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658Y1 - 도어경첩 - Google Patents

도어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658Y1
KR200401658Y1 KR20-2005-0024009U KR20050024009U KR200401658Y1 KR 200401658 Y1 KR200401658 Y1 KR 200401658Y1 KR 20050024009 U KR20050024009 U KR 20050024009U KR 200401658 Y1 KR200401658 Y1 KR 200401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hinge
bar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량
Original Assignee
장유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유량 filed Critical 장유량
Priority to KR20-2005-0024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6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2011/103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with circumferential and evenly distributed detents around the pivot-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경첩에 관한 것으로, 회동 경첩의 연결구 회동축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와, 고정 경첩의 고정구에 고정되고 도어의 개폐시 상기 이동바가 접촉되어 이동하게 되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도어의 열림 동작중에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때 상기 이동바의 저단부가 걸려 고정되고, 도어의 열림 및, 닫힘동작에서는 걸림없이 이동됨으로써 개방된 도어의 닫힘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어경첩{DOOR HINGE}
본 발명은 도어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회동 경첩의 연결구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와, 고정 경첩의 고정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시 상기 이동바가 접촉되어 이동하게 되는 걸림구의 구성으로 열려진 도어의 갑작스런 닫힘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기 위한 도어나 창문 등에 주로 사용되는 힌지부재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경첩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10)은 도어틀에 스크류, 볼트, 못 등으로 고정시켜 결합되는 고정 경첩(11)과, 도어측에 결합되어 일정범위 회전되도록 도어에 스크류, 볼트, 못 등으로 고정되는 회동 경첩(12)과, 상기 고정 경첩(11)과 회동 경첩(12)이 상호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경첩(11)과 회동 경첩(12)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축(13)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경첩이 설치된 도어를 열어둔 상태에서 바람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갑작이 닫혀지는 경우에는 손가락과 같은 신체의 일부가 끼어 상해를 당하게 되거나, 갑작스러운 충격음으로 주변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클로저와 도어 스토퍼가 설치된 도어의 설치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에는 도어 클로저와 도어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는데,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는 다수의 경첩(10)에 의해 문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 클로저(30)가 도어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아암(20)이 문틀(40)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 클로저(30)는 도어의 개방시 유압 등을 이용하여 도어(50)의 닫히는 속도를 감속하여 도어(50)가 닫혀질 때 도어(50)와 문틀(40)이 부딛힘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한 도어(50)의 저면에는 도어(50)의 열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도어 스토퍼(60)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 스토퍼(60)의 하부면이 지면과 밀착됨으로써, 도어(50)가 닫히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구성은 도어의 개방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어에 도어 클로저와 도어 스토퍼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구성이 복잡해 지고, 그 설치를 위한 시공기간도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경첩에 의하여 도어가 개폐되도록 설치된 기본 구성에 상기 도어 클로저와 도어 스토퍼가 추가되는 구성으로 건물의 미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방된 도어의 닫힘방지를 위한 별도 외부구조물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도어경첩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려진 문이 바람이나 기타 작용에 의해 갑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도어경첩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도어경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고정 경첩의 일측부에 형성된 고정구와 회동 경첩의 일측부에 형성된 연결구가 상호 힌지 연결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경첩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에 그 회동축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와,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고 도어의 개폐시 상기 이동바가 접촉되어 이동하게 되는 걸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구는 도어의 열림 동작중에는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때 상기 이동바의 저단부가 걸려 고정되게 하고, 도어의 열림 및, 닫힘동작에서는 걸림없이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바는 그 측부에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구는,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고 해제절개부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제1걸림구와, 상기 고정구의 회동축과 동심을 이루며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바의 걸림돌기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걸림구와, 상기 고정구의 회동축과 동심을 이루며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고 원주 방향으로 걸림홈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제3걸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구의 걸림홈에는 원주방향 좌우 양측으로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구의 해제절개부는 상기 안착홈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를 갖는 위치의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어 상기 이동바의 상단부가 상기 제1걸림구의 상부에서는 그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해제절개부에서 상기 제1걸림구의 상하부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걸림구의 걸림홈은 상기 안착홈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바의 하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시 상기 이동바의 걸림돌기가 상기 제2경사면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만 이동바의 하단부가 걸림홈에서 빠져 나오도록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도어의 닫힘 방지를 위한 도어경첩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어경첩이 설치된 도어의 설치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는 도어경첩이 결합되는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회동 경첩(400)의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100)와, 상기 고정구(310)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바(100)가 접촉되어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걸림구(200)로 구성된다.
도 4a는 도어경첩 이동바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100)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측부에서 상기 연결구(410)의 회동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돌기(120)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반구형상의 돌출편(130)과, 상부에 단턱을 갖고 하단부가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편(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100)는 상기 회동 경첩(400)에 일측에 형성된 연결구(410)의 회동축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 연결공(411)에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공(411)은 상기 이동바(100)에 상부에서 결합시 단턱이 형성된 걸림편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100)가 상기 연결구(410)에 삽입시 탄성부재(150)를 개재하여 결합된다.
상기 걸림구(200)는 상기 이동바(100)의 상부가 걸려 이동되는 제1걸림구(210)와, 상기 걸림돌기(120)가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2걸림구(220)와, 상기 이동바(100)의 하단부가 걸려지는 걸림홈(231)이 형성된 제3걸림구(230)를 포함한다.
도 4b 내지 도 4d는 도어경첩의 제1걸림구와 제2걸림구와 제3걸림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구(210)는 상기 고정구(310)의 회동축과 동심을 이루며 상기 고정구(310)에 고정되고, 측면으로 슬라이딩 경사면(212)이 형성된 원추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걸림구(210)의 원주방향으로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동바(100)의 상단부가 입출되는 해제절개부(211)가 형성되는데, 해제절개부(211)는 상기 제2걸림구(220)에 형성된 경사면중에서 제1경사면(222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바(100)의 걸림돌기(120)가 상기 제1걸림구(210)의 상단면을 따라 이동후 상기 해제절개부(211)를 통해 상기 제1경사면(222a)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걸림구(220)는 상기 제1걸림구(210)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구(310)의 회동축과 동심을 이루며 상기 고정구(3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구(220)의 원주방향으로는 상기 이동바(100)의 걸림돌기(120)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221)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홈(221)을 중심으로 원주방향 좌우 양측에는 상기 해제절개부(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경사면(222a)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경우 걸림돌기의 이동이 안내되는 제2경사면(222b)이 형성된다.
도 4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걸림구(230)는 상기 고정구(310)의 회동축과 동심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구(310)에 고정되되 상기 연결구(410)의 하부에 상기 이동바(100)의 하단이 접촉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3걸림구(230)의 원주 방향으로는 다수개의 걸림홈(231)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홈(231)은 상기 안착홈(221)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바(100)가 이동시 그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이동바(100)의 일방향으로 경사진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바(100)가 상기 제2경사면(222b)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만 이동바(100)의 하단부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홈(231)은 제1경사면(222a)측 내측부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제2경사면(222b)측 내측부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410)에 설치된 상기 연결바와 고정구(310)에 설치되는 상기 걸림구(200)가 상호 결합시에는, 상기 이동바(100)의 돌출편(130)은 상기 제1걸림구(210)의 해제절개부(211)에 삽입시 상기 제1걸림구(21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한 후 다른 해제절개부(211)를 만나면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바(100)의 걸림돌기(120)는 상기 제2걸림구(220)의 경사면과 안착홈(221)에 접촉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바(100)의 걸림편은 상기 걸림돌기(120)가 상기 안착홈(221)에 안착시에 상기 제3걸림구(230)의 걸림홈(231)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도어경첩의 닫히는 동작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상기 이동바(100)의 걸림돌기(120)가 상기 제2걸림구(220)의 제1경사면(222a)을 타고 상승하여 상기 돌출편(130)이 제1걸림구(210)의 해제절개부(211)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편(130)이 상기 제1걸림구(21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후 다른 해제절개부(211)를 만나면 하부로 떨어지며 다시 상기 이동바(100)의 걸림돌기(120)가 상기 제2걸림구(220)의 경사면에 걸쳐지게 된다. 이때, 계속하여 도어를 닫게 되면 다시 상기 걸림돌기(120)는 상기 제1경사면(222a)을 타고 상승하여 다시 제1걸림구(210)의 상부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문이 닫혀지게 되고, 도어의 닫힘 과정중에 도어를 소정각도 만큼 다시 열림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이동바(100)의 걸림편이 상기 제3걸림구(230)의 걸림홈(231)에 끼워지게 되면서 고정된다.
도 5b는 도어경첩의 열리는 동작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열 경우에는 상기 제2걸림구(220)의 안착홈(221)에 정지되어 있는 상기 이동바(100)의 걸림돌기(120)가 제2경사면(222b)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돌출편(130)이 상기 제1걸림구(210)의 슬라이딩 경사면(212)을 만나 상기 제1걸림구(210)의 상부면으로 밀어 올라가게 되고, 상기 제1걸림구(21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바(100)는 상기 해제절개부(211)를 만나면 하부로 배출되어 상기 제1걸림구(210)의 제1경사면(222a)을 만나 다시 상기 안착홈(221)으로 이동한다. 이때, 계속하여 도어를 열게 되면 상기 이동바(100)의 걸림돌기(120)가 제2경사면(222b)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돌출편(130)이 상기 제1걸림구(210)의 슬라이딩 경사면(212)을 만나 상기 제1걸림구(210)의 상부면으로 밀어 올라가게 되어 상기 제1걸림구(210)의 상부면을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개방된다.
그러나, 도어를 여는 도중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바(100)의 저단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상기 제3걸림구(230)의 걸림홈(231)에 걸려 도어의 닫힘이 방지되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개방된 도어의 닫힘방지를 위한 외부의 별도 구조물이 추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형이 깔끔하게 정돈되지 못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도어경첩만을 대체함으로서 열려진 문이 바람이나 기타 작용에 의해 갑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어경첩에 설치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별도의 도어클로저 또는 도어스토퍼를 부가하지 않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경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경첩이 설치된 도어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경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경첩이 장착된 도어를 설치 상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경첩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경첩의 이동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경첩의 제1걸림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경첩의 제2걸림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d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경첩의 제3걸림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경첩의 닫히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경첩의 열리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이동바 110...몸체
120...걸림돌기 130...돌출편
140...걸림편 150...탄성부재
200...걸림구 210...제1걸림구
220...제2걸림구 230...제3걸림구
300...고정 경첩 400...회동 경첩

Claims (5)

  1. 고정 경첩(300)의 일측부에 형성된 고정구(310)와 회동 경첩(4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연결구(410)가 상호 힌지 연결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경첩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410)에 그 회동축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100)와,
    상기 고정구(310)에 고정되고 도어의 개폐시 상기 이동바(100)가 접촉되어 이동하게 되는 걸림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구(200)는 도어의 열림 동작중에는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때 상기 이동바(100)의 저단부가 걸려 고정되게 하고, 도어의 열림 및 닫힘동작에서는 걸림없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경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100)는 그 측부에 걸림돌기(120)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구(200)는,
    상기 고정구(310)에 고정되되 상기 이동바의 상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아래로 테이퍼진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해제절개부(211)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제1걸림구(210)와,
    상기 고정구(310)의 회동축과 동심을 이루며 상기 고정구(310)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바(100)의 걸림돌기(120)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221)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걸림구(220)와,
    상기 고정구(310)의 회동축과 동심을 이루며 상기 고정구(310)에 고정되고 원주 방향으로 걸림홈(231)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제3걸림구(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구(220)의 걸림홈(231)에는 원주방향 좌우 양측으로 제1경사면(222a) 및 제2경사면(22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구(210)의 해제절개부(211)는 상기 안착홈(221)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를 갖는 위치의 상기 제1경사면(222a)에 대응되어 상기 이동바(100)의 상단부가 상기 제1걸림구(210)의 상부에서는 그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해제절개부(211)에서 상기 제1걸림구(210)의 상하부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걸림구(230)의 걸림홈(231)은 상기 안착홈(221)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바(100)의 하단부가 상기 걸림홈(231)에 삽입시 상기 이동바(100)의 걸림돌기(120)가 상기 제2경사면(222b)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만 이동바(100)의 하단부가 걸림홈(231)에서 빠져 나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경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100)의 상부에는 하단면이 상기 제1걸림구(210)의 상부면에 걸리는 반구 형상의 돌출편(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경첩.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걸림구(230)의 걸림홈(231)에서 제1경사면(222a)측 내측부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제2경사면(222b)측 내측부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100)의 하단부는 상기 걸림홈(231)에 끼워지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경첩.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410)에는 그 회동축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단턱이 형성된 연결공(41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100)의 하부는 단턱지게 연장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탄성부재(150)를 개재하여 상기 연결공(41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경첩.
KR20-2005-0024009U 2005-08-19 2005-08-19 도어경첩 KR200401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09U KR200401658Y1 (ko) 2005-08-19 2005-08-19 도어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09U KR200401658Y1 (ko) 2005-08-19 2005-08-19 도어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658Y1 true KR200401658Y1 (ko) 2005-11-21

Family

ID=4370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009U KR200401658Y1 (ko) 2005-08-19 2005-08-19 도어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6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737B1 (ko) 2018-10-05 2020-03-18 김해복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737B1 (ko) 2018-10-05 2020-03-18 김해복 도어의 갭 보정이 가능한 피봇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195B1 (en) Door assembly
US20050283947A1 (en) Disappearing hing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with wing and swivel wing opening
JP4076559B2 (ja) 自動閉鎖型蝶番
US20150159423A1 (en) Assembly having liftable lid and movable hinge module thereof
KR20160118283A (ko)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KR200401658Y1 (ko) 도어경첩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KR101100149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110007925U (ko) 연동형 미닫이 문
KR101040999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US20080295286A1 (en) Hinge Cover Assembly
KR20140013655A (ko) 문 고정장치
CN211736813U (zh) 限位铰链及门窗结构
US6578320B1 (en) Sliding door closer
KR200442711Y1 (ko) 도어의 힌지장치
KR200416599Y1 (ko) 윗 열기와 여닫이 겸용 시스템창호의 안전장치
KR200411572Y1 (ko) 문과 그 문이 설치되는 문틀
KR20070120931A (ko) 정지기능을 갖는 수직형 도어클로저
WO2006078169A1 (en) Child safety lock for reversible window hinges
KR200415618Y1 (ko) 창호용 하드웨어
KR100382112B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CN210343028U (zh) 一种对开式掀盖门的自锁装置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101254787B1 (ko) 시스템창호용 스테이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