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193B1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193B1
KR102507193B1 KR1020207032463A KR20207032463A KR102507193B1 KR 102507193 B1 KR102507193 B1 KR 102507193B1 KR 1020207032463 A KR1020207032463 A KR 1020207032463A KR 20207032463 A KR20207032463 A KR 20207032463A KR 102507193 B1 KR102507193 B1 KR 10250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ring element
ring
holding
clamp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046A (ko
Inventor
벤 코틀
마테우시 야로시
벨랄 아크레미
타탸나 룸바우스키에네
마크 카터
마뉴엘 보두앙
Original Assignee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4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0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 밴드(14) 및 링 형상의 링 요소(24)를 구비한 클램프(10)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클램프 밴드(14)는 클램핑 요소(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클램핑 헤드(16, 18)를 포함하며, 상기 링 요소(24)는 상기 클램프 밴드(14)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링 요소(24)는 상기 클램프 밴드(14)의 내측 상에서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딩 요소(28)를 구비하되, 상기 홀딩 요소는 고정부(32)에 의해 상기 링 요소(2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며,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클램프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링 요소를 갖는 클램프, 특히 프로파일 클램프에 관한 것이고, 또한 대응하는 링 요소 및 그러한 클램프를 갖는 라인 연결 배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클램프와 같은 클램프는 반경 방향 외향 플랜지가 장착된 두 파이프 단부의 유체 기밀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랜지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되고 프로파일 클램프는 클램프 가능한 일반적으로 두 부분 또는 여러 부분으로 된 클램프 밴드와 함께 플랜지에 배치된다. 연결부는 축방향 및 반경 방향 고정력이 플랜지에 작용한다는 점에서 프로파일 클램프의 클램핑 결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프로파일 클램프의 클램프 밴드는 일반적으로 플랜지와 표면 접촉하는 U 자형 또는 V 자형 단면을 갖는다.
원하는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링형 밀봉 영역을 갖는 링 요소가 종종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영역은 축방향 표면이 양쪽 플랜지와 접촉하며, 여기서 밀봉 작용은 플랜지의 브레이싱의 결과로 달성된다.
이상적인 밀봉을 위해서는 링 요소가 플랜지와 관련하여 정확하게 배향되어야 한다. 링 요소가 분리되어 클램프나 플랜지에 고정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클램프, 링 요소 및 연결할 파이프를 취급해야 하므로 클램프 설치가 어렵다.
클램프 상에 링 요소를 간단히 배치하기 위한 몇 가지 솔루션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DE 602 10 142 T2는 프로파일 클램프를 개시하며, 이 경우 링 요소는 변형 가능한 고정 클립에 의해 클램프 밴드에 확실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 고정 클립은 링 요소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링 요소를 클램프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DE 10 2011 116 768 A1은 원주에 분산되도록 배열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며 예압하에서 클램프 밴드의 반경 방향 내측에 지지되도록 배치된 스페이서를 링 요소에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링 요소는 프로파일 클램프 내에서 힘-체결 방식으로 클램프 밴드에 고정되며, 링 요소는 도구없이 삽입될 수 있다.
DE 10 2016 103 687 A1은 클램프 밴드와 링 모양의 링 요소가 있는 프로파일 클램프를 개시하며, 클램프 밴드는 클램핑 요소를 통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클램핑 헤드를 포함한다. 프로파일 클램프상에서 링 요소를 홀드하기 위해, 상기 홀드는 추가적으로 회전에 대해 고정되고, 링 요소는 클램핑 요소에 유지되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홀딩 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상의 링 요소의 위치 및 회전에 대한 링 요소의 고정이 더욱 개선되고 플랜지상의 클램프의 사전 조립이 가능한 경우의 클램프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재되어 있다. 구성은 청구항 2 내지 16의 청구사항이다. 또한, 청구항 1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용 링 요소를 제안한다. 청구항 18 및 1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사용되는 경우에 라인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클램프 밴드와 링형상의 링 요소가 있는 클램프, 특히 프로파일 클램프의 경우, 클램프 밴드는 클램핑 요소를 통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클램핑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링 요소는 클램프 밴드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링 요소가 클램프 밴드의 내부 측에서의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를 포함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며, 상기 고정 요소는 고정 부분을 통해 링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 요소가 클램프 밴드의 내측에 지지되거나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holding element)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결과적으로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홀딩 요소는 또한 축방향으로 고정 부분과 함께 연장되고 따라서 링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클램프 내에 배열된 링 요소의 경우, 상기 링 요소는 클램프와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편심된 방식으로 놓인다. 결과적으로, 상기 링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파일 클램프가 파이프 단부의 플랜지에 고정될 때 상기 링 요소가 눌러지는 클램프 밴드의 측면 중 하나에 인접하거나 접촉하여 배열된다. 따라서 클램프에 대한 링 요소의 축 위치는 이러한 작업 중에 사실상 변경되지 않는다. 이 경우, 고정 요소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포지티브 잠금 및/또는 힘 끼워 맞춤 방식으로 클램프 밴드와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요소는 특히 클램프의 클램핑 동안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 경우 홀딩 요소가 링 요소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프 밴드는 프로파일 밴드로 설계되고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경사진 두 개의 플랭크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를 클램핑하는 동안, 상기 플랭크는 파이프 단부의 플랭크와 맞닿아 반경 방향 힘의 도입뿐만 아니라 서로를 향한 파이프 단부의 축방향 브레이싱을 야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링 요소는 링 요소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가능하게는 링 요소와 관련하여 반경 방향 내향 또는 외측 오프셋 방식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탭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 탭은 전술한 홀딩 탭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탭은 바람직하게 링 요소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탭은 특히 링 요소를 회전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해 측면의 리세스에 결합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고정 탭의 공간적 범위는 매우 클 필요가 없다. 링 요소의 바깥 쪽과 플랜지의 바깥쪽에 그리고 이에 따라 플랜지의 바깥쪽에 광학적으로 약간 보이도록 배치된 고정 탭의 결과로, 사용자는 두 플랜지가 서로 연결된 후에도 링 요소가 바르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 특히 3 개의 고정 탭이 링 요소 상에 배열되고 원주 방향으로 링 요소 위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여러 개의 분산된 고정 탭을 사용하면 첫째로 회전 방지 작용을 개선하고 둘째로 링 요소의 편심을 방지 할 수 있다. 플랜지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고정 탭이 결합된 결과, 중심 맞춤이 수행된다. 중앙 방향은 플랜지가 연결된 후에도 대응하는 리세스에서 고정 탭을 육안으로 검사하여 나중에 검사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탭은 회전 방지 작업을 수행 할뿐만 아니라 플랜지 상에서 사전 조립 위치에 클램프로 링 요소를 사전 배치할 수 있다. 이것은 조립을 단순화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링 요소가 고정 탭을 통해 강제 끼워맞춤 방식으로 라인 단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탭은 인장 상태에서 파이프 단부에 대하여 지지되므로 플랜지에 클램프가 사전 배치된다. 플랜지에 클램프를 사전 배치하는 데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탭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편평한 구성일 수 있다. 이것은 모서리 및/ ]또는 모서리가 둥글게 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 탭은 제조하기 쉽고, 예를 들어 판금과 유사한 재료를 기반으로 제조될 수 있는 링 요소의 부분적으로 펀칭되고 구부러진 부분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링 요소는 클램프 밴드의 대응하는 개구를 통해 링 요소로부터 외향, 특히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설정 탭을 포함한다. 이 경우, 위치 설정 탭은 바람직하게는 링 요소에 대한 접선 베어링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데, 즉, 반경 방향 외측 및 원주 방향 모두로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위치 설정 탭은 특히 홀딩 탭과 동일한 거리만큼 링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 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설정 탭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및 소성 변형 가능하고 대응하는 개구를 통해 플러깅된 후 소성 변형으로 만곡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링 요소는 클램프 밴드에 홀딩될 수 있으며, 위치 설정 탭의 탄성으로 인해, 상기 링 요소는 클램프와 관련하여 일정 범위로 이동될 수 있어서, 클램프의 클램핑을 쉽게 허용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위치 설정 탭은 예를 들어 클램프 밴드의 클램핑 움직임을 보상하기 위해 위치 설정 탭에 특정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킨크(kink)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치 설정 탭은 클램프 밴드의 절반부를 서로 연결하고 일반적으로 클램핑 헤드와 직경 방향으로 맞은편에 배열되는 가요성 브리지의 부근에 배열된다. 이 경우, 브리지의 서로 다른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위치 설정 탭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안전한 홀딩 작용을 달성한다. 이 실시예는 예압된 고정 탭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이에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홀딩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된다. 스프링 부분을 갖는 홀딩 요소는 이 경우에 클램프 밴드에 맞물릴 수 있도록, 즉, 플랭크 사이에서 클램프 밴드의 내측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링 요소로부터의 반경 방향 간격은 이 경우 위치 지정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에서 링 요소가 클램프 밴드에 의해 클램프 밴드에 대해 대략 반경 방향 중심 위치에서 원하는 위치에 홀딩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스프링 부분을 갖는 홀딩 요소는 특히 탄성 재료를 포함하여, 클램핑되지 않은 클램프 밴드 및 클램핑된 클램프 밴드로 링 요소를 홀딩할 수 있다. 클램프 밴드를 클램핑하는 동안, 홀딩 요소는 결과적으로 탄성의 방식으로 반경 방향 안쪽으로 변형된다. 원주 방향으로 링 요소 위에 분포된 여러 홀딩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 클램프 밴드에 대해 링 요소의 중앙 장착을 유지할 수도 있다. 물론, 이는 반대로 힘 끼워 맞춤 방식으로 플랜지에 연결된 링 요소를 사용하여 클램프가 홀딩 요소에 의해 플랜지에 대해 상응하게 배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부의 자유 단부는 클램프 밴드의 내측 윤곽부에 상보적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클램프 밴드의 내부 측면에 대해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첫째, 비교적 큰 접촉 면적이 얻어지고, 둘째로, 고정 요소는 또한 축방향으로 클램프에 링 요소를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부는 클램프 밴드의 내측에 대해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돌출부(bulge)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돌출부는 링 요소와 클램프 밴드 사이의 축방향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클램프 밴드에 대한 정의된 접촉 영역을 얻을 수 있으므로, 유효 스프링-력을 매우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모든 스프링부에 동일한 상대적 원주 위치에서 동일한 돌출부가 제공되는 경우, 모든 홀딩 요소에는 대체로 동일한 스프링 특성이 제공되어 홀딩 요소의 힘 사이의 힘 평형의 결과로, 상기 힘은 서로 다른 반경 방향에서 작용하게 되고, 링 요소의 중심이 설정된다.
유리하게는, 홀딩 요소는 각각의 경우에 반대 원주 방향으로 체결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위치 설정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고정부는 스프링부 사이의 중앙에 배열된다. 반경 방향 스프링 작용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부분의 대응하는 설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중앙에 배치된 고정부의 결과로, 실질적으로 오직 반경 방향 힘만 각 위치 설정 스프링에서 실제 링 요소로 지속적으로 발산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홀딩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에 신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장부는 클램핑 헤드의 내측에 대해 지지된다. 특히, 이 경우 클램핑 헤드에 인접하게 배열된 2 개의 홀딩 요소는 이러한 신장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 클램핑 헤드 중 하나의 내측에 대해 지지된다. 상기 신장부는 클램핑 헤드상의 링 요소를 지지하고 따라서 링 요소와 클램프 밴드 사이에 회전 방지 작용을 제공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링 요소는 반경 방향 부분을 통해 링 요소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 방향 부분은 상기 링 요소의 외측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내측으로 구부러진 접촉부에 의해 인접된다. 상기 고정 후크는 링 요소를 파이프 단부의 플랜지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후크는 플랜지 위에서 맞물리고 가능하면 예압의 작용하에서 플랜지에 대해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링 요소와 클램프를 플랜지에 안정적으로 사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나란히 배열되고 클램핑 요소의 영역에 배열되는 2 개의 고정 후크를 포함한다. 클램핑 요소의 영역에서, 클램프 밴드는 일반적으로 차단되어 클램프의 클램핑을 방해하지 않는 고정 후크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링 요소는 직경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2 개 이상의 고정 후크를 포함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나의 고정 후크는 이 경우 클램핑 요소의 영역에 구성된 한 쌍의 고정 후크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링 요소는 플랜지와 관련하여 안정적으로 배치되며, 브리지 형태의 관절 연결은 일반적으로 클램핑 요소 반대쪽 클램프 밴드에 제공되며, 그 결과 고정 후크에 대하여 충분한 설치 공간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 후크는 링 요소와 클램프 밴드 사이의 회전 방지 보호 장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이 후크는 브리지를 통해 서로 연결된 클램프 밴드의 부분 사이에서 맞물리게 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링 요소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추형 방식으로 테이퍼지는 밀봉 영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밀봉 영역은 실질적으로 링 모양이며 플랜지의 내 측면에 맞닿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링 요소는 파이프 단부 사이의 연결의 견고성을 개선하기 위해 통합된 밀봉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고정 탭은 밀봉 영역의 반경방향 내측 에지로부터 진행되며, 홀딩 탭 및 가능하게는 고정 후크는 링 요소의 반경방향 외측 에지로부터 진행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프를 클램핑한 후 좋은 밀봉뿐만 아니라 플랜지에 클램프를 신뢰할 수 있는 사전 배치를 할 수 있다.
특히, 고정 탭에 대한 링 요소의 다른 측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홀딩 요소가 제공된다. 그 결과, 링 요소는 고정 탭을 통해 고정되도록 의도 된 플랜지에 직접 위치하며, 클램프는 플랜지에 대해 축방향으로 어느 정도 오프셋되어 클램핑 하는 동안에 축방향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밀봉 영역은 링 요소에 연결된 링형 밀봉 요소의 형태로 구성된다. 전술한 밀봉 영역 및 링 요소의 일체형 구성과 비교하여,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은 밀봉 요소가 예를 들어 링 요소에 대해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경우 링 요소는 파이프 단부의 플랜지에 밀봉 요소와 클램프를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서론에서 언급한 목적은 클램프용 링 요소에 의해서도 달성되며, 여기서 상기 링 요소는 클램프 밴드의 내측에 대한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딩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 요소는 고정부에 의해 링 요소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며,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홀딩 요소의 결과로, 상기 링 요소는 클램프의 클램프 밴드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여러 홀딩 요소가 제공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링 요소는 하나 이상의 고정 탭,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탭 및 또한 고정 후크를 포함 할 수 있다.
서두에서 언급된 목적은 또한 플랜지가 구성되는 라인 단부를 갖는 라인 연결 배열에 의해 달성되고, 전술한 구성의 클램프는 상기 플랜지 상에 배열된다. 클램프는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단부 또는 플랜지에 사전 조립될 수 있고, 두 번째 파이프 단부에 대한 연결이 확립되고 클램프가 클램핑될 때까지 아직 클램프되지 않은 상태 또는 간신히 클램핑된 상태로 거기에 홀딩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가 링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탭이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결과, 링 요소와 플랜지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링 요소의 회전 고정 방향을 보장하는 대응하는 원주방향 리세스 사이에 포지티브 잠금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플랜지와의 힘 체결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 탭을 미리 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세부 사항 및 장점은 청구항의 문구와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프상의 링 요소의 위치 및 회전에 대한 링 요소의 고정이 더욱 개선되고 플랜지상의 클램프의 사전 조립이 가능한 경우의 클램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프로파일 클램프 형태의 클램프가 있는 플랜지의 3 차원 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클램프의 링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클램프의 밀봉 영역이 있는 링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파이프 단부의 플랜지 상에 배열된 클램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프로파일 클램프의 형태로 구성되고 플랜지(12) 상에 미리 배치되고 개방된, 즉 브레이스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0)를 도시한다. 상기 클램프(10)는 2 개의 클램핑 헤드 또는 클램핑 조오(jaw: 16, 18)를 갖는 클램프 밴드(14)를 포함하며, 이는 클램핑 요소(20)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클램프 밴드(14)의 단부를 구부려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조오가 예를 들어 루프로 구부러진 클램프 밴드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클램핑 볼트가 루프에 도입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프 밴드의 프로파일은 평평한 내부 측면에서 반경 방향 안쪽으로 기울어진 두 개의 플랭크를 가진 실질적으로 V 자형 단면으로 표시된 형태에서 비교적 크게 벗어날 수 있다.
클램프 밴드(14)는 클램핑 헤드(16 및 18)의 반대편에 있는 브리지 요소(2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2 개의 프로파일 절반부(14a 및 14b)로 세분된다. 이러한 구조는 브레이싱 동안 2 개의 절반부(14a 및 14b)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는 조인트 역할을 하는 브리지 요소(22)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브리지 요소는 예를 들어 클램프 밴드의 측면 영역에서 컷 아웃을 통해 클램프 밴드(14)와 함께 하나의 부재로 생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클램프 밴드를 세 부분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링형상의 디자인의 링 요소(24)가 클램프(10) 내에 배열된다. 상기 링 요소(24)는 홀딩 요소(28), 고정 탭(26), 위치 설정 탭(30) 및 고정 후크(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탭(26)은 도 2를 참고하여 아래에서 더 논의 될 것이다. 상기 홀딩 요소(28)는 링 요소(24)의 외주에 인접하는 고정 부(32)를 포함한다. 고정부(32)는 링 요소(24)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두 개의 손가락 모양 연장부(34)는 대칭되는 방식으로 상기 상기 고정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는 반경 방향 외측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개방된 단면을 가지며, 곡선 형태이며 스프링 부분(29)을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세 개의 홀딩 요소(28)가 링 요소(24)에 위치되고 상기 클램프 밴드(14)의 내측 형상부(36)에 맞물려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링 요소(24) 및 클램프 밴드(14)는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향된다. 클램프 밴드(14)의 브레이싱 동안, 스프링부(29)를 갖는 홀딩 요소(28)는 탄 성적으로 압축 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의 대칭적인 상대 위치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 설정 탭(30)은 마찬가지로 링 요소(24) 상에 배열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위치 설정 탭의 두 단부는 도 1에 도시되는데, 이는 클램프 밴드(14)의 개구(38)를 통과하고 클램프 밴드의 외측에서 구부러져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링 요소(24)와 클램프(10)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연결은 클램프(10)의 취급성을 상당히 개선시킨다.
선택적으로, 링 요소(24)의 내주에 배열된 반경 방향 내측 돌출 핑거부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핑거부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특히 예압 작용하에서 플랜지(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플랜지(12)상에서 링 요소(24)의 힘 끼워맞춤 고정이 추가로 생성된다. 힘 끼워맞춤 홀딩 상태 또한 원한다면 고정 탭(26)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2는 링 요소(24)의 다소 자유로운 예시를 도시한다. 여기서, 링 요소(24)는 판금형 공작물에 기초하여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홀딩 요소(28), 고정 탭(26) 및 위치 설정 탭(30)은 링 요소(24)와 일체로 구성되고 펀칭 및 성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요소(28)는 고정부(32)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경우에 상기 단면에서 S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2 개의 돌출부(44)가 형성되며, 이는 관련된 고정부(32)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링 요소(24)가 삽입되거나 클램프 밴드(14)가 링 요소(24) 상에 배치될 때, 결과적으로 돌출부(44)와 클램프 밴드(14)의 내측 윤곽부(36) 사이에 생성되는 소정의 표면 접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소정의 표면 접촉은 클램프 밴드(14)상에서 모든 위치 설정 스프링(28)의 거의 동일한 스프링 동작을 허용하고, 클램프(10)의 개방 및 폐쇄 상태의 링 요소(34)의 중심 설정을 유도하게 된다.
고정 탭(26)은 반경 방향 내향으로 오프셋되고 반경 방향으로 링 요소(24)의 외주와 내주 사이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비교적 작은 직사각형 고정 탭(26)이 링 요소(24)로부터 축방향으로 배타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파이프 단부의 플랜지에서, 그 위치가 고정 탭(26)의 위치와 상관되는 원주 방향 리세스(48)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링 요소(24)는 플랜지(12) 상에 배치되어 고정 탭(26)이 리세스(48) 내부로 도달하게 되고 따라서 회전 방지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위치 설정 탭(30)은 링 요소(24)로부터 홀딩 요소(28)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도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위치 설정 탭(30)은 클램프 밴드914)의 개구(38)를 통해 돌출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비교적 멀리 돌출한다. 위치 설정 탭(30)이 개구(38)를 통해 플러깅된 후에, 상기 위치 설정 탭의 단부 부분(46)이 만곡되어, 클램프 밴드(14)에 대한 확실한 잠금 연결이 형성된다. 각진 형태 때문에, 위치 설정 탭(30)이 링 요소(24)의 내측 윤곽부(36)와 외부 원주 사이의 간격을 보상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은 탄성 변형에 의해 클램프(10)의 브레이싱에 따라 가변적이다.
그 다음, 도 3은 링 요소(24)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뿔형 테이퍼링 연장부를 형성하는 통합된 밀봉 영역(25)을 갖는 링 요소(24)를 도시한다. 이 경우, 밀봉 영역(25)의 경사는 상기 플랜지의 내측에서 경사부에 거의 대응하여, 상기 밀봉 영역은 상기 플랜지에 대한 영역 접합부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 도면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 탭(26)은 밀봉 영역(25)의 축방향 에지로부터 진행되는 반면, 홀딩 요소(28) 및 고정 후크(50)는 링 요소(24)의 반대 축방향 에지에 배열되고 반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그 결과, 상기 고정 탭(26)은 플랜지 상에서 밀봉 영역(25)과 함께 링 요소(24)를 사전 배치하는 반면, 홀딩 요소(28) 및 고정 후크(50)를 통해 상기 클램프(10)는 관련하여 사전 배치되고, 클램프(10)가 클램핑된 후에 가정하는 위치에 이미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클램핑 헤드(18)에 인접하게 배열된 홀딩 요소(28)에서, 클램핑 헤드를 향하는 스프링부(29)에는 각각의 경우 연장부(60)가 구비되어, 각각의 클램핑 헤드의 내부에서 접하게 되어 회전 방지 작용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 연장부(60)는 실질적으로 2 개의 직선 부분을 포함하고, 그 중 하나는 스프링부에 인접하고 다른 부분으로 전이되며, 이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단부를 구비하고 궁극적으로 클램핑 헤드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60)는 링 요소(24)와 클램프 밴드(14) 사이에 회전 방지 작용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전술 한 실시예 중 하나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청구 범위,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구조적 세부 사항, 공간 배열 및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모든 특징 및 이점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다양한 조합으로 본 발명에 필수적일 수 있다.
10: 클램프
12: 플랜지
14: 클램프 밴드
14a, 14b: 클램프 밴드 절반부
16: 클램핑 헤드
18: 클램핑 헤드
20: 클램핑 요소
22; 브리지 요소
24: 링 요소
25: 밀봉 영역
26: 고정 탭
28: 홀딩 요소
29: 스프링부
30: 위치 설정 탭
32: 고정부
34: 핑거부 형상 확대부
36: 내측 윤곽부
38: 개구
44: 돌출부
46: 단부
48: 리세스
50: 고정 후크
52: 반경방향부
54: 접촉부
60: 연장부

Claims (19)

  1. 클램프 밴드(14) 및 링 형상의 링 요소(24)를 구비한 클램프(10)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밴드(14)는 클램핑 요소(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클램핑 헤드(16, 18)를 포함하며, 상기 링 요소(24)는 상기 클램프 밴드(14)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링 요소(24)는 상기 클램프 밴드(14)의 내측 상에서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딩 요소(28)를 구비하되,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홀딩 요소(28)는 고정부(32)에 의해 상기 링 요소(2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홀딩 요소(2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29)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 요소(28)는 각각의 경우에 반대편 원주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32)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스프링부(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요소(24)는 상기 링 요소(24)로부터 축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링 요소에 대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프셋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탭(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 탭(26)은 평평하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요소는 상기 클램프 밴드(14)에서 대응하는 개구를 통하여 상기 링 요소(2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설정 탭(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29)의 자유 단부는 상기 클램프 밴드의 내측 윤곽부(36)에 상보적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밴드의 내측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클램프 밴드의 내측에 대하여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향된 돌출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29) 상에서 연장부(60)를 구비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클램핑 헤드(16, 18)의 내측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요소(24)는 반경방향부(52)를 통해 상기 링 요소(24)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후크(50)를 포함하되, 상기 반경방향부(52)는 상기 링 요소(24)의 외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내측으로 만곡된 접촉부(54)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요소(24)는 상기 클램핑 요소(20)의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에 대하여 나란히 배치된 2개의 고정 후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요소(24)는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후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요소(24)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원뿔 형상으로 테이퍼진 밀봉 영역(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요소(24)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후크(50)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 탭(26)은 상기 밀봉 영역(25)의 반경방향 내측 에지로부터 진행되며, 적어도 하나의 홀딩 요소(28)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후크(50)는 상기 링 요소(24)의 반경방향 외측 에지로부터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요소(28)는 상기 링 요소(24)의 다른 측 상에서 상기 고정 탭(2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25)은 상기 링 요소(24)에 연결되는 링 형상의 밀봉 요소의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10).
  1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제 7 항, 제 9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램프(10)를 위한 링 요소에 있어서,
    상기 링 요소(24)는 상기 클램프 밴드(14)의 내측 상에서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딩 요소(28)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 요소는 고정부(32)를 통하여 상기 링 요소(2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요소.
  18. 플랜지(12)가 구성된 라인 단부를 구비한 라인 연결 배열체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상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클램프(1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연결 배열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2)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탭(26)이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리세스(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연결 배열체.
KR1020207032463A 2018-04-20 2019-03-21 클램프 KR102507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09581.3 2018-04-20
DE102018109581.3A DE102018109581A1 (de) 2018-04-20 2018-04-20 Schelle
PCT/EP2019/057078 WO2019201543A1 (de) 2018-04-20 2019-03-21 Sche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046A KR20200142046A (ko) 2020-12-21
KR102507193B1 true KR102507193B1 (ko) 2023-03-07

Family

ID=6595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463A KR102507193B1 (ko) 2018-04-20 2019-03-21 클램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46938B2 (ko)
EP (1) EP3781855B1 (ko)
JP (1) JP7113088B2 (ko)
KR (1) KR102507193B1 (ko)
CN (1) CN111936780B (ko)
DE (1) DE102018109581A1 (ko)
WO (1) WO2019201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37419T3 (es) * 2020-04-03 2023-03-28 Caillau Sistema de ajuste para la conexión de tubos, que comprende una abrazadera y una arandela que lleva patillas de sopor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5647A3 (fr) 2007-12-19 2009-06-26 Renault Sas Dispositif de fixation etanche d'un tuyau
KR101539251B1 (ko) 2011-10-22 2015-07-24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밀봉 부재를 구비한 프로파일된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29181A1 (de) * 1981-07-24 1983-02-03 Leybold-Heraeus GmbH, 5000 Köln Zentrierring fuer metallgedichtete flanschverbindungen
FR2833065B1 (fr) 2001-12-05 2004-09-03 Caillau Ets Syste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etanche de deux tubes ayant des surfaces d'appui
FR2963404B1 (fr) 2010-07-27 2014-02-07 Caillau Ets Syste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et le pre-montage d'un premier et d'un deuxieme tube
FI20115614L (fi) * 2011-06-17 2012-12-18 Waertsilae Finland Oy Kiinnitinelementti ja kiinnitinasennelma polttomoottorin pakoputkijärjestelmää varten ja polttomoottorin pakoputki
CN203052033U (zh) * 2013-01-05 2013-07-10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发动机设计研究所 一种带有碟形金属环密封的连接卡箍法兰结构
DE102014002659A1 (de) * 2014-02-25 2015-08-27 Daimler Ag Anordnung einer Schelle an einem Rohrflansch
DE102015109207B4 (de) * 2015-06-10 2021-11-18 Norma Germany Gmbh Schelle
DE102016103687A1 (de) 2016-03-01 2017-09-07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mit Dichtelement, Dichtelement für eine Profilschelle und Leitungsverbindungsanordnung mit einer derartigen Profilschelle
FR3057047B1 (fr) 2016-10-04 2019-05-10 Etablissements Caillau Systeme de serrage a position angulaire controlee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tub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5647A3 (fr) 2007-12-19 2009-06-26 Renault Sas Dispositif de fixation etanche d'un tuyau
KR101539251B1 (ko) 2011-10-22 2015-07-24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밀봉 부재를 구비한 프로파일된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1855B1 (de) 2023-08-02
KR20200142046A (ko) 2020-12-21
CN111936780A (zh) 2020-11-13
DE102018109581A1 (de) 2019-10-24
CN111936780B (zh) 2022-06-10
US11746938B2 (en) 2023-09-05
EP3781855A1 (de) 2021-02-24
US20210239245A1 (en) 2021-08-05
WO2019201543A1 (de) 2019-10-24
JP7113088B2 (ja) 2022-08-04
JP2021519897A (ja)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914B1 (ko) 사전 위치 설정부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KR102451029B1 (ko) 2개의 튜브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조절식 각도 위치결정부를 갖춘 클램핑 시스템
KR102212313B1 (ko) 밀봉 요소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RU2721346C2 (ru) Зажимн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хомут и отдельные зажимы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прикрепления
KR102169601B1 (ko)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
KR20180120724A (ko) 시일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클램프, 프로파일 클램프를 위한 시일 요소, 및 이 유형의 프로파일 클램프를 포함하는 도관 연결 조립체
US9151421B2 (en) Profiled clamp
KR20130095743A (ko) 제1 튜브 및 제2 튜브를 함께 연결하고 사전-끼워맞추기 위한 클램핑 시스템
JP2008095960A (ja) ホースクランプ
JP5580446B2 (ja) 円錐形状のフランジ接続部のための接続構成および円錐形状のフランジ接続部
CN109154412B (zh) 软管夹
HUE031124T2 (en) Profile clamp with sealing element
JP2020520440A (ja) ばねクランプのための位置決めデバイス
KR20170139660A (ko) 클램프 밴드 및 사전 위치 선정기를 가진 클램프
KR20190087612A (ko) 프로파일된 클램프
KR102507193B1 (ko) 클램프
US10539260B2 (en) Hose clamp
KR20220066977A (ko) 래칭 탭을 구비한 프로파일 클램프
KR20180125522A (ko) 호스 클램프
US20160303940A1 (en) Flange assembly, chassis actu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lange arrangment
JP2021181827A (ja) カラーと事前取付クリップとを備えるクランプシステム
KR102546345B1 (ko) 프로파일 클램프
RU2780262C2 (ru) Система зажима со сгибаемыми ушками для взаи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