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56Y1 - 설치 용이한 매립형 조명 기구 - Google Patents

설치 용이한 매립형 조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56Y1
KR200467056Y1 KR2020130001306U KR20130001306U KR200467056Y1 KR 200467056 Y1 KR200467056 Y1 KR 200467056Y1 KR 2020130001306 U KR2020130001306 U KR 2020130001306U KR 20130001306 U KR20130001306 U KR 20130001306U KR 200467056 Y1 KR200467056 Y1 KR 200467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locking member
finishing material
respect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2020130001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마감재에 형성된 개구된 공간으로 보다 간편하게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개선함과 더불어 사용중 조명의 교체시 조명 기구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일부 요소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여 조명의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천장류 마감재(7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고 저면이 개구되는 상부 몸체(10), 상기 상부 몸체(10)에 대해 위치 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부재(20), 상기 상부 몸체(10)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20)의 위치를 수납위치 또는 고정위치로 각각 전환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재(30), 상기 상부 몸체(10)에 결합되고, 안정기(42)와 다수의 LED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 모듈(44)을 설치하는 하부 몸체(40),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부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50), 및 상기 상부 몸체(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부재(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설치 용이한 매립형 조명 기구{Embedding type lighting fixture easily installed}
본 고안은 매립형 조명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 마감재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중 조명의 교체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일부 요소만을 선택적으로 교체 작업할 수 있게 하는 설치 용이한 매립형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전환시켜 주변 공간에 대해 적정의 조도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조명기구는 자연적 광량이 부족한 환경에서 인공적인 광원으로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인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각종 생산 및 여가 등의 활동을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정 조도의 확보에 따른 눈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게 해 준다.
이와 같은 조명기구는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 데, 일례로 천장류의 마감재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고정을 위한 별도의 지지장치에 대한 구성을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 천장류의 마감재에 고정되는 매립형 조명기구는 설치 작업시 조명기구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하는 지지장치를 별도로 조립해야 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이 주로 위보기 자세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키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종래 매립형 조명 기구는 사용중 부품의 교체 작업이 요구될 때, 조명기구 전체를 분해해야 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저해시킴과 더불어, 시간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필요한 낭비를 수반하게 되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1-0001517호의 "천장 매립형 엘이디 조명장치"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장 마감재에 형성된 개구된 공간으로 보다 간편하게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개선함과 더불어 사용중 조명의 교체시 조명 기구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일부 요소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여 조명의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천장류 마감재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매립형 조명 기구로서, 상기 마감재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고, 저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발광소자류의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대해 위치 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마감재의 개구부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의 위치를 수납위치 또는 고정위치로 각각 설정하는 걸림부재;
상기 상부 몸체에 대한 해 상기 걸림부재를 피벗 지지하여 상기 걸림부재의 위치를 수납위치 또는 고정위치로 각각 전환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재;
상기 상부 몸체에 결합되고, 안정기와 다수의 LED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설치하며, 저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갖춘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상부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걸림부재의 크기는 조명기구의 수납위치에서 상기 마감재의 개구부 폭 보다 크지 않고, 조명기구의 고정위치에서 상기 마감재의 개구부 폭 보다 크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상부 몸체의 좌/우측 측면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접촉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회전판은 상기 걸림부재의 수납위치에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부의 폭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설정하도록 배치되고, 이때의 상기 회전판과 상기 접촉판 사이의 절곡면은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부 좌/우측 모서리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상호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회전판을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상부 몸체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상부 몸체의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상부 몸체는 수용공간 내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위로 상기 하부 몸체의 조립식 설치를 위해 하향 개구된 형태의 조립홈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의 하부 내측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위로 상기 커버부재의 착탈식 설치를 위해 측방향으로 개구된 형태의 끼움홈을 형성하며, 상기 측면부재와의 나사결합을 위해 수용공간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형태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 사이의 조립위치에서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스부재,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해 각각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보스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천장 마감재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부 공간에 대해 매립형 구조로 설치되는 조명기구의 케이스 장착구조를 변경하여 조명기구의 고정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자에 의한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조명기구의 설치작업에 대한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본 고안은 조명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교체 작업이 요구될 때, 조명기구의 전체부위를 분해하지 않고도 주요 부품을 장착하고 있는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여 정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의 향상과 함께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조명 기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조명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매립형 조명 기구에서 A-A선으로 도시된 부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매립형 조명 기구에서 B-B선으로 도시된 부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조명 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걸림부재가 수납위치에서 고정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매립형 조명 기구가 천장 마감재의 개구부로 고정되기 이전의 조립상태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매립형 조명 기구가 천장 마감재의 개구부로 고정된 이후의 조립상태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LED 조명기구는 천장류의 마감재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마감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 몸체(10), 상기 상부 몸체(10)에 설치되어 마감재의 개구부에 대한 상부 몸체(10)의 고정 지지력을 제공하는 걸림부재(20), 상기 상부 몸체(10)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20)의 위치를 수납위치 또는 고정위치로 각각 전환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재(30), 상기 상부 몸체(10)의 수용공간 내에 조립되는 하부 몸체(40),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부로 조립되는 커버부재(50), 및 상기 상부 몸체(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해 각각 조립되는 마감용 측면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몸체(10)는 마감재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재로서, 저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LED 등의 발광소자류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장방형 채널(Channel) 형태의 개구된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부 몸체(10)는 단면으로 볼 때 대략 디귿자 형태로 개구된 형상의 구조물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몸체(10)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서 대략 중간부위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하부 몸체(40)의 조립식 설치를 위해 하향 개구되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의 조립홈(1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10)는 수용공간의 하부 내측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위로 상기 커버부재(50)의 착탈식 설치를 위해 부재의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의 끼움홈(1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10)는 볼트를 이용한 상기 측면부재(60)와의 나사결합을 위해 수용공간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각각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형태의 체결홈(16)을 다수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10)는 마감재의 개구부측 저면부와의 접촉을 통해 조명기구의 설치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하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18)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걸림부재(20)는 마감재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10)의 위치가 설치전 수납위치에서 설치후 고정위치로 전환될 때 마감재의 개구부에 대한 상부 몸체(10)의 견고한 고정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에 대해 수납위치 또는 고정위치로 각각 위치 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재(2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측 자유단부를 천장 마감재의 개구측 상면부에 안착시켜 조명기구의 전체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상기 걸림부재(2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에 대해 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측 자유단부를 천장 마감재의 개구측 상면부에 확장시켜 안착시키는 구조로서 조명기구의 전체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재(20)의 크기는 조명기구의 수납위치에서 마감재의 개구부 폭 보다 크지 않고, 조명기구의 고정위치에서 마감재의 개구부 폭 보다 크도록 설정된다. 즉, 수납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재의 개구부가 형성하는 수용공간의 내부로 조명기구를 설치할 때, 개구부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10)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는 상부 몸체(10)에 대한 걸림부재(20)의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고정위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재의 개구부가 형성하는 수용공간의 내부로 조명기구를 설치한 다음 개구부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10)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는 상부 몸체(10)에 대한 걸림부재(20)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재(2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와 좌/우측 측면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서, 단면의 형태로 보아 대략 디귿자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재(2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22)과, 상기 회전판(22)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상부 몸체(10)의 좌/우측 측면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걸림부재(20)의 위치가 수납위치에서 고정위치로 전환될 때 마감재의 개구부 내측에 위치한 상면부에 하단의 자유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접촉판(24)을 일체로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회전판(22)은 상기 걸림부재(20)의 수납위치에서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의 폭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설정하도록 배치되고, 이때의 상기 회전판(22)과 상기 접촉판(24) 사이의 절곡면은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 좌/우측 모서리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상호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판(22)은 상기 걸림부재(20)의 수납위치에서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의 폭 방향을 따라 고정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접촉판(24)의 하측 자유단부는 마감재의 개구부 내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걸림부재(2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에 대해 상기 조작부재(30)에 의한 중심부위를 회전축으로 하여, 조명기구의 설치전 수납위치에서 상기 상부 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예각의 경사각을 두고 배치되고, 조명기구의 설치시 고정위치에서 상기 상부 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설치후 상기 상부 몸체(10)의 폭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
상기 조작부재(3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에 대해 상기 걸림부재(20)를 피벗 지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20)의 위치를 수납위치 또는 고정위치로 각각 전환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재(3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20)의 회전판(22)을 고정하는 체결부재(32)와, 상기 상부 몸체(10)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20)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상부 몸체(10)의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체결부재(32)에 나사 결합되는 손잡이부재(3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32)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재(34)는 상기 체결부재(32)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나비너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32)는 상기 걸림부재(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핀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이때 상기 손잡이부재(34)는 핀의 하부에 결합되는 돌출 구조물의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 몸체(4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조립홈(12)에 끼워져 하부를 향하도록 결합되고, 그 상면부에 안정기(42)를 고정하고 하면부에 다수의 LED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44)을 설치한다.
특히, 상기 하부 몸체(40)는 그 상부면에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돌출되는 다수의 방열핀(46)을 일체로 형성하고, 저면부에 외부를 향해 경사진 형태로서 개구면적을 점진적으로 확장하도록 배치되어 발광소자를 통해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반사하는 리플렉터(48)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부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발광소자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디퓨져에 해당한다. 특히,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끼움홈(14)에 삽입되어 필요시 이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측면부재(6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몸체(10)와 상기 하부 몸체(40)의 전/후방 양측 선단면을 마감하는 부재에 해당한다. 특히, 상기 측면부재(6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수용공간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상기 체결홈(16)과의 나사 결합을 통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측면부재(60)는 상기 체결홈(16)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볼트의 삽입을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본 고안의 매립형 조명 기구는 상기 상부 몸체(10)와 상기 하부 몸체(40) 사이의 조립을 위해 상기 상부 몸체(10)와 상기 하부 몸체(40) 사이의 조립위치에서 상호 대향하는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스부재(26), 상기 상부 몸체(10)와 상기 하부 몸체(40)에 대해 각각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보스부재(26)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스크류(28)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몸체(10)에 대한 상기 하부 몸체(40)의 조립은 상기 보스부재(26)의 상단부를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측 내면부에 대해 상기 스크류(28)를 이용하여 먼저 고정시킨 다음, 상기 보스부재(26)의 하단부에 대해 상기 스크류(28)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몸체(40)를 추가로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몸체(10)와 상기 하부 몸체(40)는 각각 상기 보스부재(26)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조명 기구의 설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상부 몸체(10)에 대해 상기 걸림부재(20)를 수납위치로 접은 상태에서 천장류의 마감재(70)에 형성된 개구부(72)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20)와 상기 개구부(72) 사이에는 상기 걸림부재(20)의 크기 및 회전 상태의 설정을 통해 아무런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측면부재(6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양단부에 대해 나사 결합으로 먼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조립과정에서 상기 상부 몸체(10)는 상기 걸림부재(20)만을 조립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하부 몸체(40)를 비롯하여 나머지 부품들은 상기 마감재(70)의 개구부(72)에 상기 걸림부재(20)를 이용한 상기 상부 몸체(10)의 고정이 완료된 다음 조립된다.
도 7을 참조로 하면, 상기 조작부재(30)의 손잡이부재(34)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20)의 위치를 수납위치에서 고정위치로 전환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20)의 양측 접촉판(24)의 하단 자유단부는 상기 개구부(72)의 내측 상부면에 닿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마감재(70)의 개구부(72)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10)의 견고한 하중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상부 몸체(10)의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보스부재(26)와 스크류(28)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몸체(40)를 나사 결합으로 견고하게 조립하고, 이후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부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50)를 착탈 방식으로 끼워 조립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상부몸체 12-조립홈
14-끼움홈 16-체결홈
20-걸림부재 22-회전판
24-접촉판 26-보스부재
28-스크류 30-조작부재
32-체결부재 34-손잡이부재
40-하부몸체 42-안정기
44-인쇄회로기판 모듈 46-방열핀
48-리플렉터 50-커버부재
60-측면부재 70-마감재
72-개구부

Claims (8)

  1. 천장류 마감재(70)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매립형 조명 기구로서,
    상기 마감재(7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고, 저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발광소자류의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몸체(10);
    상기 상부 몸체(10)에 대해 위치 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마감재(70)의 개구부(72)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10)의 위치를 수납위치 또는 고정위치로 각각 설정하는 걸림부재(20);
    상기 상부 몸체(10)에 대해 상기 걸림부재(20)를 피벗 지지하여 상기 걸림부재(20)의 위치를 수납위치 또는 고정위치로 각각 전환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재(30);
    상기 상부 몸체(10)에 결합되고, 안정기(42)와 다수의 LED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 모듈(44)을 설치하며, 저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리플렉터(48)를 갖춘 하부 몸체(40);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부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50); 및
    상기 상부 몸체(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부재(60)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재(20)의 크기는 조명기구의 수납위치에서 상기 마감재(70)의 개구부(72) 폭 보다 크지 않고, 조명기구의 고정위치에서 상기 마감재(70)의 개구부(72) 폭 보다 크도록 설정되며;
    상기 걸림부재(2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22)과, 상기 회전판(22)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상부 몸체(10)의 좌/우측 측면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접촉판(24)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22)은 상기 걸림부재(20)의 수납위치에서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의 폭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설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22)과 상기 접촉판(24) 사이의 절곡면은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 좌/우측 모서리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상호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30)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20)의 회전판(22)을 고정하는 체결부재(32)와, 상기 상부 몸체(10)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20)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재(32)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 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34)는 상기 상부 몸체(10)의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체결부재(32)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0)는 수용공간 내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위로 상기 하부 몸체(40)의 설치를 위한 조립홈(12)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의 하부 내측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위로 상기 커버부재(50)의 설치를 위한 끼움홈(14)을 형성하며, 상기 측면부재(60)와의 나사결합을 위해 수용공간의 가장자리 부위에 체결홈(1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 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0)와 상기 하부 몸체(40) 사이의 조립위치에서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스부재(26), 상기 상부 몸체(10)와 상기 하부 몸체(40)에 대해 각각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보스부재(26)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스크류(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 기구.
KR2020130001306U 2013-02-20 2013-02-20 설치 용이한 매립형 조명 기구 KR200467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306U KR200467056Y1 (ko) 2013-02-20 2013-02-20 설치 용이한 매립형 조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306U KR200467056Y1 (ko) 2013-02-20 2013-02-20 설치 용이한 매립형 조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056Y1 true KR200467056Y1 (ko) 2013-05-27

Family

ID=5357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306U KR200467056Y1 (ko) 2013-02-20 2013-02-20 설치 용이한 매립형 조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5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98B1 (ko) * 2014-04-16 2015-01-19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캣쳐를 적용한 조명기구
KR20150112639A (ko) 2014-03-28 2015-10-07 김운영 완충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101566453B1 (ko) 2014-02-21 2015-11-0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복합 엘이디 프레임 및 복합 엘이디 프레임에 조립되는 보조 프레임
KR102313904B1 (ko) * 2020-10-06 2021-10-18 이용권 천정 인테리어용 라인조명 유니트
KR20230018738A (ko) * 2021-07-30 2023-02-07 이병훈 등기구 마운팅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115B1 (ko) 2009-08-19 2010-03-19 주식회사 누리플랜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09468B1 (ko) * 2010-04-29 2011-01-19 주식회사 스타넷 방수기능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형광등형 조명기구
KR101114910B1 (ko) 2010-05-27 2012-03-06 주식회사 알토 조명등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115B1 (ko) 2009-08-19 2010-03-19 주식회사 누리플랜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09468B1 (ko) * 2010-04-29 2011-01-19 주식회사 스타넷 방수기능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형광등형 조명기구
KR101114910B1 (ko) 2010-05-27 2012-03-06 주식회사 알토 조명등 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453B1 (ko) 2014-02-21 2015-11-0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복합 엘이디 프레임 및 복합 엘이디 프레임에 조립되는 보조 프레임
KR20150112639A (ko) 2014-03-28 2015-10-07 김운영 완충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101483598B1 (ko) * 2014-04-16 2015-01-19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캣쳐를 적용한 조명기구
KR102313904B1 (ko) * 2020-10-06 2021-10-18 이용권 천정 인테리어용 라인조명 유니트
KR20230018738A (ko) * 2021-07-30 2023-02-07 이병훈 등기구 마운팅 구조
KR102583373B1 (ko) * 2021-07-30 2023-09-26 이병훈 등기구 마운팅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056Y1 (ko) 설치 용이한 매립형 조명 기구
CN202834876U (zh) 照明装置
US9222651B1 (en) Modular LED light Fixture
KR101389667B1 (ko) 조명등의 장착장치
KR101114910B1 (ko) 조명등 기구
KR101568086B1 (ko) 일체 조립 설치형 천장등
KR101398387B1 (ko) 조명등의 장착장치
KR101511296B1 (ko) Led 천정매입등의 리플렉터 조립구조
KR101149783B1 (ko) 등기구 장치 회전 억제 결합구조를 갖는 덕트 결합 구조
KR100920793B1 (ko) Led타입 또는 전구타입 조명유닛을 수용할 수 있는 원터치식 매입등 케이스
KR200471915Y1 (ko) 조명장치
JP4315103B2 (ja) 棚板装置
KR10201613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등기구의 조립구조
KR20170097500A (ko) 조명등 각도조절장치
US10774995B2 (en) PCB module LED lamp having irradiation angle setting up function for Edison socket
KR200412313Y1 (ko) 천정매입형 조명등기구 소켓
KR200448185Y1 (ko) 조명등 및 이에 이용되는 접속지지장치
KR101326740B1 (ko) 등기구
KR101667610B1 (ko) 개선된 체결구조를 갖는 가압 조립식 엘이디 천정등
KR200482360Y1 (ko) Led 가로등용 조립 부재
KR20080004082U (ko)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KR200449984Y1 (ko) 엘이디가 장착되는 개폐식 주방 등
KR101347389B1 (ko) 광 반도체 조명장치
KR200487013Y1 (ko) 천장등
KR101101932B1 (ko) 다운 라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