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267B1 -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267B1
KR100192267B1 KR1019960061875A KR19960061875A KR100192267B1 KR 100192267 B1 KR100192267 B1 KR 100192267B1 KR 1019960061875 A KR1019960061875 A KR 1019960061875A KR 19960061875 A KR19960061875 A KR 19960061875A KR 100192267 B1 KR100192267 B1 KR 100192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pin
door hing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896A (ko
Inventor
정준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267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가 필라패널에 지지된 상태에서 최소한의 회전반경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운동시에 주위의 펜더와 필라패널사이의 유격이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펜더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강할 수 있고, 또 도어체크기능이 부여되어 별도의 도어체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를 줄이고 중량과 코스트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패널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된 제1브라켓과, 필라패널의 대향하는 한쪽 측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1브라켓에 제1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제1핀이 소정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장공,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양쪽 선단부가 각각 제2핀을 매개로 체결된 링크 및, 상기 장공에 고정되게 끼워지면서 상기 제1핀이 단계적으로 이탈가능하게 걸려지는 다수개의 걸림홈을 가진 고무부시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방각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와 인접한 펜더와 프론트 필라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강할 수 있으며, 또 도어체크가 기능이 부가되어 별도의 도어체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를 줄이고 중량과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차체의 측방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차실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힌지가 장착된 차체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즉 도어힌지(101)는 도어패널(102)에 용접등으로 부착된 제1브라켓(103)과, 상기 도어패널과 인접되게 배열되는 필라패널(104)에 부착되면서 상기 제1브라켓에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브라켓(105)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어는 상기 도어힌지를 매개로 필라패널에 지지된 상태에서 도어힌지의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상대회전으로 필라패널에 대해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도어힌지구조에서는 제2도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면서 개방되기 때문에 이 도어와 인접하게 배열된 필라패널과 펜더(106)와의 간섭이 야기될 수가 있었고, 이와 같은 도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라패널과 펜더의 설계자유도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강성도 취약하게 될 수밖에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가 필라패널에 지지된 상태에서 최소한의 회전반경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운동시에 주위의 펜더와 필라패널사이의 유격이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필라패널과 펜더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강할 수 있고, 또 도어체크기능이 부여되어 별도의 도어체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를 줄이고 중량과 코스트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힌지가 장착된 차체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가 장착된 제2도와 대응되는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결합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로 도어가 1단계로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로 도어가 2단계로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 브라켓의 일부절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패널 2 : 제1브라켓
3 : 필라패널 4 : 제1핀
5 : 제2브라켓 6 : 장공
7 : 링크 8 : 제2핀
9 : 펜더 10 : 고무부시
11 : 걸림홈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패널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된 제1브라켓과, 필라패널의 대향하는 한쪽 측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1브라켓에 제1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제1핀이 소정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장공,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양쪽 선단부가 각각 제2핀을 매개로 체결된 링크 및, 상기 장공에 고정되게 끼워지면서 상기 제1핀이 단계적으로 이탈가능하게 걸려지는 다수개의 걸림홈을 가진 고무부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가 장착된 제2도와 대응되는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의 결합사시도인 바,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는 도어패널(1)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된 제1브라켓(2)과, 상기 도어패널과 인접하게 배열된 필라패널(3)의 대향하는 한쪽 측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1브라켓에 제1핀(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제2브라켓(5)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1핀(4)이 소정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장공(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은 상대회동시에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지지링크(7)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지지링크의 양쪽 선단부는 각각 2개의 제2핀(8)을 각 브라켓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폐시킬 때에 도어패널의 동작상태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즉 도어의 1단계 개방상태에서는 상기 제1핀이 장공의 제일 안쪽 선단부로 이동된 상태로 제1, 2브라켓이 상대회동됨에 따라 도어패널의 회동반경이 제3도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한으로 줄어들게 된다.
즉 종래의 도어패널의 회전방향을 도시하는 화살표 B에 비하면 본 발명에 다른 도어힌지 브라켓의 회전반경(A)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도어패널과 인접한 펜더(9)의 선단부를 확장하여 구조를 보강할 수 있게 되는 데, 종래의 펜더 선단부를 나타내는 화살표 C와 비교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펜더 선단부의 구조가 현저하게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7도에는 도어가 2단계로 개방될 때의 도어패널의 회동상태를 도시한 것인 바, 이 경우에는 상기 제1핀이 장공의 제일 바깥쪽에 위치되면서 도어패널의 회전반경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도어의 개방각도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 브라켓의 일부절개도인 바, 이 제 2실시예가 상기 제 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상기 장공에 고무부시(10)가 고정되게 끼워지면서 이 고무부시에는 상기 제1핀이 단계적으로 이탈가능하게 걸려지는 다수개의 걸림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어의 개방과정에 상기 제1핀이 각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면서 이탈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이 고무부시와 제1핀의 상호작용으로 도어의 개방시에 체크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별도의 도어체크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풀일 수 있고, 또 중량 및 코스트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시에 도어패널이 필라패널에 지지된 상태에서 최소한의 회전반경으로 회동되므로, 도어패널과 인접하게 배열된 펜더의 선단부를 확장하여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고, 또 체크기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부품수와 조립공수 및 중량과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한편, 도어의 개방각도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어패널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된 제1브라켓과, 필라패널의 대향하는 한쪽 측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1브라켓에 제1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제2브라켓을 갖춘 자동차의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제1핀이 소정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장공과,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양쪽 선단부가 각각 제2핀을 매개로 체결된 링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에는 상기 제1핀이 단계적으로 이탈가능하게 걸려지는 다수개의 걸림홈을 가진 고무부시로 고정되게 끼워져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KR1019960061875A 1996-12-05 1996-12-05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KR100192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875A KR100192267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875A KR100192267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96A KR19980043896A (ko) 1998-09-05
KR100192267B1 true KR100192267B1 (ko) 1999-06-15

Family

ID=19485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875A KR100192267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2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96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21417A (ja) 車両の後部構造
KR100192267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JP4474739B2 (ja)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KR100705131B1 (ko) 도어힌지구조
KR100243638B1 (ko) 차량의 도어 체커 장착구조
JP2001030756A (ja) 車両用側部ドア
US20230118226A1 (en) Structure of flap part for covering rail part when opening sliding door of vehicle
KR200162235Y1 (ko) 자동차용 도어의 힌지 마운팅구조
US20230212896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JP4285013B2 (ja) 車体後部構造
KR100201459B1 (ko) 자동차 후문의 힌지부 보강구조
KR200148144Y1 (ko) 자동차의 후방도어 힌지 구조
KR19980010788U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힌지
KR0158511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힌지
KR200148159Y1 (ko) 자동차 사이드도어의 힌지구조
KR200160318Y1 (ko) 차량의도어힌지부보강구조
KR0124044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의 링크 구조
KR100535557B1 (ko) 슬라이딩 도어 도장용 힌지 조립체 구조
JP2571055B2 (ja) 自動車のドア開閉構造
KR19980051366A (ko) 차량의 도어 힌지부
KR19980047981U (ko) 차량의 프론트 필러 결합구조
KR100733669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KR0112378Y1 (ko) 자동차의 쿼터 윈도우(Quater window)용 핸들구조
KR19990031784U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KR20010037068A (ko) 자동차의 도어용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