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601B1 -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601B1
KR102169601B1 KR1020187027187A KR20187027187A KR102169601B1 KR 102169601 B1 KR102169601 B1 KR 102169601B1 KR 1020187027187 A KR1020187027187 A KR 1020187027187A KR 20187027187 A KR20187027187 A KR 20187027187A KR 102169601 B1 KR102169601 B1 KR 102169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er
clamp
pin
profiled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304A (ko
Inventor
스티븐 파에스
마누엘 보두앙
에르칸 카야시크
벤 코틀
Original Assignee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15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를 가지는 2 부분으로 구현된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요소는 라인 단부 상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요소는 프로파일형 클램프 상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 프리-포지셔너를 간편하게 장착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요소는 상기 라인 단부 상에 고정될 수 있는 푸트부와,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프셋되고 상기 푸트부에 대향하며 리세스를 구비하는 유지부를 가진 등자 형상(stirrup-shaped manner)으로 설계된다. 상기 제 2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이러한 프리-포지셔너를 갖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파일형 클램프는 일반적으로 라인 단부에 연결 플랜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선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경우, 프로파일형 클램프는 일반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단부면에서 2 개의 연결 플랜지를 포함하고, 조이는 동안 연결 플랜지를 서로 축 방향으로 가압한다. 일반적으로, 프로파일형 클램프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실질적으로 V 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따라서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조임 중에 연결 플랜지에 가해지는 반경 방향의 힘뿐만 아니라 라인 단부를 함께 누르는 축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개시된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조립은 많은 적용 분야에서 비교적 어렵다. 특히 공간 조건이 좁은 경우, 피팅부가 연결 플랜지를 함께 누르는 한편, 프로파일형 클램프를 제 위치에 이동시키고 조이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종종 원하는 라인 연결부의 위치는 한 쪽에서만 액세스 할 수도 있다.
프리-포지셔너의 결과로서, 프로파일형 클램프는 라인 단부상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나중에 조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리-포지셔너를 2 개의 요소로부터 조립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개 요소 중 하나의 요소는 핀의 형태로 라인 단부 상에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요소는 핀을 위한 축 방향 가이드 홈을 구비한 탭의 형태로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클램프 스트립 상에 체결된다. 프로파일형 클램프가 조여질 때 발생하는 반경 방향 운동은 이 경우 탭의 재료의 탄성에 의해 가능하다. 가이드 홈에 핀을 삽입하려면, 프로파일형 클램프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상기 이동은 종종 연결 플랜지에 의해 어렵게 된다. 결과적으로 조립체는 상대적으로 시간 소모적이고 가격이 비싸게 된다.
본 발명의 근간을 이루는 목적은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프리-포지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프리-포지셔너 또는 청구항 13의 특징을 갖는 연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설계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로 2 부분으로 구현되는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의 경우, 상기 제 1 요소는 라인 단부 상에 체결가능하고, 상기 제 2 요소는 프로파일형 클램프상에서 체결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요소는 라인 단부 상에 고정 가능한 푸트부(foot portion)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오프셋되고 푸트부에 대향하고 리세스를 포함하는 유지부(holding portion)를 갖는 등자 형상(stirrup-shaped manner)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 2 요소는 핀을 포함하며 원주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오목부 내로 삽입 가능하다.
상기 설계에 의해, 원주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의 결과로서, 상기 두가지 요소는 서로 체결되도록 이동될 수 있으며, 피벗 운동과 관련하여 적용 가능한 경우, 홈의 에지와 핀 사이의 상호 작용은 움직임의 축방향 자유도를 제한하게 된다. 그 결과 프로파일형 클램프를 새로운 프리-포지셔너로 사전 포지셔닝하는 것이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 2 요소는 가이드 핀이 홈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 1 요소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프로파일형 클램프가 조여질 때 발생하는 프리-포지셔너 요소들 사이의 반경 방향 변위를 방해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가이드 핀은 홈 내부로 반경 방향으로 다소간 진입할 수 있으며, 이에 필요한 이동 공간은 홈이 실현되는 제 1 요소의 홀딩부의 반경 방향 간격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한 설계에서, 리세스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특히 한쪽면에서 개방된 홈으로서 구현되도록 제공된다. 프로파일형 클램프가 이미 연결 플랜지 상에 배열되어있는 경우, 조립 중 원주 방향으로의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이동 또한 용이하게 가능하다. 따라서, 간단한 조립이 제공된다.
상기 핀은 원주 방향으로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한 가이드 핀으로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로파일형 클램프는 플랜지 상에 미리 위치 될 수 있고, 핀은 플랜지에 대하여 프로파일형 클램프를 회전시킴으로써 홈 내로 이동할 수 있다. 가정된 위치는 상기 홈 내부의 핀에 의해 적어도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한 추가적인 구성에서, 그 반경 방향 내부 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핀은 홈보다 폭이 넓은 푸트(feet)를 포함하며, 상기 푸트는 유지부와 라인 단부 사이에 삽입 가능하다. 상기 푸트의 결과로서, 반경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은 가이드 핀이 반경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한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프로파일형 클램프가 조여질 때 필요한 안내 핀의 추가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핀은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서 제 2 요소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설계에서, 상기 리세스는 폐쇄된 원주 에지를 갖는 개구로서 구현된다. 따라서, 개구에 삽입된 핀은 축 방향으로의 고정뿐만 아니라 원주 방향으로의 고정도 달성한다.
이 경우에, 제 2 요소는 핀이 개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제 1 요소에 대해 선회 가능하며, 그 결과 핀은 개구 안으로 더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파일형 클램프는 상기 피봇 운동의 결과로서 프리-포지셔너와 함께 플랜지 둘레에 동시에 배치된다. 먼저 조립 중 핀의 자유 단부를 개구부에 삽입한 다음, 피봇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하나의 단계에서, 프로파일형 클램프는 플랜지 상에 미리 장착 될 뿐만 아니라 그 위치는 프리-포지셔너에 의해 또한 고정된다.
리세스는 바람직하게 래칭 수축부(latching constriction)를 포함한다. 상기 래칭 수축부, 즉 특히 홈의 수축부는 또한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을 완전히 억제하지 않으면서 의도하지 않게 리세스로부터 핀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홈은 래칭 수축의 결과로서 홀딩 브래킷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일단 래칭 수축부를 통과하면, 상기 핀은 안내 홈의 폐쇄 단부 영역에서 일정한 자유도로 유지되며,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핀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릿지에 의해 프로파일형 클램프 상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브리지는 핀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와 협력한다. 상기 핀은 프로파일형 클램프에 대해 축 방향으로 오프셋 될 수 있어서, 제 1 요소는 또한 연결 플랜지로부터 원하는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설계에서, 제 1 요소는 푸트부(foot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푸트부로부터 이격된 유지부의 단부는 자유롭다. 따라서, 제 1 요소는 원주 방향으로 비교적 짧은 범위를 포함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비교적 적은 재료 소비 및 결과적으로 중량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유지부의 자유 단부는 제 1 요소의 반경 방향의 일정한 탄성을 초래한다. 따라서, 프로파일형 클램프가 조여질 때 제 1 및 제 2 요소 사이의 압력의 발생이 회피된다. 동시에, 상기 탄성은 플랜지 상에 프로파일형 클램프를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설계에서, 제 1 요소는 두 개의 푸트부를 포함하며, 그 사이에 유지부가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요소는 매우 견고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두 지점에서 라인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푸트부와 상기 유지부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 번째 요소는 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만을 차지하게 된다.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안정성이 원주 방향으로 얻어지는데, 이는 핀을 홈에 삽입하고 위치를 축 방향으로 고정하는데 유리하다.
도입부에서 명명된 대상물은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프리-포지셔너에 의해 라인 단부 상에 유지되는 프로파일형 클램프와 라인 단부를 구비한 연결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프리-포지셔너의 제 1 요소는 라인 단부 상에 고정되고 프리-포지셔너의 제 2 요소는 프로파일형 클램프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포지셔너에 있어서, 프리-포지셔너의 2 개의 요소 사이의 연결은 리세스에 삽입되는 핀에 의해 라인에 대하여, 특히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피봇 운동과 관련하여 간단한 회전 운동 또는 반경 방향 운동의 결과로서 생성될 수 있다. 프리-포지셔너는 이 경우, 반경 방향 및 적용 가능한 경우 원주 방향의 위치 변화 및 위치 차이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대조적으로, 축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한정된 위치가 유지된다.
프리-포지셔너의 브릿지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클램프 스트립의 반경 방향 외부 표면 상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거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으며, 프리-포지셔너는 용접, 크림핑 또는 리벳 가공과 같은 최소의 노력과 비용으로 클램프 스트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프리-포지셔너는 클램프 스트립의 내부 표면과 연결 플랜지 사이의 접촉에 의해 카운터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설계에서, 프리-포지셔너는 브리지가 진행하는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클램프 스트립의 두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경우, 상기 연결 요소는 프로파일형 클램프를 충분히 넓히고 연결 플랜지 주위에 배치할 수 있도록 스프링 요소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 경우, 브릿지 및 연결 요소, 특히 핀을 포함하는 연결 요소는, 예를 들어 펀칭 및 재작업의 결과로서 시트 메탈 또는 그에 유사한 것으로부터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릿지는 특히 연결 요소의 종방향 측으로부터 중심으로 진행하고 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며, 연결 요소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연결 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브릿지의 단부에서, 상기 브리지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브리지에 대해 90 ° 절곡된 핀과 합쳐진다. 그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핀은 축 방향으로 다시 연장되며 상응하는 굽힙의 결과로서 얻어질 수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푸트(feet)를 포함한다.
라인 단부와 유지부 사이의 반경 방향의 거리는 크기에 있어서 프로파일형 클램프가 조여질 때 발생하는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적어도 직경의 감소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클램프가 조여 질 때에도 핀이 라인 끝과 접촉하지 않도록 반경 방향으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추가의 특징, 세부 사항 및 장점은 청구 범위의 문구 및 도면을 통해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생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프리-포지셔너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프리-포지셔너의 제 1 실시예를 갖는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공간 표현을 도시한다.
도 2는 프리-포지셔너의 제 1, 등자 형태(stirrup-shaped) 요소를 도시한다.
도 3은 프리-포지셔너의 제 2 요소를 도시한다.
도 4는 프리-포지셔너의 제 2 실시예를 갖는 프로파일형 클램프를 도시한다.
도 5는 플랜지 상에 조립되기 이전의 도 4에 따른 프로파일형 클램프를 도시한다.
도 1은 적어도 두 개의 절반부(2a, 2b)를 포함하는 클램프 스트립(2)을 갖는 프로파일형 클램프(1)를 도시한다. 클램프 스트립(2)의 2 개의 절반부(2a, 2b)는 제 1 요소(4) 및 제 2 요소(5)를 포함하는 프리-포지셔너(3)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제 1 요소(4)는 라인 단부(6)에 고정되고, 제 2 요소(5)는 프로파일형 클램프(1) 상에 고정된다. 제 1 요소(4)는 두 개의 푸트부(7, 8)을 포함하되, 그 사이에서 상기 푸트부(7. 8)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프셋된 유지부(9)가 구현된다. 이러한 구조는 유지부(9)와 라인 단부(6) 사이에서 진입될 수 있는 가이드핀으로서 핀이 구현되는 제 2 요소(5)의 핀(1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주측에서 개방되고 그 반대측에서 폐쇄되도록 구현되는 홈(11) 형태의 리세스는 가이드 핀(10)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 1 요소(4)의 유지부(9) 내에 구현된다. 그 결과, 상기 가이드 핀은 제 1 요소(4)와 제 2 요소(5) 사이의 원주 방향으로의 장착 이동의 결과로서 홈(11)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장착 이동은 화살표(12)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핀(10)과 함께, 상기 제 2 요소(5)는 브릿지(13) 및 연결 요소(14)를 포함한다. 연결 요소(14)는 이 경우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클램프 스트립(2)의 2 개의 절반부(2a, 2b)를 서로 관절 식으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 요소는 이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스폿 용접 또는 크림프 연결에 의해 클램프 스트립(2)의 외부 표면 상에 고정된다.
브리지(13)는 연결 요소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 요소(14)의 길이 방향 측면의 중심에서 돌출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 요소(14)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브리지(13)의 말단에 위치한 가이드 핀(10)은 프로파일형 클램프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프리-포지셔너의 제 1 요소(4)를 도시한다. 개방 단부에서, 홈(11)은 폐쇄 단부를 향해 넓어지는 래칭 수축부(15)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홈(11)의 폭은 가이드 핀(10)이 프로파일형 클램프가 조여질 때 마찰 손실 및 추가적인 응력을 피할 수 있는 충분한 축 방향의 공간을 갖도록 된다.
도 3은 프리-포지셔너의 제 2 요소(5)를 도시한다. 연결 요소(14)는 시트 금속 부분 또는 플라스틱 재료 부분으로부터 브리지(13) 및 가이드 핀(10)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 자유 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핀(10)은 가이드 핀(10)이 반경 방향으로 홈(11)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2 개의 대향하는 푸트(feet: 16, 17)를 포함하고, 라인 단부에 대한 충격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평평한 접촉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라인 단부가 손상될 위험이 최소화된다.
도 4는 프리-포지셔너(3)의 또 다른 바람직한 설계를 갖는 프로파일형 클램프(1)를 도시하며,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된다.
이 경우, 제 1 요소(4)의 유지부(9)의 리세스(18)는 제 2 요소(5)의 핀(10)이 삽입되는 폐쇄된 원주 에지를 갖는 개구로서 구현되며, 상기 핀(10)의 만곡 단부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또한 반경 방향으로의 위치 고정을 가져온다. 제 1 요소(4)는 푸트부(7)에 의해서만 라인 단부(6) 상에 부가적으로 고정되며, 반면에 푸트부(7)으로부터 먼 부분의 유지부(9)의 단부는 자유롭다. 이는 제 1 요소(4)가 임의의 가요성을 가지게 한다.
도 5는 프로파일형 클램프(1)가 라인 단부(6)에 대해 선회의 결과로서 프리-포지셔너(3)에 어떻게 장착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작 상태의 경우, 핀(10)의 푸트(16)는 이미 개구(18)에 삽입되어 있다. 후속 피봇 회전의 결과로서, 프로파일형 클램프(1)가 플랜지 상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핀(10)은 푸트(16)가 마침내 브릿지(13)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진 유지부(9)의 일측상에 놓이게 될 때까지 개구(18) 내부로 추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공간적으로 모든 방향에서 고정(플레이를 가지고서)이 되는데, 상기 고정은 적어도 직경 방향으로 많은 플레이를 가지지만, 프로파일형 클램프(1)를 그것에 연결된 직경 감소부와 함께 조이는 것이 방해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포지셔너는 프로파일형 클램프를 링 플랜지에 매우 간단하게 사전 위치시킬 수 있으며, 프리-포지셔너의 2 개의 요소는 프로파일형 클램프가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단순한 회전 운동의 결과로서 또는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피벗 운동의 결과로서 플랜지상에 형성되면.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도록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링 플랜지에 의해 어려워지거나 방해를 받게 되는 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필요하지 않다. 반대로, 라인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 된 유지부의 결과로서,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조임이 방해 받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에 걸친 반경 방향의 상대 이동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 한 실시예 중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환 가능하다.
청구 범위, 설명 및 도면에서 비롯된 구조적 세부 사항, 공간적 배열 및 방법 단계를 비롯한 모든 기능 및 장점은 본질적으로 본질적으로 매우 다양하고 다양한 조합으로 발명될 수 있다.
1: 프로파일형 클램프
2: 클램프 스트립
3: 프리-포지셔너
4: 제 1 요소
5: 제 2 요소
6: 라인 단부
7, 8: 푸트부
9: 유지부
10: 가이드 핀
11: 홈
12: 화살표
13: 브릿지
14: 연결 요소
15: 래칭 수축부
16, 17: 푸트
18: 개구

Claims (16)

  1.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를 가지는 2 부분으로 구현된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로서, 상기 제 1 요소는 라인 단부 상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요소는 프로파일형 클램프 상에 체결될 수 있는, 프리-포지셔너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는 상기 라인 단부 상에 고정될 수 있는 푸트부와,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프셋되고 상기 푸트부에 대향하며 리세스를 구비하는 유지부를 가진 등자 형상(stirrup-shaped manner)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 2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의 내부로 삽입 될 수 있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포지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특히 일측 단부에서 개방된 홈으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포지셔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원주 방향으로 상기 홈의 내부로 삽입 될 수 있는 가이드 핀으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포지셔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그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상기 홈보다 폭이 더 넓은 푸트를 포함하며, 상기 푸트는 상기 유지부와 상기 라인 단부 사이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포지셔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소는 상기 홈에 놓이는 상기 가이드 핀에 의해 상기 제 1 요소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포지셔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폐쇄된 원주 에지를 갖는 개구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리-포지셔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소는 상기 핀이 상기 개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제 1 요소에 대해 피봇 가능하여, 상기 핀은 상기 개구에 더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포지셔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래칭 수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포지셔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릿지에 의해 상기 프로파일형 클램프 상에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포지셔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는 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트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유지부의 단부는 자유 단부(free e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포지셔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는 두 개의 푸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트부 사이에 상기 유지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포지셔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푸트부와 상기 유지부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포지셔너.
  13. 제 9 항에 따른 프리-포지셔너에 의해 라인 단부 상에 유지되는 프로파일형 클램프 및 라인 단부를 구비한 연결 장치로서,
    상기 프리-포지셔너의 제 1 요소는 라인 단부상에 체결되고, 프리-포지셔너의 제 2 요소는 프로파일형 클램프 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포지셔너의 상기 브릿지는 상기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클램프 스트립의 반경 방향 외부 표면 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포지셔너는 프로파일형 클램프의 클램프 스트립의 두 개의 절반부를 연결하는 연결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요소로부터 상기 브릿지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단부와 상기 유지부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는 크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형 클램프가 조여질 때 발생하는 상기 프로파일 클램프의 적어도 직경의 감소량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KR1020187027187A 2016-03-04 2017-03-02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 KR102169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3986.1A DE102016103986B3 (de) 2016-03-04 2016-03-04 Vorpositionierer für eine Profilschelle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derartigen Vorpositionierer
DE102016103986.1 2016-03-04
PCT/EP2017/054975 WO2017149104A1 (de) 2016-03-04 2017-03-02 Vorpositionierer für eine profilschelle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derartigen vorpositionier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304A KR20180115304A (ko) 2018-10-22
KR102169601B1 true KR102169601B1 (ko) 2020-10-26

Family

ID=5822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187A KR102169601B1 (ko) 2016-03-04 2017-03-02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56315B2 (ko)
EP (1) EP3423744B1 (ko)
JP (1) JP6683826B2 (ko)
KR (1) KR102169601B1 (ko)
CN (1) CN108779884B (ko)
DE (1) DE102016103986B3 (ko)
ES (1) ES2807025T3 (ko)
WO (1) WO2017149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5581B1 (fr) * 2014-09-04 2017-03-24 Caillau Ets Systeme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tubes
DE102016107159B4 (de) * 2016-04-18 2021-10-07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Anschlussvorrichtung
US11143341B2 (en) * 2017-07-14 2021-10-12 Rohr, Inc. Balking tab to control duct coupling clocking
DE102018114087A1 (de) * 2018-06-13 2019-12-19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JP7280708B2 (ja) * 2019-02-15 2023-05-2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ースクランプ用仮保持ホルダー
DE102019112884B3 (de) * 2019-05-16 2020-03-26 Norma Germany Gmbh Vorrichtung zum Vorpositionieren einer Profilschelle und Verbindungssystem
KR102334190B1 (ko) 2019-11-29 2021-12-03 주식회사케이베츠 원형부재 보강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73470B1 (ko) 2020-01-21 2022-03-14 주식회사케이베츠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7466A1 (en) 2010-05-17 2011-1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3402A (en) * 1946-03-18 1946-12-31 Frederick E Becker Pipe coupler interlock
US3015883A (en) * 1957-12-02 1962-01-09 Phillips Petroleum Co Flange aligning tool
DE19534437C2 (de) * 1995-09-16 2000-09-21 Daimler Chrysler Ag Schelle zur Verbindung von zwei rohrförmigen Leitungsteilen
SE508749C2 (sv) * 1996-12-20 1998-11-02 Lindab Ab Sätt att hopkoppla två rör
JP4243744B2 (ja) * 1999-03-02 2009-03-25 株式会社東郷製作所 位置決め具付きホースクリップ
US6832786B2 (en) * 2001-10-16 2004-12-21 D.J. Mielke, Inc. Tubular member coupling device
US6709021B2 (en) * 2001-10-16 2004-03-23 D.J. Mielke, Inc. Tubular member coupling device
US6942253B2 (en) * 2003-04-18 2005-09-13 Epicor Industries, Inc. Locator tab and associated hose clamp
SE528956C2 (sv) * 2005-09-06 2007-03-20 Aba Sweden Ab Fixering för slangklämma
CN2898407Y (zh) * 2006-03-28 2007-05-09 诚加兴业股份有限公司 呼吸管的连接扣
GB0606299D0 (en) * 2006-03-30 2006-05-10 Teconnex Ltd Clamping device
DE102009039862B4 (de) * 2009-09-03 2013-04-18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ES2548828T3 (es) * 2012-07-27 2015-10-21 Norma Germany Gmbh Abrazadera para tubería, en especial abrazadera de tensor
DE202013001224U1 (de) * 2013-02-07 2013-02-15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mit Vorpositionierer
CN204591893U (zh) * 2015-04-15 2015-08-26 厦门欧迈家居有限公司 一种板件快装接插件
CN204829059U (zh) * 2015-08-05 2015-12-02 江苏国农泵业有限公司 球形双挂宽钩管道快速接头
DE102017215157A1 (de) * 2017-08-30 2019-02-28 Mahle International Gmbh Verbindungsschelle
CN108061206B (zh) * 2017-12-20 2019-05-21 乐清市东博机电有限公司 定位防错卡箍
FR3080666B1 (fr) * 2018-04-26 2020-05-08 Etablissements Caillau Systeme de serrage a pattes rabattables pour le raccordement de tubes
FR3088097B1 (fr) * 2018-11-07 2020-11-27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doigt de retenue rabattable
US11384877B2 (en) * 2019-01-25 2022-07-12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Retaining assembly for a gas turbine engine
FR3098881B1 (fr) * 2019-07-15 2021-07-23 Caillau Collier de serrage à doigts de retenu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7466A1 (en) 2010-05-17 2011-1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3744A1 (de) 2019-01-09
US11156315B2 (en) 2021-10-26
DE102016103986B3 (de) 2017-08-24
EP3423744B1 (de) 2020-04-29
CN108779884B (zh) 2020-08-18
CN108779884A (zh) 2018-11-09
ES2807025T3 (es) 2021-02-19
WO2017149104A1 (de) 2017-09-08
JP2019508643A (ja) 2019-03-28
JP6683826B2 (ja) 2020-04-22
KR20180115304A (ko) 2018-10-22
US20190093802A1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601B1 (ko)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
US11280435B2 (en) Profile clamp comprising a sealing element, sealing element for a profile clamp and conduit connection assembly comprising a profile clamp of this type
CN108700235B (zh) 型材夹具
US9151421B2 (en) Profiled clamp
US10890284B2 (en) Profiled clamp
US20110108680A1 (en) Electrical wire fixing member
EP3705736B1 (en) Fixation structure
JP6790033B2 (ja) シール部材を有するプロファイルクランプ
KR20200007933A (ko) 스프링 클램프용 위치선정 장치
KR100309543B1 (ko) 클램프
JP6785371B2 (ja) 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のヒンジアセンブリ
JP6742410B2 (ja) ホース・クランプ
JP2014241666A (ja) コルゲートクランプおよびコルゲートクランプ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
KR102507193B1 (ko) 클램프
CA2508444A1 (en) Clamp for fastening and connecting tubes
JP7316991B2 (ja) 固定構造
EP1939513B1 (en) Clamp for a flexible pipe
KR20200020706A (ko) 차량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차량 부품
JP2016035306A (ja) クリップ
JP2020161349A (ja) 端子固定構造
JP2007046651A (ja) ケーブルの抜止具及びケーブルの取付構造
KR20100032591A (ko) 볼조인트 하우징과 너클의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