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454B1 -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 Google Patents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454B1
KR100550454B1 KR1020050070877A KR20050070877A KR100550454B1 KR 100550454 B1 KR100550454 B1 KR 100550454B1 KR 1020050070877 A KR1020050070877 A KR 1020050070877A KR 20050070877 A KR20050070877 A KR 20050070877A KR 100550454 B1 KR100550454 B1 KR 100550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hook
lock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7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3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06B5/205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window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창문프레임의 세로부에 형성되는 걸림구멍과, 창문짝의 창문새시 세로부내에 형성되며 걸림구멍에 마주보는 방향과 실내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2조립구멍 및 이들 제1,2조립구멍에 각각 대향되게 형성된 제1,2지지홈을 둘레에 갖는 작동공간과, 이 작동공간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조립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창문프레임의 걸림구멍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훅과 제2조립구멍을 통해 실내로 돌출되어 훅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푸시노브 및 제1,2지지홈에 각각 대향하도록 돌출되는 제1,2지지돌기를 둘레에 갖는 로커와, 서로 대향하는 제1의 지지홈 및 지지돌기와 제2의 지지홈 및 지지돌기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로커를 창문프레임 및 실내 쪽으로 각각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1,2스프링과, 푸시노브에 인접하여 창문새시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창문프레임의 결합채널 바닥에 부착되는 완충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창문을 닫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창문프레임에 록킹시킬 수 있음은 물론 록킹 해제와 함께 창문을 열 수 있어 창문을 매우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창문, 창문짝, 창문프레임, 잠금장치, 푸시노브, 훅, 로커, 걸림구멍

Description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sliding window with auto locking function}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창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미닫이창문의 개략적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미닫이창문의 잠금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발췌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창문프레임 11: 결합채널
20: 창문짝 21: 창문새시
30: 잠금수단 31: 걸림구멍
32: 작동공간 32a, 32b: 제1 및 제2의 조립구멍
32c, 32d: 제1 및 제2의 지지홈 33: 로커
34: 스프링 35: 손잡이
36: 훅 36b: 경사안내면
37: 푸시노브 40: 완충패드
본 발명은 각종 건물에 구비되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sliding window)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을 닫음과 동시에 창문짝이 자동으로 창문프레임에 대해 록킹(locking)됨은 물론 잠금 해제용 푸시노브(push knob) 근처에 손잡이를 함께 구비하여 창문짝을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된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이나 지붕 등에는 채광과 실내의 통풍 및 환기, 시계(視界)확보 등을 위해서 창문이 구비된다. 이러한 창문은 실내를 외부와 차단하면서 채광과 시계확보를 통한 외부관찰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환기나 통풍 및 사람이나 물건의 통행을 위해서는 개방해야 하는 이중적 기능을 갖는다.
창문은 구조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미닫이형과, 힌지(hinge)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여닫이형 및 아암(arm)에 의해 회전과 슬라이딩의 병행으로 개폐되는 아암형 등으로 구별된다. 이들 중, 미닫이형 창문이 주택을 포함한 모든 건물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미닫이창문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것은 벽체(W)의 개구에 한 쌍의 나란한 가이드레일(guide rail: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창문프레임(F)을 설치하고, 이 창문프레임(F)의 두 가이드레일에 윈도우글라스(G)를 갖는 창문짝(D)을 각각 조립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한쪽 창문짝(D)의 일측에 부채꼴상의 잠금편(L)을 힌지 조립하고, 다 른 창문짝(D)에는 잠금편(L)이 걸리는 걸고리(H)를 설치하여 폐쇄시 두 창문짝(D)을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열리지 않게 록킹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통상의 미닫이창문은 창문을 열거나 닫을 때 잠금편(L)에 구비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잠금편(L)을 강제로 회전시켜 걸고리(H)에 걸어주거나 해제시킨 후 창문짝(D)의 창문새시(window sash:S)를 직접 손으로 잡고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개폐가 상당히 불편하였다.
특히, 잠금수단인 걸고리(H)와 잠금편(L)이 두 창문짝(D)의 중첩부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두 창문짝(D) 사이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끼워 쉽게 해정할 우려도 대단히 많았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1997-0003128호에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문을 닫을 때 자동으로 잠기고 원터치 누름스위치에 의해 손쉽게 해정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창문용 크리센트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 기술은 많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할 뿐 아니라 제작도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특히, 크리센트가 두 창문짝이 서로 중첩되는 부위에 설치되고, 걸고리의 걸림구멍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끼워지는 잠금구의 경사면이 두 창문짝의 중첩부위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양자의 틈새로 도구를 끼워 넣어 잠금구를 간단히 밀어내서 해정할 수 있는 우려가 통상의 잠금장치에 비해 더욱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1996-0004845호에는 두 창문짝을 창문프레임에 각각 록킹시키고 잠금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돌기를 이용하여 록킹과 해제에 연이어 창문짝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미닫이창문의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 기술 역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난해한 문제가 있다.
더욱이, 창문짝에 설치된 승강구를 걸어주기 위한 걸림편이 창문프레임에 돌출되어 있어 외부의 물체와 간섭될 우려가 대단히 많을 뿐 아니라 미관도 떨어지고, 조작돌기를 승강시켜 록킹해제 후에 창문짝을 열거나 또는 창문짝을 닫은 후에 록킹시켜야 하므로 개폐가 그다지 용이하지도 못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창문짝을 닫음과 동시에 창문짝이 자동으로 창문프레임에 대해 록킹될 수 있음은 물론 창문짝을 열 때에도 간편하게 록킹을 해제함과 동시에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문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록킹 해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은, 결합채널을 가지고 벽체의 개구에 설치되는 창문프레임과, 이 창문프레임의 결합채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짝을 구비하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에 있어서,
창문프레임의 세로부에 형성되는 걸림구멍; 창문짝의 창문새시 세로부내에 형성되며, 걸림구멍에 마주보는 방향과 실내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2조립구멍 및 이들 제1,2조립구멍에 각각 대향되게 형성된 제1,2지지홈을 둘레에 갖는 작동공간; 이 작동공간 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조립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창문프레임의 걸림구멍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훅(hook)과 제2조립구멍을 통해 실내로 돌출되어 훅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푸시노브 및 제1,2지지홈에 각각 대향하도록 돌출되는 제1,2지지돌기를 둘레에 갖는 로커(locker); 서로 대향하는 제1의 지지홈 및 지지돌기와 제2의 지지홈 및 지지돌기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로커를 창문프레임 및 실내 쪽으로 각각 탄성바이어스(elastic bias) 시키는 제1,2스프링; 푸시노브에 인접하여 창문새시에 설치되는 손잡이; 창문프레임의 결합채널 바닥에 부착되는 완충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로커의 푸시노브가 손잡이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돌출됨으로써 창문의 개방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창문짝을 닫음과 동시에 창문짝이 자동으로 창문프레임에 록킹되고 창문짝을 열 때에도 푸시노브를 누르면서 옆으로 밀어주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록킹 해제와 함께 열 수 있어 창문을 매우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창문짝이 창문프레임에 록킹되어 외부로부터의 록킹 해제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은 미닫이창문의 신뢰성과 사용의 편의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은, 벽체(W)의 개구에 설치되는 사각틀상의 창문프레임(10)과, 이 창문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창문짝(20) 및 이들 창문짝(20)을 폐쇄상태로 록킹시키기 위한 잠금수단(30)으로 구성된다.
창문프레임(10)의 내주에는 창문짝(20)을 장착하기 위한 결합채널(channel:11)이 그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하 가로부(10a)의 결합채널(11) 바닥에는 창문짝(20)의 이탈을 방지함과 함께 그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레일(도시하지 않음)을 나란하게 갖는다.
창문짝(20)은 사각틀 형태의 창문새시(21) 내부공간에 윈도우글라스(22)를 장착하여 구성되며, 창문새시(21)의 상/하 가로부(21a) 외면에는 창문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이 끼워지는 레일홈(도시하지 않음)이 그 이동방향으로 형성된다.
잠금수단(30)은 창문프레임(10)의 세로부(10b)에 형성되는 걸림구멍(31)과, 창문짝(20)의 창문새시(21) 세로부(21b) 내에서 걸림구멍(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작동공간(32)과, 이 작동공간(32) 내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로커(33)와, 이 로커(33)를 창문프레임(10) 및 실내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34) 및 창문새시(21)의 세로부(21b) 실내측에 설치되는 손잡이(35)로 구성된다.
걸림구멍(31)은 창문짝(20)의 창문새시(21) 일부가 삽입되는 창문프레임(10) 세로부(10b)의 결합채널(11) 바닥에 형성된다. 창문프레임(10)은 통상 알루미늄을 압출가공하거나 또는 합성수지를 사출가공하여 속이 빈 중공체로 이루어지는바, 이 에 따라 걸림구멍(31)의 안쪽에는 후술한 로커(33)의 훅(36)이 걸릴 수 있는 턱이 형성된다.
작동공간(32)은 대략 사각으로 형성되고, 창문프레임(10)의 걸림구멍(31)과 대향하는 쪽에 외부로 연통되는 제1조립구멍(32a)을 가지며, 실내와 대향하는 쪽에는 실내와 연통하는 제2조립구멍(32b)을 갖는다. 그리고 실외와 대향하는 쪽 및 제1조립구멍(32a)의 반대방향 쪽에는 스프링(34)(44)을 설치하기 위한 제1 및 제2의 지지홈(32c)(32d)을 각각 갖는다.
로커(33)는 작동공간(32) 내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그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입방체상의 몸체(33a)와, 이 몸체(33a)의 한쪽에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작동공간(32)의 제1조립구멍(32a)을 통해 창문프레임(10)의 걸림구멍(31)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훅(36)과, 이 훅(36)과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몸체(33a)에서 길게 돌출되어 작동공간(32)의 제2조립구멍(32b)을 통해 실내 쪽으로 노출되는 푸시노브(37)와, 작동공간(32)의 제1 및 제2지지홈(32c)(32d)과 대향하도록 몸체(33a)에서 각각 돌출되는 제1 및 제2지지돌기(38)(39)로 이루어진다.
훅(36)의 헤드(36a)에는 창문짝(20)을 닫을 때 창문프레임(10)의 걸림구멍(31)에 미끄럼 접촉되어 훅(36)이 탄성 변형되면서 걸림구멍(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면(36b)을 갖는다.
스프링(34)(44)은 예컨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작동공간(32)의 제1지지홈(32c)와 로커(33)의 제1지지돌기(38) 및 작동공간(32)의 제2지지홈(32d)와 로커(33)의 제2지지돌기(39)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로커(33)를 창문프레임(10) 및 실내측으로 동시에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손잡이(35)는 창문짝(20)의 창문새시(21) 세로부(21b) 실내측 면에 스크루 등으로 체결되며, 창문짝(20)의 개방시 손잡이(35)를 잡고 잠금수단(30)의 푸시노브(37)를 누를 수 있도록 푸시노브(37)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창문짝(20)을 닫음과 동시에 창문프레임(10)에 대해 록킹되는 바, 창문프레임(10)의 세로부(10b) 결합채널(11) 바닥에는 창문짝(20)을 닫을 때 창문프레임(10)과의 부딪침으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패드(40)를 함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패드(40)는 예를 들어 적정탄성을 갖는 연질의 고무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머지 부호 50은 창문프레임(10)의 결합채널(11) 측벽 내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풍솔이다.
이와 같이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미닫이창문은 각 창문짝(20)의 창문새시(21) 세로부(21b)에 창문프레임(10)의 걸림구멍(31)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로커(3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각 창문짝(20)을 닫음과 동시에 창문짝(20)을 자동으로 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4와 같이 창문짝(20)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창문짝(20)을 닫으면 도 5와 같이 창문새시(2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훅(36)의 헤드(36a)가 창문프레임(10)의 결합채널(11) 바닥에 형성된 걸림구멍(31) 가장자리에 접촉되며, 창문짝(20)의 계속된 이동에 따라 헤드(36a)의 경사안내면(36b)이 걸림구멍(31)의 가장자리에 미끄럼 접촉됨으로써 로커(33)가 스프링(34)(44)을 압축시키면서 뒤로(실외측 으로) 밀려나 훅(36)이 걸림구멍(31)에 끼워지게 되고, 이어서 훅(36)이 걸림구멍(31)을 통과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36)의 헤드(36a)가 스프링(34)(44)의 복원탄성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걸림구멍(31)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됨으로써 창문짝(20)이 자동으로 창문프레임(10)에 대해 록킹되는 것이다.
이때, 창문프레임(10)의 결합채널(11) 바닥에는 고무제의 완충패드(4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창문짝(20)의 부딪침에 의한 충격소음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창문을 열고자 할 때에는 창문짝(20)의 창문새시(21)에 구비된 손잡이(35)를 잡고 예컨대 엄지손가락으로 실내측으로 돌출된 로커(33)의 푸시노브(37)를 누르면서 개방방향으로 창문짝(20)을 이동시킨다.
그러면, 로커(33)가 푸시노브(37)의 눌림에 의해 스프링(34)을 압축시키면서 작동공간(32) 내에서 실외측으로 밀려나고, 이에 따라 훅(36)의 헤드(36a)가 창문프레임(10)의 걸림구멍(31)에 대해 록킹해제되면서 걸림구멍(3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간편하게 개방되는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미닫이창문은 창문짝(20)이 창문프레임(10)에 직접 록킹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록킹을 해제시키는 것이 대단히 어려워 외부로부터의 침입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로커(33)의 푸시노브(37)가 손잡이(35)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로커(33)의 푸시노브(37)가 손잡이(35)의 상단부를 직접 관통하여 마치 손잡이(35)와 일부처럼 이루어진 구성이므로 창문짝(20)의 개방시 더욱 편리하게 록킹을 해제시키면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창문짝을 닫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창문프레임에 록킹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창문짝을 열 때에도 손잡이를 잡고 푸시노브를 누르면서 옆으로 밀어주는 지극히 간단한 동작만으로 록킹 해제와 함께 열 수 있어 창문을 매우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창문짝이 창문프레임에 직접 록킹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록킹 해제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미닫이창문의 신뢰성과 사용의 편의성 향상 및 도난방지 등에 크게 기여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결합채널을 가지고 벽체의 개구에 설치되는 창문프레임과, 이 창문프레임의 결합채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짝을 구비하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10)의 세로부(10b)에 형성되는 걸림구멍(31);
    상기 창문짝(20)의 창문새시(21) 세로부(21b)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구멍(31)에 마주보는 방향과 실내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2조립구멍(32a)(32b) 및 이들 제1,2조립구멍(32a)(32b)에 각각 대향되게 형성된 제1,2지지홈(32c)(32d)을 둘레에 갖는 작동공간(32);
    상기 작동공간(32) 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조립구멍(32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창문프레임(10)의 걸림구멍(31)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훅(36)과 상기 제2조립구멍(32b)을 통해 실내로 돌출되어 상기 훅(36)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푸시노브(37) 및 상기 제1,2지지홈(32c)(32d)에 각각 대향하도록 돌출되는 제1,2지지돌기(38)(39)를 둘레에 갖는 로커(33);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지지홈(32c) 및 제1지지돌기(38)와 상기 제2지지홈(32d)및 제2지지돌기(39)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로커(33)를 창문프레임(10) 및 실내 쪽으로 각각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1,2스프링(34)(44);
    상기 푸시노브(37)에 인접하여 상기 창문새시(21)에 설치되는 손잡이(35);
    상기 창문프레임(10)의 결합채널 바닥에 부착되는 완충패드(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33)의 푸시노브(37)가 상기 손잡이(35)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KR1020050070877A 2005-08-03 2005-08-03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KR100550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877A KR100550454B1 (ko) 2005-08-03 2005-08-03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877A KR100550454B1 (ko) 2005-08-03 2005-08-03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454B1 true KR100550454B1 (ko) 2006-02-08

Family

ID=3717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877A KR100550454B1 (ko) 2005-08-03 2005-08-03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4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095B1 (ko) 2012-05-16 2013-07-17 김용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1411608B1 (ko) 2012-11-30 2014-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음용 도어 구조체
KR101458924B1 (ko) * 2013-04-22 2014-11-07 (주)성림금속 도어용 잠금장치
KR101527911B1 (ko) * 2013-09-05 2015-06-15 김진호 미닫이문 잠금장치
KR20190076144A (ko) * 2017-12-22 2019-07-02 김학성 차량용 창문 잠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095B1 (ko) 2012-05-16 2013-07-17 김용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1411608B1 (ko) 2012-11-30 2014-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음용 도어 구조체
KR101458924B1 (ko) * 2013-04-22 2014-11-07 (주)성림금속 도어용 잠금장치
KR101527911B1 (ko) * 2013-09-05 2015-06-15 김진호 미닫이문 잠금장치
KR20190076144A (ko) * 2017-12-22 2019-07-02 김학성 차량용 창문 잠금장치
KR102085021B1 (ko) * 2017-12-22 2020-03-05 김학성 차량용 창문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544B2 (en) Night latch
US7530611B2 (en) Night latch for sliding member
KR101641021B1 (ko) 창호 잠금장치
KR100550454B1 (ko)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US7219469B2 (en) Window or door lock system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0904761B1 (ko) 안전부재가 장착된 미닫이문
JP4287789B2 (ja) 保持金具および戸当り金具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200396665Y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JP4285334B2 (ja) サッシ
KR101990693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0248462Y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347270Y1 (ko) 창호용 잠금 장치
KR200384262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KR100886036B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JP4433414B2 (ja) 片開き窓
JP5478912B2 (ja) 網戸固定装置及び網戸、サッシ
KR100619292B1 (ko) 미서기 잠금장치
KR200452611Y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101993032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960004845Y1 (ko) 미닫이 (창)문의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
KR200300191Y1 (ko) 미닫이문의 외부잠금장치
JP4674203B2 (ja) 建具
KR100316385B1 (ko) 미닫이 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