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715A -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715A
KR20080095715A KR1020070041805A KR20070041805A KR20080095715A KR 20080095715 A KR20080095715 A KR 20080095715A KR 1020070041805 A KR1020070041805 A KR 1020070041805A KR 20070041805 A KR20070041805 A KR 20070041805A KR 20080095715 A KR20080095715 A KR 20080095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hinge
door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태
최원겸
최묵선
노삼영
김재준
Original Assignee
강성태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원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태,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원겸 filed Critical 강성태
Priority to PCT/KR2007/00502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30086A1/en
Publication of KR2008009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짝과 문틀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을 얻기 위한 것인 바,
축핀과 링부싱이 끼워져 문과 문틀에 결합되는 문짝브라켓과 문틀브라켓으로 구성된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문짝브라켓이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제1문틀브라켓과 상기 제 1문틀브라켓의 관통구에 삽입되며, 내부면에 관통구가 형성된 문짝브라켓과, 상기 문짝브라켓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제2문틀브라켓이 구성된 일자형 경첩으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방화문, 나무문, 출입문, 방문, 경첩, 견고성

Description

도어용 경첩{Door hing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어용 경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문짝과 문틀에 결합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의 절곡한 사시도.
도 6a와 도 6b은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절곡된 도어용 경첩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겹침구조를 갖는 도어용 경첩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보강대를 구성한 도어용 경첩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보강대를 구성한 도어용 경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절곡된 경접이 겹침구조에 보강대를 구성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펀칭으로 형성된 다른 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의 펀칭으로 형성된 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의 가로대를 끼움핀으로 부착한 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의 가로대를 끼움방식으로 구성한 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의 브라켓에 삼각돌기핀을 구성한 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의 브라켓에 삼각돌기핀을 구성한 실시예도.
도 20은 본 발명의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피스구에 까시발을 구성한 실시예도.
도 21은 본 발명의 피스구에 돌기핀을 구성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을 결합시 보강패드를 구성한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의 절곡된 구조를 갖는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의 축의 연결부분에 링베어링을 구성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의 축의 연결부분에 링베어링을 구성한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축의 연결부분에 보강대를 끼워 맞쳐 결합한 다른 실시예도.
도 27은 본 발명의 축의 연결부분에 보강대를 끼워 맞쳐 결합한 다른 실시예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어용경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절곡부를 형성한 실시한 상태도.
도 30은 종래의 도어용 경첩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30: 관통구 20: 피스구
40: 축 50: 제1문틀브라켓
60: 제2문틀브라켓 70: 문짝브라켓
80,90,150: 보강대 100: 피스
110: 끼움홈 120: 끼움핀
130: 펀치돌기 140: 안착홈
160: 끼움홈 170: 삼각돌기핀
180 : 경첩 190: 문틀
200: 문짝
본 발명은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짝과 문틀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 및 일반 도어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경첩은 문틀과 문의 구조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해오고 있다.
종래의 경첩은 개방부가 구비된 'ㄷ'형으로 형성되어 문틀에 고정되는 스틸재문틀고정편, 상기 개방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도어에 고정되는 스틸재 도어고정편, 상기 문틀,도어고정편의 후단에 구비되어 축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 상기 문틀,도어고정편상에 천공되는 다수개의 나사공, 상기 문틀,도어고정편 의 후방 상,하부에 형성되어 문틀과 도어의 외측면에 걸리는 위치고정용 게이지돌기, 및 상기 힌지의 상,하부에 압입되는 힌지캡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실용신안출원 제 2005-0018169호의 경첩은 도어의 개방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구비된 것으로 축핀에 끼워져 문틀 브라켓의 축구멍과 도어 브라켓의 축구멍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부싱의 외주면에 스톱퍼 돌기가 형성되어 도어의 개방범위를 제한함으로 서, 도어의 손잡이가 벽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하는 기술이 출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과 같이 경첩의 구조와 도어의 개방범위를 제한하도록 하고 있으나 무거운 문을 지탱하고 있는 경첩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와 사용시 발생이 되는 소음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종래의 경첩을 달기 위해서는 문과 문틀에 경첩을 장착할 수 장착홈을 별도로 만들거나 절단하여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문과 문틀에 절단한 장착홈은 쉽게 손상되거나 부식되어 재질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이 편리한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거운 도어를 쉽게 여닫을 수 있는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거운 문을 지탱할 수 3단 구조를 갖는 문과 문 틀에 장착홈이 필요없는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핀과 링부싱이 끼워져 문과 문틀에 결합되는 문짝브라켓과 문틀브라켓으로 구성된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관통구가 형성된 제1문틀브라켓과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내부면에 관통구가 형성된 문짝브라켓과, 상기 문짝브라켓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제2문틀브라켓이 일자형으로 구성된 경첩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중앙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절곡된 구조 갖도록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은 제1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의 끝단면에 서로 겹쳐지도록 삽입홈을 형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은 제1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과 제2문틀브라켓에 보강대를 축방향에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제1,2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을 문틀과 문짝에 고정하기 위해 피스관통구의 테두리면에 까시발이 형성하였다.
본 발명은 제1,2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에 삼각형돌기핀을 각각 구성하여 문짝과 문틀에 고정하여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어용 경첩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은 축핀과 링부싱이 끼워져 문과 문틀에 결 합되는 문짝브라켓과 문틀브라켓으로 구성된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문짝브라켓을 삽입하도록 관통구(10)가 형성된 제1문틀브라켓(50)과 상기 관통구(10)에 삽입되며, 내부면에 관통구(30)가 형성된 문짝브라켓(70)과, 상기 문짝브라켓의 관통구(30)에 삽입되는 제2문틀브라켓(60)이 일자형의 경첩(180)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경첩은 제1, 2문틀브라켓(50,60)을 축(40)에 끼울 수 있도록 말아서 형성한 특징이 있다. 문짝브라켓(70)을 끝단을 축(40)에 끼울 수 있도록 말아서 형성되었다.
제1문틀브라켓(50)에 관통구(10)를 형성하여 문짝브라켓(60)을 안착되고, 상기 문짝브라켓의 관통구(30)에 제2문틀브라켓(70)을 안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브라켓에는 피스구(20)를 형성하여 피스(100)를 끼워 문짝과 문틀에 공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문짝(200)과 문틀(190)에 도 28에 도시한 종래의 경첩과 같이 장착홈과 두 개의 브라켓을 갖는 경첩(230)을 장착하는 것을 문짝과 문틀에 장착홈 없이 장착되며, 또 문짝과 문틀의 띠움부(210)의 공간부내에 장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3단 구조로 형성되어 브라켓이 벌어지는 힘을 제1문틀브라켓과 제2문틀브라켓으로 구성하고 중앙부분을 문짝용으로 구성함으로 서로 맞물려 경합되어 브라켓이 벌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특징이 있다.
도 5와 도 6a,도 6b에 도시한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은 절곡된 문짝과 문틀에 장착되는 절곡부가 형성된 경첩을 도시하고 있다.
제1문틀브라켓(50)에 절곡부(50-1)를 형성하고, 문짝브라켓(70)에 절곡부(70-1)를 형성하여 문짝과 문틀의 절곡된 부분에 경첩(180)을 구성하여 장착된다. 이때 절곡이 되지 않는 제2문틀브라켓(60)은 문틀면에 장착하여 결합한다. 또는 필요에 따라 제2문틀브라켓도 절곡하여 결합한다.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에 장착되는 문짝브라켓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문짝에 장착시에 결합면적을 넓게 형성하도록 안착돌기(140-1)을 갖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문틀브라켓의 안착홈(140)을 문짝브라켓의 안착돌기(140-1)를 안착시켜 결합면적을 크게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10 내지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은 제1문틀브라켓(50)에 보강대(90)를 형성하여 결합하였다. 문짝브라켓(70)에 보강대(80)를 형성하여 결합하였다.
상기 보강대가 형성되도록 절취하여 축(40)이 끼워지도록 말아서 삽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말아서 삽입구를 형성하면, 말린 끝단에 보강대가 형성되어져 문짝(200)과 문틀(190)의 모서리면에 밀착되어 결합면이 보이지 않도록 도 7의 단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대가 문짝과 문틀의 모서리에 밀착되어 구성된다. 일자형구조를 형성되어 절곡된 문짝과 문틀에 절곡부에 형성한 경첩(180)에 사용된다.
안착홈(140)과 안착돌기(140-1)이 형성된 경첩에도 보강대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은 문짝과 문틀에 결합시 장 착면을 표시하도록 펀치돌기(130)를 형성하여 장착이 편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1,2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에 펀치돌기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은 문짝과 문틀에 결합시 장착면을 표시하도록 끼움홈과 끼움핀을 형성하여 끼움홈(110)에 끼움핀(120)을 박아서 구성하였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에 보강대(15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보강대에 돌기(140)를 형성하여 끼움홈(160)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모양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 있다.
도 18과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에 삼각돌기핀을 구성한 특징이 있다.
제1문틀브라켓(50)의 면에 펀칭되어 형성된 삼각돌기핀(170)을 형성하여 문틀에 박히도록 구성하고 문짝브라켓(70)에 삼각돌기핀(170)을 구성하여 문짝에 박히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20에 도시한 경첩(180)은 제1,2문틀브라켓(50,60)과 문짝브라켓(70)의 피스홀(20)에 까시발(240)을 형성하여 문짝과 문틀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삼각돌기판과 까시발을 형성하여 문짝과 문틀에 박히도록 하여 피스가 지탱하는 하중의 힘을 도울 수 있도록 하여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한 경첩(180)은 제1,2문틀브라켓(50,60)과 문짝브라켓(70)의 피스홀(20)에 돌기핀(240-1)을 형성하여 문짝과 문틀에 결합이 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돌기핀을 형성하여 문짝과 문틀에 박히도록 하여 피스가 지탱하는 하중의 힘을 도울 수 있도록 하여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2와 도 23은 문짝과 문틀에 도어용 경첩을 장착시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보강패드(250)를 각각 구성하여 결합하므로 철구조물에 사용시 적용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므로 고정 피스(100)로 조여서 결합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24와 도 25에 도시한 본 발명은 도어용 경첩의 축에 연결되는 부분에 링베어링(40-1)을 각각 삽입구성한 특징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분에 링베어링을 삽입하므로 마모가 적고, 마찰부분이 부드럽게 작동되는 특징이 있다.
도 26과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보강대(90)는 제1문틀브라켓(50)의 끼움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축에 말기 마무리전에 돌기(90-1)가 형성된 보강대를 끼워 말아서 고정하여 결합한다.
문짝브라켓(80)의 결합방법도 역시 끼움홈(80-2)을 형성하여 축에 말기 마무리전에 돌기(80-1)가 형성된 보강대(80)를 끼워 말아서 고정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함으로서 조립이 쉽고, 보강대의 크기를 원하는 되로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28과 도 29에 도시한 본 발명의 도어용경첩은 문짝에 장착되는 문짝브라 켓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문짝에 장착시에 결합면적을 넓게 형성하도록 안착돌기(140-1)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문틀브라켓의 안착홈(140)을 문짝브라켓의 안착돌기(140-1)를 안착시켜 결합면적을 크게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경첩에 제1문틀브라켓과 제2문틀브라켓이 연결부(140-2)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문틀브라켓과 제2문틀브라켓이 서로 연결된 이체형의 구조로 형성하여 견고성을 높이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일자형 또는 절곡부를 형성한 절곡된 경첩구조에 적용이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일자형 또는 절곡된 구조의 경첩등에 사용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문짝과 문틀의 띠움부에 문짝브라켓과 문틀브라켓을 3단으로 장착하여 무거운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단으로 형성되고 문과 문틀에 맞닿는 부분에 보강대를 구성하여 장착이 편리하고 장착부분이 보강대로 가려져 미관이 좋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문짝브라켓과 문틀브라켓이 문짝과 문틀에 결하시 지지보강할 수 있도록 삼각돌기핀과 까시발을 구성한 효과가 있으므로 건축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 명인 것이다.

Claims (9)

  1. 축핀과 링부싱이 끼워져 문과 문틀에 결합되는 문짝브라켓과 문틀브라켓으로 구성된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관통구가 형성된 제1문틀브라켓과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내부면에 관통구가 형성된 문짝브라켓과, 상기 문짝브라켓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제2문틀브라켓이 일자형의 경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중앙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절곡된 구조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제1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의 끝단면에 서로 겹쳐지도록 압착홈과 안착돌기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제1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과 제2문틀브라켓에 보강대를 축방향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을 문틀과 문짝에 고정하기 위해 피스관통구의 테두리면에 까시발 또는 돌기핀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6. 제 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을 문틀과 문짝에 고정하기 위해 브라켓의 끝단에 삼각돌기핀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의 축연결부분에 릴베어링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에 끼움홈을 형성하여 축에 말기 마무리전에 돌기(90-1)가 형성된 보강대를 끼워 말아서 고정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9.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제1문틀브라켓과 문짝브라켓의 끝단면에 서로 겹쳐지도록 압착홈과 안착돌기을 구성하고, 상기 제1문틀브라켓과 제2문틀브라켓이 연결부(140-2)로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KR1020070041805A 2007-04-24 2007-04-30 도어용 경첩 KR20080095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5022 WO2008130086A1 (en) 2007-04-24 2007-10-13 Door hi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688 2007-04-24
KR20070039688 2007-04-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715A true KR20080095715A (ko) 2008-10-29

Family

ID=4015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805A KR20080095715A (ko) 2007-04-24 2007-04-30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7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181B1 (ko) * 2014-11-10 2015-05-07 최재고 이중차단형 도어 장치
KR101939131B1 (ko) * 2018-09-14 2019-01-16 동화케이팀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 문
KR102090737B1 (ko) 2018-10-05 2020-03-18 김해복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181B1 (ko) * 2014-11-10 2015-05-07 최재고 이중차단형 도어 장치
KR101939131B1 (ko) * 2018-09-14 2019-01-16 동화케이팀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 문
KR102090737B1 (ko) 2018-10-05 2020-03-18 김해복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5715A (ko) 도어용 경첩
US11746515B2 (en) Pressing panel
JP2013154824A (ja) 被支持体及びフローティング支持構造
ITBO20030112U1 (it) Ruota auto-orientabile per lo scorrimento di mobili e simili
KR20080086952A (ko) 절곡구조를 갖는 도어용 경첩
CN101925475B (zh) 用于辊子的转销
KR10203461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장치
JP4533778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支持装置
KR20110125574A (ko)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KR20080098757A (ko) 중하중에 틀어짐이 없는 도어용 경첩
CN214876324U (zh) 一种连接销组件以及具有该连接销组件的折叠周转箱
KR20080089944A (ko) 기능성 도어용 일자형 경첩
KR200407162Y1 (ko) 도어용 경첩
CN205401416U (zh) 一种摇椅及其内置铰链
KR20020001365A (ko) 회전자와 브라켓트 사이의 일정 공극 유지를 위한 모터의체결구조
KR20080090711A (ko) 이중 방음 및 방화기능을 갖는 문과 문틀용 도어경첩
CN210714235U (zh) 一种隐藏式铰链
KR100434295B1 (ko) 드럼세탁기의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조립구조
CN210976989U (zh) 一种窗合页
CN211833013U (zh) 一种对扣
WO2008130086A1 (en) Door hinge
KR101988062B1 (ko)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KR100553441B1 (ko) 사물보관함용 경첩
KR200331954Y1 (ko) 창문 개폐용 연결암 힌지 구조
CN211006020U (zh) 铰链组件及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