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847Y1 - 미닫이 창문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847Y1
KR200428847Y1 KR2020060020339U KR20060020339U KR200428847Y1 KR 200428847 Y1 KR200428847 Y1 KR 200428847Y1 KR 2020060020339 U KR2020060020339 U KR 2020060020339U KR 20060020339 U KR20060020339 U KR 20060020339U KR 200428847 Y1 KR200428847 Y1 KR 200428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frame
slid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현우
Original Assignee
배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현우 filed Critical 배현우
Priority to KR2020060020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8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2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 E05F11/14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directly, i.e. without links, shifting the wing, e.g. by rack and gear or pin and sl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방 창틀과 후방 창틀로 이루어진 한 쌍 이상의 창틀이 고정틀의 내부에 위치되어 좌·우 슬라이딩 되어 개폐되며, 상기 전방 창틀이 슬라이딩 되는 고정틀의 내부 하단에는 레크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틀의 레크기어와 맞닿은 전방 창틀의 하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피니언 기어가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의 피니언 기어 상단에는 피니언 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감겨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고 풀리려는 태엽부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미닫이 창문은 창틀을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태엽이 자동으로 감겨져 풀어지려는 탄성에너지를 축적함에 따라 창틀의 이동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틀이 어느 위치에서도 고정되도록 하여 부분적으로 열어 놓은 상태에서도 잠금이 이루어진다.
창틀, 피니언 기어, 태엽부, 잠금부, 고정틀, 레크 기어

Description

미닫이 창문{A sliding window}
도 1은 종래 미닫이 창문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a와 4b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 태엽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a와 5b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창틀
10A : 전방 창틀 10B : 후방 창틀
11 : 피니언 기어 12 : 태엽부
121 : 회전기어 122 : 태엽
123 : 지지봉 124 : 손잡이
13 : 고정부 131 : 걸림구
132 : 제2 지지봉 133 : 제2 손잡이
20 : 고정틀
21 : 레크 기어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은 창틀의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일어나며, 창틀을 부분적으로 열어 놓은 상태에서도 고정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는 미닫이 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축물의 일측에 외부의 풍경이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채광 및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되며, 그 종류로는 크게 여닫이창과 미닫이창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미닫이 창문은 고정틀을 따라 창틀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창이 개폐되는데, 이러한 미닫이 창문은 한쪽 창문만 열리기 때문에 환기가 용이하지 못하나 창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고 위험성이 있는 학교 및 고층건물에서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미닫이 창문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0)의 상·하면에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대응되게 고정틀(200)의 상, 하에는 가이드레일(201)이 구비되어, 상기한 창틀(100)이 고정틀(200)의 가이드레일(201)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좌·우 이동되어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미닫이 창문은 창틀(100)을 고정틀(200)의 가이드레일(201)을 따라 이동시킴에 있어 창틀(100)의 하중에 의해 가이드레일(201)과의 밀착면에 대한 마찰력이 커져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일어나지 못하며, 특히 창문을 열어놓거나 닫아놓은 상태에서 오랜 기간 동안 방치해두면 창틀(100)의 홈과 고정틀(200)의 가이드레일(201)이 빡빡해져 슬라이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미닫이 창문은 그 잠금장치가 한 쌍의 창틀(100)이 고정틀(200)의 좌·우에 완전히 닫혀있는 상태에서만 작동되기 때문에 창틀(100)을 부분적으로 열어논 상태에서는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틀에 대한 창틀의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일어나며, 창틀을 부분적으로 열어 놓은 상태에서도 고정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는 미닫이 창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방 창틀과 후방 창틀로 이루어진 한 쌍 이상의 창틀이 고정틀의 내부에 위치되어 좌·우 슬라이딩 되어 개폐되는 미닫이 창문에 있어서,
상기 전방 창틀이 슬라이딩 되는 고정틀의 내부 하단에는 레크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틀의 레크기어와 맞닿은 전방 창틀의 하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피니언 기어가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의 피니언 기어 상단에는 피니언 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감겨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고 풀리려는 태엽부가 구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은 전방 창틀(10A)과 후방 창틀(10B)로 이루어진 한 쌍 이상의 창틀(10)이 고정틀(20)의 내부에 서로 겹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창틀(10)이 고정틀(20)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되어 개폐된다.
또한, 이러한 미닫이 창문의 고정틀(20)에 있어서, 전방 창틀(10A)이 슬라이딩되는 내부 하단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레크 기어(21)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틀(20)의 레크기어(21)와 맞닿은 전방 창틀(10A)의 하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피니언 기어(11)가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의 피니언 기어(11)에는 그 상단에 피니언 기어(11)가 회전됨에 따라 감겨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고 풀리려는 태엽부(12)가 구비되어 있다.
도 4a와 4b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 태엽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엽부(12)는 피니언 기어(11)의 상단과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12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기어(121)의 일측 중심축에는 회전 기어(121)의 회전에 의해 감겼다 풀리려는 탄성력을 갖는 태엽(122)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기어(121)의 타측 중심축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봉(123)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123)의 끝단에는 회전기어(1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손잡이(124)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엽부(12)는 전방 창틀(10A)을 고정틀(20)의 레크 기어(21)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전방 창틀(10A)에 내장된 피니언 기어(11)들이 회전되고, 이 중 태엽부(12)와 맞닿은 피니언 기어(11)는 그 상단과 밀착된 회전기어(121)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태엽(122)도 함께 감기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전방 창틀(10A)을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태엽(122)에 축적된 풀리려는 탄성에너지에 의해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태엽부(12)는 전방 창틀(10A)에 노출된 손잡이(124)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그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도 3a에서와 같이 손잡이(124)를 하단으로 내려 회전기어(121)가 피니언 기어(11)와 접촉되도록 하여 태엽부(12)가 전술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도 3b에서와 같이 손잡이(124)를 상단으로 올리면 회전기어(121)가 피니언 기어(12)와 이격됨에 따라 태엽부(12)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일반적인 창틀과 동일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은 상기 전방 창틀(10A)이 전술한 태엽부(12)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임의적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방 창틀(10A)을 부분적으로 열어논 상태에서는 잠금이 이루어지기 위한 고정부(13)가 설치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도 5a와 5b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3)는 피니언 기어(11)의 톱니에 끼워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구(131)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구(13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 지지봉(132)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봉(132)의 끝단에는 걸림구(1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손잡이(133)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12) 역시 전방 창틀(10A)에 노출된 제2 손잡이(133)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그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도 4a에서와 같이 제2 손잡이(133)를 하단으로 내려 걸림구(131)가 피니언 기어(11)의 톱니에 끼워져 고정틀(20)의 레크 기어(21)를 따라 전방 창틀(10A)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도 4b에서와 같이 제2 손잡이(133)를 상단으로 올리면 걸림구(131)가 피니언 기어(12)와 이격됨에 따라 전방 창틀(10A)이 고정틀(20)의 레크 기어(21)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갖는 미닫이 창문은 단지 전방 창틀이 주로 창문을 개폐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한정하여 설명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이 전방 창틀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방 창틀에도 함께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과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은 창틀을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태엽이 자동으로 감겨져 풀어지려는 탄성에너지를 축적함에 따라 창틀의 이동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틀이 어느 위치에서도 고정되도록 하 여 부분적으로 열어 놓은 상태에서도 잠금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은 창틀을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태엽이 자동으로 감겨져 풀어지려는 탄성에너지를 축적함에 따라 창틀의 이동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틀이 어느 위치에서도 고정되도록 하여 부분적으로 열어 놓은 상태에서도 잠금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3)

  1. 전방 창틀과 후방 창틀로 이루어진 한 쌍 이상의 창틀이 고정틀의 내부에 위치되어 좌·우 슬라이딩 되어 개폐되는 미닫이 창문에 있어서,
    상기 전방 창틀이 슬라이딩 되는 고정틀의 내부 하단에는 레크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틀의 레크기어와 맞닿은 전방 창틀의 하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피니언 기어가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의 피니언 기어 상단에는 피니언 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감겨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고 풀리려는 태엽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엽부는 피니언 기어의 상단과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기어의 일측 중심축에는 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감겼다 풀리려는 탄성력을 갖는 태엽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기어의 타측 중심축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봉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의 끝단에는 회전기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 창틀에는 피니언 기어의 톱니 에 끼워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구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 지지봉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봉의 끝단에는 걸림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
KR2020060020339U 2006-07-27 2006-07-27 미닫이 창문 KR200428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339U KR200428847Y1 (ko) 2006-07-27 2006-07-27 미닫이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339U KR200428847Y1 (ko) 2006-07-27 2006-07-27 미닫이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847Y1 true KR200428847Y1 (ko) 2006-10-16

Family

ID=4177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339U KR200428847Y1 (ko) 2006-07-27 2006-07-27 미닫이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8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74B1 (ko) * 2009-07-02 2012-04-05 민승기 창틀용 구동 장치
KR20160003542A (ko) * 2014-07-01 2016-01-11 김한수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2297518B1 (ko) * 2020-12-11 2021-09-02 최인재 무동력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74B1 (ko) * 2009-07-02 2012-04-05 민승기 창틀용 구동 장치
KR20160003542A (ko) * 2014-07-01 2016-01-11 김한수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665047B1 (ko) 2014-07-01 2016-10-14 김한수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2297518B1 (ko) * 2020-12-11 2021-09-02 최인재 무동력 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9268A1 (en) Night latch
KR200428847Y1 (ko) 미닫이 창문
KR101842834B1 (ko) 폴딩도어 락 잠금장치
KR101668103B1 (ko) 미닫이여닫이 일체형 창호
KR100550454B1 (ko)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KR10120656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JP2006029032A (ja) 施錠装置付アシストハンドル
KR101122312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JP7108362B2 (ja) 建具
KR101008362B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20090007344U (ko) 창호용 겸용 잠금장치
KR200415618Y1 (ko) 창호용 하드웨어
KR101122311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KR100782371B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JP2007297798A (ja) シャッタ装置
JP2020111899A (ja) 建具
JP5199973B2 (ja) サッシ窓用の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シャッター装置付きのサッシ窓
JP7337227B2 (ja) 建具
JPH049407Y2 (ko)
KR20100036899A (ko) 자동 장금 장치 및 열림 장치
JP5478912B2 (ja) 網戸固定装置及び網戸、サッシ
JP4823712B2 (ja) シャッター
JPH0412955Y2 (ko)
JP4088580B2 (ja) 施錠機構付き引手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サッシ窓
JP2003106037A (ja) 引き違い折畳み開閉自在の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