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224B1 -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 Google Patents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4224B1 KR101334224B1 KR1020110070426A KR20110070426A KR101334224B1 KR 101334224 B1 KR101334224 B1 KR 101334224B1 KR 1020110070426 A KR1020110070426 A KR 1020110070426A KR 20110070426 A KR20110070426 A KR 20110070426A KR 101334224 B1 KR101334224 B1 KR 1013342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frame
- window
- insulation
- frame
- turn
- Prior art date
Links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SCWAEJMTAWNJL-UHFFFAOYSA-K aluminum chloride Substances Cl[Al](Cl)Cl VSCWAEJMTAWNJL-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41—Tilt-and-turn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2015/487—Tilting or swinging mo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벤트부 폴리아미드 단열재를 분할 형성하여 이중 단열시키고 벤트부 폴리아미드 단열재의 폭 및 창호 프레임의 폭을 최적화함으로써,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통해 발생하는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는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가 제공된다.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는, 창문이 창호 프레임(창틀)에서 틸트(Tilt)식 또는 턴(Turn)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 있어서, 각각 알루미늄 재질의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좌우 측면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픽스(Fix)부 및 벤트(Vent)부가 형성된 창호 프레임; 창호 프레임의 벤트부 외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분할된 제1 단열재; 제1 단열재에 인접하도록 창호 프레임의 벤트부 내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분할된 제2 단열재; 창호 프레임 내의 픽스부에 체결되는 제3 단열재; 및 창호 프레임의 외부 및 내부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창호 프레임의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 차단재를 포함하되, 제1 내지 제3 단열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 수지 단열재이고, 열교 차단재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턴-앤드-틸트(Turn and Tilt) 시스템 창호(System Window)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통해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도록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호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창호의 종류는 그 개폐 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호, 미서기 창호, 여닫이 창호, 회전 창호, 붙박이 창호, 겹 창호, 턴-앤드-틸트(Turn and Tilt) 창호, 기타 특수한 창호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최근 건축법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아파트 발코니의 합법적인 확장이 가능해지면서 발코니 확장에 대한 건설사와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창호에 비해 그 기능이 향상된 시스템 창호(System Window)를 시장에서 요구하게 되었다. 여기서, 시스템 창호란 단순히 미닫이로 열리는 방식 이외에 위로 조금 열거나 혹은 기울려 열거나 하는 개폐가 가능한 창호를 말한다.
따라서 창호업체는 2중 및 3중 창호 시스템을 도입하여 단열 및 결로를 보강한 고기밀성 창호 시스템을 발코니에 설치하고 있으며, 기존에 비해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을 개발하여 왔다.
한편, 턴-앤드-틸트(Turn and Tilt) 또는 틸트-앤드-턴(Tilt and Turn) 창호는 창틀에 설치되는 창문이 실내측 또는 실외측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턴-앤드-틸트 방식의 창호 시스템은 창틀에 장착된 창문의 윗부분을 반 개폐 상태로 열 수 있는 틸트(Tilt) 기능과 함께 창문을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하는 턴(Turn)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구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서 창문을 턴 방식으로 전환하여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창문을 틸트 방식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인 턴-앤드-틸트 창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조의 창문에 가변식 개폐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방식으로 열고 닫거나,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개폐장치와 연결된 레버를 단계적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창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턴-앤드-틸트 창호 시스템은 도 1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를 밑으로 돌려주면 창문(1)이 닫혀져 잠금 상태로 있게 되고, 레버(2)를 시계방향으로 1단계 돌려서 수평상태로 위치시키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이 턴 방식으로 개폐되며, 또는 레버(2)를 상부로 돌려주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이 틸트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2)의 후단에는 수직상으로 진퇴되는 승강로드(3)가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로드(3)의 상부에 설치된 클러치장치에 의해서 레버(2)의 구동력이 제어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턴-앤드-틸트 창호시스템의 창문(1)의 레버(2)를 돌리면 승강로드(3)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서 수평로드(5)가 진퇴 작동되어 전환 개폐수단을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5는 수평로드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6은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다.
한편, 단열 창호는 단열 및 방음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주거용 아파트, 주택 또는 사무실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단열 창호는 통상적으로 벽체에 일부가 내설되어 고정되는 창틀과 그 창틀에 결합되어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하는 창문틀로 구성된다. 그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PVC 등을 사용하고, 그 내부에는 열전도율이 작은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효율을 높이고, 창틀이나 창문틀에 단열을 위한 열교 차단재를 형성하기도 한다. 특히,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는 화재시에도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공공건물에는 필수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고급 주택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알루미늄 창호는 재질 자체가 열 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더라도 내외부의 열이 쉽게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단열이 어렵고 창호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10)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를 절개선으로 하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a의 B-B'를 절개선으로 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창호 프레임은 크게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수평 단면(20)은 좌측 프레임(21) 및 우측 프레임(22)으로 구분되고, 수직 단면(30)은 하부 프레임(31) 및 상부 프레임(32)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10)에서 알루미늄을 창호 프레임으로 사용할 경우, 도면부호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단열재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특성에 기인하여 창호 프레임을 통해 발생하는 열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다시 말하면, 턴-앤드-틸트 방식의 시스템 창호는 환기 기능과 미려한 입면 등의 이유로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에서 주로 적용되는 창호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 창호는 고층건물에서 필요한 내풍압 성능 등을 만족하기 위하여 주로 알루미늄을 창호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특성에 기인하여 프레임을 통해 발생하는 열손실이 발생하여 동계 결로 현상으로 인하여 실내 마감재에 손상을 끼치는 등 민원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최근 건물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하여 창호에서 높은 단열 성능을 현장에서 요구하고 있어 창호 프레임에서 적절한 열교 차단재에 의한 단열 처리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벤트부 폴리아미드 단열재를 분할 형성하여 이중 단열시키고 벤트부 폴리아미드 단열재의 폭 및 창호 프레임의 폭을 최적화함으로써,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통해 발생하는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는,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는, 창문이 창호 프레임(창틀)에서 틸트(Tilt)식 또는 턴(Turn)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 있어서,
각각 알루미늄 재질의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좌우 측면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픽스(Fix)부 및 벤트(Vent)부가 형성된 창호 프레임;
상기 창호 프레임의 벤트(Vent)부 외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제작시 분할되어 구성된 제1 단열재;
상기 제1 단열재에 인접하도록 상기 창호 프레임의 벤트(Vent)부 내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제작시 분할되어 구성된 제2 단열재;
상기 창호 프레임 내의 픽스(Fix)부에 체결되는 제3 단열재; 및
상기 창호 프레임의 외부 및 내부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의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 차단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 수지 단열재이고, 상기 열교 차단재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이며,
상기 제1 단열재의 폭은 26~30㎜이고,
상기 제3 단열재는 공기층이 없는 형태의 폴리아미드 수지 단열재이고,
상기 창호 프레임의 폭은 10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 알루미늄 재질의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좌우 측면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픽스(Fix)부 및 벤트(Vent)부가 형성된 창호 프레임;
상기 창호 프레임의 벤트(Vent)부 외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제작시 분할되어 구성된 제1 단열재;
상기 제1 단열재에 인접하도록 상기 창호 프레임의 벤트(Vent)부 내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제작시 분할되어 구성된 제2 단열재;
상기 창호 프레임 내의 픽스(Fix)부에 체결되는 제3 단열재; 및
상기 창호 프레임의 외부 및 내부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의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 차단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 수지 단열재이고, 상기 열교 차단재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이며,
상기 제1 단열재의 폭은 26~30㎜이고,
상기 제3 단열재는 공기층이 없는 형태의 폴리아미드 수지 단열재이고,
상기 창호 프레임의 폭은 10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재는 상기 창호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좌우 측면 프레임 내에 각각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창호 프레임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 차단재 삽입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 차단재는 상기 열교 차단재 삽입돌조의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홈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벤트부 폴리아미드 단열재를 분할 형성하여 이중 단열시키고 벤트부 폴리아미드 단열재의 폭 및 창호 프레임의 폭을 최적화함으로써,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통해 발생하는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단열 창호 프레임 구현을 통한 국부 열손실을 방지하여 결로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고성능 창호에 대한 정부시책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구조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서 창문을 턴 방식으로 전환하여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창문을 틸트 방식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평 단면을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평 단면과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직 단면을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직 단면과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를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와 비교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서 창문을 턴 방식으로 전환하여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창문을 틸트 방식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평 단면을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평 단면과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직 단면을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직 단면과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를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와 비교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일반적인 알루미늄 창호는 PVC 소재에 비해 낮은 단열성으로 수요 감소가 지속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알루미늄 창호는 최근 초고층건물과 커튼월 창호의 수요 증가로 인해 역학적 강도와 단열성 높은 소재와 결합을 통한 고단열 창호에 대한 시장요구에 대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고성능 창호에 대한 정부시책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고단열 창호 프레임 구현을 통한 국부 열손실을 방지하여 결로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가 제공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D-D'를 절개선으로 하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의 E-E'를 절개선으로 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100)는 창호 프레임(110), 창문 프레임(120), 글래스(130) 및 레버(1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조의 창문에 가변식 개폐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턴 방식으로 열고 닫거나, 또는 틸트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개폐장치와 연결된 레버를 단계적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창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창호 프레임은 크게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도 4b에 도시된 수평 단면(200)은 좌측 프레임(210) 및 우측 프레임(220)으로 구분되고, 도 4c에 도시된 수직 단면(300)은 하부 프레임(310) 및 상부 프레임(320)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100)는, 도 4b에서 도면부호 F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 프레임의 벤트(Vent)부 외측 및 내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분할된 제1 및 제2 폴리아미드 단열재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100)는, 벤트부 폴리아미드 단열재를 분할 형성하여 이중 단열시키고 벤트부 폴리아미드 단열재의 폭 및 창호 프레임의 폭을 최적화함으로써,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통해 발생하는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고, 고단열 창호 프레임 구현을 통한 국부 열손실을 방지하여 결로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평 단면을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평 단면과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평 단면(20)을 나타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평 단면(200)을 각각 나타낸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는, 도면부호 G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부 폴리아미드 단열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층의 형성되어 있는데,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은 재질 자체가 열 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더라도 내외부의 열이 쉽게 전도되며, 이러한 이유로 단열이 어렵고 창호에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는, 도면부호 H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 차단재가 상기 창호 프레임에 결합하게 되는데, 시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는, 창문이 창호 프레임(창틀)에서 틸트(Tilt)식 또는 턴(Turn)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로서, 창호 프레임은 각각 알루미늄 재질의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좌우 측면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픽스(Fix)부 및 벤트(Vent)부가 형성된다.
도면부호 2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호 프레임의 폭은 100㎜에서 105㎜로 최적화함으로써 창호 프레임의 단열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2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열재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벤트(Vent)부 외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분할됨으로써 창호 프레임의 단열을 증가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 단열재의 폭은 26㎜에서 30㎜로 최적화함으로써 창호 프레임의 단열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2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열재는 상기 제1 단열재에 인접하도록 상기 창호 프레임의 벤트(Vent)부 내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분할됨으로써 창호 프레임의 단열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2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단열재는 상기 창호 프레임 내의 픽스(Fix)부에 체결되어 창호 프레임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단열재는 공기층이 없는 형태의 폴리아미드 수지 단열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 수지 단열재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재는 상기 창호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좌우 측면 프레임 내에 각각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2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 차단재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외부 및 내부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의 열교를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열교 차단재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창호 프레임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 차단재 삽입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 차단재는 상기 열교 차단재 삽입돌조의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홈이 가공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직 단면을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직 단면과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평 단면(30)을 나타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의 수평 단면(300)을 각각 나타낸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는, 도면부호 3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호 프레임의 폭은 100㎜에서 105㎜로 최적화함으로써 창호 프레임의 단열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3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열재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벤트(Vent)부 외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분할됨으로써 창호 프레임의 단열을 증가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 단열재의 폭은 26㎜에서 30㎜로 최적화함으로써 창호 프레임의 단열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3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열재는 상기 제1 단열재에 인접하도록 상기 창호 프레임의 벤트(Vent)부 내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분할됨으로써 창호 프레임의 단열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3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단열재는 상기 창호 프레임 내의 픽스(Fix)부에 체결되어 창호 프레임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단열재는 공기층이 없는 형태의 폴리아미드 수지 단열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 수지 단열재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재는 상기 창호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좌우 측면 프레임 내에 각각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3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 차단재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외부 및 내부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의 열교를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열교 차단재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창호 프레임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 차단재 삽입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 차단재는 상기 열교 차단재 삽입돌조의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홈이 가공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인 창호는 프레임, 열교 차단재(Thermal Breaker), 단열 간봉(Spacer) 및 유리(Glass)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목재 프레임, 알루미늄 프레임 및 PVC(Poly Vinyl Chloride) 합성수지 프레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알루미늄 프레임은 높은 열전도율로 다른 재료보다 열손실량이 크다. 프레임 내부에 열교 차단재를 삽입하고 프레임과 유리창 틈새의 기류 유동 방지를 위해 개스킷(Gasket)을 사용한다.
합성수지 프레임은 단열 효과가 목재와 비슷한 수준이고 부식 저항이 크다. 통상적으로 내부 중공층에 단열재를 보강하여 사용하며, 대형창에 적용할 경우 보강재로서 스틸 사용이 필요하다.
열교 차단재는 프레임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열전도율이 낮은 비금속 단열재로 형성하여 연결함으로써 열의 흐름을 차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를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와 비교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는, 도 7 및 하기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인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서 창호 프레임의 열관류율은 1.579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서 창호 프레임의 열관류율은 1.314로 측정되었다. 여기서, 열관류는 열이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하여 공기층에서 공기층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말하며, 단위시간에 1㎡의 단면적을 1℃의 온도차로 있을 때 흐르는 열량을 열관류율이라 하며, K(kcal/㎡.h.℃)로 나타낸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서 글래스의 열관류율은 0.848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서 창호 프레임의 열관류율은 0.848로 동일하게 측정되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서 창호 전체의 열관류율은 1.291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서 창호 프레임의 열관류율은 1.007로 측정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
110: 창틀(창호 프레임)
120: 창문틀
130: 창유리
140: 레버
200: 수평 단면(Horizontal Section)
300: 수직 단면(Vertical Section)
210: 좌측 프레임
220: 우측 프레임
211: 창호 프레임
212: 벤트부의 분할된 제1 폴리아미드 단열재
213: 벤트부의 분할된 제2 폴리아미드 단열재
214: (공기층이 제외된) 픽스부의 제3 폴리아미드 단열재
215: PS(폴리스티렌)
310: 하부 프레임
320: 상부 프레임
311: 창호 프레임
312: 벤트부의 분할된 제1 폴리아미드 단열재
313: 벤트부의 분할된 제2 폴리아미드 단열재
314: (공기층이 제외된) 픽스부의 제3 폴리아미드 단열재
315: PS(폴리스티렌)
110: 창틀(창호 프레임)
120: 창문틀
130: 창유리
140: 레버
200: 수평 단면(Horizontal Section)
300: 수직 단면(Vertical Section)
210: 좌측 프레임
220: 우측 프레임
211: 창호 프레임
212: 벤트부의 분할된 제1 폴리아미드 단열재
213: 벤트부의 분할된 제2 폴리아미드 단열재
214: (공기층이 제외된) 픽스부의 제3 폴리아미드 단열재
215: PS(폴리스티렌)
310: 하부 프레임
320: 상부 프레임
311: 창호 프레임
312: 벤트부의 분할된 제1 폴리아미드 단열재
313: 벤트부의 분할된 제2 폴리아미드 단열재
314: (공기층이 제외된) 픽스부의 제3 폴리아미드 단열재
315: PS(폴리스티렌)
Claims (6)
- 창문이 창호 프레임(창틀)에서 틸트(Tilt)식 또는 턴(Turn)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턴-앤드-틸트 시스템 창호에 있어서,
각각 알루미늄 재질의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좌우 측면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픽스(Fix)부 및 벤트(Vent)부가 형성된 창호 프레임;
상기 창호 프레임의 벤트(Vent)부 외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제작시 분할되어 구성된 제1 단열재;
상기 제1 단열재에 인접하도록 상기 창호 프레임의 벤트(Vent)부 내측에 형성되고, 2중 단열을 위해 공간이 제작시 분할되어 구성된 제2 단열재;
상기 창호 프레임 내의 픽스(Fix)부에 체결되는 제3 단열재; 및
상기 창호 프레임의 외부 및 내부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의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 차단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 수지 단열재이고, 상기 열교 차단재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이며,
상기 제1 단열재의 폭은 26~30㎜이고,
상기 제3 단열재는 공기층이 없는 형태의 폴리아미드 수지 단열재이고,
상기 창호 프레임의 폭은 10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재는 상기 창호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좌우 측면 프레임 내에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 차단재 삽입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 차단재는 상기 열교 차단재 삽입돌조의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홈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0426A KR101334224B1 (ko) | 2011-07-15 | 2011-07-15 |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0426A KR101334224B1 (ko) | 2011-07-15 | 2011-07-15 |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9371A KR20130009371A (ko) | 2013-01-23 |
KR101334224B1 true KR101334224B1 (ko) | 2013-11-29 |
Family
ID=4783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0426A KR101334224B1 (ko) | 2011-07-15 | 2011-07-15 |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422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2853B1 (ko) | 2016-11-02 | 2017-05-04 |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 단열 창호 |
KR101876811B1 (ko) * | 2017-11-20 | 2018-07-11 | 주식회사 아사히알텍코리아 | 외부로 여닫이 개방과 하측 틸팅이 가능한 창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78606A (zh) * | 2018-06-29 | 2018-10-19 | 杭州联泓科技有限公司 | 门窗隔热连接结构、门窗及门窗制作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6712Y1 (ko) * | 2002-07-20 | 2002-12-05 | 주식회사 신탁스코리아 | 단열창호 |
KR100795711B1 (ko) * | 2007-07-09 | 2008-01-17 | 윤정배 | 배수 및 단열패널 결합이 용이한 복합창호 시스템 |
KR20100081841A (ko) * | 2009-01-07 | 2010-07-15 |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 시스템 창호 |
KR101027508B1 (ko) * | 2009-10-30 | 2011-04-06 | 재성알미늄(주) |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
-
2011
- 2011-07-15 KR KR1020110070426A patent/KR1013342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6712Y1 (ko) * | 2002-07-20 | 2002-12-05 | 주식회사 신탁스코리아 | 단열창호 |
KR100795711B1 (ko) * | 2007-07-09 | 2008-01-17 | 윤정배 | 배수 및 단열패널 결합이 용이한 복합창호 시스템 |
KR20100081841A (ko) * | 2009-01-07 | 2010-07-15 |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 시스템 창호 |
KR101027508B1 (ko) * | 2009-10-30 | 2011-04-06 | 재성알미늄(주) |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2853B1 (ko) | 2016-11-02 | 2017-05-04 |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 단열 창호 |
KR101876811B1 (ko) * | 2017-11-20 | 2018-07-11 | 주식회사 아사히알텍코리아 | 외부로 여닫이 개방과 하측 틸팅이 가능한 창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9371A (ko) | 2013-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9951B1 (ko) |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리프트 앤드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 |
JP6532608B2 (ja) |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 |
KR101482298B1 (ko) | 알루미늄과 피브이씨를 적용한 복합 미서기 이중창 시스템 창호 | |
KR101705626B1 (ko) | 단열 방화문 | |
KR101515801B1 (ko) |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 |
KR101370463B1 (ko) | 커튼월 | |
KR101588288B1 (ko) |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미닫이 창호 | |
KR100975604B1 (ko) | 단열성능이 개선된 알루미늄 프로젝트 및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 |
KR101331743B1 (ko) |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 |
KR101282458B1 (ko) | 건축물용 창호부 | |
KR101334224B1 (ko) |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 |
KR101395139B1 (ko) | 창호의 유리창 지지장치 | |
KR100795711B1 (ko) | 배수 및 단열패널 결합이 용이한 복합창호 시스템 | |
KR101515800B1 (ko) | 시스템 창호 | |
KR101101935B1 (ko) |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612412B1 (ko) |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 |
RU2562122C2 (ru) | Рама с улучшенными термоизоляцио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для проемов зданий | |
KR20220013883A (ko) |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 |
KR101793476B1 (ko) |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 | |
KR101515799B1 (ko) | 발코니 시스템창호 | |
KR102168659B1 (ko) | 단열 프로젝트 창호 | |
KR20180004524A (ko) | 루버 조립체 | |
KR20160109714A (ko) |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 |
KR101775561B1 (ko) | 링크를 활용하는 개폐창 | |
KR20210112716A (ko) | 단열성과 미관이 우수한 벤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