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801B1 -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 Google Patents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801B1
KR101515801B1 KR1020130056936A KR20130056936A KR101515801B1 KR 101515801 B1 KR101515801 B1 KR 101515801B1 KR 1020130056936 A KR1020130056936 A KR 1020130056936A KR 20130056936 A KR20130056936 A KR 20130056936A KR 101515801 B1 KR101515801 B1 KR 101515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project
fix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655A (ko
Inventor
강재식
최경석
최현중
김유민
김태중
하상범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6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80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는 외풍에 의하여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삼중으로 형성되는 픽스창과, 상기 픽스창을 고정하며 실외와 실내의 열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폴리아미드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삼중으로 형성되는 창과, 상기 창을 고정하며 상기 프레임과의 열교 방지를 위하여 피에스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Project System Window}
본 발명은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존 및 폴리아미드를 구비하여 열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 주거용 건축물에서 단열성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방식의 시스템 창호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란 단순히 미닫이로 열리는 방식 이외에 위로 조금 열거나 혹은 기울려 열거나 하는 개폐가 가능한 창호를 말한다. 이러한 시스템 창호는 고층건물에서 필요한 내풍압성능 등을 만족하기 위하여 주로 알루미늄을 창호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창호업체는 2중 및 3중 창호 시스템을 도입하여 단열 및 결로를 보강한 단열 창호를 개발하여 왔다.
이러한 단열 창호는 단열 및 방음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주거용 아파트, 주택 또는 사무실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단열 창호는 통상적으로 벽체에 일부가 내설되어 고정되는 창틀과 그 창틀에 결합되어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하는 창문틀로 구성된다. 그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PVC 등을 사용하고, 그 내부에는 열전도율이 작은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효율을 높이고, 창틀이나 창문틀에 단열을 위한 열교 차단재를 형성하기도 한다. 특히,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는 화재시에도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공공건물에는 필수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고급 주택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알루미늄 창호는 재질 자체가 열 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더라도 내외부의 열이 쉽게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9371 (2013. 01. 2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 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창호의 열 전도율을 차단하는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는 외풍에 의하여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삼중으로 형성되는 픽스창과, 상기 픽스창을 고정하며 실외와 실내의 열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폴리아미드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삼중으로 형성되는 창과, 상기 창을 고정하며 상기 프레임과의 열교 방지를 위하여 피에스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창은 상기 프레임의 수평길이방향 절반을 상기 픽스창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창은 외부 열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부위에 가스켓과, 상기 창의 하단에 형성되며 구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사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구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외측에 사선으로 형성된 구조용 프레임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과 상기 창의 실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트창을 개폐할 수 있는 레버를 구비하는 개폐프레임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과 상기 개폐프레임 사이에는 단열성능 향상을 위하여 제 2폴리아미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형성된 상기 픽스창과 하부에 형성된 상기 프로젝트창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픽스창과 상기 프로젝트창의 경계에 보조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창의 실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창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외프레임과, 상기 실외프레임과 상기 제 1폴리아미드에 의하여 구분되며 상기 창의 실내측에 형성되는 실내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아미드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실외프레임과 상기 실내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에 의한 열교를 방지하기 위한 단열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에 의하면, 알루미늄 창호의 프레임에 피에스 단열재를 구비하여 실외와 실내의 열교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종단면도의 단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횡단면도의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횡단면도의 단부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횡단면도의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를 모델링한 것을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로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는 상부에 구비되며 개폐되지 않는 픽스창(100)과 상기 픽스창(100)을 고정하는 프레임(300)과 상기 프레임(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개폐가능한 프로젝트창(2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픽스창(100)은 상기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의 상부에 형성되며 개폐가 되지 않는 창호일 수 있다. 상기 픽스창(100)은 개폐가 되지 않으므로 외풍에 의하여 균열 및 파손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스창(100)은 수평길이방향의 중간에 수직보조프레임(331)을 구조적으로 보강을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창(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창(100)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트창(200)은 수평길이방향의 절반에 설치하고 다른 절반은 픽스창(1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창(200)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에 도시된 하부픽스창(120)에도 프로젝트창(200)으로 변경할 수 있고, 상기 프로젝트창(200)과 상기 하부픽스창(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창(200)과 상기 하부픽스창(120)은 상부픽스창(110)과 동일하게 수직보조프레임(331)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창(200)은 실외 또는 실내로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트창(200)은 상부를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며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픽스창(100)과 상기 프로젝트창(20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가 벽체에 고정되거나 상기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픽스창(100)과 상기 프로젝트창(200)의 경계에 수평보조프레임(332)을 구비하여 상기 픽스창(100)과 상기 프로젝트창(200)을 구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종단면도의 단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횡단면도의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는 상부에 구비되며 개폐되지 않는 픽스창(100)과 상기 픽스창(100)을 고정하는 프레임(300)과 상기 프레임(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개폐가능한 프로젝트창(2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는 오피스 주거용 건축물에서 단열성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외풍 또는 내풍압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는 고단열 알루미늄 창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스창(100)은 외풍에 의하여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삼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스창(100)은 상부와 측면이 상기 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하부는 상기 보조프레임(3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스창(100)의 일 측면은 수직보조프레임(3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픽스창(100)의 창(10)은 삼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삼중으로 형성된 창(10)의 사이에는 상기 창(10)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간격재(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10)은 외부 열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300)과 결합되는 부위에 가스켓(600)을 구비하여 창(10)을 통해 전달되는 열이 프레임(30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600)은 상기 프레임(300)에 삽입되는 상기 창(10)과 상기 프레임(3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600)은 열전도율이 낮고 단열성능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창(200)은 상기 픽스창(100)의 창(10)과 동일하게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삼중으로 형성되는 창(10)과, 상기 창(10)을 고정하며 상기 프레임(300)과의 열교 방지를 위하여 피에스(500)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2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창(10)은 외부 열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300)과 결합되는 부위에 가스켓(600)과, 상기 창(10)의 하단에 형성되며 구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사이(7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600)은 상기 픽스창(100)의 창(10)에 설치한 가스켓(600)과 동일하게 상기 프로젝트창(200)의 창(10)과 프레임(30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오사이(700)는 상기 프로젝트창(200)의 창(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사이(700)를 상기 창(10)의 하단에 설치하므로 고층건물에 창(10)을 설치해도 상기 창(10)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구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외측에 사선으로 형성된 구조용 프레임(211)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211)과 상기 창(10)의 실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트창(200)을 개폐할 수 있는 레버(230)를 구비하는 개폐프레임(212)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211)과 상기 개폐프레임(212) 사이에는 단열성능 향상을 위하여 제 2폴리아미드(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조용 프레임(211)은 실외측에 사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창(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풍 또는 충격에 의하여 창(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프로젝트창(200)의 구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프레임(212)은 상기 프로젝트창(200)을 열고 닫거나 잠금을 할 수 있는 레버(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프레임(212)은 상기 프로젝트창(200)에 구비된 창(10)의 사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230)는 상기 개폐프레임(212)의 하단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개폐프레임(212)은 실내측과 실외측의 열이 프레임(300)을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피에스(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에스(510)는 폴리스티랜(Polystyrene; P.S)의 단열재로 프레임(300)과의 열교 방지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에스(500)는 상기 개폐프레임(212)이 상기 피에스(510)에 의하여 상기 개폐프레임(212)의 구조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에스틀(5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에스틀(510)은 상기 개폐프레임(212)과 상기 피에스(500)를 고정하여 상기 개폐프레임(212)의 구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용 프레임(211)과 상기 개폐프레임(212) 사이에는 단열 성능 향상을 위하여 제 2폴리아미드(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폴리아미드(420)는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 효과를 높이며 제 2폴리아미드(420)의 단부 사이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고정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용 프레임(211)과 상기 제 2폴리아미드(420)는 상기 프레임(300)과 접하는 방면으로 틈새 바람을 막기 위한 틈새가스켓(2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틈새가스켓(220)은 상기 구조용 프레임(211)과 상기 제 2폴리아미드(420)에 다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픽스창(100)과 상기 프로젝트창(200)을 고정하며 실외와 실내의 열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폴리아미드(4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픽스창(100)과 상기 프로젝트창(200)의 경계에 보조프레임(33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330)은 상기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픽스창(110)과 상기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프로젝트창(200)의 경계에 형성되며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보조프레임(332)과 상기 상부픽스창(110)과 상기 프로젝트창(200)을 절반으로 나누어 상기 상부픽스창(110)이 고정될 때 구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보조프레임(33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창(10)의 실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창(1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외프레임(310)과, 상기 실외프레임(310)과 상기 제 1폴리아미드(410)에 의하여 구분되며 상기 창(10)의 실내측에 형성되는 실내프레임(3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외프레임(310)은 실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픽스창(100)을 고정하여 상기 픽스창(10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내프레임(320)은 상기 실외프레임(310)과 상기 제 1폴리아미드(410)에 의하여 구분되고 볼트(800)에 의하여 상기 실외프레임(310)과 상기 제 1폴리아미드(410)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내프레임(320)은 프레임(300)과의 열교 방지를 위하여 피에스(500)를 씌울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아미드(410)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실외프레임(310)과 상기 실내프레임(320)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800)에 의한 열교를 방지하기 위한 단열공간(4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공간(440)은 상기 볼트(800)의 열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단열막(44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공간(440)의 측면에는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며 고정판을 구비하여 상기 제 1폴리아미드(410)의 단부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폴리아미드(4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아미드(410)는 상기 픽스창(100)이 삽입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 1폴리아미드(410)를 상기 프레임(3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폴리아미드(430)를 상기 단열공간(440)의 한 측면에만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로젝트창(200)과 같이 창(10)이 상기 프레임(300)에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폴리아미드(430)를 상기 단열공간(440)의 양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횡단면도의 단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횡단면도의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의 횡단면도는 상기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의 하부에 설치된 프로젝트창(200)과 하부픽스창(120)을 수평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프로젝트창(200)은 상기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의 수평길이방향의 절반에 형성되거나 수평길이방향의 중심에 형성된 수직보조프레임(331)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창(200)이 상기 수직보조프레임(331)의 한 측에 형성되면 상기 프로젝트창(200)의 반대 측면에는 픽스창(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 6 내지 도 9는 상기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의 하부에 상기 프로젝트창(200)과 상기 하부픽스창(120)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부픽스창(120)은 수평길이방향의 절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픽스창(120)은 좌우 어느 방향이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픽스창(120)은 삼중창(10)으로 형성되어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픽스창(120)의 측면은 프레임(3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픽스창(120)에 의하여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픽스창(120)은 상기 프레임(300)의 상기 실외프레임(310)과 상기 실내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된 제 1폴리아미드(410)가 설치되는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창(200)은 레버(230)에 의하여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트창(200)은 상기 수평보조프레임(332)에 고정되어 원운동을 하며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트창(200)은 상기 하부픽스창(120)과 동일하게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삼중창(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창(200)은 구조 성능 향상을 위하여 구조용 프레임(211)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틈새가스켓(2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하부픽스창(120)과 상기 프로젝트창(200)을 고정하며 실외와 실내의 열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폴리아미드(4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창(10)의 실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창(1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외프레임(310)과, 상기 실외프레임(310)과 상기 제 1폴리아미드(410)에 의하여 구분되며 상기 창(10)의 실내측에 형성되는 실내프레임(3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외프레임(310)은 실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픽스창(120)을 고정하여 상기 하부픽스창(12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내프레임(320)은 상기 실외프레임(310)과 상기 제 1폴리아미드(410)에 의하여 구분되고 볼트(800)에 의하여 상기 실외프레임(310)과 상기 제 1폴리아미드(410)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내프레임(320)은 프레임(300)과의 열교 방지를 위하여 피에스(500)를 씌울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를 모델링한 것을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는 알루미늄 프레임(300)으로 형성되어 높은 열전도율로 다른 재료보다 열손실량이 적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는 제 1 내지 제 2폴리아미드(410, 420)에 의하여 열교를 방지하여 외부의 열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창 100: 픽스창
200: 프로젝트창 300: 프레임
410: 제 1폴리아미드 420: 제 2폴리아미드
500: 피에스 600:가스켓
700: 오사이

Claims (14)

  1. 외풍에 의하여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삼중으로 형성되는 픽스창과,
    상기 픽스창을 고정하며 실외와 실내의 열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폴리아미드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삼중으로 형성되는 창과, 상기 창을 고정하며 상기 프레임과의 열교 방지를 위하여 피에스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로젝트창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트창은 상기 프레임의 수평길이방향 절반을 상기 픽스창으로 형성하고,
    상기 창은 외부 열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부위에 가스켓과,
    상기 창의 하단에 형성되며 구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사이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구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외측에 사선으로 형성된 구조용 프레임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과 상기 창의 실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트창을 개폐할 수 있는 레버를 구비하는 개폐프레임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과 상기 개폐프레임 사이에는 단열성능 향상을 위하여 제 2폴리아미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형성된 상기 픽스창과 하부에 형성된 상기 프로젝트창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픽스창과 상기 프로젝트창의 경계에 보조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창의 실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창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외프레임과,
    상기 실외프레임과 상기 제 1폴리아미드에 의하여 구분되며 상기 창의 실내측에 형성되는 실내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폴리아미드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실외프레임과 상기 실내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에 의한 열교를 방지하기 위한 단열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056936A 2013-05-21 2013-05-21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KR10151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936A KR101515801B1 (ko) 2013-05-21 2013-05-21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936A KR101515801B1 (ko) 2013-05-21 2013-05-21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655A KR20140136655A (ko) 2014-12-01
KR101515801B1 true KR101515801B1 (ko) 2015-05-04

Family

ID=5245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936A KR101515801B1 (ko) 2013-05-21 2013-05-21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8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40U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건원 단열 향상형 프로젝트 창호
KR102296504B1 (ko) 2021-04-05 2021-09-01 고성수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946B1 (ko) * 2019-02-18 2020-07-20 김봉균 단열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창호
KR102095390B1 (ko) * 2019-07-15 2020-03-31 문수용 프로젝트 창호
KR102638515B1 (ko) * 2021-04-30 2024-02-19 김재욱 단열성능 및 결속력이 향상된 커튼월 어셈블리
KR102602236B1 (ko) * 2021-10-20 2023-11-16 주식회사 케이씨씨 환기창을 구비한 창호
KR102442044B1 (ko) * 2022-03-03 2022-09-22 주식회사 한동창호 힌지식 프로젝트 창이 구비된 단열 커튼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873Y1 (ko) * 2006-04-27 2006-07-06 주식회사동양강철 알루미늄 합금 서브프레임과 합성수지 서브프레임이 결합된슈퍼 윈도우 프레임
KR101094066B1 (ko) * 2011-07-25 2011-12-15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873Y1 (ko) * 2006-04-27 2006-07-06 주식회사동양강철 알루미늄 합금 서브프레임과 합성수지 서브프레임이 결합된슈퍼 윈도우 프레임
KR101094066B1 (ko) * 2011-07-25 2011-12-15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40U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건원 단열 향상형 프로젝트 창호
KR102296504B1 (ko) 2021-04-05 2021-09-01 고성수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655A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801B1 (ko)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308360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101609246B1 (ko)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KR101398622B1 (ko) 창문의 커튼 월 단열장치
KR101339951B1 (ko)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리프트 앤드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0975604B1 (ko) 단열성능이 개선된 알루미늄 프로젝트 및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200465678Y1 (ko) 방화문 기밀 구조
KR101094581B1 (ko) 시스템 창호
KR101282458B1 (ko) 건축물용 창호부
KR101900052B1 (ko) 방화문을 이용한 단열장치
CN102797405B (zh) 一种通风隔声的副框型材
KR20130115608A (ko) 구조적인 강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의 단열 샤시구조체
WO2012097908A1 (en) Enclosure system with thermal barrier for hvac air handling units
KR101515800B1 (ko) 시스템 창호
US114861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sulating structural building components
KR101591899B1 (ko)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JP2010285791A (ja) 建築用シール部材
KR20190048501A (ko) 차열용 방화문
KR101395139B1 (ko) 창호의 유리창 지지장치
KR101334224B1 (ko)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JP6259344B2 (ja) 複合建具の固定部材と複合建具
KR101515799B1 (ko) 발코니 시스템창호
KR101287796B1 (ko) 단열 시스템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