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558Y1 - 문 개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문 개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558Y1
KR200411558Y1 KR2020060000205U KR20060000205U KR200411558Y1 KR 200411558 Y1 KR200411558 Y1 KR 200411558Y1 KR 2020060000205 U KR2020060000205 U KR 2020060000205U KR 20060000205 U KR20060000205 U KR 20060000205U KR 200411558 Y1 KR200411558 Y1 KR 200411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magnet
attach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남
Original Assignee
이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남 filed Critical 이병남
Priority to KR2020060000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5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5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or operated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8Function thereof for h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 문이나 미닫이 문에 설치하여 문의 닫히고 열린 상태를 자석의 자력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문 개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여닫이 문의 회전각도에 맞게 원호 형태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자석이 다수개 부착된 브라켓의 일단부를 상부 문틀에 고정하고, 문의 상측면에는 자석을 부착하여 상기 브라켓에 부착된 각각의 자석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 문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문 개폐 고정장치에 의하면, 문을 닫고 열었을 때 그 상태를 그대로 고정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문을 조금만 열어 두고자 할 때에도 열어둔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며, 강하게 문을 열고 닫게 되더라도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미닫이, 여닫이, 문, 개폐, 고정장치.

Description

문 개폐 고정장치{HOLDING DEVICE FOR OPERATING A DOOR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문 개폐 고정장치를 여닫이 문에 설치하는 모습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된 여닫이 문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가)도면은 90도 각도로 열리는 문 (나)도면은 180도 각도로 열리는 문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 개폐 고정장치로써, 미닫이 문에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이 설치된 미닫이 문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여닫이 문에 설치되는 문 개폐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미닫이 문에 설치되는 문 개폐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3 : 문 2, 4 : 문틀
10, 20, 20a: 브라켓 M1, M2 : 자석
13 : 장공 14 : 체결구
15 : 너트
본 고안은 문의 개폐상태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여닫이 문이나 미닫이 문에 설치하여 문의 닫히고 열린 상태를 자석의 자력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문 개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문은 일측에 경첩이 결합되고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어 이 손잡이를 잡고서 밀거나 당겨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미닫이 문은 문틀 사이에 설치되어 좌,우로 밀게 되어 있다.
그런데, 여닫이 문은 열고 닫을 때, 조그만 강하게 열거나 닫아도 문틀이나 벽면에 문이 부딪히면서 큰 소음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해 문이나 문틀 및 벽면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 여닫이 문의 경첩에 스프링이 내장된 경우에는 문을 열면 경첩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곧바로 닫히게 되므로 뒤따라 가는 사람이 닫혀지는 문에 부딪히게 되는 일이 빈번하였고,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을 하기 위해서 문을 열어둘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인 미닫이 문은 그 하부에 롤러가 달려 있어 힘들이지 않게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힘을 주어 열거나 닫게 되면 문틀의 좌,우측 끝까지 문이 이동하게 되며, 약한 힘에도 곧바로 이동되므로 문을 닫거나 열어놓은 상태가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유압식 도어체크(자동닫힘장치)를 설치한 여닫이 문은 자동으로 닫혀지므로 일일이 닫지 않아도 되는 잇점은 있으나, 문을 열어두고자 하는 경우에는 문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시켜야 했으며, 도어체크의 작용에 의해서 고정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지 않고 닫히게 되는 문제점과 그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곳에서는 널리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문의 닫히고 열린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문 개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필요에 따라 문을 조금만 열어 두고자 할 때에도 열어둔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문 개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강하게 문을 열고 닫더라도 문이 부드럽게 열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문 개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문 개폐 고정장치는, 여닫이 문에 있어서, 문(1)의 회전각도에 맞게 원호 형태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자석(M1)이 다수개 부착된 브라켓(10)의 일단부를 상부 문틀(2)에 고정하고, 문(1)의 상측면에는 자석(M2)을 부착하여 상기 브라켓(10)에 부착된 각각의 자석(M1)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 문(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미닫이 문에 있어서, 상부 문틀(4)의 내측홈(5)에 맞도록 길게 형성되어 저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자석(M1)이 다수개 부착된 브라켓(20)을 상기 내측홈(5)에 고정하고, 문(3)의 상측면에는 자석(M2)을 부착하여 상기 브라켓(20)에 부착된 각각의 자석(M1)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 문(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닫이 문에 있어서, L자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저면에 자석(M1)이 다수개 부착된 브라켓(20a)을 상부 문틀(4)의 외측면에 고정하되, 상기 브라켓(20a)의 중심부에는 장공(13)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자석(M1)은 상측으로 체결구(14)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장공(13)을 통해 체결구(14)를 삽입하여 너트(15)로 결합되고, 문(3)의 상부 외측면에는, 상면에 자석(M2)이 부착된 브라켓(21)을 고정하여 상기 브라켓(20a)에 부착된 각각의 자석(M1)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 문(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상기 브라켓(10)의 원호 중심부에는 장공(13)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의 자석(M1)은 상측으로 체결구(14)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장공(13)을 통해 체결구(14)를 삽입하여 너트(15)로 결합함으로써 자석(M1)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브라켓(10)(20)에 부착되는 자석(M1)은 동일한 간격 또는 일측방향을 향해서 점차적으로 간격이 벌어져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여닫이 문에 본 고안을 적용한 것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문 개폐 고정장치는 원호 형태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자석(M1)이 다수개 부착된 브라켓(10)과 문(1)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한 개의 자석(M2)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0)은 상부 문틀(2)에 고정시키는데, 그 위치는 회전축이 되는 경첩부위를 기준으로 약간 떨어져서 문틀(2)의 저면부에 상기 브라켓(10)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홈(2a)을 형성하여 이 부위에 일단부를 밀착시켜 나사(12) 등으로 체결공(11)을 통해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문틀(2)의 저면부에는 상기 브라켓(10)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M1) 한 개가 위치되고 그 외 자석들은 문틀(2)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문(1)의 상측면에는 한 개의 자석(M2)을 부착하는데, 그 위치는 상기 브라켓(10)의 원호상에 부착된다.
여기서, 문(1)의 상측면에는 자석(M2)을 부착하지 않고 자석에 붙는 금속(예:철판)을 부착해도 무방하나, 보다 큰 자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석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10)의 저면에 부착된 자석(M1)들과 문(1)의 상측면에 부착된 자석(M2)은 문(1)을 열거나 닫을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높이 이격되어서 대접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자석은 매우 강력한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므로 자석이 서로 붙게 되면 잘 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이 설치된 여닫이 문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도면은 90도 각도로 열리는 문에 적용한 것이고, (나)도면은 180도 각도로 열리는 문에 적용한 것으로써, 브라켓(10)의 원호 형태가 문(1)의 회전각도에 맞게 이루어진 것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먼저, 문(1)이 닫힌 상태에서는 문틀(2) 내에 문이 들어가 있으므로 문틀(2) 내에 위치한 브라켓(10)의 자석(M1)과 문(1)의 상면에 부착된 자석(M2)이 서로 마주보게 되어 자력에 의해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문의 닫힌 상태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므로 별도의 잠금수단을 문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도 있다.
그리고, 환기 등을 위해서 문(1)을 열어두고자 할 때, 문을 원하는 각도 만큼 회전시키면 문(1)에 있는 자석(M2)과 대접한 브라켓(10)의 자석(M1)과의 자력에 의해서 원하는 만큼 열어 둔 상태가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렇게 브라켓(10)에 부착된 각각의 자석(M1)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 문(1)을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서, 문(1)을 세게 열거나 닫더라도 문에 부착된 자석(M2)이 브라켓(10)에 부착되어 있는 다수개의 자석(M1)들을 지나가면서 자력으로 인해서 열리고 닫히는 속도가 빨라지지 않고 오히려 점차적으로 감소되므로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 게 된다.
한편, 브라켓(10)에 부착된 자석(M1)의 간격을 동일한 간격으로 부착하거나, 문이 열리는 방향 또는 닫히는 방향을 향해서 점차적으로 간격이 벌어지게 부착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간격이 좁게 부착된 자석(M1)들에 의해 문이 닫히고 열리는 마지막 단계에서의 빠른 속도에 대항할 수 있는 자력을 가지게 되므로 문이 부드럽게 닫히고 열리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 개폐 고정장치로써, 미닫이 문에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미닫이 문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미닫이 문에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문 개폐 고정장치는 상기한 여닫이 문에서와 같이 그 구성과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은 동일하며, 단지 문틀에 고정되는 브라켓(20)의 형태가 여닫이 문에 설치되는 원호 형태로 된 브라켓(10)과는 다르게 일직선으로 된 것에 차이가 있다.
즉, 브라켓(20)이 상부 문틀(4)의 내측홈(5)에 맞게 형성되고, 저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자석(M1)이 다수개 부착되며, 설치되는 위치는 문틀(4)의 내측홈(5)에 브라켓(20)의 양단부를 나사(11)로 고정하고, 미닫이 문(3)의 상측면에는 한 개의 자석(M2)을 부착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미닫이 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문(3)이 닫힌 상태에서는 문틀(4)의 내측홈(5)에 부착된 브라켓(20)의 좌측 끝에 부착된 자석(M1)에 문 (3)의 상면에 부착된 자석(M2)이 서로 대접하게 되어 자력에 의해 닫힌 상태가 유지되고, 문(3)을 열어두고자 할 경우에는 원하는 만큼만 밀면, 브라켓(20)에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자석(M1)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서 문(3)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문을 세게 닫거나 열더라도 자력에 의해서 열리고 닫히는 속도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므로 여닫이 문과 마찬가지로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게 된다.
상기에서, 브라켓(10, 20)에 부착된 자석을 브라켓의 저면에 돌출되게 도시하였으나 자석(M1) 두께정도로 홈을 형성하여 이 홈에 자석을 부착시켜 브라켓상에서 돌출되지 않게 되며, 문(1,3)의 상측면에도 홈을 형성하여 이 홈에 자석(M2)을 삽입하여 문의 상측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는 여닫이 문에 설치되는 문 개폐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브라켓(10)에 부착되는 자석(M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브라켓(10)의 원호 중심부에는 장공(13)을 형성하고, 각각의 자석(M1)은 상측에 체결구(14)를 일체화시켜 상기 장공(13)을 통해 체결구(14)를 삽입하여 너트(15)로 결합함으로써 자석(M1)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미닫이 문에 설치되는 문 개폐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브라켓(20a)을 문틀(4)의 외측면에 고정하고, 문(3)의 상부 외측면에 브라켓(21)을 이용하여 자석(M2)을 부착한 것이며, 문틀(4)에 고정되는 브라켓(20a)에 부착되는 자석(M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문틀(4)에 고정되는 브라켓(20a)은 L자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장공(13)이 형성되고, 자석(M1)은 상측으로 체결구(14)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 기 장공(13)을 통해 체결구(14)를 삽입하여 너트(15)로 결합함으로써 자석(M1)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문(3)의 상부 외측면에는, 상면에 자석(M2)이 부착된 브라켓(21)을 고정하여 상기 브라켓(20a)에 부착된 각각의 자석(M1)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 문(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본 고안에 따른 문 개폐 고정장치를 미닫이 문에 설치할 때, 문틀(4)과 문(3)의 외측면에 간편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 개폐 고정장치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 개폐 고정장치에 의하면, 자력에 의해서 문을 닫고 열었을 때 그 상태를 그대로 고정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문을 조금만 열어 두고자 할 때에도 열어둔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며, 강하게 문을 열고 닫게 되더라도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여닫이 문에 있어서,
    문(1)의 회전각도에 맞게 원호 형태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자석(M1)이 다수개 부착된 브라켓(10)의 일단부를 상부 문틀(2)에 고정하고, 문(1)의 상측면에는 자석(M2)을 부착하여 상기 브라켓(10)에 부착된 각각의 자석(M1)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 문(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폐 고정장치.
  2. 미닫이 문에 있어서,
    상부 문틀(4)의 내측홈(5)에 맞도록 길게 형성되어 저면에는 자석(M1)이 다수개 부착된 브라켓(20)을 상기 내측홈(5)에 고정하고, 문(3)의 상측면에는 자석(M2)을 부착하여 상기 브라켓(20)에 부착된 각각의 자석(M1)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 문(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폐 고정장치.
  3. 미닫이 문에 있어서,
    L자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저면에 자석(M1)이 다수개 부착된 브라켓(20a)을 상부 문틀(4)의 외측면에 고정하되, 상기 브라켓(20a)의 중심부에는 장공(13)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자석(M1)은 상측으로 체결구(14)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장공(13)을 통해 체결구(14)를 삽입하여 너트(15)로 결합되고, 문(3)의 상부 외측면에는, 상면에 자석(M2)이 부착된 브라켓(21)을 고정하여 상기 브라켓(20a)에 부착된 각각의 자석(M1)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 문(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폐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의 원호 중심부에는 장공(13)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자석(M1)은 상측으로 체결구(14)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장공(13)을 통해 체결구(14)를 삽입하여 너트(15)로 결합함으로써 자석(M1)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폐 고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20)의 자석(M1)은 동일한 간격 또는 일측방향을 향해서 점차적으로 간격이 벌어져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폐 고정장치.
KR2020060000205U 2006-01-04 2006-01-04 문 개폐 고정장치 KR200411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205U KR200411558Y1 (ko) 2006-01-04 2006-01-04 문 개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205U KR200411558Y1 (ko) 2006-01-04 2006-01-04 문 개폐 고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734A Division KR100844217B1 (ko) 2007-03-08 2007-03-08 문 개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558Y1 true KR200411558Y1 (ko) 2006-03-15

Family

ID=4176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205U KR200411558Y1 (ko) 2006-01-04 2006-01-04 문 개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5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1069A (zh) * 2018-02-20 2018-06-08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装饰专用带轴承的平开门虚掩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1069A (zh) * 2018-02-20 2018-06-08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装饰专用带轴承的平开门虚掩装置
CN108131069B (zh) * 2018-02-20 2024-04-12 重庆公共运输职业学院 一种建筑装饰专用带轴承的平开门虚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4188B2 (en) Closure mechanism
US5613276A (en) Glass shower door hinge system and method
US7814621B1 (en) Stay-closed hinge
US20160362922A1 (en) Track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Shower Door,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100844217B1 (ko) 문 개폐 고정장치
US20080034539A1 (en) Adjustable refrigerator door hinge
US20050229358A1 (en) Door stop
KR200411558Y1 (ko) 문 개폐 고정장치
JP5870390B2 (ja) 案内金具
KR100924433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석식 문짝 고정 구조물
KR20090005688U (ko) 개방상태 고정이 가능한 여닫이창문용 스테이
KR100586777B1 (ko) 도어 힌지
KR100434953B1 (ko)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KR200346760Y1 (ko)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200373361Y1 (ko) 천장 점검구의 개폐장치
KR100626151B1 (ko) 건축물 출입문 부속시설
KR200325016Y1 (ko) 도어 스톱퍼
KR200416345Y1 (ko) 강화유리문의 상부 힌지조립체 고정구조
KR20200001264A (ko) 보조문을 설치하기 위한 기둥 모듈
KR20120005647U (ko) 자력을 이용한 도어 스톱퍼
JPH08254064A (ja) 扉の取付構造
KR200234587Y1 (ko) 도어용 힌지
KR200275860Y1 (ko) 가구용 경첩
KR200287717Y1 (ko) 유리문짝용 경첩
JP3496192B2 (ja) ドア部の締め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