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354Y1 - 플로어힌지 - Google Patents

플로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354Y1
KR200361354Y1 KR20-2004-0017142U KR20040017142U KR200361354Y1 KR 200361354 Y1 KR200361354 Y1 KR 200361354Y1 KR 20040017142 U KR20040017142 U KR 20040017142U KR 200361354 Y1 KR200361354 Y1 KR 200361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shaft
floor
door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태
Original Assignee
박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태 filed Critical 박형태
Priority to KR20-2004-0017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3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4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힌지 축(20)의 상측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축의 상측을 감싸는 힌지 캡(24)이 상기 개구(26)를 관통하여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28)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 축의 결합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로어힌지{A floor hinge}
본 고안은 도어를 지지하면서 개폐를 조절하는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에는 도어를 일방향 혹은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되는 바, 이러한 도어에는 외력에 의해 도어가 열린 후 자체의 탄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힌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장치는 도어의 중앙부에 경첩과 같은 형태로 시공되거나 혹은 도어의 아랫쪽 바닥에 매설되어 시공되는 것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바닥에 매설되어 시공되는 것을 일반적으로 플로어 힌지라 한다.
플로어 힌지는 통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거운 하중의 도어를 지지하며 개폐를 조절하도록 바닥에 매입 시공되어 사용된다. 플로어 힌지는 대별하여 바닥에 매입되며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싱과, 도어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며 회전 개폐를 조절하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와, 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플로어 힌지의 한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힌지 조립체의 몸체(1)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 선단에는 도어를 지지하며 회전을 제어하는 힌지 축(2)이 마련된다.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로어 힌지의 힌지 축은 케이싱 상측으로 노출되어 도어 하측에 매설된 레버와 결합하여 도어와 함께 회전하게 되며, 도 1b 또는 도 1c에 도시된 플로어 힌지의 몸체 케이싱 안에는 상기 힌지 축의 하측에 결합된 캠(30)이 존재하여 캠에 스프링, 유압 실린더, 쇽업 쇼바 등의 작용에 의해 복원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플로어 힌지의 힌지 캠이 제자리로 회전하면서 힌지 축에 결합된 도어가 함께 회전하여 열렸던 도어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즉, 플로어 힌지가 건물 바닥에 매설되고 힌지 축이 도어 하단에 결합하여 도어가 열리면 같이 회전하고 플로어 힌지 내측의 구성에 의하여 힌지 축에 가해지는 복원력에 의하여 힌지 축이 원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도어가 다시 닫히게 되는 것이다.
힌지 축 상측의 선단부(20a)는 도어에 내장되어 있는 레버와 맞물리게 되어 있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힌지 축이 아래로 내려 앉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힌지 축을 다시 높여주어야 도어의 하단에 매설된 레버와 잘 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에는 시간과 비용이 크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방식에 의하여 힌지축의 결합높이를 높여주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플로어 힌지에 대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플로어 힌지에 대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 A' 라인을 통해 들여다 본 단면개략도이다. .
20...힌지 축 22...나사공 24...힌지 캡
26...개구 28...볼트
본 고안은 도어의 하측에 힌지 축에 의하여 결합되어 도어가 열리면 상기 힌지 축이 함께 회전하고 상기 힌지 축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힌지 축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도어를 닫히게 하는 플로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 축(20)의 상측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축의 상측을 감싸는 힌지 캡(24)이 상기 개구(26)를 관통하여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28)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 축의 결합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듯이 플로어힌지의 힌지 축(20)의 상측 단부에는 나사공(22)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 축(20)의 상측에 모자처럼 씌우는 힌지 캡(24)에는 나사공(22)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단수의 나사공과 단수의 개구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나사공과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힌지 캡을 힌지 축의 상측에 씌운 후 개구를 관통하여 볼트(28)를 나사공에 체결함으로써 힌지 캡이 힌지 축 상측에 고정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볼트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접시머리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힌지 캡이 힌지 축 상측에 결합되면 도 2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축의 높이가 높아지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플로어 힌지의 힌지 축이 아래로 내려 앉은 경우에 힌지 축의 상측에 힌지 캡을 결합시킴으로써 별도의 시공 없이 간단하게 힌지 축의 결합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힌지 축 상측에 힌지 캡을 덮어 씌우고 보울트로 조이는간단한 방식에 의하여 힌지축의 결합높이를 높여주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힌지축의 결합높이를 높이기 위한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효과를 수반한다.

Claims (1)

  1. 도어의 하측에 힌지 축에 의하여 결합되어 도어가 열리면 상기 힌지 축이 함께 회전하고 상기 힌지 축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힌지 축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도어를 닫히게 하는 플로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 축(20)의 상측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축의 상측을 감싸는 힌지 캡(24)이 상기 개구(26)를 관통하여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28)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 축의 결합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KR20-2004-0017142U 2004-06-18 2004-06-18 플로어힌지 KR200361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142U KR200361354Y1 (ko) 2004-06-18 2004-06-18 플로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142U KR200361354Y1 (ko) 2004-06-18 2004-06-18 플로어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354Y1 true KR200361354Y1 (ko) 2004-09-08

Family

ID=4943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142U KR200361354Y1 (ko) 2004-06-18 2004-06-18 플로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3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1354Y1 (ko) 플로어힌지
KR20070046330A (ko) 도어의 힌지 장치 및 밀폐 도어
KR100897333B1 (ko) 도어힌지 기구
JP3291411B2 (ja) 自動閉戸装置
KR101895118B1 (ko) 여닫이문용 경첩
KR100930451B1 (ko) 도어클로저 겸용 도어힌지
KR100911572B1 (ko) 테일게이트 글래스의 힌지장치
KR20060133392A (ko) 풀오픈 도어시스템
KR200223101Y1 (ko) 출입문용 피벗힌지
KR100448201B1 (ko) 자동차의 어퍼트레이 커버 잠금구조
KR20190002371U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KR200202006Y1 (ko) 도어클로저 자동복귀 제어장치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100347037B1 (ko) 냉장고의 도어멈춤장치
KR200237622Y1 (ko)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JPH0711210B2 (ja) 蝶番およびこれを用いた扉開閉装置
KR200310942Y1 (ko) 납골당 도어의 잠금장치구조
KR100397679B1 (ko) 스토퍼 기능을 갖는 경첩
KR101281729B1 (ko) 힌지부재 분리형 도어 힌지
KR200187437Y1 (ko) 도어용 피봇 힌지
KR200209589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101108514B1 (ko) 스프링경첩
KR200301006Y1 (ko) 도어 클로저
KR910002321Y1 (ko) 도어클로저의 도어개방각도 조절장치
KR200338218Y1 (ko) 도어 개폐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