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751B1 - 자동 폐쇄형 경첩 - Google Patents

자동 폐쇄형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751B1
KR100746751B1 KR1020060033922A KR20060033922A KR100746751B1 KR 100746751 B1 KR100746751 B1 KR 100746751B1 KR 1020060033922 A KR1020060033922 A KR 1020060033922A KR 20060033922 A KR20060033922 A KR 20060033922A KR 100746751 B1 KR100746751 B1 KR 100746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m
vertical
fixed
w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958A (ko
Inventor
아츠로 스기무라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05F1/0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Abstract

조립 상태에서도 간단하게 오른쪽 열기 사양과 왼쪽 열기 사양을 외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자동 폐쇄형 경첩을 제공한다.
고정측 날개판(2)에 수직 캠 받침 구멍(4)을 형성하고, 수직 캠 받침 구멍(4)의 바닥부에 비 원형 구멍(5)을 형성하고, 비 원형 구멍(5)의 바닥부에 고정측 날개판(2)의 바닥면에 개구되는 관통공(6)을 형성하고, 가동측 날개판(8)의 하부에 형성한 수직 피벗 축(9)의 하단에 종동 캠 경사면(10)을 형성한다. 고정 캠체(11)에 수직 피벗 축(9)이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 들어가는 수직 축 받이 구멍(12)을 형성하고, 수평면 내에서 180도 위상을 바꾸어 비 원형 구멍(5)에 끼우거나 뺄 수 있는 비 원형 기둥부(13)를 고정 캠체(11)의 하부에 형성한다. 수직 축 받이 구멍(12)의 바닥부에 종동 캠 경사면(10)에 맞닿는 구동 캠 경사면(14)을 형성하고, 비 원형 기둥부(13)에 상기 관통공(6)에 끼워져 들어가는 표시 돌기(15)를 형성하고, 표시 돌기(15)의 바닥면에 일방향 화살표(16)를 마련하고, 오른쪽 열기 사양의 표시(25)와 왼쪽 열기 사양의 표시(26)를 지지 시트부(3)의 바닥면에 설치한다.
경첩, 오른쪽 열기, 왼쪽 열기, 도어, 캠, 경사면, 자동 폐쇄

Description

자동 폐쇄형 경첩{AUTOMATIC CLOSING HI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폐쇄형 경첩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 폐쇄형 경첩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 폐쇄형 경첩의 상승 상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자동 폐쇄형 경첩에 사용한 고정 날개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고정측 날개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고정측 날개판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고정측 날개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자동 폐쇄형 경첩에 사용한 고정측 날개판용 와셔판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와셔판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자동 폐쇄형 경첩에 사용한 가동측 날개판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가동측 날개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가동측 날개판의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가동측 날개판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가동측 날개판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의 자동 폐쇄형 경첩에 사용한 고정 캠체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고정 캠체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고정 캠체의 저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의 자동 폐쇄형 경첩에 사용한 커버체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커버체의 배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커버체의 저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1의 자동 폐쇄형 경첩에 사용한 가동측 날개판용 와셔판의 배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J-J선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1의 자동 폐쇄형 경첩을 오른쪽 열기 사양으로 조립한 상태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1의 자동 폐쇄형 경첩을 왼쪽 열기 사양으로 조립한 상태의 수평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고정 프레임체 2 : 고정측 날개판
3 : 지지 시트부 4 : 수직 캠 받침 구멍
5 : 비 원형 구멍 6 : 관통공
7 : 도어 8 : 가동측 날개판
9 : 수직 피벗 축 10 : 종동 캠 경사면
11 : 고정 캠체 12 : 수직 축 받이 구멍
13 : 비 원형 기둥부 14 : 구동 캠 경사면
15 : 표시 돌기 16 : 일방향 화살표
25 : 오른쪽 열기 사양의 표시 26 : 왼쪽 열기 사양의 표시
본 발명은 냉장고 등의 도어에 사용되며, 경사면 캠과 도어 자중의 이용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폐쇄 회전하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고정 프레임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측 날개판과, 도어에 고정 장착되는 가동측 날개판과, 상기 고정측 날개판의 수직 축 구멍의 바닥부에 설치되며, 상면부에 캠 경사면을 형성한 고정 캠체와, 고정측 날개판의 상기 수직 축 구멍에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 들어가며, 하면부에 상기 고정 캠체의 캠 경사면에 맞닿는 캠 경 사면을 형성한 캠 종동체와, 상기 캠 종동체의 중앙부에 관통되어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 날개판의 수직 축 구멍에 상부가 삽입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고정 캠체의 수직 축 구멍에 선회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봉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폐쇄형 경첩은 이미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자동 폐쇄형 경첩에서는 고정측 날개판의 상기 수직 축 구멍에 대한 상기 고정 캠체의 설치를 수평면 내에서 180도 위상을 바꾸어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프레임체에 대한 도어의 장착은, 도어의 회전 중심이 도어의 좌단측에 있고 도어 개폐용 핸들이 도어의 우단측에 있는 오른쪽 열기 사양과, 도어의 회전 중심이 도어의 우단측에 있고 도어 개폐용 핸들이 도어의 좌단측에 있는 왼쪽 열기 사양의 2가지가 선택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폐쇄형 경첩에서는 일단 상기 고정 캠체를 고정측 날개판에 내장한 후의 상태에서는, 이 경첩이 오른쪽 열기 사양인지 혹은 왼쪽 열기 사양인지를 외관적으로 판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른 사양으로 조립되어 있는 경첩을 사용 현장에 잘못 가져가 치 공구를 이용하여 사용 현장에서 갑작스럽게 고정 캠체의 교체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 폐쇄형 경첩에서는 구성 부품으로서 상기 고정측 날개판, 가동측 날개판 및 고정 캠체에 더하여 고정측 날개판의 상기 수직 축 구멍에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 들어가 하면부에 상기 고정 캠체 캠의 경사면에 맞닿는 캠 경사면을 형성한 캠 종동체와, 상기 캠 종동체의 중앙부에 관통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동측 날개판의 수직 축 구멍에 상부가 삽입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고정 캠체의 수직 축 구멍에 선회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성 부품 수가 많아 부품의 제작과 조립 비용이 증가하였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3356267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립 후의 상태에서도 간단하게 오른쪽 열기 사양과 왼쪽 열기 사양을 외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성 부품 수의 감소에 의해 제작 가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 폐쇄형 경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폐쇄형 경첩은, 고정 프레임체(1)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측 날개판(2)의 하부측면에 지지 시트부(3)를 내어 형성하고, 상기 지지 시트부(3)에 수직 캠 받침 구멍(4)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 캠 받침 구멍(4)의 바닥부에 비 원형 구멍(5)을 형성하고, 상기 비 원형 구멍(5)의 바닥부에 상기 지지 시트부(3)의 바닥면에 개구되는 관통공(6)을 형성하고, 도어(7)에 고정 장착되는 가동측 날개판(8)의 하부에 수직 피벗 축(9)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수직 피벗 축(9)의 하단에 종동 캠 경사면(10)을 형성하고, 고정측 날개판(2)의 상기 수직 캠 받침 구멍(4)에 끼워져 들어가는 고정 캠체(11)에 가동측 날개판(8)의 상기 수직 피벗 축(9)이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 들어가는 수직 축 받이 구멍(12)을 형성하고, 수평면 내에서 180도 위상을 바꾸어 고정측 날개판(2)의 상기 비 원형 구멍(5)에 끼우거나 뺄 수 있는 비 원형 기둥부(13)를 상기 고정 캠체(11)의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수직 축 받이 구멍(12)의 바닥부에 수직 피벗 축(9)의 상기 종동 캠 경사면(10)에 맞닿는 구동 캠 경사면(14)을 형성하고, 상기 비 원형 기둥부(13)의 바닥면에 고정측 날개판(2)의 상기 관통공(6)에 끼워져 들어가는 표시 돌기(15)를 형성하고, 표시 돌기(15)의 바닥면에 일방향 화살표(16)를 마련하고, 상기 관통공(6)의 양측에서 오른쪽 열기 사양의 표시(25)와 왼쪽 열기 사양의 표시(26)를 상기 지지 시트부(3)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고정측 날개판(2)과 가동측 날개판(8)이 금속으로 되어 있고, 회전 캠체(11)가 합성 수지로 되어 있으며, 상승용 캠의 슬라이딩 접촉 위치가 수지와 금속이므로, 상승용 캠의 접촉이 수지끼리인 종래의 자동 폐쇄형 경첩과 비교하여 마모가 없거나 현저하게 줄어든다.
별도로 장비된 도어용 로크 핸들 장치에 의한 잠금을 해제한 후, 수직 피벗 축(9)을 중심으로 도어(7)를 개방 방향으로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고정측 날개판(2)의 구동 캠 경사면(14)과 수직 피벗 축(9)의 종동 캠 경사면(10)의 협동 작용에 의해 수직 피벗 축(9) 및 수직 피벗 축(9)과 일체인 가동측 날개판(8)은 선회하면서 도 4에 도시한 위치까지 밀려 올라간다.
이러한 개방 위치에서 도어(7)로부터 손을 떼면, 도어(7)의 중량과 구동 캠 경사면(14)과 종동 캠 경사면(10)의 작용에 의해 도어(7)는 자동으로 폐쇄 회전한다. 이러한 폐쇄 회전에 따라 수직 피벗 축(9)과 가동측 날개판(8)은 선회하면서 하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품을 넣거나 꺼내는 작업의 편의를 고려하여 고정 캠체 (11)의 구동 캠 경사면(14)의 말단부와 수직 피벗 축(9)의 종동 캠 경사면(10)의 말단부에는 평탄면부(14a)와 평탄면부(10a)를 형성하였으므로, 평탄면부(14)에 평탄면부(10a)가 올라앉는 위치까지 도어(7)를 추가 회전시켰을 때에는 도어(7)가 개방 위치로 유지된다. 도어 폐쇄시에는 도어(7)를 손으로 밀어 평탄면부(10a)를 평탄면부(14a)로부터 떨어뜨려 준다. 이에 따라 자동 폐쇄가 시작된다.
고정측 날개판(2)의 정면부에는 오목부(17)를 수직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7)의 안 바닥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걸림 홈(18)을 수평 방향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결합 홈(18)에 교차시켜 고정 프레임체(1)에 대한 고정 구멍(19)을 수직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하여 고정측 날개판(2)에 형성하였다. 상기 오목부(17)보다 수직 방향 길이가 짧은 와셔판(20)을 고정측 날개판(2)의 상기 오목부(17)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조정 가능하게 끼워 넣고, 상기 와셔판(20)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걸림 돌기(21)를 수평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 돌기(21)에 교차시켜 고정 프레임체(1)에 대한 부착 구멍(23)을 와셔판(20)에 둥근 구멍 형태로 형성하였다.
상기 걸림 홈(18)에 걸림 돌기(21)를 체결하여 상기 와셔판(20)을 위치 설정하고 나서, 상기 부착 구멍(23)과 상기 고정 구멍(19)을 통하는 고정장착구(24)에 의해 고정측 날개판(2)을 고정 프레임체(1)에 고정 장착한다.
이와 같은 부착 구조이므로, 상기 자동 폐쇄형 경첩을 상하 2개 사용하였을 때 상하의 부착 피치가 맞지 않은 경우, 상하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예컨대 상하 총 4mm 스트로크)에서 조정할 수 있다.
고정측 날개판(2)의 지지 시트부(3)의 바닥면에 찍어 넣은(打刻) 오른쪽 열기 사양의 표시(25)는 알파벳 R이고 왼쪽 열기 사양의 표시(26)는 알파벳 L로서, 관통공(6)의 직경 상에 대치되어 있다.
가동측 날개판(8)의 본체 부분의 하부는 고정측 날개판(2)의 지지 시트부(3)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반원 형태로 확대 형성되어 있고, 수직 피벗 축(9)은 가동측 날개판(8)과 금속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가동측 날개판(8)의 정면부에 형성한 오목부(22)의 바닥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걸림 홈(27)을 수직 방향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걸림 홈(27)에 교차시켜 도어(7)에 대한 고정 구멍(28)을 수평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하여 가동측 날개판(8)에 형성하였다. 와셔판(29)의 후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걸림 돌기(30)를 수평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 돌기(30)에 교차시켜 도어(7)에 대한 부착 구멍(31)을 와셔판(29)에 둥근 구멍 형태로 형성하였다.
상기 걸림 홈(27)에 걸림 돌기(30)를 체결하여 상기 와셔판(29)을 위치 설정하고 나서, 상기 부착 구멍(31)과 상기 고정 구멍(28)을 통하는 고정장착구(32)에 의해 가동측 날개판(8)을 도어(7)에 고정 장착한다.
이와 같은 부착 구조이기 때문에, 이러한 자동 폐쇄형 경첩을 상하 2개 사용하였을 때 상하의 부착 라인이 맞지 않은 경우, 수평 방향 즉 도어(7)의 두께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부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측 날개판(8)의 정면측에 커버체(33)가 장착된다. U 형상의 커버체(33)의 대향하는 내면에는 상하 한 쌍의 걸림턱(34)이 형성되고, 가 동측 날개판(8)의 양 측면에는 상하 한 쌍의 걸림 받침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4)이 상기 걸림 받침 홈(35)에 탄성 체결됨으로써 커버체(33)가 가동측 날개판(8)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체(33)에 의해 가동측 날개판(9)의 노출부 전체를 덮도록 하였으므로, 가동측 날개판(8)에 의장적 도장 등의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수직 캠 받침 구멍(4)의 바닥부에 형성하는 비 원형 구멍(5)은 대향하는 2변을 원호로 한 대략 5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고정 캠체(11)의 하부에 형성하는 비 원형 기둥부(13)의 수평 단면의 외주 윤곽도 대향하는 2변을 원호로 한 대략 5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 도 32는 오른쪽 열기 사양으로 조립한 상태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33은 왼쪽 열기 사양으로 조립한 상태의 수평 단면도이며, 상기 비 원형 기둥부(13)는 180도 위상을 반전(反轉)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비 원형 구멍(5) 및 상기 비 원형 기둥부(13)의 단면 형상은 상기 이외에도 정사각형이나 정육각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자동 폐쇄형 경첩에서는 고정측 날개판(2)의 지지 시트부(3)에 형성한 수직 캠 받침 구멍(4)의 바닥부에 비 원형 구멍(5)을 형성하고, 수평면 내에서 180도 위상을 바꾸어 상기 비 원형 구멍(5)에 끼우거나 뺄 수 있는 비 원형 기둥부(13)를 수직 캠 받침 구멍(4)에 끼워져 들어가는 고정 캠체(11)의 하부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오른쪽 열기 사양과 왼쪽 열기 사양에 따라 가동측 날개판(8)의 수직 피벗 축(9)을 고정 캠체(11)의 수직 축 받이 구멍(12)으로부터 빼내고, 고정 캠체(11)를 고정측 날개판(2)의 수직 캠 받침 구멍(4)으로부터 빼낸 후, 고정측 날개판(2)에 대한 고정 캠체(11)의 배치 각도를 180도 회전시켜 고정 캠체(11)를 상기 수직 캠 받침 구멍(4)에 다시 끼워 넣고, 상기 수직 축 받이 구멍(12)에 상기 수직 피벗 축(9)을 방향을 바꾸어 다시 끼워 넣음으로써, 경첩의 사용을 좌우 전환할 수 있다.
이 고정측 날개판(2)에 고정 캠체(11)가 내장된 상태에서는 상기 비 원형 기둥부(13)의 바닥면에 형성한 표시 돌기(15)가 고정측 날개판(2)의 지지 시트부(3)의 바닥면에 개구되는 관통공(6)에 끼워져 들어가 있고 표시 돌기(15)의 바닥면에 마련한 일방향 화살표(16)가 지지 시트부(3)의 바닥면에 드러나 있기 때문에, 화살표(16)가 오른쪽 열기 사양의 표시(25)와 왼쪽 열기 사양의 표시(26) 중 어느 쪽을 향하고 있는지에 따라 해당 경첩이 오른쪽 열기 사양 혹은 왼쪽 열기 사양인지를 외관적으로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른쪽 열기 사양과 왼쪽 열기 사양을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 현장에 다른 사양으로 조립된 경첩을 가지고 가서 사양 현장에서 갑작스럽게 바꾸어 조립하는 번잡함이 해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폐쇄형 경첩의 구성 부품은 고정측 날개판(2), 가동측 날개판(8) 및 고정 캠체(11) 뿐이므로, 종래품과 비교하여 구성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제작 조립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

  1. 고정 프레임체(1)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측 날개판(2)의 하부측면에 지지 시트부(3)를 내어 형성하고, 상기 지지 시트부(3)에 수직 캠 받침 구멍(4)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 캠 받침 구멍(4)의 바닥부에 비 원형 구멍(5)을 형성하고, 상기 비 원형 구멍(5)의 바닥부에 상기 지지 시트부(3)의 바닥면에 개구되는 관통공(6)을 형성하고,
    도어(7)에 고정 장착되는 가동측 날개판(8)의 하부에 수직 피벗 축(9)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수직 피벗 축(9)의 하단에 종동 캠 경사면(10)을 형성하고,
    고정측 날개판(2)의 상기 수직 캠 받침 구멍(4)에 끼워져 들어가는 고정 캠체(11)에 가동측 날개판(8)의 상기 수직 피벗 축(9)이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 들어가는 수직 축 받이 구멍(12)을 형성하고, 수평면 내에서 180도 위상을 바꾸어 고정측 날개판(2)의 상기 비 원형 구멍(5)에 끼우거나 뺄 수 있는 비 원형 기둥부(13)를 상기 고정 캠체(11)의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수직 축 받이 구멍(12)의 바닥부에 수직 피벗 축(9)의 상기 종동 캠 경사면(10)에 맞닿는 구동 캠 경사면(14)을 형성하고, 상기 비 원형 기둥부(13)의 바닥면에 고정측 날개판(2)의 상기 관통공(6)에 끼워져 들어가는 표시 돌기(15)를 형성하고, 표시 돌기(15)의 바닥면에 일방향 화살표(16)를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6)의 양측에서 오른쪽 열기 사양의 표시(25)와 왼쪽 열기 사양의 표시(26)를 상기 지지 시트부(3)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폐쇄형 경첩.
KR1020060033922A 2006-01-30 2006-04-14 자동 폐쇄형 경첩 KR100746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0791A JP4076559B2 (ja) 2006-01-30 2006-01-30 自動閉鎖型蝶番
JPJP-P-2006-00020791 2006-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958A KR20070078958A (ko) 2007-08-03
KR100746751B1 true KR100746751B1 (ko) 2007-08-06

Family

ID=3845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922A KR100746751B1 (ko) 2006-01-30 2006-04-14 자동 폐쇄형 경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76559B2 (ko)
KR (1) KR100746751B1 (ko)
CN (1) CN101012723B (ko)
TW (1) TWI2882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38U (ko) * 2017-05-19 2018-11-28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사전 조립된 마찰 힌지 모듈, 힌지식 시스템, 및 사전 조립된 마찰 힌지 모듈들 및 시스템들을 만들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5818A (zh) * 2014-09-30 2016-04-27 赵芬 高密封式门升降自闭铰链
CN106468496A (zh) * 2015-08-14 2017-03-01 杨庭卫 一种自关缓冲静音冰箱门铰链
KR101705221B1 (ko) * 2016-02-01 2017-02-09 양무일 자동 경첩
CN109373684B (zh) * 2018-10-11 2021-03-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9373683B (zh) * 2018-10-11 2021-03-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冰箱
CN113175282A (zh) * 2018-10-11 2021-07-27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铰链装置及具有其的制冷设备
CN109373682B (zh) * 2018-10-11 2021-03-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9253578B (zh) * 2018-10-11 2021-03-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铰链装置
CN109253579B (zh) * 2018-10-11 2021-03-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铰链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217A (ja) 2003-04-15 2004-11-11 Takigen Mfg Co Ltd 自動閉鎖型蝶番の分離防止具
JP2005171698A (ja) 2003-12-15 2005-06-30 Takigen Mfg Co Ltd 自動閉鎖型蝶番
JP2005314867A (ja) 2004-04-26 2005-11-10 Takigen Mfg Co Ltd コーナー部用抜差しヒン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09276U1 (de) * 2000-05-23 2001-09-27 Hahn Gmbh & Co Kg Dr Band für Türen, Fenster u.dgl.
JP2003209373A (ja) * 2002-01-16 2003-07-25 Toshiba Corp 扉開閉装置
CN2570407Y (zh) * 2002-09-29 2003-09-03 张虹 可自动开启和关闭的无框门窗
CN1211557C (zh) * 2002-11-11 2005-07-20 陈文成 门用自动铰链的链轴
CN2746088Y (zh) * 2004-11-19 2005-12-14 上海臻鼎五金有限公司 重力式自动回关铰链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217A (ja) 2003-04-15 2004-11-11 Takigen Mfg Co Ltd 自動閉鎖型蝶番の分離防止具
JP2005171698A (ja) 2003-12-15 2005-06-30 Takigen Mfg Co Ltd 自動閉鎖型蝶番
JP2005314867A (ja) 2004-04-26 2005-11-10 Takigen Mfg Co Ltd コーナー部用抜差しヒン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38U (ko) * 2017-05-19 2018-11-28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사전 조립된 마찰 힌지 모듈, 힌지식 시스템, 및 사전 조립된 마찰 힌지 모듈들 및 시스템들을 만들기 위한 방법
KR200497744Y1 (ko) * 2017-05-19 2024-02-14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사전 조립된 마찰 힌지 모듈, 힌지식 시스템, 및 사전 조립된 마찰 힌지 모듈들 및 시스템들을 만들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76559B2 (ja) 2008-04-16
TWI288200B (en) 2007-10-11
JP2007198085A (ja) 2007-08-09
CN101012723A (zh) 2007-08-08
TW200728584A (en) 2007-08-01
CN101012723B (zh) 2011-03-16
KR20070078958A (ko) 200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751B1 (ko) 자동 폐쇄형 경첩
US20100242227A1 (en) Adjustable Door Hinge
US20060026792A1 (en) Hinge
NO316081B1 (no) Hus, is¶r for automatiske dördrev
KR100907464B1 (ko) 도어용 경첩
KR200385006Y1 (ko) 가구용 도어
KR200290779Y1 (ko) 배전반의 도어 정지구조
KR200190952Y1 (ko) 도어 클로우저용 자동 스토퍼
AU6387194A (en) A window stay
KR200402711Y1 (ko) 화장실 칸막이용 힌지장치
KR200401658Y1 (ko) 도어경첩
KR200411558Y1 (ko) 문 개폐 고정장치
KR920005375Y1 (ko) 창문괘정구
RU48564U1 (ru) Фиксатор для створки окна
EP2329087B1 (en) Door handle
KR200413272Y1 (ko) 싱크대용 경첩
KR200384270Y1 (ko) 창호용 프로젝트 핸들
KR200437394Y1 (ko) 창문용 크리센트
KR20110000895U (ko) 도어용 개폐장치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200313265Y1 (ko) 여닫이식 출입문 경첩
KR100186708B1 (ko) 출입문용 힌지장치
KR920002155Y1 (ko) 가전제품의 도어 고정장치
KR200339928Y1 (ko) 도어잠금장치
KR200256739Y1 (ko) 문짝설치용 경첩의 힌지축 인출장치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