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366A - 차량의 도어 힌지부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힌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366A
KR19980051366A KR1019960070258A KR19960070258A KR19980051366A KR 19980051366 A KR19980051366 A KR 19980051366A KR 1019960070258 A KR1019960070258 A KR 1019960070258A KR 19960070258 A KR19960070258 A KR 19960070258A KR 19980051366 A KR19980051366 A KR 19980051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bracket
inner panel
m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0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366A/ko
Publication of KR1998005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366A/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인너패널 양측에 힌지 메일 브라켓을 고정시키도록 하여 도어가 차체에 단단히 장착되도록 한 차량의 도어 힌지부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도어인너패널의 일측에서만 힌지 메일 브라켓을 고정시켜주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도어를 지탱해구는 힌지 메일 브라켓의 지지력이 약하여 도어를 자주 개폐하다 보면 힌지 메일 브라켓이 손상되기 쉬워 도어의 처짐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4와 같이 힌지 메일 브라켓(20)에 형성된 양측의 체결부(17)와 더불어 제3 체결부(24)로 하여 도어인너패널(3) 양측면에 장착시켜주므로서 상기 힌지 메일 브라켓(20)의 도어(1)와의 결합력이 더욱 공고해져 도어에 많은 개폐시도가 있더라도 도어의 처짐현상이 생기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힌지부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힌지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인너패널 양측에 힌지 메일 브라컷믈 고정시키도록 하여 도어가 차체에 단단히 장착되도록 한 차량의 도어 힌지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는 도어를 열었을 때 상기 도어의 회전축이 되도록한 힌지부와, 도어를 반쯤 열린 상태로 유지하며 더욱 열었을 때 스트퍼의 역할을 하는 도어체커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를 차체에 결합시켜주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예시도면 도 1은 개방된 도어를 도시한 도면으로, 프론트 도어는 차체의 대시패널에 부착이 되고, 리어도어는 차체의 센타필라에 부착이 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1)에 있어서 상기 도어(1)를 차체(2)에 결합하도록 하는 도어힌지부(10)는 상기 도어(1)를 열고 닫을 때 원활한 개폐가 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도어(1)와 차체(2) 사이에 도어(1)의 열림각도를 제어해주는 도어체커(5)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1)와 차체(2)에 장착된 도어 힌지부(10)를 예시도면 도2와 도 3에 도시하였는바, 상기한 도어 힌지부(10)는 크게 차체(1)와 결합되는 힌지 피메일 브라켓(12)과, 도어인너패널(3)의 일측과 결합되는 ㄷ 자 형상의 힌지 메일 브라켓(14) 및 힌지축(16)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힌지 피메일 브라켓(12)은 보울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하여 차체(2)의 결합면과 단단히 체결되어지며 상기한 힌지 피메일 브라켓(12)내에는 힌지메일 브라켓(14)의 돌출된 부위 즉 힌지축(16)이 장착되는 부위가 삽입되어진다.
이어 힌지축(16)을 힌지 피메일 브라켓(12)과 힌지 메일 브라켓(14)의 체결공에 관통 삽입시켜 주어 힌지 피메일 브라켓(12)과 힌지 메일 브라켓(14)을 서로결 합시켜 준다.
상기한 힌지 메일 브라켓(14)은 도어인너패널(3)내측에 부착된 너트플레이트(18)와 보울트(19)등의 체결수단으로 하여 양쪽 체결부(17))에서 결합됨으로 도어인너패널(3)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1)는 차체(2)에 장착된 힌지 피메일 브라켓(12)과, 도어인너패널(3)에 장착된 힌지 메일 브라켓(14) 및 힌지축(16)으로 구성된 도어 힌지부(10)에 의해 차체(2)에 결합되어져 있어서 도어(1)의 개폐시 상기 도어(1)는 힌지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도어(1)를 종래의 도어 힌지부(10)로 하여 차체(2)에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도어인너패널(3)의 일측에서만 힌지 메일 브라켓(14)을 고정시켜주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도어를 지탱해주는 힌지 메일 브라켓(14)의 지지력이 약하여 도어(1)를 자주 개폐하다보면 힌지 메일 브라켓(14)이 손상되기 쉬워 도어의 처짐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인너패널 양측으로 힌지 메일 브라켓을 고정시키도록 하여 상기한 힌지 메일 브리켓에 장착된 도어가 차체에 단단히 장착되도록 한 차랑의 도어 힌지부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힌지 메일 브라켓과, 힌지 피메일 브라켓과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도어 힌지부에 있어서, 도어인너패널의 일측에 체결수단으로 하여 한쌍의 체결부가 졀합되는 힌지 메일 브라켓에 도어인너패널의 타측과도 결합되게 한 제3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메일 브라켓이 장착되는 도어인너패널의 일측과 너트플레이트에 비드부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힌지 메일 브라켓에 형성된 양측의 체결부와 더불어 제3체결부로 하여 도어인너패널 양측면에 장착시켜주므로서 상기 힌지 메일 브라켓의 도어와의 결합력이 더욱 공고해져 도어에 많은 개폐시도가 있더라도 도어의 처짐현상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개방된 도어를 표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도어 힌지부를 보인 도면
도 3의 (가)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부를 보인 도면
(나)는 (가)의 C-C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차체
3 : 도어인너패널 12 : 힌지 피메일 브라켓
16 : 힌지축 17 : 체결부
18 : 너트플레이트 19 : 보울트
20 : 힌지 메일 브라켓 22 : 체결공
23 : 너트 24 : 제3 체결부
26 2S : 비드부
본 발명의 구성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어인너패널(3)의 일측에 한쌍의 체결부(17)가 결합되는 힌지 메일 브라켓(20)에 도어인너패널(3)의 타측과도 결합되게 한 체결공(22)을 갖는 제3체결부(24)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메일 브라켓(20)이 장착되는 도어인너패널(3)의 일측과 너트플레이트(18)에 비드부(26)(28)가 형성된 차량의 도어 힌지부이다.
예시도면 도 4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부를 보인 도면이고 (나)는 (가)의 C-C선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부는 도어인너패널(3)의 일측과 너트플레이트(18)에 장착되는 힌지 메일 브라켓(20)과, 차체(2)에 장착되는 힌지 피메일 브라켓(12)와, 상기 힌지 메일 브라켓(20)과 힌지 피메일 브라켓(12)에 삽입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한 힌지축(l6)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힌지 피메일 브라켓(12)과 힌지축(16)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와 형상이며, 힌지 피메일 브라켓(20)은 도어(1)의 처짐을 막도록 구조의 변경이 가해진것이다.
상기한 힌지 메일 브라켓(20)에는 도어인너패널(3)의 일측에 갈합되는 체결부(17)양측과 더불어 도어인너패널(3)의 타측과도 결합되게 한 제3 체결부(24)가 형성되고, 이 제3 체결부(24)에는 그 중앙에 체결수단인 보울트(19)가 삽입되는 체결공(22)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힌지 메일 브라켓(20)이 갈합고정되는 도어인너패널(3)의 일측과 너트플레이트(18)에 강성증대를 위한 비드부(26)(28)가 각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떠-라 형성된 힌지 메일 브라켓(20)을 너트플레이트(18)가장착된 도어인너패널(3)의 일측에 상기 힌지 메일 브라켓(20)의 체결부(17) 한쌍을 밀착시킨 후 보울트(19)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고정시키고, 상기 힌지 메일 브라켓(20)의 제3 체결부(24)를 도어인너패널(3)의 타측에 밀착시켜 보울트(19)와 너트(23)로 하여 체결시켜준다.
그리고 차체(2)와 결합된 힌지 피메일 브라켓(12)과 상기한 힌지 메일 브라켓(20)을 힌지축(16)으로 결합시켜주면 도어(1)가 차체(2)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도어(1)에 제3 체갈부(24)와 체결부(17)로 하여 힌지 메일 플레이트(20)가 단만히 고정되어지고, 상기 힌지 메일 플레이트(20)가 고정되는 너트플레이트(18)와 도어인너패널(3)의 비드부(26)(28)가 상기 도어(1)의 결합강성을 또한높여주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힌지 메일 브라켓(20)에 형성된 양측의 체결부(17)와 더불어 제3 체결부(4)로 하여 도어인너패널(3) 양측면에 장착시켜주므로서 상기 힌지 메일 브라켓(20)의 도어(1)와의 결합력이 더욱 공고해져 도어에 많은 개폐시도가 있더라도 도어의 처짐현상이 생기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어인너패닐(3)의 일측에 한쌍의 체결부(17)가 결합되는 힌지 메일 브라켓(20)에 도어인너패널(3)의 타측과도 결합되게 한 체결공(22)을 갖는 제3 체결부(24)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메일 브라켓(20)이 장착되는 도어인너패널(3)의 일측과 너트플레이트(1S)에 비드부(26)(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힌지부.
KR1019960070258A 1996-12-23 1996-12-23 차량의 도어 힌지부 KR19980051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258A KR19980051366A (ko) 1996-12-23 1996-12-23 차량의 도어 힌지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258A KR19980051366A (ko) 1996-12-23 1996-12-23 차량의 도어 힌지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366A true KR19980051366A (ko) 1998-09-15

Family

ID=6638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258A KR19980051366A (ko) 1996-12-23 1996-12-23 차량의 도어 힌지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3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999A (ko) * 2000-08-10 2002-02-20 이계안 자동차의 도어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999A (ko) * 2000-08-10 2002-02-20 이계안 자동차의 도어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1366A (ko) 차량의 도어 힌지부
KR0140303Y1 (ko) 개.폐 작동이 원활한 쿼터 윈도우 글라스 힌지의 지지구조
KR100201459B1 (ko) 자동차 후문의 힌지부 보강구조
KR100318725B1 (ko) 스트라이커 고정장치
KR100192267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JPH0426616Y2 (ko)
KR0177963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보강 브라켓트
KR19980027981A (ko) 테일 게이트용 가스 리프트의 마운팅구조
KR200148407Y1 (ko) 자동차 백도어의 힌지구조
JP2571055B2 (ja) 自動車のドア開閉構造
KR0128841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힌지의 체결구조
KR0125305Y1 (ko) 자동차도어용 힌지의 체결구조
KR100243638B1 (ko) 차량의 도어 체커 장착구조
KR0128111Y1 (ko) 사이드 도어힌지구조
KR19980049227U (ko) 자동차 백도어의 체커
KR200148144Y1 (ko) 자동차의 후방도어 힌지 구조
JPH0522447Y2 (ko)
KR20030000518A (ko) 도어 힌지의 마운팅 보강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사이드 패널
KR200161587Y1 (ko) 승합차용 보닛 힌지(Bonnet hinge for a van)
KR19980059479A (ko) 자동차의 선 루프 개폐구조
KR19980034999U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측 힌지부 취부구조
KR19980034968U (ko) 해치-백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힌지구조
KR19980047478A (ko) 풍절음방지용 자동차도어의 핸들구조
KR19990021274U (ko) 차량의 도어 체커 고정구조
KR19980059588A (ko) 자동차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