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923A -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923A
KR20210069923A KR1020190159763A KR20190159763A KR20210069923A KR 20210069923 A KR20210069923 A KR 20210069923A KR 1020190159763 A KR1020190159763 A KR 1020190159763A KR 20190159763 A KR20190159763 A KR 20190159763A KR 20210069923 A KR20210069923 A KR 20210069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pread
preventing
reinforcement
reinforc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9923A/ko
Publication of KR2021006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2Inorganic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58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filling up the joints, e.g. by ceme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외단열 건축물에서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보강재는, 외단열 건축물의 외벽면에서 창호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보강재로서,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조성물 및 굴패각을 포함하는 난연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REINFORCEMENT FOR PREVENTING TO FIRE SPREAD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이하의 설명은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 시 건축물의 내외벽 단열 마감 시공은 콘크리트 벽체에 단열재 부착 공정, 앙카 작업 공정, 메쉬 함침 공정, 마감재 도포 공정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정 중 단열재 부착 공정은 접착 몰탈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내외벽에 부착 고정하는 공정이고, 마감재 도포 공정은 건축물을 꾸미기 위해 다양한 자재를 이용하여 마감 및 장식하는 공정이다.
건축물의 내외 단열 시공시 주로 사용되는 단열재로는 스티로폼(EPS), 아이소핑크, 네오폴, 경질우레탄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단열재는 불에 잘 타는 성질이 있고, 화재 발생 시 다량의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고, 화재가 급속히 확산되는 등 화재안전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축물의 외벽에 난연 및 불연 성능이 없는 단열재, 접착 몰탈, 마감재로 시공을 하는 일명 '드라이비트' 공법으로 시공을 하는데, 이러한 드라이 비트는 화재 확산 속도가 빠르다. 지난 2015년 10월 국토교통부에서는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여 건축물 외벽(필로티 구조의 외기에 면하는 천장 및 벽체 포함)의 마감재료를 불연/준불연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의무화하였고, 2016년 4월부터 시행된 바 있다.
그러나 개정 법령의 경우 6층 이상, 높이 22m 이상의 건축물, 의료시설, 근린생활시설, 교육시설 등 일정 규모 이상의 다중이용 시설에만 해당되며, 특히, 개정 법령이 시행되는 2016년 4월 이후에 허가 받은 신규 건축물에만 적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개정 법령을 적용 받지 않는 기존 건축물들은 화재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아파트, 빌라, 원룸 등 다세대 주택 등을 중심으로 1층에 기둥만을 세우고 그 공간을 주차장으로 활용하는 '필로티 구조'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필로티 구조의 경우 화재 발생시 필로티의 사방에서 산소가 유입되기 때문에 화재의 크기가 커지고 화재가 건축물 내부나 상부로 급격히 확산되기 때문에 화재 안전성에 치명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무용 건축물은 그 외벽이 대부분 전면 유리 패널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사무용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 시 건축물 내부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외벽을 타고 상승하면서 수직 확산하게 된다. 또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경우에도, 가연성 외장재 등으로 인해서 저층부 또는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가 외벽을 타고 확산된다.
그리고 건축물에서 바닥/천장 간 이격 거리가 층간 화재 확산을 방지할 만큼 충분하지 못했을 때, 슬라브 바닥 가장자리와 빌딩 외벽 사이의 갈라진 틈으로 화염이나 고온의 가스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화재 확산을 촉진시킬 수 있다.
현재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대책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무기계 단열재를 유기계 단열재 사이에 설치하는 화재 확산 방지띠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 확산 방지띠는 시공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온 다습한 우리나라의 기후에 의해 시공 후 처짐, 곰팡이 발생 등의 문제로 인해 단열 성능 저하 및 단열 결손 부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 확산 방지띠는 기존 건축물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기존 건축물에 적용이 용이하고 화재 확산 방지 효과를 갖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에 대해 설명한다.
외단열 건축물의 외벽면에서 창호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보강재는,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조성물; 및 굴패각을 포함하는 난연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상기 창호와 상기 외벽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상기 창호의 적어도 상측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상기 창호의 높이 방향에 대해서 측면 둘레의 1/2 보다 상부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서로 인접하는 부분에 간격을 이격시켜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위 부재는 10mm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외단열 건축물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의 시공 방법은, 외단열 건축물의 외벽면에서 창호 둘레를 따라 복수의 단위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를 덮도록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단위 부재는,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조성물; 및 굴패각을 포함하는 난연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상기 창호와 상기 외벽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상기 창호의 상측 둘레 및 상기 창호의 높이 방향에 대해서 측면 둘레의 1/2 보다 상부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서로 인접하는 부분에 간격을 이격시켜서 설치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단위 부재의 두께는 10mm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 건축물의 외벽에서 단열재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으며, 기존 건축물에 시공이 가능하고, 비계를 설치하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현장에서 창호 등 설치 대상의 크기에 맞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시간 및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외벽에서 창호 둘레에 설치하는 것으로 화재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가 시공된 건축물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창호 및 보강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100) 및 그 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100)가 시공된 건축물(10)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창호(12) 및 보강재(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물(10)은 외단열 공법(Exterior Insulation Finishing System, EIFS)이 적용된 건축물로서, 건축물(10)의 외벽면 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단열재(11)를 부착한 후 마감재를 미장하여 단열하는 공법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외단열 공법을 사용한 건축물(10)은, 단열재(11)가 건축물(1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건축물(10)의 내부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외단열 공법은 건축물(1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단열재를 끼워서 시공하는 전통적 단열 공법에 비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외단열 건축물(10)에 사용되는 단열재(11)는 가연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하며, 특히, 화재가 건축물(10)의 외벽면을 타고 수직으로 확산될 수 있다. 그리고 건축물(10)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창호(12)를 통해서 외부로 분출되고, 외벽면을 타고 수직으로 확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재(11)는 가연성 재질, EPS(Expanded Polystyrene)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축물(10)에서 화재가 외벽면을 타고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창호(12) 둘레에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100)를 설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강재(100)는 창호(12) 둘레를 따라 단열재(11) 상에 설치되며, 창호(12)와 단열재(11) 및/또는 외벽면과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보강재(100)는 창호(12)와 단열재(11) 또는 외벽면 사이에 틈이 있는 경우, 상기 틈에 보강재(100)를 설치할 수 있다.
보강재(100)는 열팽창성 수지로 형성되므로, 화재 발생 시 열에 의해 팽창하여 보강재(100)가 설치된 창호(12)와 단열재(11) 사이의 틈을 메워서 틈을 통해서 화염이나 고온의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0)는 난연 및 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굴패각(-貝殼, Oyster Shell)을 포함하는 난연재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굴패각은 탄산칼슘을 주 원료로 하는 재료로서, 난연 및 불연 성능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보강재(100)는 열팽창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성물에 굴패각을 잔골재로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강재(100)는 굴패각을 혼합함으로써 보강재(100)의 강도 및 두께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보강재(100)의 난연성 및 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재(100)는 소정 크기의 단위 부재(101)로 구성하고, 복수의 단위 부재(101)를 창호(12) 둘레를 따라 설치한다. 또한, 보강재(100)는 화재 발생 시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인접하는 단위 부재(101) 사이에 일정 간격을 이격시켜서 설치한다. 예를 들어, 단위 부재(101)는 봉 형태와 같이 비교적 단면적이 작고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단위 부재(101)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창호(12)를 통해 분출되는 화재는 상층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보강재(100)는 화재가 확산되는 방향에 설치된다. 즉, 보강재(100)는 창호(12)의 둘레 중 적어도 상측 둘레에 설치된다. 또한, 보강재(100)는 창호(12)의 측면 둘레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1/2 위치보다 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보강재(100)를 창호(12)의 상측 둘레에 설치함으로써 화재가 외벽면을 타고 상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0)를 창호(12) 둘레 중 일부에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 건축물(10)의 외벽에서 단열재(11)를 제거하지 않고 단열재(11) 상에 보강재(100)를 부착 및 설치하므로, 기존 건축물(10)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비계를 설치하지 않고도 보강재(100)를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시공 시 현장에서 창호(12) 등의 설치 대상의 크기에 맞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며 다양한 크기의 설치 대상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창호(12)의 상측 일부에만 설치하는 것으로도 화재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0)는 그 강도가 우수하고, 중량이 작아서 건축물(10)에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후 건축물(10)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0)는 내습성 및 내수성이 강해서 건축물(10)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에서 높은 내구성을 갖는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100)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단열 처리된 필로티 구조 건축물(10)에서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창호(12) 주변에 보강재(100)를 설치한다.
보강재(100)는 열팽창성 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조성물에 난연재로서 굴패각 잔골재를 혼합하여 형성한다.
보강재(100)를 소정 크기의 단위 부재(101)로 형성하고, 건축물(10)의 창호(12) 둘레를 따라 복수의 단위 부재(101)를 설치한 후, 보강재(100)를 덮도록 마감재를 설치하여 마감한다.
여기서, 보강재(100)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건축물(10)의 외벽면의 단열재(11)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열재(11) 상에 설치한다. 또한, 보강재(100)를 설치할 때, 창호(12)와 단열재(11)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한다. 여기서, 창호(12)와 단열재(11)가 연결되는 부분에 간격이 있다면, 상기 간격을 내를 메우고 그 간격을 덮도록 보강재(100)를 설치한다.
보강재(100)는 창호(12)를 통해 화염이 전파 및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창호(12) 둘레 중 상측 둘레 및 측면의 1/2 이상의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보강재(100)를 단위 부재(101) 형태로 설치하므로, 창호(12)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보강재(100)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부재(101)는 봉 형태와 같이 비교적 단면적이 작고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부재(101)의 수를 조정하면 창호(12)의 크기에 적절하게 보강재(100)를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단위 부재(101)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0)는 열에 의해 팽창하므로, 인접하는 단위 부재(10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이격시켜서 설치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연성 단열재를 사용한 외단열 건축물(10)에서 창호(12) 둘레에 난연성 및 불연성의 보강재(100)를 설치함으로써 건축물(10)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가 창호(12)를 통해 외부로 확산되는 것과 건물 외벽을 타고 상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0)는 단열재(11) 상에 설치하므로 기존 건축물(10) 및 단열재(11)를 해체하지 않고 단열재(11) 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보강재(100)의 설치 공정을 단축시키고 작업이 용이하며, 시공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0)는 화재 발생 시 열에 의해서 팽창하여 창호(12)와 단열재(11) 사이의 틈을 메움으로써, 화염이 틈을 통해 단열재(11)로 전파 및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는 보강재(100)가 설치되는 부분을 창호(12)로 예시하였으나, 보강재(100)의 설치 대상은 건축물(10)의 외벽에 형성되고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부분이라면 실질적으로 다양한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10)은 필로티(P)가 있는 필로티 구조로서 예시하였으나, 필로티(P)가 없는 구조의 건축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필로티(P)의 경우, 필로티(P)와 연결되는 부분 및 필로티(P) 층의 상면, 기둥 등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1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100)를 필로티(P)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필로티(P)에서 발생한 화재가 단열재(11)를 통해 건축물(10)의 상부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P: 필로티
10: 건축물
11: 단열재
12: 창호
100: 보강재
101: 단위 부재

Claims (12)

  1. 외단열 건축물의 외벽면에서 창호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보강재로서,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조성물; 및
    굴패각을 포함하는 난연재;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 부재를 포함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상기 창호와 상기 외벽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상기 창호의 적어도 상측 둘레에 설치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상기 창호의 높이 방향에 대해서 측면 둘레의 1/2 보다 상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서로 인접하는 부분에 간격을 이격시켜서 설치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부재는 10mm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설치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7. 외단열 건축물의 외벽면에서 창호 둘레를 따라 복수의 단위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를 덮도록 마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의 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부재는,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조성물; 및
    굴패각을 포함하는 난연재;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의 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상기 창호와 상기 외벽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의 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상기 창호의 상측 둘레 및 상기 창호의 높이 방향에 대해서 측면 둘레의 1/2 보다 상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의 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는 서로 인접하는 부분에 간격을 이격시켜서 설치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의 시공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부재는 10mm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설치되는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의 시공 방법.
KR1020190159763A 2019-12-04 2019-12-04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 KR20210069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63A KR20210069923A (ko) 2019-12-04 2019-12-04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63A KR20210069923A (ko) 2019-12-04 2019-12-04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23A true KR20210069923A (ko) 2021-06-14

Family

ID=7641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763A KR20210069923A (ko) 2019-12-04 2019-12-04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99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703B1 (ko) 건물외벽의 화재차단용 마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55850B1 (ko) 불연마감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건축물의 화재안전보강시공방법
KR101995447B1 (ko) 알루미늄 박판층과 유리섬유 망층을 이용하여 무기질 평탄층이 고도의 일체성을 가지는 건축용 조립식 복합 외장구조체
KR102209864B1 (ko) 화이어블록과 화재확산방지층에 의한 가연성 소재 건축물의 화재안전 성능강화 방법 및 그 건축물
KR102003327B1 (ko) 습식 불연 외장 단열 마감 공법
KR20200060814A (ko) 외단열 보강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20210069926A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수재 및 그 시공 방법
JP2007120252A (ja) 耐火外断熱構造及びその工法
KR20210069923A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
JP3860738B2 (ja) 建物の耐火構造とその施工方法
JP2013068077A (ja) 防火区画壁
KR20210069925A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보강재 및 그 시공 방법
JP4086715B2 (ja) 壁構造及び建物
JP4700215B2 (ja) 防火区画壁
KR101802190B1 (ko)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JP2008121259A (ja) 建築物の外内装パネルシステム及びその工法
KR100437375B1 (ko) 통기구조를 가지는 고층건축물 커튼월의 차단벽용 단열·내화 유니트패널
RU2606997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строительное сооружение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KR20190037549A (ko) 이중벽체 구조의 건축물
GB2560812A (en) Improved insulated building section
JP2011185039A (ja) 遮炎機能を備えた建築用壁体および遮炎機能を備えた建築物、ならびに建築物の防火方法
RU21296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изоляции наружных огражда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RU61742U1 (ru) Конструкция стенового ограждения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точки росы в воздушной прослойке
JPH0538170Y2 (ko)
Walczak et al. Analysis of thermal solutions in challenging spots of masonry constru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