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227Y1 -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227Y1
KR200184227Y1 KR2019990029508U KR19990029508U KR200184227Y1 KR 200184227 Y1 KR200184227 Y1 KR 200184227Y1 KR 2019990029508 U KR2019990029508 U KR 2019990029508U KR 19990029508 U KR19990029508 U KR 19990029508U KR 200184227 Y1 KR200184227 Y1 KR 200184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onnecting portion
door frame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 filed Critical 이준
Priority to KR2019990029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mponent faults o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든 여닫이 도어에 사용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 및 건물의 출입구 또는 각 방, 사무실 등의 도어와, 또는 장농 등의 기타 가구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문틀로부터 상기 도어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경첩을 좌우 구분 없이 함으로서, 신속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문 을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서 문의 수평을 맞추도록 한 도어용 경첩(1)으로, 상기 일측에 제1연결부(11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1몸체(100)와, 상기 제1연결부(110)에 삽입되어 고정핀(31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축(300)과, 상기 연결축(300)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210)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 2몸체(200)와,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 중 어느 한쪽이 문 또는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연결축(300)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문이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400)이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400)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관상 미려함을 나타내기 위해 제2연결부(210)의 양단에 각각 장식용마개(500)가 나사맞춤된다.

Description

도어용 경첩{DOOR HINGE}
본 고안은 모든 여닫이 도어에 사용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 외에 여닫이식 도어가 사용되는 가구 등에 사용되는 경첩을 좌우 구분없이 설치할 수가 있으며, 상기 경첩에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하여 시공후 도어가 처지거나 뒤틀리는 경우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문의 수평을 손쉽게 맞추도록 한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를 문틀에 시공시 도어가 아래로 처지거나 위로 올라 갈 경우나 혹은 상기 도어가 문틀에 잘맞지 않을 때 시공업자는 상기 도어를 문틀로부터 다시 분리한 후, 도어의 상,하 부분을 깍아서 시공하거나 문틀의 경첩자리를 상,하로 조절하여 시공해야 했으며, 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어가 자중에 의해 처지거나 혹은 문틀의 뒤틀림 등에 의해 올라갈 경우 역시 도어를 분리한 후 처진 부위만큼 깍아 내어 제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경첩의 경우 문의 여닫는 상태에 따라 각각 좌측경첩과 우측경첩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시공자는 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좌측경첩 및 우측경첩을 주위해서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여간 일이 번거로운 일이 아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택 및 건물의 출입구 또는 각 방, 사무실 등의 도어와, 또는 장농 등의 기타 가구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문틀로부터 상기 도어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경첩을 좌우 구분 없이 함으로서, 신속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경첩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문 을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서 문의 수평을 맞추도록 하여 시공을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제1연결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1몸체와, 상기 제1연결부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 2몸체와, 상기 제1몸체 또는 제2몸체 중 어느 한쪽이 문 또는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연결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관상 미려함을 나타내기 위해 제2연결부의 양단에 각각 장식용마개가 나사맞춤됨에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이 부여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제1연결부에 고정핀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연결축과, 상기 제2연결부에 각각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며 작업공구에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조절부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부의 이동거리에 따라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경첩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고안 경첩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3은 본 고안 경첩이 문과 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첩 100 : 제1몸체
110 : 제1연결부 200 : 제2몸체
210 : 제2연결부 211 : 암나사부
300 : 연결축 310 : 고정핀
400 : 높이조절수단 410 : 조절부
411 : 수나사부 500 : 장식용마개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좌우 구분없이 사용되는 경첩(1)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몸체(100)의 일측에 원통형상의 제1연결부(11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몸체(100)에 문 또는 문틀에 나사못 등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구멍(101)이 형성된다.
또한, 제2몸체(200)의 일단에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연결부(110)를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하부에 제2연결부(210)가 각각 형성되고, 제2몸체(200)에 문 또는 문틀에 나사못 등에 고정되기 위한 구멍(201)이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부(210) 사이에 제1몸체(100)에 형성된 제1연결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가 원활하게 회전운동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210) 상부로부터 원기둥형상의 연결축(300)이 끼워져, 상기 제2연결부(210) 및 제1연결부(110)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연결축(300)은 제1연결부(110)에 고정핀(31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 중 어느 한쪽이 문 또는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연결축(300)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400)이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400)은 도 3에도시된 바와같이 제1연결부(110)에 고정핀(31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연결축(300)과, 상기 제2연결부(210)에 각각 형성되는 암나사부(211)와, 상기 암나사부(211)에 나사맞춤되며 작업공구(도라이버 혹은 육각랜치)에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조절부(410)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부(410)의 이동거리()에 따라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조절부(410)는 외주면에 수나사부(411)가 형성되고, 일면에 유각랜치홈(412) 혹은 일자 및 십자홈이 형성되며, 타면은 상기 연결축(300)과의 마찰을 최소화 하기 위해 야간 둥글게 혹은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절부(410)는 경첩의 상하조정에 매우 중요한 역활을 하는 것으로, 이때 상하 조절 폭을 ±5㎜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410)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이물질 등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210)의 양단에 각각 장식용마개(500)가 나사맞춤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첩(1)은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제1 및 제2연결부(110)(210)를 서로 교차되게 끼워맞춤시킨 후,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연결부(210) 사이에 연결축(300)을 끼운 후, 고정핀(310)으로 고정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조립된 경첩(1)을 문 또는 문틀에 고정한다.
이때, 시공자는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의 구분없이 문 또는 문틀에 고정함으로서, 시공시간을 줄일 수가 있다.
다음, 상기 경첩(1)을 문 또는 문틀에 고정한 후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문이 아래쪽 또는 윗쪽으로 처질 경우 육각랜치를 이용하여 조절부(410)를 상하로 이동시켜 문의 수평을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조절부(410)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관상 미려하도록 상기 제2연결부(210)에 각각 장식용마개(500)를 나사맞춤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주택 및 건물의 출입구 또는 각 방, 사무실 등의 도어와, 또는 장농 등의 기타 가구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문틀로부터 상기 도어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경첩을 좌우 구분 없이 설치할 수가 있음으로서, 신속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경첩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문 을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서 문의 수평을 맞추도록 하여 시공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가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일측에 제1연결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1몸체와;
    상기 제1연결부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 2몸체와;
    상기 제1몸체 또는 제2몸체 중 어느 한쪽이 문 또는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연결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관상 미려함을 나타내기 위해 제2연결부의 양단에 각각 장식용마개가 나사맞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제1연결부에 고정핀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연결축과, 상기 제2연결부에 각각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며 작업공구에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조절부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부의 이동거리에 따라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경첩.
KR2019990029508U 1999-12-24 1999-12-24 도어용 경첩 KR200184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508U KR200184227Y1 (ko) 1999-12-24 1999-12-24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508U KR200184227Y1 (ko) 1999-12-24 1999-12-24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227Y1 true KR200184227Y1 (ko) 2000-06-01

Family

ID=1960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508U KR200184227Y1 (ko) 1999-12-24 1999-12-24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2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90071C (en) Adjustable hinge
US6484363B1 (en) Adjustable hinge
US72464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KR100767069B1 (ko) 처짐방지장치가 구비된 루버형 도어
US6834703B2 (en) Floating pivot mount for a folding panel
IL188255A (en) Shutter window for air inlet and light blocker
KR200184227Y1 (ko) 도어용 경첩
KR102236387B1 (ko) 공동주택용 자동개폐형 복도 창문
KR200249927Y1 (ko) 도어용 경첩
KR102398865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경첩구조
US3667161A (en) Shutter operating mechanism
KR200275801Y1 (ko) 도어용 경첩
KR100402318B1 (ko)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EP0308105B1 (en) A balcony window and door arrangement in an inclined roof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US4882809A (en) Hinge
KR101876811B1 (ko) 외부로 여닫이 개방과 하측 틸팅이 가능한 창호
KR20043364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
US6925683B2 (en) Hinge
JP3448522B2 (ja) 欄間扉開閉装置
KR200212115Y1 (ko) 상·하 유동 경첩
EP1828515A1 (en) Adjustable door hinge
AU2003204186B2 (en) Floating Pivot Mount for a Folding Panel
KR200213275Y1 (ko)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JPS6262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