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881Y1 - 이중창호 - Google Patents

이중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881Y1
KR200415881Y1 KR2020060004819U KR20060004819U KR200415881Y1 KR 200415881 Y1 KR200415881 Y1 KR 200415881Y1 KR 2020060004819 U KR2020060004819 U KR 2020060004819U KR 20060004819 U KR20060004819 U KR 20060004819U KR 200415881 Y1 KR200415881 Y1 KR 200415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s
moving window
doubl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상
Original Assignee
박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상 filed Critical 박무상
Priority to KR2020060004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8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8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25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pins engaging 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두개의 창호이 미닫이 식으로 설치된 이중창호의 개폐가 용이가 용이하도록 상기 두개의 창호이 상호 연결 고정되어 있는 이중창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두개의 창호에 각각 시건을 위한 수단이 설치되는 경우 한번의 조작으로 각각의 창호에 설치된 시건수단이 동시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된 이중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중창호는 이동창문과 고정창문이 한쌍을 이루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가 적어도 두개 이상 마주하도록 설치된 이중 창호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의 사이에는 상호 연결 고정하여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복수개 설치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각각의 이동창문을 연결 고정하는 너트와,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의 사이에 상기 볼트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공의 관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이동창문의 고정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창, 시스템 창호, 연결

Description

이중창호{DOUBLE WINDOWS AND DOOR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일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이동창문 20 제2이동창문
30 이동레일 40 잠금수단
41 손잡이 43 걸림부
50 연결부 60 벽면 프레임
61 고정부 70 링크부
본 고안은 이중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두개의 창호이 미닫이 식으로 설치된 이중창호의 개폐가 용이가 용이하도록 상기 두개의 창호이 상호 연결 고정되어 있는 이중창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두개의 창호에 각각 시건을 위한 수단이 설치되는 경우 한번의 조작으로 각각의 창호에 설치된 시건수단이 동시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된 이중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구성되는 창호의 경우 크게 미닫이식 창호와 여닫이식 창호가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중 여닫이식 창호의 경우 창호의 밀폐성이 뛰어나고 튼튼하여 안전성이 있으나 창호을 열어도 하부 일부분 또는 측면 일부분이 열림으로 답답함을 느끼기 쉬워 고층건물이나 사무실 빌딩 등에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 가정이나 아파트의 경우 대부분 미닫이식 창호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내부 공간의 보온을 위해서 상기 미닫이 창호은 창의 전체 면을 통하여 많은 열량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대부분 이중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열의 손실을 최대한으로 방지하고 있으나 그 구조적 특성상 창호의 각 프레임의 틈새로 빠져나가는 열이 많아 현재 여러 가지의 단열 및 방음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이중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창호의 경우 레일이 설치된 창틀프레임에 그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2개 이상의 창호을 설치하여 구현되며, 창호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창호가 열려지거나 닫혀지게 된다. 이러한 미닫이식 창호의 경우 열려질 때 여닫이식 창호와 달리 답답함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닫이식 이중창호는 어느 한 창호가 열려 있는 경우 단열 및 방음에 대한 효율이 낮아져 각각의 창호가 닫힘으로 되어 있어야 하는 경우가 필수적인데, 각각의 창호를 개별적으로 열거나 닫아야 하므로 번거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미닫이식 이중창호는 어느 한 창호에만 시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창호는 열림과 닫힘상태에 대해 무관심해져 이중창호의 특징인 단열과 방음등의 효과를 전혀 누릴 수가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시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창호는 항상 어느 정도 열린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미관상 정리된 상태를 보여주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이중창호 각각에 시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시건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공간이 협소하여 각각의 시건장치를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창호가 미닫이 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창호의 개폐가 용이가 용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창호가 상호 연결 고정된 시스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개의 창호 중 적어도 하나의 창호에 시건수단이 설치된 이중창호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개의 창호 모두 시건수단이 설치되고 한개의 조작장치로 상기 두개의 시건수단을 동작하도록 하는 이중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중창호는 이동창문과 고정창문이 한 쌍을 이루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가 적어도 두개 이상 마주하도록 설치된 이중 창호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의 사이에는 상호 연결 고정하여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복수개 설치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각각의 이동창문을 연결 고정하는 너트와,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의 사이에 상기 볼트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공의 관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이동창문의 고정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이중창호에서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에는 상기 연결수단의 볼트가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은 수직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이중창호에서 상기 복수의 이동창문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된 제1이동창문에 잠금을 위해 설치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일정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동하여 손잡이가 회동될 때 잠금/해제가 이루어 지도록 상기 창문의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잠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이중창호는 상기 제1이동창문과 마주한 제2이동창문의 프레임 내부에는 잠금을 위한 잠금모듈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이동창문의 잠금모듈은 상기 제1이동창문에 설치된 손잡이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연장바에 의해 잠금/해제가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면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일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시스템 창호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 창호는 이동창문(10)과 고정창문(80)이 한쌍을 이루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된 레일(30)을 포함하는 창호가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각각의 이동창문(10)과 이동창문(20)이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10,20)의 사이에는 상호 연결 고정하여 사용자가 손잡이(41)를 취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때 동시에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연결부(50)가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이동창문(10)에는 잠금을 위한 잠금수단(40)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수단(40)은 일정각도로 왕복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손잡이(41)와, 상기 손잡이(41)의 회동에 잠금/해체가 이루어 지도록 창문의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잠금모듈(44)과, 상기 잠금모듈(44)의 동작에 따라 벽면 프레임(60)에 설치된 고정부(61)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수단(40)은 통상의 시스템 창호에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상세설명은 생 략한다.
상기 연결부(50)는 각각의 제1이동창문(10) 및 제2이동창문(20)의 프레임의 상하측에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볼트(51)와, 너트(53), 그리고 간격유지부재(5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창문(10)의 프레임 외측에서 볼트(51)를 관통 삽입하여 제2이동창문(20)의 프레임 외측까지 상기 볼트(51)가 돌출하도록 관통 삽입하고, 제2이동창문(20) 프레임의 외측에서 너트(53)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된 볼트(51)와 결합하여 상기 제1이동창문(10) 및 제2이동창문(20)을 상호 연결 고정한다. 이때, 볼트(51)의 나사부분에 간격유지부재(52)를 더 설치하여 각각의 창문(10,20)의 프레임이 볼트(51) 및 너트(53)의 조임으로 휨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각의 이동창문의 고정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50)는 상기 각각의 창문(10,20)의 프레임에 상하측에 복수개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각의 제1이동창문(10) 및 제2이동창문(20)의 프레임에는 상기 연결부(50)의 볼트(51)가 관통되도록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12)은 수직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50)의 설치시 2개의 이동창문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즉, 각각의 이동창문은 슬라이딩을 위해 별도의 레일상에 설치되는데, 연결하고자 하는 이동창문의 상호 높이가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높이가 일치하도록 설치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연결부(50)의 설치를 위한 구멍을 수직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이동창문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시스템 창호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1)를 취부하여 문을 개폐하려고 하는 경우, 종래 각각의 외측 창문 및 내측 창문을 별도로 슬라이딩 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음을 감안하여 각각의 외측 및 내측 창문의 프레임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50)를 구비하여 한번의 조작으로 내측 및 외측 창문을 모두 개폐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창호가 일정 높이 이상의 창문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51)가 실내측에 설치됨이 바람직 하고,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내에서 베란다와의 차단을 위한 샷시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제1이동창문(10)과 제2이동창문(20)의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손잡이(41)가 구비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 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창호가 이중으로 구비된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3중, 4중으로 구비된 시스템 창호에도 적용됨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도 4a 내지 4c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4a에는 상기 제2이동창문(20)의 프레임 내부에 별도의 잠금모듈(도면에 표시하지 않음) 및 걸림부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41)와 연결되어 손잡이(41)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2이동창문(20)의 잠금모듈을 동작하도록 하는 링크봉(70)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손잡이(41)의 회동에 따라서 제1이동창문(10)의 잠금모듈(44)의 동작과 동시에 제2이동창문(20)의 잠금모듈도 동작하도록 하여 창호의 본연의 기능인 시건기능의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 4b에는 제1이동창문(10)에 잠금모듈(44)이 설치된 일예를 보이고 있으며, 도 4c에는 제2이동창문(20)에만 잠금모듈(44)이 설치된 일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이동창문(10) 또는 제2이동창문(20)에 각각 잠금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50)와 링크봉(7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각각의 이동창문 사이의 설치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함도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시스템 창호는 한번의 조작으로 다중으로 구비된 창호가 동시에 열림과 닫히게 됨으로써, 종래 각각의 창문을 개별적으로 열거나 닫아야 하는 번거러움이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 창호는 외측 및 내측의 창문이 동시에 열림 또는 닫히게 됨으로서 창호를 닫은 경우 단열과 방음등의 효과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 창호는 각각의 외측 및 내측의 창문에 각각 시건을 위한 잠금수단이 설치되므로, 창호의 본연의 기능중에 하나인 시건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4)

  1. 이동창문과 고정창문이 한쌍을 이루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가 적어도 두개 이상 마주하도록 설치된 이중 창호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의 사이에는 상호 연결 고정하여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복수개 설치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각각의 이동창문을 연결 고정하는 너트와,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의 사이에 상기 볼트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공의 관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이동창문의 고정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창문에는 상기 연결수단의 볼트가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은 수직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창문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된 제1이동창문에 잠금을 위해 설 치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일정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동하여 손잡이가 회동될 때 잠금/해제가 이루어 지도록 상기 창문의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잠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창문과 마주한 제2이동창문의 프레임 내부에는 잠금을 위한 잠금모듈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이동창문의 잠금모듈은 상기 제1이동창문에 설치된 손잡이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연장바에 의해 잠금/해제가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
KR2020060004819U 2006-02-22 2006-02-22 이중창호 KR200415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819U KR200415881Y1 (ko) 2006-02-22 2006-02-22 이중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819U KR200415881Y1 (ko) 2006-02-22 2006-02-22 이중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881Y1 true KR200415881Y1 (ko) 2006-05-10

Family

ID=4176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819U KR200415881Y1 (ko) 2006-02-22 2006-02-22 이중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8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516B1 (ko) * 2015-03-27 2016-02-25 주식회사 효성금속 이중창형 미닫이 창문
KR20210128596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대현상공 동시 개폐형 이중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516B1 (ko) * 2015-03-27 2016-02-25 주식회사 효성금속 이중창형 미닫이 창문
KR20210128596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대현상공 동시 개폐형 이중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882B2 (en) Flush-mounting multipoint locking system
US6422287B1 (en) Slide/swing patio door
KR200436903Y1 (ko) 옆 바깥열기형 여닫이 창호
KR101339951B1 (ko)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리프트 앤드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EP3770368B1 (en) Folding door structure
KR20070083017A (ko) 복합 이중창호
KR100994430B1 (ko) 건축물용 단열 방범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200415881Y1 (ko) 이중창호
US7793463B1 (en) Plantation style security shutters
KR100828711B1 (ko) 발코니용 이중 창틀의 다중차단구조
KR200385577Y1 (ko) 방범창
KR101234284B1 (ko) 문짝 및 폐쇄창의 설치용 유리 실외 끼움 창호프레임 구조
KR100677937B1 (ko) 탈출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전방범창
KR102506892B1 (ko) 폴딩도어용 열교방지 창호프레임
KR101334224B1 (ko)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KR101793476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
KR200418951Y1 (ko) 슬라이드 창호의 창틀 프레임 구조
KR102186400B1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2141931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미닫이 창호 시스템
KR101987818B1 (ko)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KR100328412B1 (ko) 격자식 이중창호용 후레임
KR200413728Y1 (ko) 발코니용 이중 창틀의 다중차단구조
EP1298270A2 (en) Pivotable shutter panel assembly
EP3617430B1 (en) 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