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499Y1 -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499Y1
KR200388499Y1 KR20-2005-0008941U KR20050008941U KR200388499Y1 KR 200388499 Y1 KR200388499 Y1 KR 200388499Y1 KR 20050008941 U KR20050008941 U KR 20050008941U KR 200388499 Y1 KR200388499 Y1 KR 200388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rizontal
rotating member
vertic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미진
Original Assignee
양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미진 filed Critical 양미진
Priority to KR20-2005-0008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4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4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 스포츠카 등의 도어를 측면 상측 방향으로 열어줄 수 있도록 하며, 도어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함과 동시에 도어의 회전범위가 일정하도록 단속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도어가 결합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된 차체브라켓과, 상기 차체브라켓에 구비된 제1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회전부재와, 상기 수직회전부재와 제2회전축을 매개로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도어에 장착된 도어브라켓에 고정된 수평회전부재와, 상기 수평회전부재가 상기 제2회전축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수평스토퍼와, 상기 수직회전부재와 상기 수평회전부재를 상기 제1/2회전축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쇼버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걸 윙 형태로 개폐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11)을 축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수직회전부재(2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차체브라켓(10)에 결합된 제1고정구(15)와; 상기 수평회전부재(30)에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도어브라켓(40)에 체결구(34)로 고정된 상기 수평스토퍼(50)의 타측이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슬립되지 않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경사지게 형성된 스토퍼안착홈(24)과; 상기 수평스토퍼(5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결합된 제2고정구(25)와; 상기 도어(3)가 닫힘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 전방에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3)의 하부와 대응되는 상기 차체(1)의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재(70)가 포함되되, 상기 쇼버(60)는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차체(1) 상부의 차체프레임(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OPEN AND SHUT A DOOR APPARATUS FOR CAR}
본 고안은 승용차, 스포츠카 등의 도어를 측면 상측 방향으로 열어줄 수 있도록 하며, 도어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함과 동시에 도어의 회전범위가 일정하도록 단속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은 차량문짝의 힌지가 단일 관절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단순히 수평방향으로만 개폐가 되는 단조로움이 있었고, 오늘날에는 각자 개성이 강한 시대로서 동일한 스타일의 차량을 기피하고 나만의 차량으로 갖고 싶어 하는 등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한편, 쿠페(coupe)와 같은 투 도어(two door)형 자동차의 경우, 도어가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에 비해서 길기 때문에, 일반적인 자동차 도어의 회전 반경보다 크다.
따라서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를 열어 승하차할 수 있는 공간에서도 투 도어형 자동차의 경우는 승하차가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주차공간이 협소한 주차장에서 밀집되게 주차할 경우 승하차가 불가능할 수 있다.
특히, 특수 목적으로 제조되는 스포츠카의 경우 일부에는 차량문짝의 상향 개폐되는 힌지가 제안되었지만 이는 차량 자체의 가격이 매우 비싸 일반인이 구입하게에는 매우 큰 부담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 승용차 차량을 저렴한 비용으로 개조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줌과 아울러, 차체에서 수평면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열린 도어를 연직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 윙 형태로 개방시킬 수 있어 좁은 주차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승,하차를 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용 걸 윙 형태로 개폐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동작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열림 동작시 수평스토퍼와 제1고정구에 의해 2차에 걸쳐 도어의 회전범위가 제한됨으로써, 도어를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어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도어의 닫힘 동작시 차체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도어의 파손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어가 결합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된 차체브라켓과, 상기 차체브라켓에 구비된 제1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회전부재와, 상기 수직회전부재와 제2회전축을 매개로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도어에 장착된 도어브라켓에 고정된 수평회전부재와, 상기 수평회전부재가 상기 제2회전축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수평스토퍼와, 상기 수직회전부재와 상기 수평회전부재를 상기 제1/2회전축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쇼버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걸 윙 형태로 개폐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11)을 축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수직회전부재(2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차체브라켓(10)에 결합된 제1고정구(15)와; 상기 수평회전부재(30)에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도어브라켓(40)에 체결구(34)로 고정된 상기 수평스토퍼(50)의 타측이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슬립되지 않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경사지게 형성된 스토퍼안착홈(24)과; 상기 수평스토퍼(5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결합된 제2고정구(25)와; 상기 도어(3)가 닫힘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 전방에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3)의 하부와 대응되는 상기 차체(1)의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재(70)가 포함되되, 상기 쇼버(60)는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차체(1) 상부의 차체프레임(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의 개폐 장치는, 도어(3)가 결합된 차체(1)의 일측에 설치된 차체브라켓(10)과, 상기 차체브라켓(10)에 구비된 제1회전축(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회전부재(20)와, 상기 수직회전부재(20)와 제2회전축(31)을 매개로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도어(3)에 장착된 도어브라켓(40)에 고정된 수평회전부재(30)와, 상기 수평회전부재(30)가 상기 제2회전축(31)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수평스토퍼(50)와, 상기 수직회전부재(20)와 상기 수평회전부재(30)를 상기 제1/2회전축(11,31)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쇼버(60)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3)를 걸 윙 형태로 개폐한다.
상기 수직 및 수평회전부재(20,30)에는 상기 제1/2회전축(11,31)에 각각 끼워지도록 제1/2축삽입공(22,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축삽입공(22,33)의 내부에는 각각 베어링(B)이 내설된다.
상기 수평회전부재(30)는 상기 제2축삽입공(32)이 상,하부에 형성된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회전부재(20)의 일측이 수평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축삽입공(32)과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제3축삽입공(23)이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축(31)과 너트에 의해 상기 수직 및 수평회전부재(30)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스토퍼(5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수평회전부재(30)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브라켓(40)에 체결구(34)로 고정되며, 상기 수평스토퍼(50)의 타측은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슬립(slip)되지 않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스토퍼안착홈(24)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스토퍼(50)의 타측은 상기 도어브라켓(40)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회전부재(20)는 상기 제1회전축(11)을 중심으로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도어브라켓(40)과 상기 수평스토퍼(50)를 매개로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기 수평회전부재(30)는 상기 제2회전축(3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인 전/후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수평스토퍼(50)는 상기 수평회전부재(30)가 전방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스토퍼안착홈(24)에 밀착되어 상기 수평회전부재(30)의 회전을 간섭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제1회전축(11)을 축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수직회전부재(2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차체브라켓(10)에 결합된 제1고정구(15)와, 상기 수평스토퍼(50)가 상기 수평회전부재(30)와 상기 도어브라켓(40) 사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되, 상기 수평스토퍼(5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결합된 제2고정구(25)와, 상기 도어(3)가 닫힘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 전방에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3)의 하부와 대응되는 상기 차체(1)의 하부에 완충부재(70)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고정구(15)는 상기 제1회전축(11)을 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수직회전부재(20)를 간섭하게 되고, 상기 제2고정구(25)는 상기 제2회전축(31)을 축으로 전방으로 회전되는 상기 수평회전부재(30) 및 상기 수평스토퍼(50)를 간섭하게 됨으로써 상기 도어(3)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3)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제2고정구(25)에 간섭될 때까지 전방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도어(3)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고정구(15)에 간섭될 때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2고정구(15,25)에 의해 상기 도어(3)의 전방으로 회전되는 범위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범위가 정확하게 한정됨으로써, 상기 도어(3)의 열림 동작시 상기 도어(3)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것과, 이로 인하여 각 부의 구성에 충격이 전달되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며, 상기 상기 도어(3)의 닫힘 동작시 상기 완충부재(70)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3)의 닫힘 동작시 도어(3)의 하부에 하중이 집중되고 충격력이 가장 크게 작용되는 바, 상기 완충부재(70)는 상기 차체(1)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편, 상기 도어와 대향되는 위치인 차체프레임(2) 상부에 상기 쇼버(6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해 설명하면, 차량의 도어(3)를 열기 위하여 외력을 가하여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3)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된 후, 수평스토퍼(50)가 수직회전부재(20)의 제1축삽입공(23)에 밀착되어 1차적으로 간섭됨과 동시에 제2고정구(25)에 2차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도어(3)를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도어(3)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 올려주면 상기 수직회전부재(20)와 차체프레임(2)에 연결된 쇼버(60)의해 상기 도어(3)가 상측방향으로 용이하게 들어 올려지게 되는데, 이때 차체브라켓(10)에 결합된 제1고정구(15)에 상기 수직회전부재(20)가 간섭되어 상기 도어(3)가 자연스럽게 정지됨으로써, 개방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도어(3)를 닫고자 할 때에는 상기 도어(3)에 외력을 가하여 내리 누르면 상기 도어(3)가 상기 쇼버(60)를 압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후 통상의 차량의 도어를 닫듯이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도어(3)를 닫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1)에 접촉되는 순간, 상기 도어(3)의 하부에 하중이 집중되고 충격력이 가장 크게 작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도어(3)의 하부가 접촉되는 상기 차체(1)의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재(70)에 의해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됨으로써, 충격에 의한 각부 구성의 파손 및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용 걸 윙 형태로 개폐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동작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닫힘동작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용 걸 윙 형태로 개폐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동작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열림 동작시 수평스토퍼와 제1고정구에 의해 2차에 걸쳐 도어의 회전범위가 제한됨으로써, 도어를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어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닫힘 동작시 하중이 집중되고 충격력이 가장 크게 작용되는 도어의 하부가 완충부재에 의해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됨으로써 도어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쇼버가 도어와 대향되는 위치인 차체프레임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도어의 회전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어 도어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체 2 : 차체프레임
3 : 도어 10 : 차체브라켓
11 : 제1회전축 15 : 제1고정구
20 : 수직회전부재 22 : 제1축삽입공
23 : 제3축삽입공 24 : 스토퍼안착홈
25 : 제2고정구 30 : 수평회전부재
31 : 제2회전축 32 : 제2축삽입공
34 : 체결구 40 : 도어브라켓
50 : 수평스토퍼 60 : 쇼버
70 : 완충부재 B : 베어링

Claims (1)

  1. 도어가 결합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된 차체브라켓과, 상기 차체브라켓에 구비된 제1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회전부재와, 상기 수직회전부재와 제2회전축을 매개로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도어에 장착된 도어브라켓에 고정된 수평회전부재와, 상기 수평회전부재가 상기 제2회전축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수평스토퍼와, 상기 수직회전부재와 상기 수평회전부재를 상기 제1/2회전축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쇼버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걸 윙 형태로 개폐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11)을 축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수직회전부재(2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차체브라켓(10)에 결합된 제1고정구(15)와;
    상기 수평회전부재(30)에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도어브라켓(40)에 체결구(34)로 고정된 상기 수평스토퍼(50)의 타측이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슬립되지 않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경사지게 형성된 스토퍼안착홈(24)과;
    상기 수평스토퍼(5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결합된 제2고정구(25)와;
    상기 도어(3)가 닫힘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 전방에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3)의 하부와 대응되는 상기 차체(1)의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재(70)가 포함되되,
    상기 쇼버(60)는 상기 수직회전부재(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차체(1) 상부의 차체프레임(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KR20-2005-0008941U 2005-04-01 2005-04-01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KR200388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941U KR200388499Y1 (ko) 2005-04-01 2005-04-01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941U KR200388499Y1 (ko) 2005-04-01 2005-04-01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499Y1 true KR200388499Y1 (ko) 2005-06-29

Family

ID=4368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941U KR200388499Y1 (ko) 2005-04-01 2005-04-01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4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112B1 (ko) 2021-08-25 2022-02-08 어세종 레귤러 도어 및 시저 도어 타입의 개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112B1 (ko) 2021-08-25 2022-02-08 어세종 레귤러 도어 및 시저 도어 타입의 개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1241A4 (e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CN104417327B (zh) 车门外把手
KR20210072996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링크식 유동 방지 구조
KR200388499Y1 (ko)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JP3521215B2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KR100869561B1 (ko) 팝업 기능을 가지는 트렁크 리드용 힌지 어셈블리
CN103255969A (zh) 车门铰链机构及通过该机构开关车门的方法
KR200417347Y1 (ko) 걸윙 도어용 개폐 구동장치
JPS6125874B2 (ko)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KR100527142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CN103161364A (zh) 多档位限位器
KR20090007985A (ko) 차량의 플랩도어 개폐장치
JPS5836768Y2 (ja) 自動車用ドアヒンジ
CN219101031U (zh) 连接组件及车辆
US20240151087A1 (en) Door closing impact absorber and door mechanism provided with the same
US20230202270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
KR0130282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JP4130708B2 (ja) バン型トラック
KR200452740Y1 (ko) 철도차량도어용 내측 잠금장치
KR0159862B1 (ko) 차량용 도어의 상향식 오픈닝 구조
JP2795635B2 (ja) 引戸用自在ストップ装置
KR100622730B1 (ko) 차량의 트렁크 개폐구조
KR100483799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JP2004257078A (ja) 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の緩衝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