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711Y1 -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711Y1
KR0125711Y1 KR2019950032669U KR19950032669U KR0125711Y1 KR 0125711 Y1 KR0125711 Y1 KR 0125711Y1 KR 2019950032669 U KR2019950032669 U KR 2019950032669U KR 19950032669 U KR19950032669 U KR 19950032669U KR 0125711 Y1 KR0125711 Y1 KR 0125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hecker
opening angle
hing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2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892U (ko
Inventor
송대섭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32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711Y1/ko
Publication of KR9700238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8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7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57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개도를 제한하는 도어 체커가 일체로 구비된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프런트 패널에 고정되는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와, 차체의 필러에 고정되는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와, 상기 힌지 브래키트의 힌지공에 삽입, 설치되어 양측 힌지 브래키트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상기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에 일체로 돌설되는 것으로써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의 걸림공에 걸려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에 구성되어 도어의 개방시 그의 열림각을 2단으로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어 열림각 2단 제어수단은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의 수평부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된 고정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고정공으로 돌출되는 요철부를 갖는 스프링 패널로 구성되어 이 스프링 패널의 요철부가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에 형성된 록킹홀에 걸려 도어의 열림각을 2단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체처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는 하나의 구성 부품으로 도어 힌지 기능과 도어 체커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 부품수의 감소로 인한 조립 공수 절감 및 비용 절감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에 있어서의 도어 힌지 치 체커 설치 위치를 보인 도어 개방 상태의 일부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 분리형 도어 힌지 및 체커의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써,
제2도는 도어 힌지의 사시도 이고,
제3도는 도어 체커의 사시도이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이고,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의 조립 상태 정면도 이며,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 22 :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
21a, 22a :힌지공 21b : 고정공
22b : 록킹홀 22-1 :걸림공
23 : 힌지핀 24 : 스토퍼
25 : 스프링 패널 25a : 요철부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도를 제한하는 도어 체커가 일체로 구비된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는 승용차나 트럭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프레스로 가공한 얇은 판의 도어 패널이 안쪽과 바깥부분으로 되어 있어 이것을 상자 모양으로 점용접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도어는 도어 힌지 (door hinge) 와 도어 체커(door check)가 중심 차체의 필라(pillar) 부분과 도어 중간에 리벳으로 연결되어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체커는 도어가 어느 한도 이상 열리지 않도록 그 개도를 일정 범위로 제한하는 것으로, 통상 상,하부 힌지의 중간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도어의 설치 예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 및 1'는 상,하부 도어 힌지, 2는 도어 체커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는 상,하부 도어 힌지(1)(1')에 의해 차체(4)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 힌지(1)(1')의 중간부에는 도어의 개도를 제한하는 도어 체커(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도어 힌지(1)(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5)와,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6)와, 상기 힌지 브래키트(5)(6)의 힌지공에 삽입, 설치되는 힌지핀(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체커(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커 바(8)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체커 바(8)의 일측은 차체(4)의 브래키트(9)에 힌지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도어(3)에 부착된 브래키트(10)의 장공(10a)에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커 바(8)의 단부에는 스토퍼(8a)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요철부(8b)가 형성되어 도어의 열림각을 2단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도어(3)는 상,하부 도어 힌지(1)(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며, 또 개방시 도어 체커(2)에 의해 그 열림각도가 일정 범위로 제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 설치 구조는, 2개의 상,하부 도어 힌지(1)(1')와 도어 체커(2)의 별개 부품으로 장착되는 구조로써, 구성 부품수가 많아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비용의 상승을 가져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힌지와 체커를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함으로써 구성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 공수를 절감시킬 수 있는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는, 도어의 프런트 패널에 고정되는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와 차체의 필러에 고정되는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와, 상기 힌지 브래키트의 힌지공에 삽입, 설치되어 양측 힌지 브래키트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상기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에 일체로 돌설되는 것으로써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의 걸림공에 걸려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에 구성되어 도어의 개방시 그의 열림각을 2단으로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열림각 2단 제어수단은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의 수평부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된 고정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고정공으로 돌출되는 요철부를 갖는 스프링 패널로 구성되어 이 스프링 패널의 요철부가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에 형성된 록킹홀에 걸려 도어의 열림각을 2단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는 하나의 구성 부품으로 도어 힌지 기능과 도어 체커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 부품수의 감소로 인한 조립 공수 절감 및 비용 절감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 인너의 공간을 확대할 수 있고, 차체 및 도어의 체커 고정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로 인한 강성 증대의 효과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이고, 제5도는 조립 상태 정면도 이며,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21은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 22는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 23은 힌지핀, 24는 스토퍼, 25는 스프링 패널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 장치는 상기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21)와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22)가 그의 힌지공(21a)(22a)을 관통하도록 삽입, 설치된 힌지핀(23)에 의해 서로 상대 운동, 즉 회동 운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21)는 도어의 프런트 패널에 셋트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22)는 차체의 필러에 상기한 바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부착된다. 이와 같은 양측 힌지 브래키트(21)(22)의 고정 방법은 종래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21)의 수직부(21-1) 일측에는 소정 형상의 스토퍼(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24)는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22)의 걸림공(22-1)에 걸려 도어의 열림각을 제어하는 역할, 즉 종래 체커의 스토퍼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도어의 열림각을 2단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힌지 브래키트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21)에 소정 형상, 도시예에서는 'ㄷ'자 형상의 스프링 패널(25)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 패널(25)의 작용에 의해 도어의 열림각을 2단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프링 패널(25)은 그의 수평부에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21)의 수평부(21-2)에 대향되게 형성된 고정공(21b)에 삽입되는 요철부(25a)가 형성되어 고정되어 있고, 또한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22)에는 상기 고정공(21b)으로 돌출된 요철부(25a)를 걸어 구속하기 위한 록킹홀(22)이 형성되어, 도어의 개방시 스프링 패널(25)의 요철부(25a)가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22)의 록킹홀(22b)에 끼워짐으로써 열림각을 2단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힌지 기능과 체커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의 작용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의 설치는 통상의 방법, 즉 도어의 프론트 패널에 고정된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21)와, 차체의 필러에 고정된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22)의 힌지공을 맞춘 후, 이 힌지공에 힌지핀(23)를 끼우는 통상의 방법대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는 힌지핀(23)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열리게 되는데, 이 때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21)가 회동함에 따라 그의 스토퍼(24)가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22)의 걸림공(22-1)에 걸려 도어의 열림각을 1차(즉,완개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어의 2단 열림각 제어는 도어의 개방시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21)에 설치된 스프링 패널(25)의 요철부(25a)가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22)에 형성된 록킹홀(22b)에 끼워짐으로써 도어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의 힌지 작용과 동시에 체커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는 하나의 구성 부품으로 도어 힌지 기능과 도어 체커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 부품수의 감소로 인한 조립 공수 절감 및 비용 절감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 인너의 공간을 확대할 수 있고, 차체 및 도어의 체커 고정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로 인한 강성 증대의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도어의 프런트 패널에 고정되는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와, 차체의 필러에 고정되는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와, 상기 힌지 브래키트의 힌지공에 삽입, 설치되어 양측 힌지 브래키트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상기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에 일체로 돌설되는 것으로써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의 걸림공에 걸려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에 구성되어 도어의 개방시 그의 열림각을 2단으로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각 2단 제어수단은 도어측 힌지 브래키트의 수평부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된 고정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고정공으로 돌출되는 요철부를 갖는 스프링 패널로 구성되어 이 스프링 패널의 요철부가 차체측 힌지 브래키트에 형성된 록킹홀에 걸려 도어의 열림각을 2단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KR2019950032669U 1995-11-08 1995-11-08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KR0125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669U KR0125711Y1 (ko) 1995-11-08 1995-11-08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669U KR0125711Y1 (ko) 1995-11-08 1995-11-08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892U KR970023892U (ko) 1997-06-20
KR0125711Y1 true KR0125711Y1 (ko) 1998-10-15

Family

ID=1942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2669U KR0125711Y1 (ko) 1995-11-08 1995-11-08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7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739B1 (ko) * 2004-12-30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469B1 (ko) * 2020-08-07 2020-10-23 (주)탑플렉스 스토퍼 기능이 있는 특장차용 도어 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739B1 (ko) * 2004-12-30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892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3924B2 (en) Door support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KR200206920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구조
EP2940236B1 (en) Damper, striker assembly and vehicle
KR0125711Y1 (ko)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JP2002166725A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KR100448063B1 (ko) 체커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장치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KR100705131B1 (ko) 도어힌지구조
KR100654983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힌지구조
KR100243638B1 (ko) 차량의 도어 체커 장착구조
KR100223113B1 (ko)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
KR100302438B1 (ko) 자동차 프런트 도어의 열림 장치
KR0126195Y1 (ko) 차량 콘솔박스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KR200379717Y1 (ko) 차량 도어 체커의 고정 브라켓 구조
KR200148144Y1 (ko) 자동차의 후방도어 힌지 구조
KR100192267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KR100483799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20010002074U (ko) 자동차의 후방문 힌지구조
KR200146226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KR100380336B1 (ko) 테일게이트용 아웃사이드 핸들
KR100271687B1 (ko) 자동차의 트렁크용 고정 브래킷과 밸런스 스프링간의 간섭 방지 구조
KR20070042680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JPH0455123A (ja) 車両のドアアシスト装置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0112378Y1 (ko) 자동차의 쿼터 윈도우(Quater window)용 핸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