(40)가 결합되어 상기 조정볼트(40)의 회전에 따라 유동블럭(30)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하되, 결합된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하부와 일측에는 도어(100)의 코너절취부(101)가 삽입되게 한 이격공간부(S)를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대향면에는 각각 안치홈(11)(21)을 형성하여 상기의 유동블럭(30)이 삽입되게 구성하여 된 힌지고정구에 있어서,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에 형성된 안치홈(11)(21)의 하부에는 안내홈(12)(22)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블록(30)의 양측에는 걸림턱부(32)(32')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부(32)(32')가 안내홈(12)(22)에 위치하여 유동블럭(30)이 결합상태의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하고,
    제1고정부재(10)에는 횡방향의 볼트삽입공(13)(13')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삽입공(13)(13')과 대응하는 제2고정부재(20)에는 너트공(23)(23')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삽입공(13)(13')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50)(50')가 너트공(23)(23')에 삽입된 체결너트(51)(51')에 나사 결합함에 따라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제1고정부재(10)에는 조정볼트(40)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결합공(14)을 형성하고, 상기 조정볼트(40)에는 고정홈(4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14)을 관통 삽입하여 노출되는 조정볼트(40)의 고정홈(41)에 고정링(60)을 결합하여 상기의 조정 볼트(40)가 제1고정부재(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자유회전이 이루어지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6. 제 1항에 있어서,
    도어(100)와 밀착되는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대향면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쿠션부재(70)(70')를 부착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7. 제 1항에 있어서,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외면에는 장식커버판(80)(80')을 결합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8. 제 7항에 있어서,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의 일측단에는 계지핀(81)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장식커버판(80)(80')의 양측단에는 조립공(82)(82')을 관통 형성하여, 장식커버판(80)(80') 일측의 조립공(82)에 계지핀(81)이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타측 의 조립공(82')으로 삽입되는 조립볼트(83)(83')에 의해 상기의 장식커버판(80)(80')이 제1고정부재(10) 및 제2고정부재(20)와 밀착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KR1020090009956A 2009-02-06 2009-02-06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KR101077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56A KR101077987B1 (ko) 2009-02-06 2009-02-06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56A KR101077987B1 (ko) 2009-02-06 2009-02-06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593A KR20100090593A (ko) 2010-08-16
KR101077987B1 true KR101077987B1 (ko) 2011-10-31

Family

ID=4275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956A KR101077987B1 (ko) 2009-02-06 2009-02-06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2193B (zh) * 2011-05-31 2013-10-30 索菲亚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掩门五金件及掩门
TWI646250B (zh) * 2017-12-27 2019-01-01 松之門控設備股份有限公司 可提升使用安全性之防夾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4816A (ja) 2000-12-04 2004-05-20 ムルチブラス・エシ・ア・エレトロドメステイコス キャビネットドア用のヒンジ装置
JP2004528500A (ja) 2001-06-11 2004-09-16 フリードリッヒ・フィングシャイト・ゲー・エム・ベー・ハー 無段階の制動・停止機構を組み込んだドアヒン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4816A (ja) 2000-12-04 2004-05-20 ムルチブラス・エシ・ア・エレトロドメステイコス キャビネットドア用のヒンジ装置
JP2004528500A (ja) 2001-06-11 2004-09-16 フリードリッヒ・フィングシャイト・ゲー・エム・ベー・ハー 無段階の制動・停止機構を組み込んだドアヒ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593A (ko) 201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0091C (en) Hinge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20140250795A1 (en) Shower door assembly
KR101077987B1 (ko)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JP4322218B2 (ja) 建具枠の完全後付け工法
US20070101653A1 (en) Hinge assembly for casement windows
EP1635009A2 (en) Hinged wall access panel
KR101077529B1 (ko) 유리문용 경첩
JP2006183278A (ja) 扉用傾き補正具
US11859426B2 (en) Hinge assembly
KR101897988B1 (ko) 모듈 타입 유니버셜 도어
US7735262B2 (en) Pocket door mounting system
KR200428811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1526758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창틀
KR101326740B1 (ko) 등기구
KR101045266B1 (ko) 슬라이드 체결방식의 천정 점검구
EP2280142A2 (en) Hinge for mounting glass panels or similar structures
WO2022021563A1 (zh) 一种可调的门框组件和安装方法及淋浴门安装结构
KR200374577Y1 (ko) 창문개폐용 연결암
KR200325016Y1 (ko) 도어 스톱퍼
JP2011006921A (ja) エントランスパネルの取付構造
CN110863726B (zh) 用于门或窗的隐藏式铰链和配备有这种铰链的门或窗
KR101175649B1 (ko) 도어의 회전지지장치
RU2780786C2 (ru) Рама с защит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для сдвижной створки или для створки с подъемно-сдвижным механизмом окна или двери
KR200411558Y1 (ko) 문 개폐 고정장치
KR102090737B1 (ko)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