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700B1 -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 Google Patents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700B1
KR970007700B1 KR1019930029425A KR930029425A KR970007700B1 KR 970007700 B1 KR970007700 B1 KR 970007700B1 KR 1019930029425 A KR1019930029425 A KR 1019930029425A KR 930029425 A KR930029425 A KR 930029425A KR 970007700 B1 KR970007700 B1 KR 97000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ase material
wall
slab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987A (ko
Inventor
심상권
Original Assignee
삼성건설 주식회사
박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건설 주식회사, 박기석 filed Critical 삼성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700B1/ko
Publication of KR95001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커튼 월부(CURTAIN WALL)의 층간구조
제1도는 커튼 월부의 층간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일부 커튼 월부의 층간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부 커튼 월부의 층간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부 커튼 월부의 층간구조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커튼 월부의 층간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라브 11 : 메탈트러스고정철물
12 : 외벽고정철물 13 : 층간방화구획용철판
20 : 메탈트러스 30 : 외벽판
40 : 창호구조부 50 : 간격부
60 : 바탕재 61 : 열복사반사막
70 : 우레탄수지층 80 : 불연몰탈층
본 발명은 고층건축물의 각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와 커튼 월(CURTAIN WALL)구조부를 보다 밀실하게 단절시켜서 건축물의 층간 내화, 단열, 방음, 방수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주는 외벽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축물은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각층을 콘크리트 슬라브(10)로 구획하고, 상기 슬라브(10)의 외측에는 메탈트러스고정철물(11)로서 메탈트러스(20)를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키며, 이러한 메탈트러스(20)의 외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벽고정철물(11)로서 외벽판(30)들을 메달아 고정시키며, 이러한 외벽판(30)의 사이 사이에는 창호구조부(40)가 설치되도록 커튼월구조부가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고층건축물의 커튼월구조부는 각층의 슬라브(10)와 외벽판(30)들 사이의 간격부(50)를 통하여 화재 발생시 화염 및 연기가 상부층으로 전달되기 쉬운 구조로 된다. 따라서, 종래부터 커튼월구조부로 시공된 고층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는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할 수 있는 층간방화구조 및 외벽부에 대한 내화 규정에 따라 설계시공되는 것이 요구되었다.
제2도는 이러한 필요에 의하여 설계시공되어 왔던 종래의 고층건축물의 커튼월부의 층간방화구획구조를 나타내 보여준다.
제2도에 도시되는 종래의 고층건축물의 커튼월부의 층간구조는 슬라브(10)와 외벽판(30) 사이의 간격부(50)에 그 끝부분이 외벽판(30)의 내면에 맞닿도록 층간방화구획용철판(13)을 고정시키고, 그 층간방화구획용철판(13)의 내부를 별도의 충전물로서 충전시켜서 아래층과 윗층이 단절되도록 분리시키고, 상기 메탈트러스(20)의 내측에는 유리섬유판, 암면판등의 단열판재(70a)로서 부착시공시켜서, 외벽체와의 단열을 유지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커튼월구조로 된 건축물 외벽체의 층간구조는 건축물의 각층 사이의 단열, 방음, 방습의 기능이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히 화재시 화염 및 연기 이동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지 못한다는 데에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슬라브(10)와 외벽판(30) 사이의 간격부(50)에 그 끝부분이 외벽판(30)의 내면에 맞닿도록 층간방화구획용철판(13)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메탈라스 및 메탈라스고정철물등의 장애요인 때문에 실제의 고층작업 현장에서 완벽하게 수행되기 어려워서 층간방화구획용철판(13)과 외벽판(13) 사이 그리고 메탈라스고정철물 주변에 틈새가 발생하였고, 그 내부를 충전물로 충진하는 과정에서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층간방화구획 개념인 슬라브 연장에 의한 구획작업을 생략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건축물의 층간을 완벽하게 단절시킴으로써, 건축물 층간의 방음, 방습기능은 물론, 특히 화재시 방화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도록 하여주는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고층건축물의 외벽체의 층간구조도 각층을 콘트리트 슬라브(10)로 구획하고, 상기 슬라브(10)의 외측에는 메탈트러스고정철물(11)로서 메탈트러스(20)를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키며, 이러한 메탈트러스(20)의 외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벽고정철물(12)로서 외벽판(30)들을 메달아 고정시키며, 이러한 외벽판(30)의 사이 사이에는 창호구조부(40)가 설치되는 것은 종래의 것과 다를 바가 없다.
단, 본 발명은 제3, 4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메탈트러스(20)의 내면에 그 전체면에 걸쳐서 바탕재(60)들을 고정시키고, 상기 바탕재(60)들의 내면전체에 걸쳐서 현장에서 도포하여 발포시키는 현장발포 우레탄수지층(70)을 일체로 형성시키되, 슬라브(10)의 상부면(71)과 하부면(72)에도 일체로 소정의 폭 만큼씩 도포되도록 하여, 슬라브(10)의 외측 상, 하부면과 바탕재(60)의 내면에 현장발포 우레탄수지층(7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우레탄수지층(70)의 실내면전체를 소정의 두께로 불연성 몰탈이 도포되어 불연몰탈층(8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부착력, 방음성, 방수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현장 발포 우레탄수지층(70)으로 슬라브(10) 외측 상, 하부면과 바탕재(6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도포하여, 각층을 밀실하면서도 완벽하게 단절시켜 주기 때문에, 각층 사이의 방음, 방수 및 단열이 종래보다 훨씬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상기 우레탄수지층(70)의 실내측면에 소정의 두께로 불연성 몰탈이 도포되어 불연층몰탈(80)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화재시 화염 및 연기 이동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바탕재(60)는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메탈트러스(20)의 내면전체에 걸쳐서 고정되며, 열복사선을 효율적으로 반사시켜주는 열복사반사막(61)이 외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복사반사막(61)은 바탕재(60)의 외면에 코팅처리되는 반사도료층으로 형성되어도 가능하지만, 별도의 알루미늄포일등의 금속박막체로 열복사선의 반사를 완벽히 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이 경우, 바탕재(60)는 금속박막체의 구조적강도를 보강하여 주면서 상기 우레탄수지층(70)을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하여 주기 위하여 메탈라스 또는 와이어라스와 같은 라스류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같이 하여, 바탕재(60)의 외면에 열복사반사막(61)이 형성되면, 외벽판(30)의 내부로 침투하는 열복사선이 열복사반사막(61)에 의하여 다시 외부로 반사된다. 즉, 바탕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열복사반사막(61)은 열전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열복사에 의하여 외부의 온도가 건축물의 내부의 기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하여준다.
또, 본 발명의 층간방화구조의 개념은 종래의 수평적 차단 개념에서 수직적 차단 개념으로 개선되어 밀실하면서도 완벽하게 단열시켜 주는 우레탄수지층으로 도포함으로써 종래의 층간방화구획작업의 생략 및 보다 완벽한 층간방화구획의 목적을 수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은 팬 히트 커브이고, 91은 천정판이고, 92는 결로수처리용판재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의 고층건축물의 외벽체의 층간구조는 첫째, 각층을 밀실하면서도 완벽하게 단절시켜 주는 우레탄수지층으로 방수, 방음, 기밀 및 단열의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며, 둘째, 바탕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열복사반사층으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복사선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단열기능을 크게 향상시켜 주며, 셋째, 외벽판시공시, 요구되는 수준의 기밀, 수밀 및 차음성기능을 경감시킴으로써 외벽판 마감재의 시공비 질검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넷째, 단열층 위에 불연몰탈을 도포하여 커튼월구조에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내화성능을 만족하며, 종래의 층간방화구획작업을 생략, 시공비를 절감시키며 보다 완벽한 층간방화구획의 목적을 수행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각층을 콘크리트 슬라브로 구획하고, 상기 슬라브의 외측에는 메탈트러스고정철물로서 메탈트러스를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키며, 이러한 메탈트러스의 외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벽고정철물로서 외벽판들을 메달아 고정시키며, 이러한 외벽판의 사이 사이에는 창호구조부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메탈트러스(20)의 내면에 그 전체면에 걸쳐서 바탕재(60)들을 고정시키고, 상기 바탕재(60)들의 내면전체에 걸쳐서 현장에서 도포하여 발포시키는 현장발포 우레탄수지층(70)을 일체로 형성시키되, 슬라브(10)의 상부면(71)과 하부면(72)에도 일체로 소정의 폭만큼씩 도포되도록 하여, 슬라브(10)의 외측 상, 하부면과 바탕재(60)의 내면에 현장발포 우레탄수지층(7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우레탄수지층(70)의 내면에는 소정의 두께로 불연성 몰탈이 도포되어 불연몰탈층(8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재의 외면에는 열복사선을 효율적으로 반사시켜주는 열복사반사막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복사반사막은 별도의 금속막체로서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KR1019930029425A 1993-12-23 1993-12-23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KR97000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425A KR970007700B1 (ko) 1993-12-23 1993-12-23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425A KR970007700B1 (ko) 1993-12-23 1993-12-23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987A KR950018987A (ko) 1995-07-22
KR970007700B1 true KR970007700B1 (ko) 1997-05-15

Family

ID=1937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425A KR970007700B1 (ko) 1993-12-23 1993-12-23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65B1 (ko) * 2001-05-08 2004-06-26 기 용 이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KR20030008723A (ko) * 2001-07-19 2003-01-29 문석주 철골구조 건축물용 석재 외벽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117407B1 (ko) * 2018-12-20 2020-06-01 현대건설(주) 건물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987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6992B2 (ja) 耐火被覆構造
US4557089A (en) Structural element such as building facade and the like
JP3204131U (ja) 冷凍・冷蔵倉庫の外壁構造
KR970007700B1 (ko)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KR20200060814A (ko) 외단열 보강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20200054597A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 구조
KR101910505B1 (ko) 건축물 외벽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재와 이를 이용한 화재 확산 방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0133262B1 (ko) 건축물의 외부커튼월 및 그것의 시공방법
RU2720431C1 (ru) Фасад для зда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асада и 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фасада здания
GB2238329A (en) Building panel
RU21296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изоляции наружных огражда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1802190B1 (ko)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KR100437375B1 (ko) 통기구조를 가지는 고층건축물 커튼월의 차단벽용 단열·내화 유니트패널
JP2947070B2 (ja) 外断熱構造物及び外断熱工法
JPH10252180A (ja) 建物の防耐火壁構造及び内壁パネル
JPS6023542A (ja) 建築用パネル
JP4711575B2 (ja) 外壁と連続した仕切り壁の内断熱構造
CN210562805U (zh) 装配式双保温140mm宽轻钢龙骨墙体及组合式房屋
KR20180129385A (ko) 하이브리드 단열재
JP3000498B2 (ja) 耐火間仕切
KR102186625B1 (ko) 건축용 판넬
KR102378069B1 (ko) 외벽화재 확산방지 시스템
JP2001227119A (ja) 木造家屋の屋上構築工法
JP7066896B2 (ja) 集合住宅
JP3962673B2 (ja) 外断熱プレキャスト版、及び外断熱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