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865B1 -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865B1
KR100437865B1 KR10-2001-0024806A KR20010024806A KR100437865B1 KR 100437865 B1 KR100437865 B1 KR 100437865B1 KR 20010024806 A KR20010024806 A KR 20010024806A KR 100437865 B1 KR100437865 B1 KR 100437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rizontal plate
curtain wall
horizonta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4564A (ko
Inventor
기 용 이
Original Assignee
기 용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70916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3786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기 용 이 filed Critical 기 용 이
Priority to KR10-2001-002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865B1/ko
Publication of KR20010074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서 층고가 높은 층에 설치되는 외벽패널을 수평플레이트와 행거수단으로 지지함으로써, 시공의 일관성이 유지되고, 미관이 유려한 커튼월 구조체를 얻을 수 있는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층고가 높은 층의 외벽을 마감하는 커튼월에 있어서, 건물의 골조를 이루는 수직기둥(20)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용착되어 있는 플레이트용 브래킷(21)들과; 상기 플레이트용 브래킷(21)에 양단이 각각 안착되어 고정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의 구멍 (41)이 다수 형성되는 수평플레이트(40)들과; 건물의 골조를 이루는 수평보(30)에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용착되어 있는 행거용 브래킷(31)들과; 상기 행거용 브래킷 (31)에 지지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구멍(41)들을 관통하면서 수평플레이트 (40)를 고정하여 지지하여 주는 행거수단(50)과; 상기 수평플레이트(40)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외벽패널(P);로 구성되어 시공의 품질향상, 실내공간 점유의 최소화 및 실내 미관이 좋은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A Structure for Installing Curtain Wall in a Building having High Height of Story}
본 발명은 건물에서 층고가 높은 층의 외벽을 마감하는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층고가 높은 층에 설치되는 외벽패널을 수평플레이트와 행거수단으로 지지함으로써, 시공의 일관성이 유지되고, 미관이 유려한 커튼월 구조체를 얻을 수 있는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공되는 고층 건축물은 기둥과 보 및 슬래브로 이루어지는 골조부를 완성한 후에 그 골조부의 외측에 커튼월을 조립 설치하여 외장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커튼월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각층 슬래브의 단부에 일정한 횡간격을 두고 정착된 앵커철물들에 세로재들을 연결고정하고, 세로재의 일정높이마다 가로재를 연결고정하여서 격자형의 금속틀을 설치한 다음, 이 금속틀의 4각개구부들상에 유리, 금속 또는 인조석 등으로 제작된 외벽패널을 장착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세로재는 1∼2개층을 하나의 구간으로 하여 상하로 계속 연결하여서 전체층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가로재는 세로재들에 연결 조립되어 지지된다.
즉, 이렇게 설치되는 커튼월 구조체는, 그 외벽패널을 세로재와 가로재에 부착시켜 지지시키며, 다시 세로재와 연결되는 앵커철물을 통하여 슬래브로 전달시켜 지지력을 확보하게 된다.
그런데, 상,하층 슬래브간의 층고(Height of Story)가 높게 설계되는 층(상,하층 간의 1개층 높이가 4m정도로 건축되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2∼5개층에 해당되는 높이를 갖도록 설계된 층)에 대해서는 상기 세로재의 단위 길이가 짧게 제작되기 때문에 이를 상,하층 슬래브에 연결하여 고정시키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세로재와 가로재만으로 외벽패널의 골조체를 형성하여서는 외벽패널의 하중 및 외벽패널에 가해지는 풍압을 충분히 감당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층고가 높은 층의 경우 종래에는, 커튼월 구조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해 도1a 및 도1b의 도시와 같이 특수한 구조로 설치된다.
즉, 층고가 높은 해당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세워지는 H빔(1)을 다수 설치하고, 그 H빔(1)들에 패스너(2)를 통해 세로재(3)들을 고정하여 지지시키고, 그 세로재(3)들에 가로재(4)를 고정하여서 격자형 금속틀을 완성한 다음, 그 세로재(3)와 가로재(4)의 외면에 외벽패널(5)을 장착하여 지지시키고 있다.
이때, 상기 H빔(1)의 하측단부는 슬래브(6)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측단부는 철제로 된 상층 수평보(7)에 용착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의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은, 통상적으로 1개 업체가 책임지고 일률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H빔을 시공하는 업체와 나머지 커튼월 구성부(세로재, 가로재, 외벽패널 등)를 시공하는 업체 등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업체가 시공하게 된다.
따라서, 커튼월을 시공하는데 있어 시공의 일관성을 상실하고, 이에 따라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외벽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커튼월 골조체(H빔, 수직재, 수평재 등)가 건물 내측 공간을 점유할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거대한 H빔이 육안으로 보임으로써, 건물 실내공간이 그만큼 축소되고 실내 미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설치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벽패널을 수평플레이트와 행거수단으로 지지하여서,시공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외벽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며, 건물 실내에서의 미관이 유려한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층고가 높은 층의 외벽을 마감하는 커튼월에 있어서, 건물의 골조를 이루는 수직기둥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용착되어 있는 플레이트용 브래킷들과; 상기 플레이트용 브래킷에 양단이 각각 안착되어 고정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의 구멍이 다수 형성되는 수평플레이트와; 건물의 골조를 이루는 수평보에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용착되어 있는 행거용 브래킷들과; 상기 행거용 브래킷에 지지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구멍들을 관통하면서 수평플레이트를 고정하여 지지하여 주는 행거수단과;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외벽패널;로 구성되는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도1a는 종래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1b는 도1a의 X-X선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3a는 본 발명 수평플레이트의 안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b는 본 발명 수평플레이트의 안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4a는 본 발명 행거수단의 상단 지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b는 본 발명 행거수단의 상단 지지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4c는 본 발명 행거수단의 상단 지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5a는 본 발명 행거수단의 중간부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5b는 본 발명 행거수단의 중간부 지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6은 본 발명 행거수단의 하단 지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수직기둥 21:플레이트용 브래킷 21a:체결구멍
22:리브 30:수평보 31:행거용 브래킷
40:수평플레이트 41:구멍 42:돌출부
42a:체결구멍 50:행거수단 51:T형 브래킷
51a:지지판 51b:연결구 51c:암나사부
52:수직강선 52a:나사부 53:체결부재
54:어댑터 54a:암나사부 55:스터드볼트
56:와셔 57:너트 58:볼트
60:커버케이스 70:패스너 P:외벽패널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3a는 본 발명 수평플레이트의 안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b는 본 발명 수평플레이트의 안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4a는 본 발명 행거수단의 상단 지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b는 본 발명 행거수단의 상단 지지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4c는 본 발명 행거수단의 상단 지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5a는 본 발명 행거수단의 중간부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5b는 본 발명 행거수단의 중간부 지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6은 본 발명 행거수단의 하단 지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20은 수직기둥이다. 이 수직기둥(20)은 건물의 철골조를 이루는 강재이며, 이 수직기둥(20)에는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플레이트용 브래킷 (21)들이 용착되고, 상기 플레이트용 브래킷(21)을 보강하기 위해 하부에 리브(22)가 추가로 용착된다.
상기 플레이트용 브래킷(21)에는 체결구멍(21a)이 형성된다.
부호 30은 수평보이다. 이 수평보(30)는 상기 수직기둥(20)과 함께 건물의 철골조를 이루는 강재이며, 이 수평보(30)에는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행거용 브래킷(31)들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착된다.
부호 40은 수평플레이트이다. 이 수평플레이트(40)는 상기 플레이트용 브래킷(21)에 양단이 각각 안착되어 고정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의 구멍(41)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용 브래킷 (21)에 안착되어 고정되기 위한 돌출부(42)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42)에는 상기 플레이트용 브래킷(21)의 체결구멍(21a)에 상응하는 체결구멍(42a)이 형성된다.
수평플레이트(40)의 외부에는 외면을 매끄럽게 처리한 커버케이스(60)가 설치된다.
부호 50은 행거수단이다. 이 행거수단(50)은 상기 행거용 브래킷(31)에 지지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구멍(41)들을 관통하면서 수평플레이트(40)를 고정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행거수단(50)은 T형 브래킷(51)을 구비하는데, 이 T형 브래킷 (51)은 상기 행거용 브래킷(31)의 단부 하면에 체결되는 지지판(51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51a)의 하부면 중앙에 연결부(51b)가 형성되며, 이 연결부(51b)에 암나사부(51c)가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행거수단(50)은 상기 T형 브래킷(51)의 암나사부(51c)에 그 일단이 체결되면서 소정길이를 가지고 각각 양단에 나사부(52a)가 형성된 수직강선(52)과, 상기 수직강선(52)의 타단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40)를 고정하여 주기 위한 체결부재(53)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재(53)는 그 양단 내측으로 각각 암나사부(54a)가 형성된 어댑터 (54)와,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구멍(41)에 삽입되고 그 양단에 각각 와셔(56)와 너트(57)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스터드볼트(55)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골조를 이루는 수직기둥(20)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플레이트용 브래킷(21)을 용착하고, 수평플레이트(40)의 돌출부(42)를 상기 플레이트용 브래킷(21)에 안착시켜 각각의 체결구멍(21a) (42a)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와 너트로서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수평보(30)에는 상기 수직기둥(20)보다 약 30㎝ 정도 외벽쪽으로 행거용 브래킷(31)을 돌출시켜 용착하고,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수평플레이트(4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행거용 브래킷(31)의 단부 하면에 T형 브래킷(51)의 지지판(51a)을 맞대어 볼트로 체결하고 너트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구멍(41)에 스터드볼트(55)를 관통하고, 양단에 와셔(56)와 너트(57)를 각각 체결하여 상기 수평플레이트(40)에 스터드볼트 (55)를 고정한 후, 상기 스터드볼트(55)의 양단에 각각 어댑터(54)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T형 브래킷(51)의 암나사부(51c)에 수직강선(52)의 일단을 체결하고 타단은 상기 어댑터(54)의 암나사부(54a)에 체결하여 상기 수평플레이트(40)를 지지하여 고정시킨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에 설치되는 수평플레이트(40)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 하측 어댑터(54)의 암나사부(54a)에 수직강선(52)의 단부의 나사부(52a)를 각각 삽입하고 체결하여 고정지지하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에 설치되는 수평플레이트(40)의 구멍(41)에는 하면에서 볼트(58)를 관통시켜 와셔(56)와 너트(57)로 고정하고 수평플레이트(40)의 상측부에 어댑터(54)를 체결하여 수직강선(52)으로 상부 어댑터(54)와 체결하여 지지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플레이트(40)들과 행거수단(5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5b 및 도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외부에 커버케이스(60)를 설치하며, 수평플레이트(40)의 건물 외측방향 단부에 패스너(70)들을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하고, 이 패스너(70)들에 가로재(101) 및 세로재(102)들을 연결고정하여서 격자형의 금속틀을 설치한 다음, 이 금속틀의 4각개구부들상에 유리, 금속 또는 인조석 등으로 제작된 외벽패널(p)을 실링재(103)들을 통해 장착하여 완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설치되는 본 발명의 행거를 이용한 커튼월 설치구조에 의하면, 외벽패널을 수평플레이트와 행거수단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커튼월 설치 업체가 일관적으로 시공하여 시공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커튼월 시공의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그리고, 외벽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실내공간이 최소화되며, 수평플레이트의 외면에 커버케이스를 설치하여 건물 내측에서 보이는 커튼월 구조체의 미관이 유려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공의 품질향상, 실내공간 점유의 최소화 및 커튼월 구조체의 미관이 좋은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건물에서 층고가 높은 층의 외벽을 마감하는 커튼월에 있어서,
    건물의 골조를 이루는 수직기둥(20)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용착되어 있는 플레이트용 브래킷(21)들과;
    상기 플레이트용 브래킷(21)에 양단이 각각 안착되어 고정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의 구멍(41)이 다수 형성되는 수평플레이트(40)와;
    건물의 골조를 이루는 수평보(30)에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용착되어 있는 행거용 브래킷(31)들과;
    상기 행거용 브래킷(31)에 지지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구멍(41)들을 관통하면서 수평플레이트(40)를 고정하여 지지하여 주는 행거수단(50)과;
    상기 수평플레이트(40)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외벽패널(P);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외부에는 커버케이스(60)를 설치하고, 수평플레이트(40)의 건물 외측방향 단부에 패스너(70)들을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하며, 이 패스너(70)들에 가로재(101) 및 세로재(102)들을 연결고정하여서 격자형의 금속틀을 설치하고, 이 금속틀의 4각개구부들상에 상기 외벽패널(p)을 실링재(103)들을 통해 장착하여 완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수단(50)은, 상기 행거용 브래킷(31)의 단부 하면에 체결되는 지지판(51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51a)의 하부면 중앙에 연결부 (51b)가 형성되며 이 연결부(51b)에는 암나사부(51c)가 형성되는 T형 브래킷(51)과, 상기 T형 브래킷(51)의 암나사부(51c)에 그 일단이 체결되고 소정길이를 가지며 각각 양단에 나사부(52a)가 형성된 수직강선(52)과, 상기 수직강선(52)의 타단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40)를 고정하여 주기 위한 체결부재(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53)는 그 양단 내측으로 각각 암나사부(54a)가 형성된 어댑터(54)와,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구멍(41)에 삽입되고 그 양단에 각각 와셔(56)와 너트(57)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스터드볼트(5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KR10-2001-0024806A 2001-05-08 2001-05-08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KR100437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806A KR100437865B1 (ko) 2001-05-08 2001-05-08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806A KR100437865B1 (ko) 2001-05-08 2001-05-08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564A KR20010074564A (ko) 2001-08-04
KR100437865B1 true KR100437865B1 (ko) 2004-06-26

Family

ID=1970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806A KR100437865B1 (ko) 2001-05-08 2001-05-08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645B1 (ko) * 2010-09-08 2011-02-16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케이블을 이용한 건물 외벽용 외장유리 지지장치
CN102230333A (zh) * 2010-09-29 2011-11-02 上海玻机幕墙工程有限公司 一种开放式构造的幕墙挂件
CN103541469A (zh) * 2013-10-09 2014-01-29 郭进标 一种建筑幕墙的型材
KR101476583B1 (ko) * 2014-02-14 2014-12-30 (주)황두진건축사사무소 건물용 차양장치
KR101476584B1 (ko) * 2014-02-14 2014-12-24 (주)황두진건축사사무소 건물용 차양장치 설치구조
CN104358374A (zh) * 2014-11-04 2015-02-18 中建三局东方装饰设计工程有限公司 大板块金属铝板墙面干挂系统
CN109914662A (zh) * 2019-04-04 2019-06-21 安徽建筑大学 一种新型曲面高抗裂grc装饰干挂幕墙板架构及装配工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987A (ko) * 1993-12-23 1995-07-22 박기석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KR950018986A (ko) * 1993-12-23 1995-07-22 박기석 외부 커튼월 부분의 단열개선구조
JPH084318A (ja) * 1994-06-08 1996-01-09 Ykk Architect Prod Kk カーテンウォールの改修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支持装置
KR960023549A (ko) * 1994-12-28 1996-07-20 최훈 커튼 월(Curtain Wall)의 유니트판넬
JP2000045438A (ja) * 1998-07-30 2000-02-15 Tostem Corp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10001575A (ko) * 1999-06-07 2001-01-05 정용주 조립식 석재 커튼월 공법
KR20010015926A (ko) * 1999-08-24 2001-03-05 이기용 커튼월의 층간변위 흡수구조
KR20020036927A (ko) * 2000-11-11 2002-05-17 정용주 외벽 오픈조인트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987A (ko) * 1993-12-23 1995-07-22 박기석 커튼 월(curtain wall)부의 층간구조
KR950018986A (ko) * 1993-12-23 1995-07-22 박기석 외부 커튼월 부분의 단열개선구조
JPH084318A (ja) * 1994-06-08 1996-01-09 Ykk Architect Prod Kk カーテンウォールの改修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支持装置
KR960023549A (ko) * 1994-12-28 1996-07-20 최훈 커튼 월(Curtain Wall)의 유니트판넬
JP2000045438A (ja) * 1998-07-30 2000-02-15 Tostem Corp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10001575A (ko) * 1999-06-07 2001-01-05 정용주 조립식 석재 커튼월 공법
KR20010015926A (ko) * 1999-08-24 2001-03-05 이기용 커튼월의 층간변위 흡수구조
KR20020036927A (ko) * 2000-11-11 2002-05-17 정용주 외벽 오픈조인트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564A (ko) 200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898B1 (ko) 간단한 연결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시공방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커튼월.
KR100933528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0437865B1 (ko)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JP5520002B2 (ja) バルコニー及びこれを備えたユニット建物
CN114135031A (zh) 竖向隐索的拉索玻璃幕墙系统及其施工方法
JP3759500B2 (ja) 建物の壁
JP2020084493A (ja) 簡易建物
JP2020084492A (ja) 簡易建物
JP3431429B2 (ja) 建物の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474849B1 (ko) 개별 외장 패널 탈부착용 브라켓
JPH10331250A (ja) バルコニー・廊下の構造とそれに使用する床板
JP2003113654A (ja) 建物の壁
JPH083220B2 (ja) パネル取付構造
JPH0528298Y2 (ko)
JP2665307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梁材
JP2022184441A (ja) 飾り柱構造及び飾り柱構造の施工方法
JP2018084028A (ja) フェンス又は手摺り
JP2000145012A (ja) 建物ユニットの壁材
JPS5911156Y2 (ja) 屋外型手摺
JPH0715924Y2 (ja) 伸縮継手構造
JP2513365Y2 (ja) 家屋の外壁構造
JP2001055806A (ja) 床パネル
JPH0813735A (ja) 手摺り及びその施工方法
JPH11140969A (ja) ベランダ壁取付け構造
JPH0197785A (ja) 建築物の壁面構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11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707

Effective date: 2016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