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190B1 -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 Google Patents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190B1
KR101802190B1 KR1020150130741A KR20150130741A KR101802190B1 KR 101802190 B1 KR101802190 B1 KR 101802190B1 KR 1020150130741 A KR1020150130741 A KR 1020150130741A KR 20150130741 A KR20150130741 A KR 20150130741A KR 101802190 B1 KR101802190 B1 KR 10180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all
insulating layer
window frame
foam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991A (ko
Inventor
임희정
이명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한국록셀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한국록셀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3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1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41Elements for window or door openings, or for corner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는 개구 상측 주연 단부에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지는 탄산칼슘계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 무기 발포체가 위치함과 아울러, 그 상부에는 글래스울과 같은 불연재가 위치하므로, 화재 시 상방을 향하는 불길과 고열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글래스울의 상방에 위치하는 난연성 유기 발포체에 대한 연소를 효과적으로 지연 내지 차단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본질적으로 외단열 구조로서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을 이용하여 창호가 외단열체 상에 견고하게 설치되며 우수한 열교차단성 및 기밀성을 보유한다.

Description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PERIPHERAL STRUCTURE OF OPENING PART IN OUTSIDE INSULATION WALL}
본 발명은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열교 차단성 및 기밀성과, 불연성을 지니는 외단열 벽체의 창호 설치용 개구에 인접한 주연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단열 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창호의 시공은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벽체 시공 시 미리 형성시킨 개구부에 창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벽체 단부에 브래킷을 설치하여 창호를 지지토록 하는 한편, 창호와는 별개로 외단열 시공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전형적인 외단열 벽체에 대한 창호 시공 방법의 예로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06640호(2000.02.07. 공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플래싱(flashing) 및 그 시공방법을 들 수 있다.
그 기본 구조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1)에 형성된 창호 설치용 개구의 내주연부에 창호틀(도면부호 미기재)을 직접 설치하는 한편, 콘크리트 벽체(11)의 외표면에 프라이머 모르타르 접착층(12)을 형성한 다음, 상품명 스티로폼과 같은 유기 발포판재로 된 단열재(13)를 접착하고, 창호턱(10)과 벽면에 프라이머 모르타르 접착층(14)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보강 메쉬망(15)을 붙인 후, 다시 프라이머 모르타르 접착층(16)을 형성한 다음, 최종적으로 다양한 질감을 가지는 아크릴 합성수지가 포함된 화학적 마감층(17)을 형성시키는, 소위 ‘드라이비트(dryvit)’로 알려져 있는 외단열 미장 마감 시스템(EIFS: exterior insulation finishing system)을 적용하되, 위의 프라이머 모르타르 접착층(16)의 중간에 창호 플래싱(24)을 위치시키고 스크류(21)를 고정공(24a)에 끼워 고정하는 것에 의해 빗물에 의한 외벽 오염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창호가 콘크리트 벽체(11)의 개구 내에 직접 설치되므로 열교 차단 효과가 열등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 발포판재인 단열재(13)는 무기재인 콘크리트 벽체(11)에 대한 접착성이 열등하므로 화학적 유기 접착제와 모르타르를 혼합한 접착제층(12,14,16)의 사용이 불가피하며 강도 보강용 망체(15)와 화학적 마감층(17)을 사용하고 있는 관계로 화재와 외부 충격에 취약하며, 특히 화재 시 불길이 순식간에 번지며 다량의 유해 연기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불연성 내지 난연성이며 우수한 단열 및 기밀 효과를 나타내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당업계에 요청되어 왔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06640호(2000.02.0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연성 내지 난연성과 우수한 열교 차단성 및 기밀성을 지니는 상측 주연부 구조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목적에 더하여 불연성 내지 난연성과 우수한 열교 차단성 및 기밀성을 지니는 상측 및 하측 주연부 구조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체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외단열층 하부의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무기 발포체 사이에 위치하는 불연재와, 상기한 외단열층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단턱부를 가지는 하측 무기 발포체로 구성되는 불연부와; 상기한 하측 무기 발포체의 단턱부에 상단부가 장착되는 창호틀로 구성되는 개구 상측 주연부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창호틀은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평부에 고정되고, 상기한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직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하측 무기 발포체의 단턱부와 창호틀 사이에는 팽창형 밴드가 위치하고, 상기한 팽창형 밴드의 하방에는 코킹이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하단과 그에 인접한 창호틀에는 기밀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외단열층의 외측 무기 발포체와 하측 무기 발포체의 외표면에는 마감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내표면과 하단부 표면에는 시멘트 모르타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두 번째 목적은 하기하는 다양한 구성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개구 상측 주연부 구성에 더하여, 콘크리트 벽체 및 그에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고, 내측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와; 상기한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유기 발포체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보호 모르타르와 마감재로 구성되는 개구 하측 주연부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전술한 개구 상측 주연부 구성에 더하여, 콘크리트 벽체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고, 내측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와; 상기한 외측 무기 발포체의 외표면에 붙임 모르타르를 개재하여 부착되는 타일로 구성되는 개구 하측 주연부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전술한 개구 상측 주연부 구성에 더하여,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및,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고, 내측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유기 발포체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및 시멘트 모르타르와 마감재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방수층 및 보호 모르타르와 시멘트 모르타르, 그리고 테라조 타일로 구성되는 개구 하측 주연부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상기한 열교차단재 및 창호틀의 하단부는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ㄱ자 형태로 뒤집힌 수평부 상에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수직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는 열교차단재의 외측면 및 내측면은 각각 압착 모르타르 및 측면 완충재에 접촉하여 위치하고, 상기한 외단열층의 상단부에는 플래싱이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는 열교차단재의 외측면은 압착 모르타르를 개재하여 외단열층과 연결되고,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는 시멘트 모르타르가 적층되고,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 상면의 시멘트 모르타르 상에는 마감재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연장 단부에 안전 난간이 설치된 상향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연장 단부 하단부에는 물끊기 홈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개구 하측 주연부의 외단열층의 상면과 창호틀의 하단 측부 사이에는 팽창형 밴드가 위치하고, 상기한 팽창형 밴드의 상방에는 코킹이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한 개구 하측 주연부의 콘크리트 벽체의 상단 주연면과 창호틀의 하단 측부에는 기밀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전술한 개구 상측 주연부 구성에 더하여,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및,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 무기 발포체, 중간의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로 된 외단열층과; 상기한 외단열층의 상단부를 포함하는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로 구성되는 개구 하측 주연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열교차단재는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직부에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상기한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평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는 외단열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는 방수층과 시멘트 모르타르층, 그리고 타일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는 방수층과 보호 모르타르, 세멘트 모르타르, 그리고 테라조 타일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열교차단재의 실내측 상면과 창호틀의 하단 측부 사이에는 기밀 테이프가 위치하고, 상기한 열교차단재의 실외측 상면과 시멘트 모르타르 사이에는 팽창형 밴드가 위치하며, 상기한 팽창형 밴드 위에는 코킹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방수층은 열교차단재의 실외측 상면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연장 단부에는 안전 난간이 설치된 상향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연장 단부 하단부에는 물끊기 홈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는 개구 상측 주연 단부에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지는 탄산칼슘계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 무기 발포체가 위치함과 아울러, 그 상부에는 글래스울과 같은 불연재가 위치하므로, 화재 시 상방을 향하는 불길과 고열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글래스울의 상방에 위치하는 난연성 유기 발포체에 대한 연소를 효과적으로 지연 내지 차단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본질적으로 외단열 구조로서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을 이용하여 창호가 외단열체 상에 견고하게 설치되며 우수한 열교차단성 및 기밀성을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개구(opening)’라는 용어는 건축 구조물에 창호를 내기 위하여 벽체 또는 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뚫린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개구 주연부 구조’라는 용어는 창호를 내기 위한 공간인 개구에 인접한 가장자리의 콘크리트 벽체 또는 슬래브와 그 외단열층 등을 모두 포함하는 구조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1,1a,1b,1c,1d)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요 특징을 포함하는 개구 상측 주연부 구조는 모두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일괄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개구 하측 주연부 구조는 약간씩 상위하므로 그에 대해서는 별도로 개별적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1,1a,1b,1c,1d)에 있어서, 개구 상측 주연부는 기본적으로 콘크리트 벽체(20)와, 외단열층과(30), 외단열층(30) 하부의 불연부(도면부호 미부여)와, 창호틀(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외단열층(30)은 내측 무기 발포체(31), 유기 발포체(33),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32)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탄산칼슘과 염화비닐수지의 발포수지 판재로 된 내측 및 외측 무기 발포체(31,33) 및 유기 발포체(33)는 공지로서 한국 특허등록 제1211383호(2012.12.06. 등록)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한 불연부는 상기한 외단열층(30) 하부의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무기 발포체(31,32) 사이에 위치하는 불연재(34)와, 상기한 외단열층(3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단턱부(도면부호 미부여)를 가지는 하측 무기 발포체(3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하측 무기 발포체(35)의 단턱부에는 창호틀(10)의 상단부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한 창호틀(10)은 열교차단패드(45)가 외표면에 부착된 L형 브라켓(44)의 수평부에 고정되고, 상기한 L형 브라켓(44)의 수직부는 앵커볼트(46)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에 고정된다.
상기한 L형 브라켓(44)에 형성되는 열교차단패드(2c)는 우수한 단열성을 지니는 엘라스토머성(elastomeric) EPDM 러버(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천연고무, 폴리부타디엔 러버, 부틸 러버,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L형 브라켓(44)은 일반 스틸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고 상기한 수평부와 수직부의 가장자리 주연부에는 지지 강도 강화용 윙(wing)(미도시)을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하측 무기 발포체(35)의 단턱부와 창호틀(10) 사이에는 팽창형 밴드(41)가 위치하고, 상기한 팽창형 밴드(41)의 하방에는 실리콘 수지 등에 의한 코킹(42)이 위치한다.
방습 및 기밀용으로 사용되는 상기한 팽창형 밴드(41)로서는 다양한 회사의 다양한 제품이 시판되고 있기는 하지만, 예컨대, 독일 Illbruck사의 아크릴계 UV 안정화 수지 침적형의 개방형 셀 구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된 TP600을 일례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의 하단면과 그에 인접한 창호틀(10)의 상단 측부에는 기밀 테이프(43)가 부착된다.
상기한 기밀 테이프(43)는 방습성과 약간의 투습성을 지녀 외부의 찬바람이나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 줌과 아울러, 침투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에는 다양한 회사의 다양한 제품이 시판되고 있기는 하지만, 예컨대, 독일 Illbruck사의 폴리에틸렌 혼성 중합체로 된 기밀 테이프 ME500을 일례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외단열층(30)의 외측 무기 발포체(32)와 하측 무기 발포체(35)의 외표면에는 마감층(36)이 형성되며, 상기한 마감층(36)은 소위 ‘드라이비트(dryvit)’로 알려져 있는 외단열 미장 마감 시스템(EIFS: exterior insulation finishing system)의 다양한 화학적 마감층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의 내표면과 하단부 표면에는 시멘트 모르타르층(21)이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친환경 벽지 등이 부착될 수 있으며, 하단 표면에는 예컨대 중밀도 섬유보드(MDF)에 멜라민 시트 랩핑을 한 것과 같은 무늬목 랩을 마감재로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콘크리트 벽체(20)의 상부의 시멘트 모르타르층(21)에는 블라인드 또는 커튼(16)이 수용되어 있는 블라인드 또는 커튼 박스(13)가 형성되고 몰딩(14)과 석고보드(15)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있어 임의 선택적이다.
또한 상기한 창호틀(10)에 장착되는 창호의 종류나 형태는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이지 않지만 예컨대 틸트앤턴(tilt & turn) 형태의 PVC 시스템 창호일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창이며, 17은 방충망이고, 19는 안전 난간이다.
이어서, 개구 하측 주연부 구조에 대하여 도 1로부터 도 5까지 차례대로 언급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구 하측 주연부 구조는, 콘크리트 벽체(20) 및 그에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와, 내측 무기 발포체(31) 및 유기 발포체(33)와 외측 무기 발포체(32)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의 외표면에 순차적으로 접착되어 형성되며, 내측에 단턱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층(30)과,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48)와, 상기한 콘크리트 슬래브(24)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유기 발포체(33)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25)와 보호 모르타르(26)와 강화마루와 같은 마감재(29)로 구성된다.
상기한 열교차단재(48)는 높은 열관류율 U값이 0.07 이하인 높은 단열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압축 폴리우레탄으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열교차단재(48) 및 창호틀(10)의 하단부는 열교차단패드(45)가 부착된 L형 브라켓(44)를 ㄱ자 형태로 뒤집어서 형성되는 수평부 상의 고정볼트(47)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수직부는 앵커볼트(46)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1)에 고정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는 열교차단재(48)의 외측면 및 내측면은 각각 압착 모르타르(27)와 유기 발포체와 같은 측면 완충재(49)에 접촉하여 위치하며, 상기한 외단열층(30)의 상단부에는 플래싱(18)이 위치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1은 시멘트 모르타르이며, 36은 마감층이다.
이어서, 도 2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구 하측 주연부 구조는, 콘크리트 벽체(20)와, 내측 무기 발포체(31) 및 유기 발포체(33)와 외측 무기 발포체(32)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고, 내측에는 단턱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층(30)과,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48)와, 상기한 외측 무기 발포체(32)의 외표면에 붙임 모르타르(28)를 개재하여 부착되는 타일(29a)로 구성된다.
상기한 열교차단재(48) 및 L형 브라켓(44)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부연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는 열교차단재(48)의 외측면은 압착 모르타르(27)에 접촉하여 위치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1은 시멘트 모르타르이며, 22는 무늬목 랩이고, 36은 마감층이다.
또한 비록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제2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개구 하측 주연부의 외단열층(30)의 상면과 창호틀(10)의 하단 측부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팽창형 밴드(41)가 위치하며, 상기한 팽창형 밴드(41)의 상방에는 실리콘 등에 의한 코킹(4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한 개구 하측 주연부의 콘크리트 벽체(20)의 상단 주연면과 창호틀(10)의 하단 측부에 걸친 영역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밀 테이프(43)가 부착된다.
도 3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구 하측 주연부 구조는, 콘크리트 벽체(20)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 및,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 무기 발포체(31), 중간의 유기 발포체(33),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32)로 된 외단열층(30)과, 상기한 외단열층(30)의 상단부를 포함하는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48)와, 상기한 열교차단재(48)가 열교차단패드(45)가 부착된 L형 브라켓(44)의 수직부에 고정볼트(47)로 고정되고, 상기한 열교차단패드(45)가 부착된 L형 브라켓(44)의 수평부는 앵커볼트(46)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 상에는 예컨대 방수 도막과 같은 방수층(50)과, 시멘트 모르타르층(21), 그리고 예컨대 폴리싱 타일과 같은 타일층(29a)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 상에는 도막 방수층(50)과 보호 모르타르층(26), 시멘트 모르타르층(21), 그리고 예컨대 테라조 타일과 같은 타일층(29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열교차단재(48)의 실내측 상면과 창호틀(10)의 하단 측부 사이의 영역에는 기밀 테이프(43)가 위치하고, 상기한 열교차단재(48)의 실외측 상면과 시멘트 모르타르(21) 사이에 팽창형 밴드(41)가 위치하며, 상기한 팽창형 밴드(41) 위에는 실리콘 수지 등으로 된 코킹(42)이 위치한다.
한편, 상기한 방수층(50)은 열교차단재(48)의 실외측 상면 영역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어서, 도 4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구 하측 주연부 구조는, 콘크리트 벽체(20)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 및,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와, 내측 무기 발포체(31) 및 유기 발포체(33)와 외측 무기 발포체(32)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고, 내측에는 단턱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층(30)과,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48)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유기 발포체(33)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25)와, 시멘트 모르타르(21)와, 강화 마루와 같은 마감재(29)로 구성되며,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방수층(50) 및 보호 모르타르(26)와, 시멘트 모르타르(21), 그리고 예컨대 테라조 타일과 같은 타일(29b)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4 실시예에서의 상기한 열교차단재(48) 및 L형 브라켓(44), 팽창형 밴드(41), 코킹(42), 기밀 테이프(43), 압착 모르타르(27)는 실시예 2의 경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의 연장 단부에는 안전 난간(19)이 설치된 상향 단턱부(24a)가 형성되고 상기한 연장 단부 하단부에는 물끊기 홈(24b)이 설치된다.
최종적으로, 도 5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개구 하측 주연부 구조는,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20)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4)의 연장 단부에는 안전 난간(19)이 설치된 상향 단턱부(24a)가 형성되고 상기한 연장 단부 하단부에는 물끊기 홈(24b)이 설치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의 제3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더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1a,1b,1c,1d: 본 발명에 따른 개구 주연부 구조
10: 창호틀
11: 유리 12: 문
13: 블라인드 박스 14: 몰딩
15: 석고보드 16: 블라인드 또는 커튼
17: 방충망 18: 플래싱(flashing)
19: 안전 난간
20: 콘크리트 벽체 21: 시멘트 모르타르(층)
22: 무늬목 랩 23: 마감재(층)
24: 콘크리트 슬래브 24a: 상향 단턱부
24b: 물끊기 홈 25: 경량 기포 콘크리트
26: 보호 모르타르 27: 압착 모르타르
28: 붙임 모르타르 29: 마감재(강화 마루)
29a: (폴리싱) 타일 29b: (테라조 타일)
30: 외단열층
31,32: 내측 및 외측 무기 발포체 33: 유기 발포체
34: 불연재 35: 하측 무기 발포체
36: 마감층(플래스터(plaster)층)
41: 팽창형 밴드 42: 코킹
43: 기밀 테이프 44: L형 브라켓
45: 열교차단패드 46: 앵커볼트
47,47a: 고정볼트 48: 열교차단재
49: 측면 완충재
50: 방수층 51: 걸레받이

Claims (19)

  1. 콘크리트 벽체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외단열층 하부의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무기 발포체 사이에 위치하는 글래스울로 된 불연재와, 상기한 외단열층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단턱부를 가지는 하측 무기 발포체로 구성되는 불연부와;
    상기한 하측 무기 발포체의 단턱부에 상단부가 장착되는 창호틀로 구성되는 개구 상측 주연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상단부는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평부에 고정되고, 상기한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직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한 L형 브라켓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고, 상기한 열교차단패드는 엘라스토머성(elastomeric) EPDM 러버(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천연고무, 폴리부타디엔 러버, 부틸 러버, 실리콘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측 무기 발포체의 단턱부와 창호틀 사이에 팽창형 밴드가 위치하고, 상기한 팽창형 밴드의 하방에 코킹이 위치하며,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하단과 그에 인접한 창호틀에 기밀 테이프가 부착된 개구 상측 주연부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단열층의 외측 무기 발포체와 하측 무기 발포체의 외표면에 마감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내표면과 하단부 표면에 시멘트 모르타르 층이 형성된 개구 상측 주연부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6. 콘크리트 벽체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외단열층 하부의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무기 발포체 사이에 위치하는 글래스울로 된 불연재와, 상기한 외단열층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단턱부를 가지는 하측 무기 발포체로 구성되는 불연부와; 상기한 하측 무기 발포체의 단턱부에 상단부가 장착되는 창호틀로 구성되는 개구 상측 주연부와:
    콘크리트 벽체 및 그에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고, 내측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와; 상기한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유기 발포체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보호 모르타르와 마감재로 구성되는 개구 하측 주연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상단부는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평부에 고정되고, 상기한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직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한 열교차단재 및 창호틀의 하단부는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ㄱ자 형태로 뒤집힌 수평부 상에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수직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한 L형 브라켓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며, 상기한 열교차단패드는 엘라스토머성(elastomeric) EPDM 러버(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천연고무, 폴리부타디엔 러버, 부틸 러버, 실리콘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7. 콘크리트 벽체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외단열층 하부의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무기 발포체 사이에 위치하는 글래스울로 된 불연재와, 상기한 외단열층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단턱부를 가지는 하측 무기 발포체로 구성되는 불연부와; 상기한 하측 무기 발포체의 단턱부에 상단부가 장착되는 창호틀로 구성되는 개구 상측 주연부와:
    콘크리트 벽체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고, 내측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와; 상기한 외측 무기 발포체의 외표면에 붙임 모르타르를 개재하여 부착되는 타일로 구성되는 개구 하측 주연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상단부는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평부에 고정되고, 상기한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직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한 열교차단재 및 창호틀의 하단부는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ㄱ자 형태로 뒤집힌 수평부 상에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수직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한 L형 브라켓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며, 상기한 열교차단패드는 엘라스토머성(elastomeric) EPDM 러버(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천연고무, 폴리부타디엔 러버, 부틸 러버, 실리콘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8. 콘크리트 벽체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외단열층 하부의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무기 발포체 사이에 위치하는 글래스울로 된 불연재와, 상기한 외단열층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단턱부를 가지는 하측 무기 발포체로 구성되는 불연부와; 상기한 하측 무기 발포체의 단턱부에 상단부가 장착되는 창호틀로 구성되는 개구 상측 주연부와: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및,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고, 내측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단턱부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유기 발포체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및 시멘트 모르타르와 마감재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방수층 및 보호 모르타르와 시멘트 모르타르, 그리고 테라조 타일로 구성되는 개구 하측 주연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상단부는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평부에 고정되고, 상기한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직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한 열교차단재의 하단부는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ㄱ자 형태로 뒤집힌 수평부 상에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수직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한 L형 브라켓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며, 상기한 열교차단패드는 엘라스토머성(elastomeric) EPDM 러버(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천연고무, 폴리부타디엔 러버, 부틸 러버, 실리콘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6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구 하측 주연부의 외단열층의 상면과 창호틀의 하단 측부 사이에 팽창형 밴드가 위치하고, 상기한 팽창형 밴드의 상방에 코킹이 위치하며, 상기한 개구 하측 주연부의 콘크리트 벽체의 상단 주연면과 창호틀의 하단 측부에 기밀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14. 삭제
  15. 콘크리트 벽체와; 내측 무기 발포체,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가 순차적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의 외표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외단열층과; 상기한 외단열층 하부의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무기 발포체 사이에 위치하는 글래스울로 된 불연재와, 상기한 외단열층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단턱부를 가지는 하측 무기 발포체로 구성되는 불연부와; 상기한 하측 무기 발포체의 단턱부에 상단부가 장착되는 창호틀로 구성되는 개구 상측 주연부와: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및,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 무기 발포체, 중간의 유기 발포체, 그리고 외측 무기 발포체로 된 외단열층과; 상기한 외단열층의 상단부를 포함하는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열교차단재로 구성되는 개구 하측 주연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창호틀의 상단부는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평부에 고정되고, 상기한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직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한 열교차단재는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직부에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상기한 열교차단패드가 부착된 L형 브라켓의 수평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한 L형 브라켓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며, 상기한 열교차단패드는 엘라스토머성(elastomeric) EPDM 러버(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천연고무, 폴리부타디엔 러버, 부틸 러버, 실리콘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방수층과 시멘트 모르타르층, 그리고 타일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한 콘크리트 벽체와 분리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방수층과 보호 모르타르, 세멘트 모르타르, 그리고 테라조 타일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한 열교차단재의 실내측 상면과 창호틀의 하단 측부 사이에 기밀 테이프가 위치하고, 상기한 열교차단재의 실외측 상면과 시멘트 모르타르 사이에 팽창형 밴드가 위치하며 상기한 팽창형 밴드 위에는 코킹이 위치하며; 상기한 방수층이 열교차단재의 실외측 상면에도 형성되어 있는 개구 하측 주연부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130741A 2015-09-16 2015-09-16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KR101802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741A KR101802190B1 (ko) 2015-09-16 2015-09-16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741A KR101802190B1 (ko) 2015-09-16 2015-09-16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991A KR20170032991A (ko) 2017-03-24
KR101802190B1 true KR101802190B1 (ko) 2017-11-29

Family

ID=5850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741A KR101802190B1 (ko) 2015-09-16 2015-09-16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7124A (zh) * 2018-09-17 2018-12-21 江苏省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预制装配式保温、隔热、防水一体化老虎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728A (ja) * 2000-12-28 2002-07-19 Shimizu Corp 断熱構造の建物
JP2004108031A (ja) * 2002-09-19 2004-04-08 Tesuku:Kk 鉄筋コンクリート造外断熱建物に於けるバルコニー
KR200420037Y1 (ko) * 2006-04-11 2006-07-03 장재식 불의 차단막이 보드가 내장된 샌드위치패널
KR101282458B1 (ko) * 2011-09-02 2013-07-04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축물용 창호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06B1 (ko) 1999-08-21 2001-12-22 윤용성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728A (ja) * 2000-12-28 2002-07-19 Shimizu Corp 断熱構造の建物
JP2004108031A (ja) * 2002-09-19 2004-04-08 Tesuku:Kk 鉄筋コンクリート造外断熱建物に於けるバルコニー
KR200420037Y1 (ko) * 2006-04-11 2006-07-03 장재식 불의 차단막이 보드가 내장된 샌드위치패널
KR101282458B1 (ko) * 2011-09-02 2013-07-04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축물용 창호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991A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5402B1 (en) Dynamic, fire-resistance-rated thermally insulating and sealing system for use with curtain wall structures
JP7282197B2 (ja) 防火、防煙、防音、および/または防水システムを動的カーテンウォールファサード内に組み立てるためのプロセス
US8782975B2 (en) Flood proof door
EP2572054B1 (en) Flexible insulation
US9341018B2 (en) Combined flood proof door and window
US6701676B1 (en) Attic access apparatus
KR101802190B1 (ko)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KR20200060814A (ko) 외단열 보강 시스템 및 시공방법
US5092092A (en) Auxiliary member for insulated cavity walls
CN204826235U (zh) 聚氨酯无空腔防火型外墙保温系统
JP2007120252A (ja) 耐火外断熱構造及びその工法
RU2642745C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с установленным оконным блоком
US20170284085A1 (en) Exterior Fire Stop Hybrid Wall Panel
RU2720431C1 (ru) Фасад для зда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асада и 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фасада здания
AU2018100127A4 (en) Improved insulated building section
KR20210069926A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수재 및 그 시공 방법
KR970007700B1 (ko)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US11970855B2 (en) Process for assembling a fire- , smoke- , sound- and/or water-proof system within a dynamic curtain wall façade
KR20130061340A (ko) 기밀성이 보강된 벽체
CN210768371U (zh) 一种被动式建筑的防水隔汽构造和一种被动式建筑
KR20210069923A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
RU64250U1 (ru) Узел примыкания оконных или дверных блоков к стеновым проемам
KR200384079Y1 (ko)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테이프
KR101678304B1 (ko) 외단열미장마감공법에서 화재의 수직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문인방에 설치하는 차염판.
KR20230045693A (ko) 실내외 장식용 하이브리드 단열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