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006Y1 - 가구용 도어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006Y1
KR200385006Y1 KR20-2005-0004925U KR20050004925U KR200385006Y1 KR 200385006 Y1 KR200385006 Y1 KR 200385006Y1 KR 20050004925 U KR20050004925 U KR 20050004925U KR 200385006 Y1 KR200385006 Y1 KR 200385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furniture
main body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성
Original Assignee
박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성 filed Critical 박시성
Priority to KR20-2005-0004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개방 후 본체의 내측으로 수납가능한 가구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슬라이드형 경첩, 가이드레일 등을 채용하여 도어 개방 후 본체 안으로 밀어 넣어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앞쪽의 실내 공간 확보로 통행에 불편을 주거나 거동시 불편을 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한편, 특히 구조 및 작동방식이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고 우수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가구들의 설계변경없이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본체의 내부 수납공간도 거의 그대로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가구용 도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구용 도어{Door for furniture}
본 고안은 도어 개방 후 본체의 내측으로 수납가능한 가구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측에는 슬라이드형 경첩을 부착하고 본체측에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도어를 개방한 후 본체 안으로 밀어 넣어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앞쪽의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통행에 불편을 주거나 거동시 불편을 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 및 작동방식이 간단한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적고 기존 경첩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수납타입 도어의 제작과 관련한 비용을 낮출 수 있고 본체의 내부 수납공간도 그대로 확보할 수 있는 가구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가구, 주방용 가구, 사무용 가구 등의 도어는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경첩을 이용하여 열고 닫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렇게 물건을 보관하거나 꺼내기 위해 도어를 열고 닫는 구조의 경우 도어 개방시 앞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돌출되는 도어부분만큼 통행시의 공간이 차단되거나 거동시의 간섭을 일으키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어를 본체 내측으로 수납시킬 수 있는 여러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기존의 제품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부품수가 많아 작동성이 떨어지고 제작비용이 높아지는 등 조작성 및 제작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고, 특히 이러한 부품들이 본체 내부의 공간을 상당부분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수납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단점이 있으며, 또 이러한 수납타입 도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가구에서 본체나 도어의 구조, 경첩부분의 구조 등 여러 부분을 함께 변경해야 하므로 제작시 어려움이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슬라이드형 경첩, 가이드레일 등을 채용하여 도어 개방 후 본체 안으로 밀어 넣어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앞쪽의 실내 공간 확보로 통행에 불편을 주거나 거동시 불편을 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한편, 특히 구조 및 작동방식이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고 우수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가구들의 설계변경없이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본체의 내부 수납공간도 거의 그대로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가구용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의 내부에 도어를 수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가구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양쪽 벽면에는 각각 위아래 나란한 2개의 가이드레일을 수평 설치하고, 상기 도어의 한쪽 끝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적어도 2개의 슬라이드형 경첩을 위아래 각각 부착하여서, 도어 개방 후 본체 안으로 밀어 넣어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형 경첩은 도어측에 고정되는 회전용 경첩과, 상기 회전용 경첩과 힌지결합되는 동시에 본체측에 지지되는 슬라이드용 경첩과, 상기 슬라이드용 경첩의 이면부에 부착되는 적어도 2개의 구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름부재는 슬라이드용 경첩의 이면부에서 일체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롤러 또는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길이 양단부에 마감캡을 가지면서 구름부재의 이탈을 막아주는 "C"형 단면의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가이드레일 설치부위 전면은 벽체와 나란한 칸막이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양단부 바닥면에는 적어도 1개의 구름부재의 일정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스톱퍼가 각각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측 양쪽 벽면에는 위아래 적당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위아래 2개의 가이드레일(12)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2)은 도어 수납시 안내를 해주는 수단으로서, 금속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스크류 체결구조로 고정될 수 있고, 길이의 양쪽 끝은 착탈가능한 마감캡(18)으로 마감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2)은 "C"형 단면구조를 이용하여 이곳에서 슬라이드되는 구름부재(16)가 밖으로 빠지는 것을 막아주면서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길이의 양쪽 끝은 착탈가능한 마감캡(18)으로 마감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단과 하단 전면에는 단차구조의 턱(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턱(20) 내에 도어(11)의 상하단 가장자리 부위가 안착되므로서, 도어(11)의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턱(20)의 양쪽 끝부분은 대략 도어(11)의 두께만큼 절개되어 있어서, 수납시 도어(11)는 이곳을 통해 내측으로 진입 가능하게 된다.
도어(11)의 한쪽 끝에는 위아래 2개 정도의 슬라이드형 경첩(15)이 부착되고, 이것을 이용하여 도어(11)는 본체(10)의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형 경첩(15)은 힌지부재(21)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면서 도어측과 본체측에 각각 고정되고 지지되는 회전용 경첩(14)과 슬라이드용 경첩(15)의 조합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용 경첩(14)은 도어(11)의 안쪽면에 스크류 체결구조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개폐를 위한 도어(11)의 회전시 그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드용 경첩(15)은 그 이면부에서 일정길이의 축(17)이 연장되고, 이 축(17)에 구름부재(16)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10)의 벽면에 있는 가이드레일(12)을 타고 다닐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구름부재(16)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롤러나 베어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용 경첩(15)에 구비되는 축(17)은 경첩 몸체로부터 일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헤드부를 갖는 볼트타입의 부재를 사용하여 체결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용 경첩과 슬라이드용 경첩의 힌지부위에는 주방용 가구의 도어 힌지수단으로 통상 사용되는 "원터치 힌지"와 마찬가지로 판스프링을 내장하여 개폐시 도어가 탄력적인 지지를 받으면서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스톱퍼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22)는 도어(11)의 수납위치나 닫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레일(12)의 길이 양단부 바닥면에는 적어도 1개의 구름부재(16)의 일정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스톱퍼(22)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의 스톱퍼(22)는 레일 바닥면을 일부 절개 후 돌출시킨 탄력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1개의 구름부재(16)를 사이에 두고 그 앞뒤쪽에서 구속함으로써, 구름부재(16)의 구속에 따른 도어(11)의 수납 위치나 빼낸 후의 닫힘 위치가 절도감있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구름부재(16)의 직경과 레일 상하 폭은 어느 정도 여유 간격이 있고 또 스톱퍼(22)도 탄력특성을 갖기 때문에 약간 힘을 주면서 강제로 밀면 구름부재(16)가 무난하게 스톱퍼(22)를 타고 넘어다닐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개폐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1)는 한쪽 측면부의 위아래 2개의 슬라이드형 경첩(15)이 갖는 구름부재(16)를 이용하여 본체(10)의 가이드레일(12)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로 지지되고, 닫힌 상태에서 슬라이드형 경첩(13)은 대략 90°꺽인 상태로 있게 되며, 도어(11)는 본체(10)의 외각틀 내에 꼭맞는 상태가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건 등을 넣거나 빼내기 위해 도어(11)를 열게 되면, 도어(11)는 슬라이드형 경첩(13)을 힌지축으로 회전하여 본체(10)의 전면에 대해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고, 이때의 슬라이드형 경첩(13)은 대략 180°로 펴진 상태가 되면서 내장되어 있는 판스프링(미도시)의 힘을 이용하여 도어(11)의 자세를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1)를 안쪽으로 밀게 되면, 슬라이드형 경첩(13)이 갖는 구름부재(16)가 본체(10)의 가이드레일(12)을 타고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도어(11)는 본체(10)의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돌출형 손잡이를 채용하고 있는 도어의 경우에는 손잡이 부분만 빼고 도어 전체를 수납시킬 수 있고, 요입형 손잡이 등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 도어 전체를 완전히 수납시킬 수 있다.
이렇게 도어(11)를 본체(10)의 내측으로 수납시킴에 따라 본체(10)의 앞쪽 공간을 여유있게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전과 같이 통행에 불편을 주거나 거동시 불편을 주는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 가구의 본체나 도어, 경첩 등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가이드레일, 구름부재 등 몇 개의 부품만 새롭게 추가하면 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전혀 없으며, 구름부재를 이용하여 밀어 넣거나 빼내는 구조이므로 우수한 작동성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 개방 후 본체의 내측으로 수납가능한 구조의 도어를 제공함으로써, 도어 앞쪽의 실내 공간 확보로 통행에 불편을 주거나 거동시 불편을 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구조 및 작동방식이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고 우수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과 저렴한 비용으로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으며, 기존 가구들의 설계변경없이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본체의 내부 수납공간도 거의 그대로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수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스톱퍼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도어
12 : 가이드레일 13 : 슬라이드형 경첩
14 : 회전용 경첩 15 : 슬라이드용 경첩
16 : 구름부재 17 : 축
18 : 마감캡 19 : 칸막이
20 : 턱 21 : 힌지부재
22 : 스톱퍼

Claims (6)

  1. 본체(10)의 내부에 도어(11)를 수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가구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측 양쪽 벽면에는 각각 위아래 나란한 2개의 가이드레일(12)을 수평 설치하고, 상기 도어(11)의 한쪽 끝에는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이동가능한 적어도 2개의 슬라이드형 경첩(13)을 위아래 각각 부착하여서, 도어 개방 후 본체 안으로 밀어 넣어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형 경첩(13)은 도어(11)측에 고정되는 회전용 경첩(14)과, 상기 회전용 경첩(14)과 힌지결합되는 동시에 본체(13)측에 지지되는 슬라이드용 경첩(15)과, 상기 슬라이드용 경첩(15)의 이면부에 부착되는 적어도 2개의 구름부재(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16)는 슬라이드용 경첩(15)의 이면부에서 일체 연장되는 축(1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롤러 또는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2)은 길이 양단부에 마감캡(18)을 가지면서 구름부재(16)의 이탈을 막아주는 "C"형 단면의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가이드레일 설치부위 전면은 벽체와 나란한 칸막이(19)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6.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2)의 길이 양단부 바닥면에는 적어도 1개의 구름부재(16)의 일정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스톱퍼(22)가 각각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KR20-2005-0004925U 2005-02-24 2005-02-24 가구용 도어 KR200385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25U KR200385006Y1 (ko) 2005-02-24 2005-02-24 가구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25U KR200385006Y1 (ko) 2005-02-24 2005-02-24 가구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006Y1 true KR200385006Y1 (ko) 2005-05-24

Family

ID=4368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925U KR200385006Y1 (ko) 2005-02-24 2005-02-24 가구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0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829B1 (ko) * 2016-03-09 2016-09-12 주식회사 신화씨앤에스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도어를 갖는 보관함
KR102318596B1 (ko) * 2021-04-28 2021-10-28 주식회사 화선엠텍 도어 수납기능이 개선된 보온 배식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829B1 (ko) * 2016-03-09 2016-09-12 주식회사 신화씨앤에스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도어를 갖는 보관함
KR102318596B1 (ko) * 2021-04-28 2021-10-28 주식회사 화선엠텍 도어 수납기능이 개선된 보온 배식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7506B1 (en) Easy cleaning guiding assembly
CA2839721C (en) Hinge with articulating cover system
SG178500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KR20210038213A (ko) 회전도어용 힌지장치
KR200385006Y1 (ko) 가구용 도어
KR101668103B1 (ko) 미닫이여닫이 일체형 창호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101100149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0386372Y1 (ko) 문짝 개폐용 경첩구조
CN113015837A (zh) 家具铰链
JPS582848Y2 (ja) 折り戸の戸車装置
KR102130065B1 (ko) 가구용 경첩장치
KR20160088180A (ko) 가구용 손잡이
JP5385227B2 (ja) ドア
KR200428847Y1 (ko) 미닫이 창문
KR200442346Y1 (ko) 장롱의 슬라이딩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480622Y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KR100461528B1 (ko) 수납장 문의 슬라이딩 로울러 구조
JPS6115189Y2 (ko)
JP4205632B2 (ja) ドア用ヒンジ構造
JP3151832U (ja) ドア隙間開口カバー
JPH0111913Y2 (ko)
EP2329087B1 (en) Door handle
ES2214582T3 (es) Bisagra para puertas, ventanas y similares.
JPS5912369Y2 (ja) 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