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184B1 - 스위치 캐비넷용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위치 캐비넷용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184B1
KR102242184B1 KR1020197010258A KR20197010258A KR102242184B1 KR 102242184 B1 KR102242184 B1 KR 102242184B1 KR 1020197010258 A KR1020197010258 A KR 1020197010258A KR 20197010258 A KR20197010258 A KR 20197010258A KR 102242184 B1 KR102242184 B1 KR 102242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bolt
housing
hinge ha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341A (ko
Inventor
볼프강 로이터
티모 쉰들러
Original Assignee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4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05D5/128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the pin having a recess or through-hole engaged by a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5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05D5/127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by forcing the pin into the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4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4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05D7/105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with snap-fitted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6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05D2003/025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having three knuckles
    • E05D2003/027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having three knuckles the end knuckles being mutually connec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5Applicability
    • E05Y2800/17Universally applicable
    • E05Y2800/172Universally applicable on different wing or frame locations
    • E05Y2800/174Universally applicable on different wing or frame locations on the left or right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 E05Y2900/2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for metal cabinet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선회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 및 도어측 힌지 절반부(2)를 포함하는 스위치 캐비넷(100)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는 스위치 캐비넷 하우징(102)의 수직 프로파일(103)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플랜지(3)뿐 아니라, 수직 방향(x)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x)으로 상호 일정 거리(d)에 배치되며 그 자유 단부(4)가 상호 대면하는 두 개의 힌지 볼트(5)를 가지며, 힌지 볼트는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의 각각의 볼트 시트(6)에 수용되는,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힌지 볼트(5)는 적어도 수직 방향(x)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그 각각의 볼트 시트(6)에 수용되고, 그 자유 단부(4)를 거쳐서 각각의 볼트 시트(6)로부터 돌출하며,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힌지 볼트(5)의 자유 단부(4)의 거리(d) 이하의 수직 치수(z)를 갖는 볼트-수용 수단(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캐비넷용 힌지 조립체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선회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 및 도어측 힌지 절반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캐비넷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는 스위치 캐비넷 하우징의 수직 프로파일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플랜지뿐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일정 거리에 배치되며 그 자유 단부가 상호 대면하는 두 개의 힌지 볼트를 갖는다. 힌지 볼트는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의 각각의 볼트 시트에 수용된다. 이러한 힌지 조립체는 DE 197 23 555 C2호에 공지되어 있다. 유사한 힌지 조립체 또한 DE 297 20 515 U1호, DE 198 17 245 A1호 및 WO 2013/110292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공지된 힌지 장치는 설치하는데 비교적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도어측 힌지 절반부가 예를 들어 스위치 캐비넷측 도어 요소에 사전 설치되고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가 스위치 캐비넷 하우징 보디의 수직 프로파일 상에 사전 설치되면, 두 개의 힌지 절반부는, 도어 설치를 위해,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의 두 개의 볼트가 도어측 힌지 절반부의 볼트-수용 수단과 정렬되도록 하우징에서 함께 결합되어야 한다. 이것이 성공하려면, 설명된 도어와 하우징의 사전-정렬이 유지되어야 하며, 힌지 절반부를 상호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의 힌지 볼트가 도어측 힌지 절반부의 볼트-수용 수단 내로 추진되어야 한다. 도어 요소와 스위치 캐비넷 보디의 오정렬로 인한 힌지 볼트 추진 시의 힌지 조립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특히 미숙한 사용자의 경우에, 힌지 볼트를 추진하기 위해 두 번째 사람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힌지 절반부를 가능한 한 복잡하지 않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전술한 형태의 스위치 캐비넷용 힌지 조립체를 추가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힌지 조립체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은 모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힌지 볼트는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그 각각의 볼트 시트에 수용되고 그 자유 단부를 거쳐서 각각의 볼트 시트로부터 돌출하며, 따라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는 힌지 볼트의 자유 단부의 거리 이하의 수직 치수를 갖는 볼트-수용 수단을 갖는다. 따라서 힌지 조립체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가 하나의 간단한 장착 단계로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와 도어측 힌지 절반부가 정렬된 후에 더 이상 힌지 볼트를 도어측 힌지 절반부의 볼트-수용 수단 내로 추진시킬 필요가 없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가 스위치 캐비넷 하우징에 대해 좌측 정지부에서 고정되는지 우측 정지부에서 고정되는지에 따라, 도어측 힌지 절반부는 그 자유 단부가 상방으로 향하는 상태로 그 아래의 힌지 볼트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따라서 힌지 조립체의 힌지 축에 대해서도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는 도어 요소의 좌측 정지부에서 또는 도어 요소의 우측 정지부에서 스위치 캐비넷 하우징의 좌측 또는 우측 수직 프로파일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는 좌측 정지부와 우측 정지부 중 제1 정지부에서 그 두 개의 힌지 볼트 중 제1 힌지 볼트에 의해 도어측 힌지 절반부, 특히 그 볼트-수용 수단과 결합할 수 있으며, 하우징측 볼트 절반부는 좌측 정지부와 우측 정지부 중 제2 정지부에서 그 두 개의 힌지 볼트 중 제2 힌지 볼트에 의해 도어측 힌지 절반부, 특히 그 볼트-수용 수단과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와 대면하는 그 내측에 하나 이상의 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홈에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의 외주에서의 돌출부가 도어측 힌지 절반부의 개방 위치에서 꼭 맞게 결합되어 도어측 힌지 절반부를 수직 방향으로 및 따라서 힌지 볼트의 축방향으로 고정한다. 돌출부와 하나 이상의 홈은 특정 개방 각도로 꼭 맞게 결합되어 도어측 힌지 절반부를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에 고정시키도록 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만 도어측 힌지 절반부가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음이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는 하나 이상의 홈과 대면하는 그 외주에서 구형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 표면은 홈의 상보적 하부 영역에 대해 꼭 맞게 놓인다. 구형 외표면을 따르는 돌출부의 길이는 특정 개방 각도 범위에 걸쳐서 홈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꼭 맞게 수용되어 도어측 힌지 절반부를 수직 방향으로 각도 범위에 걸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를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와 대면하는 그 내측에서 적어도 제1 및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좌측 정지부와 우측 정지부 중 제1 정지부에서 돌출부는 제1 홈과 꼭 맞게 결합되고 좌측 정지부와 우측 정지부 중 제2 정지부에서 돌출부는 제2 홈과 꼭 맞게 결합된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의 볼트 시트와 각각의 힌지 볼트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된 피스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는 성형된 판금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사출 성형된 부분에 비해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의 볼트 시트는 예를 들어 환형 판금 벽을 갖거나 그와 같이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는 힌지 볼트 각각이 플러그 섹션에 의해 삽입되며, 따라서 판금 벽은 플러그 섹션에 확고하게 연결되는 바, 특히 압입, 용접 또는 접착된다.
힌지 볼트의 플러그 섹션은 힌지 볼트의 외주에서의 플랜지에 의해 힌지 볼트의 자유 단부로 이행될 수 있고, 플랜지는 볼트 시트와 대면하는 측에 접촉면을 가지며 이 접촉면에 의해 힌지 볼트는 볼트 시트의 전방 측에 꼭 맞게 놓이고, 플랜지는 볼트 시트로부터 외면하는 측에 슬라이딩 지지면을 가지며, 그로 인해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의 볼트-수용 수단의 앞면에 가동적으로 배치된다.
슬라이딩 지지면은 거칠게 가공되거나 주름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슬라이딩 지지면 상에 배치된 도어측 힌지 절반부 상의 힌지 절반부 사이에서 잠재적 균등화가 달성된다. 도어측 힌지 절반부 및 그에 따른 슬라이딩 지지면과 대면하는 그 전방 측은 제조 측에서 니스칠(varnish)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니스 층은 도어측 힌지 절반부가 연결되는 도어가 선회할 때 파괴된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의 볼트 시트는 장착 플랜지의 측면 위에 성형될 수 있으며, 서로 대면하는 힌지 볼트의 두 개의 자유 단부 사이 거리의 절반에서는, 힌지 볼트의 방향으로 측부에서 시작하고 힌지 볼트의 축방향에 수직한 구속 후크가 돌출하며, 이 구속 후크는 힌지 볼트 중 하나와 대면하는 측부에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에 대한 정지부를 포함한다.
도어측 힌지 절반부의 볼트-수용 수단은 그 외주에서, 돌출 립(lip)을 갖는 비원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도어측 힌지 절반부의 개방 위치에서 돌출 립과 구속 후크는 중첩되며, 따라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의 정지부의 측부에 따라서 정지부 중 하나와 돌출 립이 서로 대면한다. 도어측 힌지 절반부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를 도어 요소 상에 설치하기 위한 부착 측부와 볼트-수용 수단 사이의 이행부에서 돌출 립이 배치되는 성형 금속 스트립일 수 있다. 돌출 립과 부착 측부는 최종적으로 금속 스트립의 노치 섹션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어측 힌지 절반부가 우발적으로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측 힌지 절반부의 상부 앞면에 의해 도어측 힌지 절반부 상에 배치되고 볼트-수용 수단 내로 돌출하며 두 개의 힌지 볼트의 상부가 수직 방향으로도 그 안으로 돌출하는 리프트-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방지 장치는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갖는 실린더 보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단부는 내주에 삽입 헤드를 갖는 플러그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하단부는 외주에 하부 삽입 헤드를 갖는 돌출 페그(peg)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세부 사항은 이하에서 도면의 도움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조립체를 사용하는 스위치 캐비넷의 상세도이다.
도 2는 도어 요소 및 측부가 제거된 상태의 도 1에 따른 스위치 캐비넷의 도시도이다.
도 3은 힌지 조립체의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의 볼트 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볼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힌지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를 사용하는 스위치 캐비넷 조립체의 도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방지 장치의 도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리프트-방지 장치의 예시적인 설치 상황을 도시한다.
도 1은 스위치 캐비넷(100)의 상세도이며, 우측 정지부에서 선회될 수 있는 도어 요소(101)는 힌지 조립체에 의해 하우징(102) 상에 장착된다. 보다 양호한 도시를 위해, 상부 힌지 조립체만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02)에 대한 도어 요소(101)의 선회를 위한 다른 부착 및 회전 지점을 제공하기 위해 동일한 힌지 조립체가 스위치 캐비넷(100)의 수직 방향으로 더 아래에 배치된다.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조립체는 장착 힌지의 방식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는 스위치 캐비넷 하우징(102)의 프레임의 수직 프로파일(103)에 고정된다. 수직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DE 10 2014 101 404 A1에 공지되어 있는 기하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따른 조립체는 또한 힌지(1, 2)가 그 구성으로 인해 수평 평면에 대해 대칭적이고 좌측 정지부 또는 우측 정지부 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가 좌측 정지부 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도면에 도시된 상부 힌지 볼트(5)와 상호작용하는 바; 즉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따라서 도 1에 따른 적용 변형예에서 아무런 기능이 없는 힌지 볼트(5)에 후크연결된다. 또한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는 힌지 조립체가 좌측 정지부 용으로 사용되는지 우측 정지부 용으로 사용되는지에 따라 도어측 힌지 절반부(2)를 각각의 볼트 시트(6) 또는 대응 힌지 볼트(5) 상에 구속시키는 구속 후크(21)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속 후크(21)와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2) 또는 도어측 절반부(2)가 고정되는 도어 요소(101)가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에 대한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특정 각도에서만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 1에 추가적으로, 도 2는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가 스위치 캐비넷 하우징(102)의 프레임의 수직 프로파일(103)의 수용 윤곽이 적용되는 장착 플랜지(3)를 갖는 것을 도시한다. 수직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장착 플랜지가 꼭 맞게 수용되고 볼트 연결에 의해 고정되는 언더컷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밀봉 리지(106)의 수직 프로파일은, 서로 수직하게 배향되고 따라서 스위치 캐비넷 하우징의 두 개의 수직 측부에 밀봉 에지를 제공하는 단부측 밀봉 에지(105)를 갖는다. 밀봉 리지(106)는 연결 섹션(104)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밀봉 리지(106)와 연결 섹션(104)의 조립은 구체적으로 장착 플랜지(3)의 꼭 맞는 위치를 위한 수용 수단을 형성한다.
도 2는 또한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가 단순한 판금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음을 이미 보여주며, 따라서 힌지 볼트(5)용 볼트 시트(6)는 각각의 볼트(5)를 예를 들어 꼭 맞게 수용하는 환형 형성된 금속 벽이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힌지 볼트(5)가 적어도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조립체를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힌지 조립체와 명확히 차별화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힌지 볼트(5)의 자유 단부(4)의 상호 간격은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볼트-수용 수단(7)의 수직 치수보다 크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볼트-수용 수단(7)은 볼트(5)의 각 플랜지(14)와 구속 후크(21)의 대응 정지부 사이의 거리 이하인 축방향 치수를 갖는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검토할 때 알 수 있듯이, 힌지 볼트(5)는 그 플러그 섹션(13)에 의해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의 볼트 시트(6) 내에 꼭 맞게 압입 방식으로 수용된다. 압착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플러그 섹션의 외주에는 주위 홈(28)이 제공되며, 이 홈에 의해 볼트 시트(6)는 플러그 섹션(13)과 함께 가압될 수 있다. 그 범위에 걸쳐서 힌지 볼트(5)가 각각의 볼트 시트(6)로부터 돌출하는 힌지 볼트(5)의 자유 단부(4) 사이의 거리(d)는 구체적으로 도시된(도 2 참조) 축방향(A)으로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치수 이하이도록 선택되며, 따라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2)를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에 장착하기 위해 볼트-수용 수단(7)은 수직 방향으로 하부 힌지 볼트(5)와 정렬될 수 있고,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그 볼트-수용 수단(7)에 의해 힌지 볼트(5)의 자유 단부(4)에 현수될 수 있다.
구속 후크(21)는 도 3에 도시된 힌지 축(A)의 방향으로 장착 플랜지(3)의 측부(20)로부터 연장되고,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상호 대면하는 측부에 각각 하나의 정지부(22)를 가지며, 이로 인해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그 개방 각도에 따라서 차단 또는 해제된다. 힌지 볼트(5)는 또한 수직 방향(x)으로 상호 대면하는 두 개의 표면을 갖는 주위 플랜지(14)를 갖는다. 표면 중 제1 표면에 의해, 볼트(5)는 각각의 볼트 시트(6)의 전방 측(17)에 놓인다. 볼트 시트(6)로부터 외면하는 각각의 대향 표면은 우측 정지부가 존재하는지 좌측 정지부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도어측 힌지 절반부(2)가 하나의 또는 다른 하나의 힌지 볼트(5) 위에 가동적으로 배치될 때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볼트-수용 수단(7)이 가동적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 지지면을 형성한다. 볼트 시트(6)는 장착 플랜지(3)의 측부(20)로부터 연장되는 금속 벽(12)으로서 형성되고 그 단부에서는 볼트 시트(6)를 형성하는 환형 금속 벽(12)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다시 한번 알 수 있다.
도 5는 이전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어측 힌지 절반부(2)가 간단하고 따라서 비용-효과적인 형상의 판금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알 수 있다. 특히, 도어측 힌지 절반부를 몇 개의 성형 가공 단계에 의해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인장 가공 단계와 같은 추가 가공 단계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노치 섹션(27)을 포함하는 이행부(25)를 통해서 볼트-수용 수단(7)으로 이행하는 부착 측부(26)로 주로 구성된다. 노치 섹션(27)은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금속 스트립의 종방향에 수직하게 또는 볼트-수용 수단(7)의 힌지 축에 평행하게 각각 연장되는 홈 또는 노치를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외주(23)에 갖는다. 노치 섹션(27)에 인접하여,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돌출 립(24)을 가지며 따라서 볼트-수용 수단(7)은 비원형 구조를 가지며, 특히 돌출 립(24)의 영역에서는 힌지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다. 도 1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도어 요소(101)(도 1 참조)의 개방 각도에 따라서 도어 요소(101)가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없도록 도어측 힌지 절반부(2)가 그 돌출 립(24)에 의해 구속 후프(21)와 중첩된다. 도어 요소(101)가 구체적으로 돌출 립이 수직 방향으로 볼 때 구속 후크와 더 이상 중첩하지 않는 특정 개방 각도를 가질 때만, 도어 요소(101)는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완전히 대칭적인 부품으로서 형성되며, 따라서 대향 전방 측(19)은 정지부가 존재하는 측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하부 힌지 볼트(5)의 플랜지(14)의 슬라이딩 지지면(18) 상에 가동적으로 놓인다.
힌지 볼트에 대한 단면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힌지 볼트(5)는 주위 플랜지(14)에 의해 자유 단부(4)로 이행되는 플러그 섹션(13)으로 주로 구성된다. 자유 단부(4)의 선단은 볼트(5)가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볼트-수용 수단(7)에의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원추 형상을 갖는다. 플러그 섹션(13)은 힌지 볼트(5)가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의 볼트 시트(6)에 사전 압입될 수 있게 하는 주위 홈(28)을 갖는다. 플랜지(14)는 볼트(5)의 종축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표면(16, 18)을 갖는 주위 환형 플랜지로서 형성되며, 따라서 자유 단부(4)와 대면하는 표면(18)은 도어측 힌지 절반부(2)가 그 전방 측(19)에 가동적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 지지면을 형성하고, 플러그 섹션(13)과 대면하는 접촉면(16)은 힌지 볼트(5)를 볼트 시트(6)와 정확히 대향하게 정밀하게 조절하여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의 두 개의 힌지 볼트(5) 사이의 수직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해 힌지 볼트(5)가 볼트 시트(6)의 전방 측(17)에서 멈추게 하는 정지부를 형성하는 지지면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힌지 볼트(5)의 사시도이다. 슬라이딩 지지면(18)은 거칠게 가공되거나 주름 형성되며 따라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가 슬라이딩 지지면(18) 상에 배치될 때 이들 힌지 절반부 사이에서 잠재적 균등화가 달성된다. 스위치 캐비넷 상에 사전 장착될 수 있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 및 그에 따른 슬라이딩 지지면(18)(도 5 참조)과 대면하는 그 앞면(19)은 그 제조 측에서 도어와 함께 침지-코팅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가 장착되는 도어가 선회함에 따라 니스 코팅이 파괴된다.
도 8 및 도 9는 두 가지 양태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상이한 힌지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후술되는 실시예에서의 상이한 양태가 도 8 및 도 9에 따라 조합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의 변형에서 이것들이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제1 양태는 제1 및 제2 힌지 절반부(1, 2)가 몰딩 피스로서 형성되고 따라서 성형 금속 피스로서 형성되지 않는 상황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힌지 볼트(5)와 볼트 시트(6)는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양태는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에 대한 개방 각도에 종속되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구속에 관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착 플랜지(3)는 볼트 시트(6)를 장착 플랜지(3)에 몰딩시키는 그 종방향 에지(20)에 하나 이상의 홈(9)을 포함하며 이 홈 안에 돌출부(10)가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외주에서 꼭 맞게 결합되어 도어측 힌지 절반부(2)를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한다. 장착 플랜지(3)는 두 개의 홈(9)을 가지며 제1 홈(9)은 도 8에 도시된 도시에서 상부 힌지 볼트(5)에 할당되고 제2 홈(9)은 도 8에 도시된 도시에서 하부 힌지 볼트(5)에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볼 때, 힌지 조립체가 힌지 캐비넷의 수직 프로파일 상에 좌측 정지부 용으로 배치되는지 우측 정지부 용으로 배치되는지에 따라 돌출부(10)가 개방 각도에 따라서 도 8의 도시에서 상부 또는 하부 홈(9)과 결합될 수 있음이 명백해진다. 도어측 힌지 절반부(2)가 선회할 때 돌출부(10)가 저항없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홈(9)은 장착 플랜지(3)의 에지 측부(20)를 향해서 개방된다.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로부터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리프팅이 차단되어야 하는 각도 범위는 구체적으로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외주(11)를 따라서 돌출부(10)의 길이에 걸쳐서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어측 힌지 절반부가 우발적으로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 따른 리프트-방지 장치(29)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1에 도시하듯이 한편으로 도어측 힌지 절반부(2) 내로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상부 앞면(19)에 배치되고 볼트-수용 수단(7) 내로 돌출하며 또한 다른 한편으로 수직 방향(x)으로 두 개의 힌지 볼트(5)의 상부로 돌출한다. 리프트-방지 장치(29)는 상단부 및 하단부(31, 32)를 갖는 실린더 보디(30)를 가지며, 상단부(31)는 내주에 삽입 헤드(35)를 갖는 플러그 리셉터클(37)을 구비하고, 하단부(32)는 외주에 하부 삽입 헤드(36)를 갖는 돌출 페그(34)를 구비한다. 실린더 보디(30)의 외주면에서의 파지부(33)는 리프트-방지 장치(29)를 보다 다루기 쉽게 만든다.
상기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서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발명을 개별적으로 및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하는데 필수적일 수 있다.
1: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
2: 도어측 힌지 절반부
3: 장착 플랜지
4: 자유 단부
5: 힌지 볼트
6: 볼트 시트
7: 볼트-수용 수단
8: 내측
9: 홈
10: 돌출부
11: 외주
12: 판금 벽
13: 플러그 섹션
14: 플랜지
15: 외주
16: 접촉면
17: 전방 측
18: 슬라이딩 지지면
19: 앞면
20: 에지 측부
21: 구속 후크
22: 정지부
23: 외주
24: 돌출 립
25: 이행부
26: 부착 측부
27: 노치 섹션
28: 주위 홈
29: 리프트-방지 장치
30: 실린더 보디
31: 상단부
32: 하단부
33: 파지부
34: 돌출 페그
35: 상부 삽입 헤드
36: 하부 삽입 헤드
37: 플러그 리셉터클
100: 스위치 캐비넷
101: 도어 요소
102: 스위치 캐비넷 하우징
103: 수직 프로파일
104: 연결 섹션
105: 밀봉 에지
106: 밀봉 리지
107: 측부
d: 거리
x: 수직 방향
z: 수직 치수
A: 힌지 축

Claims (14)

  1. 서로에 대해 선회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 및 도어측 힌지 절반부(2)를 포함하는 스위치 캐비넷(100)용 힌지 조립체이며,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는 스위치 캐비넷 하우징(102)의 수직 프로파일(103)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플랜지(3)뿐 아니라, 수직 방향(x)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x)으로 상호 일정 거리(d)에 배치되며 그 자유 단부(4)가 상호 대면하는 두 개의 힌지 볼트(5)를 가지며, 힌지 볼트(5)는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의 각각의 볼트 시트(6)에 수용되고, 그 자유 단부(4)를 거쳐서 각각의 볼트 시트(6)로부터 돌출하는,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힌지 볼트(5)는 적어도 수직 방향(x)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서로로부터의 거리(d)를 두고 그 각각의 볼트 시트(6) 내에 수용되고, 상기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힌지 볼트(5)의 자유 단부(4)의 거리(d) 이하의 수직 치수(z)를 갖는 볼트-수용 수단(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는 수직 방향(x)에 대해 직교하고 따라서 힌지 조립체의 힌지 축(A)에 대해서도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적이며, 따라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도어 요소(101)의 좌측 정지부에서 또는 도어 요소(101)의 우측 정지부에서 스위치 캐비넷 하우징(102)의 좌측 또는 우측 수직 프로파일(103) 상에 장착될 수 있는, 힌지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는 좌측 정지부와 우측 정지부 중 제1 정지부에서 그 두 개의 힌지 볼트(5) 중 제1 힌지 볼트에 의해 도어측 힌지 절반부(2)와 결합하며, 하우징측 볼트 절반부(1)는 좌측 정지부와 우측 정지부 중 제2 정지부에서 그 두 개의 힌지 볼트(5) 중 제2 힌지 볼트에 의해 도어측 힌지 절반부(2)와 결합하는, 힌지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2)와 대면하는 그 내측(8)에 하나 이상의 홈(9)을 가질 수 있으며, 이 홈 내로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외주(11)에서의 돌출부(10)가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개방 위치에서 꼭 맞게 결합되고 도어측 힌지 절반부(2)를 수직 방향(x)으로 및 따라서 힌지 볼트(5)의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힌지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2)와 대면하는 그 내측(8)에서 적어도 제1 및 제2 홈(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좌측 정지부와 우측 정지부 중 제1 정지부에서 돌출부(10)는 제1 홈(9)과 꼭 맞게 결합하고, 좌측 정지부와 우측 정지부 중 제2 정지부에서 돌출부(10)는 제2 홈(9)과 꼭 맞게 결합하는, 힌지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의 볼트 시트(6)와 각각의 힌지 볼트(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힌지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의 볼트 시트(6)는 힌지 볼트(5) 중 하나가 플러그 섹션(13)에 의해 삽입되는 환형 판금 벽(12)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판금 벽(12)은 플러그 섹션(13)에 확고하게 연결되는, 힌지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볼트(5)의 플러그 섹션(13)은 힌지 볼트(5)의 외주(15)에서의 플랜지(14)에 의해 힌지 볼트(5)의 자유 단부(4)로 이행될 수 있고, 플랜지(14)는 볼트 시트(6)와 대면하는 측에 접촉면(16)을 가지며 이로 인해 힌지 볼트(5)는 볼트 시트(6)의 전방 측(17)에 꼭 맞게 놓이고, 플랜지(14)는 볼트 시트(6)로부터 외면하는 측에 슬라이딩 지지면(18)을 가지며 이로 인해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볼트-수용 수단(7)의 앞면(19)에 가동적으로 배치되는, 힌지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측 힌지 절반부(1)의 볼트 시트(6)는 장착 플랜지(3)의 에지 측부(20)에 걸쳐서 장착 플랜지(3)에 몰딩되며, 서로 대면하는 힌지 볼트(5)의 두 개의 자유 단부(4) 사이 거리(d)의 절반에서는, 힌지 볼트(5)의 방향으로 에지 측부(20)에서 시작하고 힌지 볼트(5)의 축방향(x)에 수직한 구속 후크(21)가 돌출하며, 상기 구속 후크(21)는 힌지 볼트(5) 중 하나와 대면하는 그 양 측부에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2)에 대한 정지부(22)를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볼트-수용 수단(7)은 그 외주(23)에서, 돌출 립(24)을 갖는 비원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개방 위치에서 돌출 립(24)과 구속 후크(21)는 중첩되고, 따라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정지부의 측부에 따라서 정지부(22)중 하나와 돌출 립(24)이 서로 대면하는, 힌지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힌지 절반부(2)는 도어측 힌지 절반부(2)를 도어 요소(101) 상에 설치하기 위한 부착 측부(26)와 볼트-수용 수단(7) 사이의 이행부(25)에서 돌출 립(24)이 배치되는 성형 금속 스트립일 수 있는, 힌지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립(24)과 상기 부착 측부(26)는 금속 스트립의 노치 섹션(27)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힌지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측 힌지 절반부(2)의 상부 앞면(19)에 의해 도어측 힌지 절반부(2) 상에 배치되고 볼트-수용 수단(7) 내로 돌출하며 두 개의 힌지 볼트(5)의 상부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x)으로 그 안으로 돌출하는 리프트-방지 장치(29)를 추가로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방지 장치(29)는 상단부 및 하단부(31, 32)를 갖는 실린더 보디(30)를 포함하며, 상단부(31)는 내주에 삽입 헤드(35)를 갖는 플러그 리셉터클(37)을 포함하고 하단부(32)는 외주에 하부 삽입 헤드(36)를 갖는 돌출 페그(34)를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
KR1020197010258A 2016-09-15 2017-08-03 스위치 캐비넷용 힌지 조립체 KR102242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7378.9 2016-09-15
DE102016117378.9A DE102016117378B3 (de) 2016-09-15 2016-09-15 Scharnieranordnung für einen Schaltschrank
PCT/DE2017/100657 WO2018050151A1 (de) 2016-09-15 2017-08-03 Scharnieranordnung für einen schaltschr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341A KR20190045341A (ko) 2019-05-02
KR102242184B1 true KR102242184B1 (ko) 2021-04-20

Family

ID=5863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258A KR102242184B1 (ko) 2016-09-15 2017-08-03 스위치 캐비넷용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396767B2 (ko)
EP (1) EP3472904B1 (ko)
JP (1) JP6785371B2 (ko)
KR (1) KR102242184B1 (ko)
CN (1) CN109643883B (ko)
CA (1) CA3032313C (ko)
DE (1) DE102016117378B3 (ko)
ES (1) ES2781676T3 (ko)
MX (1) MX2019001816A (ko)
PL (1) PL3472904T3 (ko)
RU (1) RU2713234C1 (ko)
UA (1) UA122193C2 (ko)
WO (1) WO2018050151A1 (ko)
ZA (1) ZA2019004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7576A1 (de) 2017-11-22 2019-05-23 Rittal Gmbh & Co. Kg Schließeinrichtung für einen Schaltschrank und ein entsprechender Schaltschrank
DE102019103997B3 (de) 2019-02-18 2020-06-25 Rittal Gmbh & Co. Kg Scharnieranordnung für einen Schaltschrank und ein entsprechendes Verfahren
DE102019118758B3 (de) 2019-07-11 2020-10-08 Dirak Dieter Ramsauer Konstruktionselemente Gmbh Scharnier und System zum lösbaren Verbinden einer Tür mit einem Rahmen
US20230114849A1 (en) * 2021-10-13 2023-04-13 Whirlpool Corporation Hinge assembly for a vacuum insulated do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7804U1 (ko) 1992-06-10 1992-09-03 Knuerr Mechanik Ag
US6283565B1 (en) 1997-06-05 2001-09-04 Rittal-Werk Rudolf Loh Gmbh & Co. Kg Adjustable hinge for a switch cupboard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279A (en) * 1903-05-29 1903-11-03 Hoskins & Sewell Ltd Hinge.
US1341063A (en) * 1917-04-24 1920-05-25 Ulysses G Mcqueen Hinge
US2803850A (en) * 1954-08-27 1957-08-27 George M Hooper Stop hinge
US3375546A (en) * 1966-04-07 1968-04-02 Hager & Sons Hinge Mfg Company Hinge
US3431591A (en) * 1967-06-05 1969-03-11 Ludwig & Co Inc A Selectively releasable engageable separable-leaf hinge
DE2628952A1 (de) * 1976-06-28 1978-01-05 Scharwaechter Gmbh Co Kg Aushaengbares scharnier, insbesondere fuer kraftwagen
DE8015568U1 (de) * 1980-06-12 1980-09-18 Top - Element Bauelemente Fuer Innenausbau + Raumgestaltung Gmbh & Co Kg, 4700 Hamm Tuerscharnier
DE8314926U1 (de) * 1983-05-20 1983-08-25 Carl Suelberg Gmbh & Co, 5630 Remscheid Sicherheitsscharnier
US5127132A (en) * 1991-07-22 1992-07-07 James Karlin Hinge made from identical hinge plates
DE9214963U1 (ko) * 1992-06-10 1992-12-24 Knuerr Mechanik Ag
US5355556A (en) * 1993-01-26 1994-10-18 Aircom Metal Products, Inc. Enclosure having reversible door and hinge therefor
DE29720515U1 (de) * 1997-02-28 1998-01-22 Loh Kg Rittal Werk Schranktür mit Schrankkorpus und angelenkter Schranktüre
US5940937A (en) * 1997-06-19 1999-08-24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Dual directional hinged wallmount bracket assembly
DE19817245A1 (de) 1998-04-18 1999-10-28 Loh Kg Rittal Werk Schaltschrank
ATE515617T1 (de) * 2004-01-26 2011-07-15 Dieter Ramsauer Klipsbefestigung für die schnellmontage von beschlageinrichtungen, wie schwenkhebelverschlüsse, scharnierteile in durchbrüchen in einer dünnen wand
AU2004100407A4 (en) * 2004-05-27 2004-07-01 Triple M Holdings Pty Ltd Hinge assembly
RU61952U1 (ru) * 2006-10-05 2007-03-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вертор"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шкаф
RU84430U1 (ru) * 2008-12-03 2009-07-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роцесс" Петельный узел двери
WO2013110292A1 (de) * 2012-01-24 2013-08-01 Eldon Holding Aktiebolag Einstellbares scharnier für einen schaltschrank
US9169679B2 (en) * 2013-03-11 2015-10-27 Belden Inc. Cabinet and hinge assembly
CA2898085C (en) * 2013-04-24 2017-07-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ver connecting member for vehicle control apparatus housing
CN203559674U (zh) * 2013-10-17 2014-04-23 哈尔滨森鹰窗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百叶窗上的挂插式五金合页
DE102014101404B4 (de) 2014-02-05 2017-11-16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 oder Verteilerschrank
DE102014101401A1 (de) 2014-02-05 2015-08-06 Rittal Gmbh & Co. Kg Anreih-Schaltschranksystem
DE102014101405A1 (de) 2014-02-05 2015-08-06 Rittal Gmbh & Co. Kg Bodenbaugruppe für das Rahmengestell eines Schaltschranks
DE102014102464B4 (de) 2014-02-25 2018-12-13 Rittal Gmbh & Co. Kg Eckverbinder zum Verbinden mindestens zweier senkrecht zueinander angeordneter Rahmenprofile eines Rahmengestells
DE102015121192B4 (de) 2015-12-04 2019-09-19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schrank
WO2017161163A1 (en) * 2016-03-17 2017-09-21 Hubbell Incorporated Removable hinge assembl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7804U1 (ko) 1992-06-10 1992-09-03 Knuerr Mechanik Ag
US6283565B1 (en) 1997-06-05 2001-09-04 Rittal-Werk Rudolf Loh Gmbh & Co. Kg Adjustable hinge for a switch cup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3883A (zh) 2019-04-16
CA3032313A1 (en) 2018-03-22
EP3472904A1 (de) 2019-04-24
US11396767B2 (en) 2022-07-26
ES2781676T3 (es) 2020-09-04
CA3032313C (en) 2020-08-25
US20210332623A1 (en) 2021-10-28
MX2019001816A (es) 2019-08-21
DE102016117378B3 (de) 2017-05-18
JP2019534399A (ja) 2019-11-28
JP6785371B2 (ja) 2020-11-18
ZA201900499B (en) 2020-06-24
CN109643883B (zh) 2020-10-09
RU2713234C1 (ru) 2020-02-04
PL3472904T3 (pl) 2020-06-01
WO2018050151A1 (de) 2018-03-22
BR112019002414A2 (pt) 2019-06-04
EP3472904B1 (de) 2020-01-22
UA122193C2 (uk) 2020-09-25
KR20190045341A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184B1 (ko) 스위치 캐비넷용 힌지 조립체
US20210138973A1 (en) Fastening clip device configured to secure a door module to a door frame of a vehicle
KR102169601B1 (ko)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
US10968938B2 (en) Connector with enhanced mounting process
US20150135598A1 (en) Closure plug
KR102163534B1 (ko)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 장치
US7785030B2 (en) Connecting element
US8250713B2 (en) Hinge assembly adapted to allow cable to be disposed therein quickly
CA2957295A1 (en) Holding fr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1656023B (zh) 附接装置
JP5876497B2 (ja) ノイズ吸収装置
CN113366720A (zh) 开关柜的铰链布置及相应的方法
KR101640982B1 (ko) 리프트 장치
US20110179599A1 (en) Door retaining device
CN108375005A (zh) 用于嵌入式天花板和墙壁照明装置的装配套件和方法
KR100897333B1 (ko) 도어힌지 기구
EP3106707A1 (en) Damper device
CN102985631A (zh) 密封塞
KR20140010829A (ko) 벨트 몰딩 체결 구조
US7619340B2 (en) Drive unit with a rotationally fixed bearing element
CN104242541B (zh) 传动-驱动装置
US20190078364A1 (en) Locking hinge
EP2354400A1 (en) A hinge with integrated door-stop device for vehicle doors
KR20180003417U (ko) 방충창의 롤러 일체형 마감구
US11174657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