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333B1 - 도어힌지 기구 - Google Patents

도어힌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333B1
KR100897333B1 KR1020080033036A KR20080033036A KR100897333B1 KR 100897333 B1 KR100897333 B1 KR 100897333B1 KR 1020080033036 A KR1020080033036 A KR 1020080033036A KR 20080033036 A KR20080033036 A KR 20080033036A KR 100897333 B1 KR100897333 B1 KR 100897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de plate
hinge
hinge pin
body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2Dowels;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33Form or shape having protru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도어의 힌지부에 고정되는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와 차체의 힌지부에 고정되는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를 서로 힌지 연결하는 도어힌지 기구이다. 이 도어힌지의 힌지핀(100)은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삽입단부(101)에 복수의 각도조절홈(110)이 형성되고, 고정부재(600)는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핀(100)에 결합되며, 와셔부(300)는 일측에 스토퍼(3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홈(110)에 끼워지는 각도조절돌기(310)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핀(100)의 삽입단부(101)에 고정된다.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 힌지핀, 스토퍼

Description

도어힌지 기구{Apparatus for door hinge}
본 발명은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와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를 서로 힌지 연결하는 도어힌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는 동시에, 승객들이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때 쉽게 개폐되는 도어 힌지 구조를 갖는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도어 힌지 구조는 제1체결공(11)을 마련하여 차체의 힌지부에 고정되는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10)와, 제2체결공(21)을 마련하여 도어의 힌지부에 고정되는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20)와, 부쉬(31) 및 와셔(32)를 개재하여 제1체결공(11)에 삽입 후 리벳팅되는 힌지핀(30), 및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10)와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20)가 서로 힌지 연결되도록 제2체결공(21)에 삽입되어 힌지핀(30)에 고정되는 고정볼트(40)로 구성된다.
그리고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10)에는 걸림턱부(33)가 마련된다. 이 걸림턱부(33)는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2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역할을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한다.
그런데 종래 도어 힌지 구조의 경우 차량의 디자인 및 제원에 따라 바디 사 이드 플레이트의 걸림턱부 고정 위치가 다르므로, 서로 다른 개방각도를 갖는 타 차종 간에는 도어힌지의 공용화가 불가능하다. 이렇게 타 차종에는 서로 다른 도어힌지가 적용되므로, 각각의 금형 및 단품 제조를 위해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고 각각의 단품 제조를 위해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종에 무관하게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도어힌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의 힌지부에 고정되는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와 차체의 힌지부에 고정되는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를 서로 힌지 연결하는 도어힌지 기구이다. 이 도어힌지 기구는 힌지핀과, 고정부재, 및 와셔부를 포함한다. 힌지핀은 상기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삽입단부에 복수의 각도조절홈이 형성된다. 고정부재는 상기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핀에 결합된다. 와셔부는 일측에 스토퍼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홈에 끼워지는 각도조절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핀의 삽입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각도조절홈은 상기 삽입단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플라인 가공홈이고, 상기 각도조절돌기는 상기 스플라인 가공홈에 끼워지는 스플라인 가공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절곡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시 상기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에 걸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방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도어힌지를 통해, 도어힌지를 여러 차종에 적용하여 공용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 스토퍼 역할을 하던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의 걸림턱부가 불필요하므로, 재료중량이 감소하고 후처리 공정이 불필요하다는 이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 기구는,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와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핀에 스토퍼를 갖는 와셔부가 조립되어 도어 개방각도의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힌지 기구는 각도조절홈(110)이 형성되어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핀(100)과,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에 삽입되어 힌지핀(1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600), 및 스토퍼(320) 및 각도조절돌기(310)가 마련되어 힌지핀(100)에 고정되는 와셔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는 힌지핀(100)이 관통되는 제1체결공(401)이 형성되어 차체의 힌지부에 장착되고,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는 고정부재(600)가 삽입되는 제2체결공(501)이 형성되어 도어의 힌지부에 장착된다. 이들 제1체결공(401) 및 제2체결공(501)은 서로 연통되게 수직으로 배치되고, 바디 사이드 플레 이트(500)와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는 힌지핀(100)을 매개로 서로 힌지 연결되도록 한다.
힌지핀(100)은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와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 사이를 서로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으로, 해당 일단부가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의 제1체결공(401)에 삽입되고, 해당 타단부가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의 제2체결공(501)에 관통된다.
힌지핀(100)의 일단부는 결합공(102)을 통해 고정부재(600)와 결합된다. 즉, 고정부재(600)는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의 제1체결공(401)에 삽입되어 힌지핀(100)의 일단부와 결합된다. 이때, 고정부재(600)는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의 회동시 이에 연동되어 힌지핀(100)을 회동하도록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부재(600)의 하측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경사면(210)은 제1체결공(401)에 압착되는 세레이션(serration)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핀(100)의 타단부 즉 힌지핀(100)의 삽입단부(101)는 제2체결공(501)에 관통되어 그 끝단이 리벳팅(120) 가공된다. 이때, 힌지핀(100)의 삽입단부(101)와 제2체결공(501) 사이에는 부쉬(700)가 마련된다. 이 부쉬(700)는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의 회동시 힌지핀(100)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힌지핀(100)의 삽입단부(101)에는 복수의 각도조절홈(110)이 형성된다. 이 각도조절홈(110)은 와셔부(300) 각도조절돌기(310)의 끼워짐이 가능한 형상으로, 힌지핀(100)에 대한 와셔부(300)의 조립시 와셔부(300)의 스토퍼(320) 위치 를 결정한다. 즉, 힌지핀(100)의 삽입단부(101) 외면에는 복수의 각도조절홈(110)이 원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와셔부(300)의 내면에는 각도조절홈(110)에 끼워짐이 가능한 각도조절돌기(310)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도조절돌기(310)를 복수의 각도조절홈(110) 중에서 어느 위치에 조립하는가에 따라, 힌지핀(100)에 대한 와셔부(300)의 스토퍼(320)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스토퍼(320)는 와셔부(300)의 일측에 돌출되어 'ㄴ'자 형태로 절곡되며, 힌지핀(100)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가능한 구조이다. 이 스토퍼(320)는 도어의 완전 개방시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에 걸림되어 도어의 개방각도를 제한한다.
이로써, 이 스토퍼(320)가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와 어느 정도 가까운 지점에서 힌지핀(100)에 조립되는가에 따라 도어의 개방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종래 스토퍼 역할을 하던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의 걸림턱부가 불필요하므로, 재료중량이 감소하고 후처리 공정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조절홈(110)은 힌지핀(100)의 삽입단부(101)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플라인(Spline) 가공홈 형태이고, 각도조절돌기(310)는 이 스플라인(Spline) 가공홈에 끼워지는 스플라인 가공돌기 형태이지만, 이 스플라인 형상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홈과 이에 끼워지는 돌기 형태를 통해 힌지핀(100)에 결합되는 와셔부(300)의 조립 위치가 조절되는 형태는 모두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의 제1체결공(401)에 힌지핀(100)을 삽입하되, 힌지핀(100)의 삽입단부(101)와 제1체결공(401) 사이에는 부쉬(700)를 개재하 고, 각도조절홈(110)에 각도조절돌기(310)가 끼워지도록 힌지핀(100)의 삽입단부(101)에 와셔부(300)를 결합한다. 이때, 차량의 디자인 및 제원에 따라 도어의 개방각도가 상이한 점을 고려하여, 힌지핀(100)에 대한 와셔부(300)의 스토퍼(320) 조립 위치를 결정한다.
이후, 제1체결공(401)에 삽입된 힌지핀(100)의 삽입단부(101)를 리벳팅(120)하고,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의 제2체결공(501)에 삽입되는 고정부재(600)를 힌지핀(100)의 결합공(102)에 볼팅 체결함으로써,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와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를 서로 힌지 연결한다.
이와 같이,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와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가 서로 힌지 연결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회전되는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에 의해 고정부재(600), 힌지핀(100), 및 와셔부(300)가 연동되어 같이 회전되고, 도어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와셔부(300)의 스토퍼(320)가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에 걸림되어 도어의 개방각도기 제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힌지 기구의 경우 차종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개방각도로 도어힌지를 조립함으로써, 도어힌지를 여러 차종에 공용화하여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서로 다른 도어의 개방각도를 갖는 타 차종 간에는 도어힌지의 공용화가 불가능하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 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힌지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 기구가 장착된 도어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 기구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힌지핀 110 :각도조절홈
300 :와셔부 310 :각도조절돌기
320 :스토퍼 400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
500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

Claims (3)

  1. 도어의 힌지부에 고정되는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와 차체의 힌지부에 고정되는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를 서로 힌지 연결하는 도어힌지 기구로서,
    상기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삽입단부(101)에 복수의 각도조절홈(110)이 형성된 힌지핀(100);
    상기 도어 사이드 플레이트(400)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핀(1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600); 및
    일측에 스토퍼(3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홈(110)에 끼워지는 각도조절돌기(310)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핀(100)의 삽입단부(101)에 고정되는 와셔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홈(110)은 상기 삽입단부(10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플라인 가공홈이고, 상기 각도조절돌기(310)는 상기 스플라인 가공홈에 끼워지는 스플라인 가공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20)는 절곡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시 상기 바디 사이드 플레이트(500)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기구.
KR1020080033036A 2008-04-10 2008-04-10 도어힌지 기구 KR100897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036A KR100897333B1 (ko) 2008-04-10 2008-04-10 도어힌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036A KR100897333B1 (ko) 2008-04-10 2008-04-10 도어힌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333B1 true KR100897333B1 (ko) 2009-05-15

Family

ID=4086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036A KR100897333B1 (ko) 2008-04-10 2008-04-10 도어힌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3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729B1 (ko) 2011-05-03 2013-07-03 평화정공 주식회사 힌지부재 분리형 도어 힌지
KR101283938B1 (ko) 2011-05-03 2013-07-16 평화정공 주식회사 힌지부재 분리형 도어 힌지
KR101283937B1 (ko) 2011-05-03 2013-07-16 평화정공 주식회사 힌지부재 분리형 도어 힌지
KR20160007053A (ko) * 2014-07-10 2016-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열림각 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2017A (en) 1989-02-07 1992-03-03 Ohi Seisakusho Co., Ltd. Automotive door hinge assembly, bush employed therein and method for installing bush in door hinge assembly
JPH09137662A (ja) * 1995-09-13 1997-05-27 Sugiura:Kk 蝶番および蝶番装置
EP0857843A1 (en) 1997-01-31 1998-08-12 UPF (UK) Limited A vehicle door hinge
KR100219946B1 (ko) 1997-08-26 1999-09-01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 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2017A (en) 1989-02-07 1992-03-03 Ohi Seisakusho Co., Ltd. Automotive door hinge assembly, bush employed therein and method for installing bush in door hinge assembly
JPH09137662A (ja) * 1995-09-13 1997-05-27 Sugiura:Kk 蝶番および蝶番装置
EP0857843A1 (en) 1997-01-31 1998-08-12 UPF (UK) Limited A vehicle door hinge
KR100219946B1 (ko) 1997-08-26 1999-09-01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 힌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729B1 (ko) 2011-05-03 2013-07-03 평화정공 주식회사 힌지부재 분리형 도어 힌지
KR101283938B1 (ko) 2011-05-03 2013-07-16 평화정공 주식회사 힌지부재 분리형 도어 힌지
KR101283937B1 (ko) 2011-05-03 2013-07-16 평화정공 주식회사 힌지부재 분리형 도어 힌지
KR20160007053A (ko) * 2014-07-10 2016-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열림각 조절장치
KR102142658B1 (ko) * 2014-07-10 2020-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열림각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70346A1 (en) Automotive latch including bearing to facilitate release effort
US7487884B2 (en) Open-type tray having a door configured to be received within an inner side thereof
US9885206B2 (en) Sliding door self-closing device
KR100897333B1 (ko) 도어힌지 기구
US20060150367A1 (en) Door checker for automobile
US20090255185A1 (en) Device for the transfer of torque
JP3531138B2 (ja) 窓障子用ステ−
KR20180033891A (ko) 부품의 간소화로 조립과 생산성을 향상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20200037923A (ko) 화물차
KR100383948B1 (ko) 백도어의 힌지구조
JP4814049B2 (ja) ドア開閉機構
CN208534967U (zh) 可允许组装公差的双轴铰链
KR200391505Y1 (ko) 도어용 경첩
US7213302B2 (en) Door retention device used in process of manufacturing automobile
JP5474650B2 (ja) ヒンジ用カバー
KR100972366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JP2009257034A (ja) 隠し丁番
KR200388499Y1 (ko)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US20150233158A1 (en) Motor vehicle door latch device
KR102224806B1 (ko) 오버슬램범퍼 어셈블리
KR0125711Y1 (ko)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KR100448060B1 (ko) 자동차용 힌지장치
JP7368151B2 (ja) フラップ開閉機構
KR100569954B1 (ko) 차량 도어 힌지의 개방 정도 조정 구조
KR20010002074U (ko) 자동차의 후방문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