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645Y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645Y1
KR200433645Y1 KR2020060026538U KR20060026538U KR200433645Y1 KR 200433645 Y1 KR200433645 Y1 KR 200433645Y1 KR 2020060026538 U KR2020060026538 U KR 2020060026538U KR 20060026538 U KR20060026538 U KR 20060026538U KR 200433645 Y1 KR200433645 Y1 KR 200433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hinge
rotating shaft
doo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원에이스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원에이스도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원에이스도어
Priority to KR2020060026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6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6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택 및 사무실의 현관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방화문에 있어 그 방화문을 문틀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경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좌,우 대칭형 경첩의 회전축을 구성함에 있어, 그 회전축의 하단은 나사부를 형성하고 선단에는 공구홈을 형성하며, 상기 경첩 몸체에는 회전축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공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그 경첩 몸체로부터 승강되게 구성함으로써, 방화문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이 최소로 돌출되게 하고, 방화문의 임시 설치 상태에서는 그 회전축을 최대로 돌출시켜 상기 방화문과 그 경첩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로 설치되게 함은 물론 상측 경첩과 방화문 간의 틈새가 극히 최소의 폭으로 발생하여 외관이 매우 우수하며, 상기 방화문을 제거하거나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하여 보다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어 매우 합리적이며, 좌우의 구분이 없어 공급자나 공급 받는자 모두 불균형 재고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누구나 편리하게 좌우 구분없이 현장에서 시공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에 대한 것이다.
방화문, 경첩, 회전축, 나사부, 나사공, 수부재, 암부재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 {Pivot hinge for fire protection door having height adjustable shaf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용 경첩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용 경첩이 적용된 사용상태 상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용 경첩이 적용된 사용상태 하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용 경첩이 적용된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문틀프레임 2 : 방화문
10,10' : 수부재 11 : 수몸체
12 : 회전축 13 : 나사부
14 : 공구홈 15 : 나사공
20,20' : 암부재 21 : 암몸체
22 : 설치공
30 : 베어링
본 고안은 주택 및 사무실의 현관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방화문에 있어 그 방화문을 문틀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겸용으로 사용되는 경첩의 회전축을 상기 경첩 몸체로부터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기 경첩을 이용하여 방화문을 설치한 상태에서 그 회전축을 회전시켜 고정력이 향상되게 하여 그 회전문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보다 안정된 지지력을 갖게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에 대한 것이다.
통상의 방화문은 주로 일반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현관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에서 발생된 화재가 외부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금속재의 견고한 재질로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화재시 내부의 강한 열에 의해서도 출입문이 불에 타거나 변형되지 말아야 되는 기계적인 성질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 통상적으로 금속재인 방화문의 하중을 가볍게 하기 위해서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을 각기 분리 형성하고 그 이격된 공간에 벌집 모양의 단열 방음재를 삽입하여 하중은 가볍게 하면서도 단열 및 방음,방온 효과가 뛰어나게 하였다.
이와 같은 방화문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형상의 사각 틀체로 된 프레임 내에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프레임의 일측 상,하부에는 각각 상기 방 화문과 대응의 경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첩을 갖는 프레임이 구비되면 상기 방화문을 그 프레임에 장착하게 되는데 방화문의 상측을 프레임 상측의 경첩에 우선 삽입한 상태에서 이를 밀어 올림과 동시에 방화문의 하측을 하부 경첩에 끼워 넣는 것으로 그 설치가 종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방화문의 설치 과정에 있어, 그 방화문을 경첩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상,하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경첩의 회전축에 상기 방화문의 설치공을 끼워야 하는 것인데, 상측에 경첩에 우선 끼워 넣은 상태에서 방화문을 들어올려 그 하측을 끼워 내려놓게 되므로 방화문의 상측과 경첩 간에는 상당한 틈새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방화문이나 프레임의 폭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들어올려 삽입하여 장착하는 구조를 갖는 특성에 의해 그 경첩의 회전축의 길이를 길게 하지 못하므로 그에 따른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경첩의 회전축을 길게 하면 그 방화문과의 설치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상기 회전축의 길이는 방화문과 프레임의 폭이나 두께로 인해 크게 길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최대한 길게 형성한다 하더라도 그 방화문의 설치가 매우 어려워질 수 있으며, 상부의 틈새가 더욱 벌어지게 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회전축의 길이를 최적의 상태 즉,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안정 된 지지력을 갖도록 형성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외부에서 혹은 내부에서 강한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방화문과 회전축 간의 지지 폭이 넓지 않으므로 이를 이탈하여 그 방화문이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방화문을 설치함에 있어 그 방화문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외력에 의해서도 그 경첩과 방화문이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경첩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문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좌,우 대칭형 경첩의 회전축을 구성함에 있어, 그 회전축의 하단은 나사부를 형성하고 선단에는 공구홈을 형성하며, 상기 경첩 몸체에는 회전축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공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그 경첩 몸체로부터 승강되게 구성함으로써,
방화문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이 최소로 돌출되게 하고, 방화문의 임시 설치 상태에서는 그 회전축을 최대로 돌출시켜 상기 방화문과 그 경첩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로 설치되게 함은 물론 상측 경첩과 방화문 간의 틈새가 극히 최소의 폭으로 발생하여 외관이 매우 우수하며, 상기 방화문을 제거하거나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하여 보다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어 매우 합리적인 특징을 갖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 문용 피보트 힌지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좌,우의 구분이 없으므로 인해 공급받는 쪽이나 공급하는 쪽 모두 불균형 재고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누구나 좌,우 구분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현장에서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용 경첩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용 경첩이 적용된 사용상태 상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용 경첩이 적용된 사용상태 하부 확대도이다.
굴절된 평판상의 수몸체(11) 일측단에 수직 입설된 회전축(12)이 형성된 대칭으로 된 한 쌍의 수부재(10)(10')와, 굴절된 평판상의 암몸체(21) 일측단에 관통 형태의 설치공(22)이 형성된 대칭으로 된 한 쌍의 암부재(20)(20')를 구비하여, 상기 수부재(10)(10')는 문틀프레임(1)의 일측 상,하단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암부재(20)(20')는 방화문(2)의 일측 상,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방화문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2)을 수몸체(11)로부터 분리하여 그 하부에는 나사부(13)를 형성하고 선단에는 요홈 형태의 공구홈(14)을 형성하며, 상기 수몸체(11)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축(12)의 나사부(13)가 결합되는 나사공(15)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공(15)으로 결합된 회전축(12)의 나사부(13)가 그 공구홈(14)을 이 용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부재(10)(10')로부터 상,하 승강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은 베어링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은 문틀프레임(1)에 장착되는 수부재(10)(10')와 방화문(2)에 장착되는 암부재(20)(20')로 각각 구분 형성되어 이들 수부재(10)(10')와 암부재(20)(20')는 문틀프레임(1)이나 방화문(2)의 일측면에 각각 대향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수부재(10)(10')와 암부재(20)(20')는 굴절 형상의 금속판재로 된 수몸체(11)와 암몸체(21)로 이루어지고 그 수몸체(11)에는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12)을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암몸체(21)에는 상기 회전축(12)이 삽입될 정도의 내경을 갖는 설치공(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문틀프레임(1)에 수부재(10)(1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방화문(2)의 암부재(20)(20')를 상기 수부재(10)(10')의 회전축(12)에 끼워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회전축(12)의 돌출 길이가 과도할 경우에는 방화문(2)을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우면서도 상측의 수부재(10)(10')와 암부재(20)(20')의 틈새가 매우 넓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한 수부재(10)(10')의 회전축(12)을 나사 구조로 개선하여 이를 통해 그 회전축(12)의 돌출 길이를 조절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상기한 수부재(10)(10')에 있어 그 수몸체(11)와 회전축(12)을 서로 분리 형성한 상태에서 회전축(12)의 하단에는 나사부(13)를 형성하고 그 회전축(12)이 형성되어 있던 본래의 수몸체(11) 위치에는 나사공(15)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12)의 나사부(13)가 그 나사공(15)에 결합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의 수부재(10)(10')를 이용하여 방화문(2)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한 회전축(12)을 회전시켜 그 대향 내폭으로 돌출된 상태의 회전축(12)을 최소 높이만을 갖도록 후퇴시킨 상태에서 그 방화문(2)의 암부재(20)(20')를 설치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그 회전축(12)이 최소한의 돌출 높이만을 갖고 있으므로 그 방화문(2)을 보다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그 회전문(12)의 일단에 형성된 공구홈(14)을 이용하여 그 회전축(12)을 역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축(12)이 방화문(2)의 암부재(20)(20')의 설치공(22)을 통과하여 보다 긴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전축(12)이 충분한 길이를 갖고 그 암부재(20)(20')의 설치공(22)을 지지하게 되므로 외부에서의 강한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수부재(10)(10')와 암부재(20)(20')의 상호 이탈이 발생하지 않아 도 4의 도시와 같이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공구홈(14)은 도시와 같이 일자 형태의 절개요홈으로 형성하였으나, 교차형상 또는 육각홈 형상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어 각종 모양의 단부를 갖는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그 회전축(12)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한 것이며, 하측 회전축(12)에 삽입되는 베어링(30)은 상기 방화문(2)의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회전개폐시 그 마찰력을 크게 줄여 보다 부드럽고 용이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경첩은 그 방화문을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 체결된 회전축(12)은 용이하게 승강 및 돌출측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경첩 간의 틈새가 현저히 줄어들어 외관이 매우 우수하며, 방화문과 문틀프레임 간의 지지력이 매우 뛰어나 외부에서의 강한 충격이나 압력 등으로부터 매우 안정적인 설치력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용 경첩은, 좌우로의 변경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 것인데, 좌개폐문을 우개폐문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단의 베어링(30)을 제거한 상태에서 방화문을 180°회전시킨 상태에서 다시 아랫부분에 상기한 베어링(30)을 끼운 상태에서 방화문을 설치하면 좌,우측에 구애 없이 양방향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공급하는 쪽이나 공급받는 쪽 모두 재고 부담이 크게 줄어 매우 합리적인 것이며, 현장에서 누구라도 편리한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은, 방화문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이 최소로 돌출되게 하고, 방화문의 임시 설치 상태에서는 그 회전축을 최대로 돌출시켜 상기 방화문과 그 경첩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로 설치되게 함은 물론 상측 경첩과 방화문 간의 틈새가 극히 최소의 폭으로 발생하여 외관이 매우 우수하며, 상기 방화문을 제거하거나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하여 보다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어 매우 합리적인 특징을 갖는 것이다.

Claims (1)

  1. 굴절된 평판상의 수몸체(11) 일측단에 수직 입설된 회전축(12)이 형성된 대칭으로 된 한 쌍의 수부재(10)(10')와, 굴절된 평판상의 암몸체(21) 일측단에 관통 형태의 설치공(22)이 형성된 대칭으로 된 한 쌍의 암부재(20)(20')를 구비하여, 상기 수부재(10)(10')는 문틀프레임(1)의 일측 상,하단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암부재(20)(20')는 방화문(2)의 일측 상,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방화문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2)을 수몸체(11)로부터 분리하여 그 하부에는 나사부(13)를 형성하고 선단에는 요홈 형태의 공구홈(14)을 형성하며, 상기 수몸체(11)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축(12)의 나사부(13)가 결합되는 나사공(15)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공(15)으로 결합된 회전축(12)의 나사부(13)가 그 공구홈(14)을 이용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부재(10)(10')로부터 상,하 승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
KR2020060026538U 2006-09-29 2006-09-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 KR200433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538U KR200433645Y1 (ko) 2006-09-29 2006-09-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538U KR200433645Y1 (ko) 2006-09-29 2006-09-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645Y1 true KR200433645Y1 (ko) 2006-12-12

Family

ID=4178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538U KR200433645Y1 (ko) 2006-09-29 2006-09-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6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367B2 (en) Hidden door hinge
US10077589B2 (en) Door catch
CA2931720C (en) Connecting device and shower door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ing device
IE86863B1 (en) Hinges
AU2016312973A1 (en) Window, shutter or door with adjustable mounting frame
CA2841281A1 (en) Door assembly
GB2490124A (en) Hinge permitting adjustment in a vertical, horizontal and compression direction
KR20043364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
KR100691406B1 (ko) 건축용 안전창문 구조
JP4322218B2 (ja) 建具枠の完全後付け工法
CN210008946U (zh) 一种框架和淋浴房
JP3574996B2 (ja) 開閉窓における障子の建付調整用金具
EP1298270A2 (en) Pivotable shutter panel assembly
KR20140144889A (ko) 접이식 창틀
JP6669555B2 (ja) 建具
KR200415881Y1 (ko) 이중창호
CN103132837B (zh) 一种门窗配件系统
JP7213715B2 (ja) 壁面構成体
JP2005105515A (ja) ブラインド式雨戸の取付構造
KR200198730Y1 (ko) 행거
KR200465205Y1 (ko) 유리문용 경첩
JP2008274686A (ja) 開閉窓
TW202311614A (zh) 門窗
JP3268255B2 (ja) 開口部装置
KR101994497B1 (ko) 창호부재 변형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