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458B1 - 건축물용 창호부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창호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458B1
KR101282458B1 KR1020110089162A KR20110089162A KR101282458B1 KR 101282458 B1 KR101282458 B1 KR 101282458B1 KR 1020110089162 A KR1020110089162 A KR 1020110089162A KR 20110089162 A KR20110089162 A KR 20110089162A KR 101282458 B1 KR101282458 B1 KR 101282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frame
heat transfer
window
blocking member
transfe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695A (ko
Inventor
정선미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45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창호부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창호부와;
상기 창호부의 섀시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개재되어 상호간의 열전도율을 낮추도록 하는 일정두께의 열전달 차단부재 및;
상기 섀시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창호부를 타고 흐르는 물이 상기 섀시프레임과 열전달 차단부재 및 열전달 차단부재와 벽체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물받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창호부의 섀시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열전도율이 낮은 열전달 차단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단열효과가 매우 우수해짐은 물론, 창호부의 외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 등이 실내로 스며들거나 단열재와 벽체 사이 등으로 스며드는 누수를 예방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창호부{Windows and doors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용 창호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용 창호부의 섀시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와의 열전달을 차단시킴으로써, 실내외 온도편차가 클 경우에도 건축물의 단열성능이 우수하도록 함은 물론, 섀시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와의 사이로 빗물 등이 스며드는 것을 예방하여 실내로의 누수 및 오염 등을 방지하도록 한 건축물용 창호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오피스텔 및 단독주택 등의 주거용 건축물을 비롯하여 사무용 빌딩 등은 환기 및 채광을 위하여 창호부가 설치된다.
또한, 최근에는 단열성능 향상으로 냉난방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건축물의 시공이 장려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벽체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단열효과를 높이고 있다.
건축물의 단열공법으로는 내단열, 중단열, 외단열공법이 있는데, 내단열공법은 단열재의 단절로 인해 열교 발생을 초래하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국가의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조에 발맞추어 건물에너지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초공사 후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건물 에너지성능을 향상시키고 열교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외단열공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 창호부는 건축물의 벽체를 관통하도록 설정크기로 설치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창호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 또는 여닫이가 가능한 창문(12)과, 이 창문(12)을 개폐가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벽체(20)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섀시프레임(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단열재(30)는 창호부(10)를 제외한 콘크리트 벽체(20)의 외면에 대해서만 설치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 벽체(20)는 건축물의 실내외 온도편차가 클 경우에도 단열성능을 확보하게 된다.
여기서, 창문을 지지하는 섀시프레임(14)이 콘크리트 못 등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체(20)에 대하여 박음,고정됨에 따라 창호부(10)가 벽체(20)에 대하여 고정,설치된다.
그러나,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성형된 것이 대부분이고, 이와 같은 알루미늄재의 섀시프레임은 열전도율이 매우 높음으로 인하여 건축물 실내의 단열성능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예컨대, 동절기에 실내난방을 실시할 경우, 실외의 온도는 낮고 실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되는바,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은 높은 열전도율에 의해 실외의 차가운 외기의 온도를 그대로 흡수하여 이를 콘크리트 벽체(20)에 전달하게 됨으로써, 실내의 공기는 차가운 외기의 영향을 받게 되고, 반대로 실내의 따뜻한 공기는 콘크리트 벽체(20)를 통해 열전도율이 높은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실내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절기에 실내냉방을 실시할 경우에는, 실외의 온도가 높고 실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되는바,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은 높은 열전도율에 의해 실외의 더운 외기의 온도를 그대로 흡수하여 이를 콘크리트 벽체(20)에 전달하게 됨으로써, 실내의 공기는 더운 외기의 영향을 받게 되고, 반대로 실내의 차가운 공기는 콘크리트 벽체(20)를 통해 열전도율이 높은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실내의 단열성능이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이 콘크리트 벽체(20)와 직접 접촉될 경우, 건축물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가 올 경우, 창호부(10)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 섀시프레임(14)과 벽체(20) 사이와, 단열재(30)와 벽체(20) 사이로 스며드는 등, 누수의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곰팡이가 스는 등 오염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창호부의 섀시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열전도율이 낮은 열전달 차단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단열효과가 매우 우수하게 되는 건축물용 창호부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부의 외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 등이 실내로 스며들거나 단열재와 벽체 사이로 스며드는 누수를 예방하기 위한 건축물용 창호부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는, 건축물의 외벽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창호부와; 상기 창호부의 섀시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개재되어 상호간의 열전도율을 낮추도록 하는 일정두께의 열전달 차단부재 및; 상기 섀시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창호부를 타고 흐르는 물이 상기 섀시프레임과 열전달 차단부재 및 열전달 차단부재와 벽체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물받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물받이는, 상기 섀시프레임의 외면과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낙하유도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의 결합부는 서로 나란하게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섀시프레임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되,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섀시프레임의 안쪽에 형성된 홈에 삽입,고정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에 의하면, 창호부의 섀시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열전도율이 낮은 열전달 차단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섀시프레임과 콘크리트 간의 열교를 차단하여 단열효과가 매우 우수해지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부의 외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 등이 실내로 스며들거나 단열재와 벽체 사이 등으로 스며드는 누수를 예방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에 창호부가 설치된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를 도시한 분리단면도.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도 2의 건축물용 창호부에서 물받이가 설치된 관계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를 도시한 분리단면도.
도 7은 도 4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도 6의 건축물용 창호부에서 물받이가 설치된 관계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9는 도 9의 결합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 물받이가 섀시프레임에 대하여 결합되는 다른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제 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를 도시한 분리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는, 건축물의 외벽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20)와, 이 콘크리트 벽체(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창호부(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창호부(10)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가 가능한 창문(12)과, 이 창문(12)을 개폐가 가능하게 지지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섀시프레임(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과 콘크리트 벽체(20) 사이에는 상호간의 열전도율을 낮추도록 하는 일정두께의 열전달 차단부재(100)가 개재되어 있는데, 이 열전달 차단부재(100)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은 목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100)로서 목재를 대신하여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의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벽체(20)의 외면과, 열전달 차단부재(100) 및 섀시 프레임(14)의 외면에 걸쳐 외단열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과 콘크리트 벽체(20) 사이에 열전달 차단부재(100)가 설치되면,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과 콘크리트 벽체(20)의 열전달이 차단됨으로써, 건축물의 실내외 온도편차가 크더라도 단열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예컨대, 동절기에 실내난방을 실시할 경우, 실외의 온도는 낮고 실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되는데, 이때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은 높은 열전도율에 의해 실외의 차가운 외기의 온도를 그대로 흡수하더라도 콘크리트 벽체(20) 사이에 설치된 열전달 차단부재(100)에 의해 그 냉기가 콘크리트 벽체(20)에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실내의 공기는 차가운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또한 실내의 따뜻한 공기는 콘크리트 벽체(20)를 통해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100)에 의해 열전달이 차단되어 열전도율이 높은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으로 그대로 전달되지 않아 실내의 온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음으로써, 실내의 단열성능이 유지되게 된다.
반대로, 하절기에 실내냉방을 실시할 경우에는, 실외의 온도가 높고 실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되는데, 이때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은 높은 열전도율에 의해 실외의 더운 외기의 온도를 그대로 흡수하더라도 콘크리트 벽체(20) 사이에 설치된 열전달 차단부재(100)에 의해 그 열기가 콘크리트 벽체(20)에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실내의 공기는 더운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또한 실내의 차가운 공기는 콘크리트 벽체(20)를 통해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100)에 의해 열전달이 차단되어 열전도율이 높은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으로 그대로 전달되지 않아 실내의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음으로써, 실내의 단열성능이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이 콘크리트 벽체(20)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그 사이에 열전달 차단부재(100)가 설치됨으로써, 건축물의 단열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에서 물받이가 설치된 관계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부의 섀시프레임(14) 외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진 물받이(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200)는, 섀시프레임(14)의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결합부(202)와, 이 결합부(202)의 끝단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경사부(206)와, 이 경사부(206)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낙하유도부(20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비가 내려 빗물이 창호부(10)의 외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게 될 경우, 빗물이 물받이(200)의 결합부(202)를 따라 경사부(206)를 타고 아래로 흐르게 되며, 이와 같이 경사부(206)를 타고 흐른 빗물은 다시 수직방향의 낙하유도부(204)를 통해 아래로 낙하됨으로써, 빗물이 섀시프레임(14)과 열전달 차단부재(100) 사이, 단열재(30)와 열전달 차단부재(100) 사이, 단열재(30)와 벽체(20) 사이, 열전달 차단부재(100)와 벽체(20) 사이로 스며들지 않아 누수가 예방됨은 물론 열전달 차단부재(100)의 오염예방도 이루어지게 된다.
<제 2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를 도시한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제 1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에서는, 열전달 차단부재(100)의 일면 전체가 콘크리트 벽체(20)와 접촉되지 않고, 일면 중 일부면만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과 콘크리트 벽체(20)와의 열차단이 보다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는 그 끝단부 내면쪽에 수직면(32)과 수평면(34)을 갖도록 안쪽으로 패인 절개부(36)가 형성된 외단열재(30)가 적용된다. 이 절개부(36)의 수평면(34)에는 열전달 차단부재(100)의 일면 중 일부면이 밀착,고정되고,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100)의 일면 중, 나머지 일부면은 콘크리트 벽체(20)와 면접촉을 이루고 있다.
또한, 외단열재(30)의 절개부(36) 수직면(32)에는 열전달 차단부재(100)와 섀시 프레임(14)의 외면이 밀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100)의 일면 중, 전체면이 아닌 일부면만 콘크리트 벽체(20)에 대하여 밀착,고정됨으로써, 열전달 차단부재(100)와, 이 열전달 차단부재(100)에 의해 지지되는 창호부(10)의 지지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100)는 ㄱ자형 브래킷(110)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20)와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형 브래킷(110)의 수평면(114)은 콘크리트 못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열전달 차단부재(100)와 결합되고, ㄱ자형 브래킷(110)의 수직면(112)은 콘크리트 못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20)의 외면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100)의 일면 중, 일부면만 콘크리트 벽체(20)와 면접촉을 이루더라도 안정되게 고정,설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의 경우에도, 앞선 제 1실시 예에서와 같이,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이 콘크리트 벽체(20)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그 사이에 열전달 차단부재(100)가 설치됨으로써, 건축물의 단열성능이 향상되게 되는 작용효과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작동관계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의 경우, 열전달 차단부재(100)의 일면 전체가 콘크리트 벽체(20)와 접촉되지 않고, 일면 중 일부면만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창호부(10)의 섀시프레임(14)과 콘크리트 벽체(14)와의 열차단이 보다 확실히 이루어짐으로써, 앞선 제 1실시 예에서보다 더욱 향상된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창호부에서 물받이가 설치된 관계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부의 섀시프레임(14) 외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진 물받이(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200)는, 섀시프레임(14)의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결합부(202)와, 이 결합부(202)의 끝단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경사부(206)와, 이 경사부(206)의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낙하유도부(20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비가 내려 빗물이 창호부(10)의 외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게 될 경우, 빗물이 물받이(200)의 결합부(202)를 따라 경사부(206)를 타고 아래로 흐르게 되며, 이와 같이 경사부(206)를 타고 흐른 빗물은 다시 수직방향의 낙하유도부(204)를 통해 아래로 낙하됨으로써, 빗물이 섀시프레임(14)과 열전달 차단부재(100) 사이, 열전달 차단부재(100)와 단열재(30) 사이, 단열재(30)와 벽체(20) 사이, 열전달 차단부재(100)와 벽체(20) 사이로 스며들지 않아 누수가 예방됨은 물론 열전달 차단부재(100)의 오염예방도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 물받이가 섀시프레임에 대하여 결합되는 다른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는, 물받이(200)가 섀시프레임(14)의 외면에 결합수단으로부터 직접 접촉되게 결합되어 있는바, 물받이(200)의 결합부(202)와 섀시프레임(14)의 외면 사이로 빗물이 스며들 우려가 있을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물받이(200)의 결합부(202)를 이중으로 설치하되, 제1결합부(202a)는 섀시프레임(14)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하고, 나란한 제2결합부(202b)는 섀시프레임(14)의 안쪽에 홈(도면부호 미부여)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삽입,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누수를 보다 완벽하게 차단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창호부 12 : 창문
14 : 섀시프레임 20 : 콘크리트 벽체
30 : 외단열재 32 : 수직면
34 : 수평면 36 : 절개부
100 : 열전달 차단부재 110 : 브래킷
112 : 수직면 114 : 수평면
200 : 물받이 202 : 결합부
202a : 제1결합부 202b : 제2결합부
204 : 낙하유도부 206 : 경사부

Claims (3)

  1. 건축물의 외벽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창호부와;
    상기 창호부의 섀시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개재되어 상호간의 열교를 차단하는 일정두께의 열전달 차단부재 및;
    상기 섀시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창호부를 타고 흐르는 물이 상기 섀시프레임과 열전달 차단부재 및 열전달 차단부재와 벽체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물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물받이는
    상기 섀시프레임의 외면과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낙하유도부로 구성되며,
    상기 물받이의 결합부는 서로 나란하게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섀시프레임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되,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섀시프레임의 안쪽에 형성된 홈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창호부.
  2. 삭제
  3. 삭제
KR1020110089162A 2011-09-02 2011-09-02 건축물용 창호부 KR101282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62A KR101282458B1 (ko) 2011-09-02 2011-09-02 건축물용 창호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62A KR101282458B1 (ko) 2011-09-02 2011-09-02 건축물용 창호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695A KR20130025695A (ko) 2013-03-12
KR101282458B1 true KR101282458B1 (ko) 2013-07-04

Family

ID=4817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162A KR101282458B1 (ko) 2011-09-02 2011-09-02 건축물용 창호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4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04B1 (ko) * 2013-11-01 2014-05-15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KR101573011B1 (ko) 2014-09-16 2015-1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블라인드
KR20160109314A (ko) * 2015-03-11 2016-09-21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 구조체
KR101802190B1 (ko) * 2015-09-16 2017-11-29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KR20190036860A (ko) 2017-09-28 2019-04-05 김웅회 창호 상하부프레임 및 벽체 사이의 열교차단에 의한 창호단열구조
KR20220063398A (ko) 2020-11-10 2022-05-17 김웅회 벽체 및 창틀 주변 누수 방지를 위한 외벽 마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10017A (ko) 2021-01-29 2022-08-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의 발코니 설치 단열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46B1 (ko) * 2015-03-04 2015-06-03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따뜻한 집 건축을 위한 창틀 단열 공법
KR102547588B1 (ko) * 2022-04-18 2023-06-26 송문종 안정적인 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공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05Y1 (ko) 2000-04-11 2000-09-15 주식회사기린산업 창호
JP2006152684A (ja) * 2004-11-29 2006-06-15 Sekisui Chem Co Ltd 窓枠部構造
KR200440801Y1 (ko) * 2007-03-26 2008-07-02 강영환 건물 외벽 패널
KR100864513B1 (ko) 2007-01-16 2008-10-20 (주) 대동종합건설 누수방지를 위한 창호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05Y1 (ko) 2000-04-11 2000-09-15 주식회사기린산업 창호
JP2006152684A (ja) * 2004-11-29 2006-06-15 Sekisui Chem Co Ltd 窓枠部構造
KR100864513B1 (ko) 2007-01-16 2008-10-20 (주) 대동종합건설 누수방지를 위한 창호설치구조
KR200440801Y1 (ko) * 2007-03-26 2008-07-02 강영환 건물 외벽 패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04B1 (ko) * 2013-11-01 2014-05-15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KR101573011B1 (ko) 2014-09-16 2015-1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블라인드
KR20160109314A (ko) * 2015-03-11 2016-09-21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 구조체
KR101666822B1 (ko) 2015-03-11 2016-10-27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 구조체
KR101802190B1 (ko) * 2015-09-16 2017-11-29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KR20190036860A (ko) 2017-09-28 2019-04-05 김웅회 창호 상하부프레임 및 벽체 사이의 열교차단에 의한 창호단열구조
KR20220063398A (ko) 2020-11-10 2022-05-17 김웅회 벽체 및 창틀 주변 누수 방지를 위한 외벽 마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10017A (ko) 2021-01-29 2022-08-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의 발코니 설치 단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695A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458B1 (ko) 건축물용 창호부
Roberts Altering existing buildings in the UK
CA2951367C (en) Structure for blocking heat transfer through thermal bridge of curtain wall building
KR101219849B1 (ko)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
CN102797405B (zh) 一种通风隔声的副框型材
KR101220044B1 (ko)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
KR101578860B1 (ko) 외벽체 창호 시스템 및 그의 설치 방법
Cooperman et al. Home envelope retrofits
KR101612412B1 (ko)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KR101793476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
KR101334224B1 (ko)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KR20210130668A (ko) 창호 개구부의 누수방지용 마감재
CN203515146U (zh) 一种带卷帘的铝塑木复合窗保温装置
CN101476355B (zh) 节能型机房或基站外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219927B1 (ko)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
KR200448090Y1 (ko) 개선된 단열구조를 갖는 창틀프레임
KR101504469B1 (ko) 슬림타입 창호 프레임
KR20140063542A (ko) 공동주택 외단열을 위한 이중 외피구조 방식의 외장패널 유닛공법
CN209179667U (zh) 被动房建筑节能外窗
KR101219912B1 (ko)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
CN203515147U (zh) 一种铝塑木复合窗保温装置
CN107165293B (zh) 无冷桥的墙体边缘结构及施工工艺
CN206844354U (zh) 无冷桥的墙体边缘结构
Shi et al. Key Technologies and Trends of Passive Buildings
JP3186830U (ja) 遮断網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