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740B1 - 등기구 - Google Patents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740B1
KR101326740B1 KR1020120082466A KR20120082466A KR101326740B1 KR 101326740 B1 KR101326740 B1 KR 101326740B1 KR 1020120082466 A KR1020120082466 A KR 1020120082466A KR 20120082466 A KR20120082466 A KR 20120082466A KR 101326740 B1 KR101326740 B1 KR 101326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uminaire
frame
installation hole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용
전수
김재완
Original Assignee
이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용 filed Critical 이두용
Priority to KR102012008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천장에 형성된 설치구멍을 통해 설치되는 등기구의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등기구는 설치구멍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지지부재는 설치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등기구 상에서 고정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개시된 등기구는 다양한 사이즈의 설치구멍에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등기구{LUMINAIRE}
본 발명은 설치구멍을 통해 천장에 설치되는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의 설치구멍을 통해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조명을 위한 등기구 중에는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많다. 이러한 등기구는 내부에 광원이 내장된 본체와, 본체의 둘레에 마련된 프레임을 구비하며, 등기구의 설치를 위해 천장에는 설치구멍이 형성된다. 등기구는 본체가 설치구멍 안쪽으로 진입되고 프레임이 설치구멍 주변의 천장면에 걸려 지지된 상태로 천장에 고정된다.
종래 등기구를 천장에 고정시킬 때는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설치구멍 주변의 천장채널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걸이식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등기구를 천장채널에 간단히 걸어 고정시키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걸이식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등기구는 고정작업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해체 작업도 용이하여 앞으로 충분히 각광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천장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세가 쉽게 불안정해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걸이식 고정장치를 채용할 경우 등기구는 천장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는 있겠으나, 설치구멍과 등기구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으로 인해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흔들리게 되면서 설치 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기구에 설치구멍과 등기구 사이의 유격을 없애기 위한 별도의 유격 방지 구조물을 설치해 볼 수 도 있겠으나, 설치구멍의 경우 다양한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조건에서는 설치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등기구에 설치되는 유격 방지 구조물의 형태나 설치 위치를 달리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0092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천장에 형성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설치구멍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등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고정장치는 광원이 내장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둘레에 마련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이 천장에 형성된 설치구멍 주변의 천장면에 지지되도록 천장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설치구멍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지지부재가 설치구멍의 크기에 따라 고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설치구멍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각 변을 형성하는 판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 쪽에 상기 판부재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설치구멍의 모서리 쪽 내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의 몸통부와, 양측의 상기 판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몸통부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고정홈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설치구멍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몸통부에 상기 프레임의 대각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1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고정홈 사이는 상기 고정홈보다 폭이 좁은 연결홈을 통해 상호 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는 일측 고정홈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홈을 탄력적으로 통과하여 타측 고정홈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횡단면 형상이 “ㄱ"자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복수개의 측벽이 상호 조립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하부 둘레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 상기 광원의 광이 복수의 상기 측벽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측벽 사이를 덮어 가리도록 마련된 광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판부재에는 상기 등기구를 천장채널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상기 판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장치에는 걸림홈이 마련되며, 상기 광차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원터치 방식으로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돌기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판부재에는 상기 등기구를 천장채널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장치는 회전 동작하는 작동부재의 회전조작을 통해 상기 천장채널에 걸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고정장치 저부의 판부재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조작을 위한 공구삽입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공구삽입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된 구멍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등기구는 설치구멍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프레임에 설치되어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지지부재는 설치구멍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 상에서 고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그 고정위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설치구멍 내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등기구는 흔들림이 방지된 상태로 다양한 사이즈의 설치구멍에 공용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및 등기구의 설치를 위해 천장에 형성되는 설치구멍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에 있어서 연결부재 쪽 구조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고정장치가 프레임의 연결부재에 고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고정장치가 프레임의 연결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구멍개폐부를 통해 프레임이 공구삽입구멍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구멍개폐부를 통해 프레임이 공구삽입구멍이 가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설치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에 있어서, 구멍개폐부를 통해 프레임이 공구삽입구멍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8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등기구(10)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10)는 천장(a)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통상의 LED 등기구로써, 하부로 개방된 상자 형태의 본체(20)를 구비하며, 본체(20) 내부에는 광원을 형성하기 위한 조명모듈로써, 복수의 엘이디가 기판에 장착된 엘이디모듈(미도시)이 설치된다. 개방된 본체(20) 하부에는 광투과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투광커버(30)가 결합되며, 본체(20)의 하부 둘레로는 프레임(40)이 설치된다.
본체(20)는 복수의 측벽(21)과 상부의 탑커버(22)가 상호 조립되어 형성되며, 인접한 측벽(21) 사이 및 측벽(21)과 탑커버(22) 사이는 고정볼트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40)은 프레임(40)의 각 변을 형성하는 판부재(41)와, 판부재 사이를 연결하도록 프레임(40)의 각 모서리 쪽에 마련된 연결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0)와 프레임(40)의 결합이 용이하게 되도록 본체(20)의 각 측벽(21)은 프레임(40)의 개별 판부재(41)와 한 몸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20)와, 본체(20) 측벽(21)과 한 몸을 이루는 프레임(40)의 판부재(41)는 금속재질로 마련되고, 프레임(40) 사이의 연결을 위한 프레임의 모서리 쪽 연결부재(40)는 사출물로 마련된다.
이러한 등기구(10)는 프레임(40)이 천장에 형성된 설치구멍(b) 주변의 천장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본체(20)가 설치구멍(b) 내부로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본체(20)의 단면적은 설치구멍(b)보다 작게 형성되며, 프레임(40)은 외곽 사이즈는 설치구멍(b)보다 다소 크게 마련된다.
설치구멍(b)은 천장채널(1) 및 천장채널(1) 사이를 덮어 가리는 천장재(2) 사이를 통해 구성되며, 등기구(10)에는 천장채널(1)에 등기구(10)를 걸어 고정시키는 고정장치(90)가 마련된다. 따라서 등기구(10)는 프레임(40)이 설치구멍(b) 주변의 천장면에 지지되고 본체(20)가 설치구멍(b) 안쪽으로 매립되도록 설치구멍(b) 쪽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장치(90)가 천장채널(1)에 걸리도록 조작됨에 따라 천장(a)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고정장치(90)는 하우징(91)과, 걸림작용을 수행하도록 하우징(91)에 설치된 작동부재(92)를 구비한다. 하우징(91)은 프레임(40)이 설치구멍(b) 주변의 천장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설치구멍(b) 안쪽으로 위치되는 부위의 판부재(41)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작동부재(92)는 하우징(9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조작을 통해 천장채널(1)에 걸릴 수 있게 된다. 하우징(91)은 후면에 마련된 슬라이딩돌기(91a)가 본체(20)의 측벽(21) 외면에 마련된 슬라이딩홀(21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판부재(41)에 입설되도록 등기구(10)에 조립된다.
작동부재(92)는 하우징(91) 안쪽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축부(92a)와, 하우징(91) 측면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하우징(91) 외부로 연장되어 축부(92a)와 함께 회전하면서 천장채널(1)의 상부에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 걸이부(92b)를 구비하며, 축부(92a)는 하우징(91)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93)를 통해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설치구멍(b) 쪽으로 장착된 등기구(10)는 고정장치(90)의 작동부재(92)를 회전시켜 걸림부(92b)가 설치구멍(b) 주변이 천장채널(1) 상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천장(a)에 고정되고, 이때 걸림부(92b)는 탄성부재(93)를 통해 천장채널(1) 상부에 탄력적으로 걸려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축부(92a) 하단에는 드라이버홈(미도시)이 마련된다. 작동부재(92)의 회전조작을 위해 하우징(91) 하단은 개방되며, 하우징(91) 쪽 판부재(41)에는 드라이버(미도시)의 삽입을 위한 공구삽입구멍(41a)이 마련된다. 따라서 등기구(10)의 설치과정에서 천장(a) 하부의 실내공간에 위치한 작업자는 이러한 공구삽입구멍(41a)을 통해 드라이버(미도시)를 하우징(91) 내부로 삽입하여 드라이버홈(미도시)에 끼운 상태에서 작동부재(9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상태의 등기구(10)는 설치구멍(b)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으로 인해 작은 충격에도 쉽게 수평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면서 설치 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등기구(10)의 프레임(40)에는 설치구멍(b)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70)가 마련되어 등기구(1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며, 지지부재(70)는 설치구멍(b)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40) 상에서 고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그 고정위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설치구멍(b) 내면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정위치가 가변되는 지지부재(70)는 크기가 다른 사이즈의 설치구멍(b) 내면을 모두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이와 같은 지지부재(70)가 설치된 등기구(10)는 설치구멍(b)과의 유격에 의한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다양한 사이즈의 설치구멍(b)에 공용적으로 채용이 가능하게 된다.
설치구멍(b)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등기구(10) 본체(20)와 프레임(40)도 각각 설치구멍(b)의 형상에 대응하는 육면체와 사각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설치구멍(b)과 등기구(10)의 구조에서는 지지부재(70)를 통해 설치구멍(b)의 모서리 쪽 내면을 지지하는 것이 설치구멍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70)는 프레임(40)의 모서리 쪽이 되는 연결부재(42) 쪽에 설치된다. 또 이때는 지지부재(70)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사출물로 마련되는 연결부재(42)에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편리하다.
지지부재(70)의 설치를 위해 프레임(40)이 설치구멍(b) 주변의 천장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설치구멍(b) 안쪽으로 위치되는 연결부재(42)의 상면에는 지지부재(70)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51a)이 마련되고, 이러한 고정홈(51a)은 지지부재(70)의 고정위치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42)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출물로 마련되는 연결부재(42)는 중앙이 몸통부(42a)를 형성하고, 판부재(41) 사이의 연결을 위해 몸통부(42a) 양측이 한 쌍의 결합부(42b)를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몸체(50,60)를 구비한다. 상부몸체(50)와 하부몸체(60)는 상호 끼움방식으로 끼워져 조립되며, 상호 조립된 상부 및 하부몸체(50,60)는 고정볼트(d)를 통해 상호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몸통부(42a)는 상부몸체(50)에 마련된 상부몸통부(51)와, 하부몸체(60)에 마련된 하부몸통부(61)를 포함한다. 상부몸통부(51)에는 지지부재(70)의 고정을 위한 상기 복수의 고정홈(51a)이 마련되고, 하부몸통부(61) 내부는 중공으로 마련된다.
지지부재(70)가 다양한 사이즈로 마련되는 설치구멍(b)의 모서리 쪽을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고정홈(51a)은 프레임(40)의 대각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1고정홈(51b)을 포함한다. 제1고정홈(51b) 양측으로는 각각 복수의 제2고정홈(52c)이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지지부재(70)는 프레임의 대각방향으로는 물론 양 측방으로도 다양한 고정위치를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고정홈(51a)은 상부몸통부(51)를 관통하는 “ㄱ"자 형태로 마련된다.
또 결합부(42b)는 상부몸체(50)에 마련된 상부결합부(52)와, 하부몸체(60)에 마련된 하부결합부(62)를 포함한다. 결합부(42b)가 판부재(41)에 결합될 때, 상부결합부(52)는 판부재(41) 상면에 마련되는 레일형태의 결합홈(41b)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고, 이때 하부결합부(62)는 판부재(41) 하면을 감싸게 된다.
고정장치(90)의 조작을 위해 드라이버(미도시)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하부결합부(62)에는 공구삽입구멍(62a)이 마련되며, 이러한 공구삽입구멍(62a)은 고정장치(90)의 판부재(41)에 형성된 공구삽입구멍(41a)과 일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물론 하부결합부(62)에 마련되는 공구삽입구멍(62a)은 하부결합부(62)와 판부재(41)의 조립 구조가 달라질 경우 삭제가 가능하다. 참고로 미설명부호 62c는 필요시 등기구(10)를 고정볼트 등으로 천장채널(1)에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볼트체결공을 가리킨다.
지지부재(70)는 설치구멍(b)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상부의 지지부(71)와, 연결부재(42)의 고정홈(51a)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하부의 고정부(72)를 포함한다. 고정부(72)는 고정홈(51a)의 형상 대응하도록 횡단면 모양이 “ㄱ"자 모양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고정홈(51a)에 삽입되도록 끼워질 수 있게 되며, 지지부(71)는 고정부(72)보다 큰 면적을 구비하여 고정부(72)가 고정홈(51a)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홈(51a)에 걸려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지지부(71) 역시 설치구멍(b)의 모서리 쪽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ㄱ"자 모양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고정부(72)와 고정홈(51a)은 지지부(71)의 자세가 틀어지지 않도록 지지부재(70)의 회전을 방지하는 범위 내에서 상호 다양한 결합 형태를 갖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또 지지부(71)의 경우 구체적인 형태에 상관없이 설치구멍(b)의 내면을 지지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고정부(72)는 나사방식과 같은 간편한 고정방식을 통해서도 고정홈(51a)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70′)와 고정홈(51a′)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홈(51a′)은 그 사이가 고정홈(51a′)보다 약간 폭이 좁은 연결홈(51d)을 통해 상호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70′)의 고정부(72′)는 일측 고정홈(51a′)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홈(51d)을 탄력적으로 통과하여 타측 고정홈(51a′) 쪽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지지부재(70′)를 연결부재(42)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다른 고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지지부재(70′)의 위치변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프레임(40)의 연결부재(42)는 상부 및 하부몸체(50,60)와 별도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몸체(50,60)와 조립되는 광차단부(80)를 더 구비하며, 이러한 광차단부(80)는 하단의 조립부(81)를 통해 상부 및 하부몸체(50,60) 사이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에서 상호 인접된 본체(20)의 측벽(21) 사이 외면을 덮어 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등기구(10)는 본체(20)에 내장된 조명모듈(미도시)의 광이 본체(20) 측벽(21)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광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광차단부(80)의 양 측방으로는 걸림돌기(81)가 일체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이러한 걸림돌기(81)는 고정장치(90)의 하우징(91)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91b)이 원터치 방식으로 걸려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판부재(4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진 고정장치(90)는 광차단부(80) 쪽으로 가압할 경우 하우징(91)의 걸림홈(91b)이 광차단부(80)의 걸림돌기(81)에 원터치 방식으로 걸려 구속되면서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정위치란 개방된 하우징(91)의 저부가 판부재(41)의 공구삽입구멍(41a)에 일치되는 위치를 가리킨다.
또한 등기구(1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공구삽입구(41a)가 천장(a) 하부로 노출될 경우에는 등기구(10)의 미관이 저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연결부재(42)는 상기 공구삽입구(41a)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멍개폐부(9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멍개폐부(90)는 별도로 제작된 상태에서 하부결합부(62)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져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공구삽입구멍(41a)을 덮거나 개방시키게 된다. 공구삽입구멍(41a)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구멍개폐부(90)가 하부결합부(6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결합부(62)의 끝단과 이에 대응하는 구멍결합부(90) 사이에는 걸림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11처럼, 구멍개폐부(90′)는 하부결합부(62) 외면을 덮은 상태에서 일단이 연결부재(42)의 몸통부(42a) 끝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동작에 따라 공구삽입구멍(41a)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등기구의 고정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치구멍(b)을 통해 등기구(10)를 천장(a)에 고정하기 위해 먼저 작업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가 설치구멍(b) 안쪽으로 진입되고 프레임(40)이 설치구멍(b) 주변의 천정면에 지지되도록 등기구(10)를 설치구멍(b)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지부재(70)가 설치구멍(b)의 내면에 지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판단 결과 지지부재(70)가 설치구멍(b)의 내면에 제대로 지지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는 도 9b와 같이, 각 지지부재(70)가 설치구멍(b)의 모서리 쪽 내면에 지지되도록 지지부재(70)의 고정위치를 조절한 후 다시 등기구(10)를 설치구멍(b) 쪽으로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등기구(10)는 설치구멍(b)과의 유격이 제거되어 수평방향으로 흔들림이 방지된 상태가 된다. 물론 설치구멍(b)의 사이즈를 미리 파악하고 있을 경우에는 작업자는 등기구(10)를 설치구멍(b)에 장착하기 전에 미리 지지부재(70)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작업자는 공구삽입구멍(41a)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구멍개폐부(90)를 슬라이딩시킨 후 공구삽입구멍(41a)을 통해 드라이버를 하우징(91) 내부로 삽입하여 작동부재(92)를 천장채널(1) 상부에 걸리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도 9c에는 이 상태에 있는 등기구의 구조가 도시된다. 이에 따라 등기구(10)는 천장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구멍개폐부(90)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공구삽입구(41a)가 가려지도록 함에 따라 등기구(10) 설치작업은 종료된다.
10: 등기구 20: 본체
40: 프레임 41: 판부재
42: 연결부재 42a: 몸통부
42b: 결합부 50: 상부몸체
52a: 고정홈 60: 하부몸체
70: 지지부재 71: 지지부
72: 고정부 80: 광차단부
90: 구멍개폐부

Claims (10)

  1. 광원이 내장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둘레에 마련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이 천장에 형성된 설치구멍 주변의 천장면에 지지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설치구멍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지지부재가 설치구멍의 크기에 따라 고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설치구멍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각 변을 형성하는 판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 쪽에 상기 판부재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설치구멍의 모서리 쪽 내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의 몸통부와, 양측의 상기 판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몸통부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고정홈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설치구멍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몸통부에 상기 프레임의 대각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1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고정홈 사이는 상기 고정홈보다 폭이 좁은 연결홈을 통해 상호 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는 일측 고정홈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홈을 탄력적으로 통과하여 타측 고정홈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횡단면 형상이 “ㄱ"자 모양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개의 측벽이 상호 조립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하부 둘레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 상기 광원의 광이 복수의 상기 측벽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측벽 사이를 덮어 가리도록 마련된 광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판부재에는 상기 등기구를 천장채널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상기 판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장치에는 걸림홈이 마련되며,
    상기 광차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원터치 방식으로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돌기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판부재에는 상기 등기구를 천장채널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장치는 회전 동작하는 작동부재의 회전조작을 통해 상기 천장채널에 걸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고정장치 저부의 판부재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조작을 위한 공구삽입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공구삽입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된 구멍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KR1020120082466A 2012-07-27 2012-07-27 등기구 KR101326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66A KR101326740B1 (ko) 2012-07-27 2012-07-27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66A KR101326740B1 (ko) 2012-07-27 2012-07-27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740B1 true KR101326740B1 (ko) 2013-11-08

Family

ID=4985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466A KR101326740B1 (ko) 2012-07-27 2012-07-27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7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865A (ko) * 2014-10-31 2016-05-11 최혜림 조명등기구의 천장 결합장치
CN108266674A (zh) * 2016-12-30 2018-07-10 通用电气照明解决方案有限公司 具有可调节框架的照明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750Y1 (ko) 2004-07-29 2004-10-26 오남용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선반
JP2005026099A (ja) 2003-07-03 2005-01-27 Ushio Spex Inc 照明装置の防眩構造
JP2008010254A (ja) 2006-06-28 2008-01-1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KR20090003115U (ko) * 2007-09-28 2009-04-01 이제석 천정등 커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6099A (ja) 2003-07-03 2005-01-27 Ushio Spex Inc 照明装置の防眩構造
KR200365750Y1 (ko) 2004-07-29 2004-10-26 오남용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선반
JP2008010254A (ja) 2006-06-28 2008-01-1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KR20090003115U (ko) * 2007-09-28 2009-04-01 이제석 천정등 커버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865A (ko) * 2014-10-31 2016-05-11 최혜림 조명등기구의 천장 결합장치
KR101674649B1 (ko) 2014-10-31 2016-11-09 최혜림 조명등기구의 천장 결합장치
CN108266674A (zh) * 2016-12-30 2018-07-10 通用电气照明解决方案有限公司 具有可调节框架的照明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341B2 (en) Mounting assembly
US8042977B1 (en) Troffer luminaire
TWI410589B (zh) 可調式反射器照明裝置
KR101281155B1 (ko) 엘이디 라인바 부착기구
CA2650339C (en) Air-handling luminaire
KR101326740B1 (ko) 등기구
KR200467056Y1 (ko) 설치 용이한 매립형 조명 기구
US11255521B1 (en) Linear light fixture
KR200380415Y1 (ko) 천정등 기구
WO2017016509A1 (zh) 嵌入式灯具
KR200403392Y1 (ko) 매입형 등기구
KR102188954B1 (ko) 개폐가 용이한 확산커버를 구비한 면조명장치
KR200442382Y1 (ko) 형광등기구의 반사갓과 덮개의 체결구조
KR200350103Y1 (ko) 복수등을 갖는 터널용 등기구의 반사갓 연결구조.
TWI631298B (zh) 具有燈具的換氣扇
KR200378318Y1 (ko) 천정등 커버의 결합구조
KR20200047215A (ko) 천장등 장착장치
JP3996860B2 (ja) 内窓
KR101633555B1 (ko)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조명등의 다방향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전원공급 램프 베이스
KR200483002Y1 (ko) 평판형 천장 등기구
KR102307575B1 (ko) 엘이디 조명등
JP2011179287A (ja) 天井点検口構造
KR20200008304A (ko) 바리솔 조명 프레임 및 이를 갖는 바리솔 조명
KR101611979B1 (ko) 천정 매설형 조명 기구 및 그것의 루버 결합 장치
KR101988438B1 (ko) 개선된 조립구조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커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