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006B1 -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006B1
KR100318006B1 KR1019990034755A KR19990034755A KR100318006B1 KR 100318006 B1 KR100318006 B1 KR 100318006B1 KR 1019990034755 A KR1019990034755 A KR 1019990034755A KR 19990034755 A KR19990034755 A KR 19990034755A KR 100318006 B1 KR100318006 B1 KR 100318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all
building
sill
window s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640A (ko
Inventor
김광률
Original Assignee
윤용성
주식회사 일진씨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성, 주식회사 일진씨피에스 filed Critical 윤용성
Priority to KR1019990034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006B1/ko
Publication of KR2000000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06B1/702Window sills

Abstract

본 발명은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턱부위를 보강하고 빗물의 흘러내림에 의한 창호부위 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단열 건축물의 마감재 내측에 창호 후래싱을 매입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창호턱에 쌓인 먼지나 이물질이 빗물과 함께 외벽을 타고 흘러 외벽을 변색 또는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시공방법은 외단열 건축물에서 창호부위를 시공할 때 창호 후래싱에서 창호벽으로 돌출되지 않는 부분을 마감재 내측으로 견고하게 매입하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창호턱에 쌓인 먼지가 빗물에 의해 씻겨내려갈 때 건축물의 외벽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후래싱은 창호턱에 매입되는 창호 후래싱의 고정부위에 소정 크기의 구멍을 일정 간격으로 천공하여 창호 후래싱을 창호턱에 매입시공할 때 상기 천공구멍 사이로 고정용 몰탈이 이동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임.

Description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window flashing on a outer wall insulating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m}
본 발명은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턱부위를 보강하고 빗물의 흘러내림에 의한 창호부위 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단열 건축물의 마감재 내측에 창호후래싱을 매입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는 벽돌이나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로 기체를 형성하고나서 외벽을 마감재로 처리하여 외관을 보기좋게 하고 있으며, 외벽중 창호턱은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하여 빗물이 내벽으로 유입되지 않고 외측으로 흘러나가도록 하고 있다.
또한 건축물의 벽체를 통한 열전도에 의해 실내와 실외간에 원치않는 열전도가 이루어져 불필요한 열손실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벽체에는 단열재를 내설시키고 있다.
단열재로는 보통 난연성 스티로폴이나 암면 등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단열방법에 따라 내벽단열과 중간벽단열 그리고 외벽단열방법이 있는데 내벽단열방법과 중간벽단열방법처럼 벽체의 모서리와 같은 연결부분으로 열교환에 의해 불필요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외벽단열방법이 개발되었다.
도 1a는 외벽단열방법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중 창호턱부위의 단면도이다.
이는 콘크리트 벽체(11)의 외면에 아크릴합성수지로 제조된 프라이몰탈과 시멘트를 적정 중량비로 혼합한 프라이몰탈접착제(12)를 발라 부착시키고나서 단열재(13)를 건물표면에 빈틈없이 부착시킨후 하루정도 건조시키고, 이어 단열재(13)표면 전체에 프라이몰탈접착제(14)를 바르고 보강메쉬망(15)을 부착시킨후 보강메쉬망(15)이 보이지 않도록 흙손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함침시킨 상태에서 프라이몰탈(16)을 다시 바르며, 이어 하루정도 경과한후 적정한 색상과 질감을 가지면서 내후, 내식성 및 신축저항이 뛰어난 마감재(17)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를 함으로써 아름다운 외관미를 갖도록 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의 외벽중 창호턱(10) 부위가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하여 빗물이 창호를 타고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에 의한 창호턱(10) 하부부위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평소에 창호턱(10)의 윗면에 쌓여 있던 먼지가 우천시 빗물과 함께 씻겨내려 외벽면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도 1b와 같이 창호턱(10)의 윗면에 끝단이 외벽보다 더 외부로 돌출된 창호 후래싱(20)을 설치하여 창호턱(10)에서 창호 후래싱(20)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외벽면으로 흐르지 않고 창호 후래싱(20) 끝단에서 지면으로 직접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의 외벽면이 오염되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창호 후래싱(20)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스크류(21)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창호턱(10)에 고정설치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창호 후래싱(20)이 창호턱(10) 위에서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건축물의 미관을 해치게 되고, 또한 장기간 경과시 스크류(21)가 부식되면 결합력이 약화되어 창호 후래싱(20)이 이탈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외단열 건축물에서 창호부위를 시공할 때 창호 후래싱에서 창호벽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부분을 마감재 내측으로 견고하게 매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창호턱에 쌓인 먼지가 빗물에 의해 씻겨내려갈 때 건축물의 외벽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턱에 매입되는 창호 후래싱의 고정부위에 소정 크기의 구멍을 일정 간격으로 천공하여 창호 후래싱을 창호턱에 매입시공할 때 상기 천공구멍 사이로 접착용 몰탈이 이동되어 창호 후래싱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호 후래싱 상하간에 접착용 몰탈이 접착되어 창호 후래싱 상측에 부착되는 마감재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된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창호부위 및 창호 후래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후래싱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후래싱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후래싱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창호부위의 일부절결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호턱, 11 -- 콘크리트 벽체,
12 -- 프라이몰탈접착제, 13 -- 단열재,
14 -- 프라이몰탈접착제, 15 -- 보강메쉬망,
16 -- 프라이몰탈접착제, 17 -- 마감재,
24 -- 창호 후래싱.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벽체에 프라이몰탈접착제를 통해 단열재를 부착하고 이어 다시 프라이몰탈접착제를 통해 보강메쉬망을 설치한후 마감재로 마감처리를 하는 한편, 창호턱부위를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마감재까지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창호턱에 창호 후래싱을 설치하는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프라이몰탈접착제를 통해 단열재를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 단열재의 상면을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하여 창호턱을 형성하고, 상기 창호턱의 상면과 단열재의 벽면에 프라이몰탈접착제를 바르고 보강메쉬망을 부착시킨후 보강메쉬망이 보이지 않도록 흙손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함침시킨 상태에서 프라이몰탈을 다시 바름과 아울러, 상기 창호턱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판이나 프라스틱과 같은 비금속판을 하방과 외측방향으로 2단 절곡한후 창호턱과 접촉하는 부위에 다수의 천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창호 후래싱을 그 창호후래싱의 고정부위에 프라이몰탈접착제를 발라 설치하며, 이어 하루정도 경과한후 적정한 색상과 질감을 가지면서 내후, 내식성 및 신축저항이 뛰어난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를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은, 창호턱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창호턱의 돌출폭보다 다소 긴 폭을 갖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판이나 프라스틱과 같은 비금속판중 창호턱에 매입되는 고정부에는 소정 크기의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고, 창호턱으로 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다소 연장된후 하방으로 소정길이 절곡된후 다시 측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후래싱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창호 후래싱(24)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판이나 프라스틱과 같은 비금속판 판재가 절곡되어 창호턱(10)에 매입되는 고정부(24a)와 창호턱(10)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4b)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고정부(24a)는 창호턱(10)속에 매입되어 창호 후래싱(24)을 고정하는 부위로써 창호턱(10)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 크기의 구멍(26)들이 고정부(24a)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멍(26)들은 고정부(24a)를 창호턱(19)속에 매입시공할 때 상기 구멍(26)들 사이로 고정용 몰탈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부(24a)의 상하측에 배치되는 고정용 몰탈에 의해 창호 후래싱(24)이 견고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고정부(24a) 상측에 발라지는 고정용 몰탈이 견고하게 창호턱(10)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창호 후래싱(24)중 창호턱(10)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4b)는 상기 고정부(24a)와 동일 평면을 가지면서 창호턱(10)의 외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다가 직하방으로 절곡된후 다시 측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4b)의 돌출길이는 창호턱(10)위로 떨어진 빗물이 돌출부(24b)를 타고 흘러내리다가 돌출부(24b)의 끝단에서 직하방으로 떨어질 때 건축물의 외벽으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후래싱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1)에 프라이몰탈 접착제(12)를 사용하여 단열재(13)를 외표면이 평활하게 건축물 외벽에 부착함과 아울러 창호턱(10)부위를 외방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한후 하루정도 건조시킨다. 이때 프라이몰탈접착제(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1) 전체에 걸쳐 골고루 바른 후 단열재(13)를 부착시키거나 혹은 콘크리트 벽체(11)에 단열재(13)를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범위안에서 군데군데 발라 부착할 수도 있다.
이어, 도 3b와 같이 상기 창호턱(10)과 벽면에 프라이몰탈접착제(14)를 이용하여 보강메쉬망(15)을 부착시킨후 보강메쉬망(15)이 보이지 않도록 흙손 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함침시킨 상태에서 프라이몰탈접착제(16)를 다시 바른다.이어 창호턱(10)에는 창호 후래싱(24)의 고정부(24a)를 부착하고 돌출부(24b)를 창호턱(10)의 외부로 돌출시킨상태에서 다시 고정부(24a) 위에 프라이몰탈접착제(16)를 바른다. 이때 창호 후래싱(24)은 고정부(24a)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6)사이로 프라이몰탈접착제(16)가 이동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지만 스크류(21)를 이용하여 창호턱(10)에 체결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어 하루정도 경과한후 적정한 색상과 질감을 가지면서 내후, 내식성 및 신축저항이 뛰어난 마감재(17)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를 하므로써 건축물의 외단열벽과 함께 창호턱을 완성시켜 창호 후래싱(24)을 고정설치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마감재(17)는 최종 마감층으로서 아크릴 합성수지로 조합되어 있고 내후, 내식성 및 신축저항이 뛰어날 뿐 아니라 다양한 색상과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외관미를 아름답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창호 후래싱중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 이외의 부분을 창호턱속에 매입시켜 창호 후래싱을 설치하는 한편, 창호 후래싱의 매입부에는 다수의 천공구멍을 형성시켜 창호 후래싱이 창호턱속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창호턱에 쌓여 있는 먼지나 이물질이 빗물에 씻겨 흘러내릴 때 창호턱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창호 후래싱의 끝단에서 지면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외벽의 오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창호 후래싱의 고정부가 창호턱속에 매입되어 외관미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콘크리트 벽체에 프라이몰탈접착제를 통해 단열재를 부착하고 이어 다시 프라이몰탈접착제를 통해 보강메쉬망을 설치한후 마감재로 마감처리를 하는 한편, 창호턱부위를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마감재까지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창호턱에 창호 후래싱을 설치하는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프라이몰탈접착제를 통해 단열재를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 단열재의 상면을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하여 창호턱을 형성하고, 상기 창호턱의 상면과 단열재의 벽면에 프라이몰탈접착제를 바르고 보강메쉬망을 부착시킨후 보강메쉬망이 보이지 않도록 흙손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함침시킨 상태에서 프라이몰탈을 다시 바른뒤 상기 창호턱에는 판재를 하방 및 외측방향으로 2단 절곡한후 창호턱과 접촉하는 부위에 다수의 천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창호 후래싱을 그 창호 후래싱의 고정부위에 프라이몰탈접착제를 발라 설치하며, 이어 하루정도 경과한후 적정한 색상과 질감을 가지면서 내후, 내식성 및 신축저항이 뛰어난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를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시공방법.
  2. 창호턱에 지지고정되는 고정부와 창호턱의 외벽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창호턱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판재에 소정 크기의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다소 측방으로 연장된후 직하방으로 소정길이 절곡된후 다시 측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KR1019990034755A 1999-08-21 1999-08-21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318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55A KR100318006B1 (ko) 1999-08-21 1999-08-21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55A KR100318006B1 (ko) 1999-08-21 1999-08-21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40A KR20000006640A (ko) 2000-02-07
KR100318006B1 true KR100318006B1 (ko) 2001-12-22

Family

ID=1960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755A KR100318006B1 (ko) 1999-08-21 1999-08-21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0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221B1 (ko) * 2009-09-18 2010-02-24 주식회사 인트켐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접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50346A (en) * 2006-10-05 2006-11-30 Stephen John Hotton Improved sill flashing
KR101802190B1 (ko) 2015-09-16 2017-11-29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외단열 벽체의 개구 주연부 구조
KR102274239B1 (ko) * 2021-04-22 2021-07-07 유지씨 주식회사 옥상 난간 보수용 보수 유닛 및 그 보수 유닛을 이용한 옥상 난간 보수 방법
KR102510136B1 (ko) 2022-02-07 2023-03-16 송미선 후벽용 창호 마감 프레임 및 후벽용 창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221B1 (ko) * 2009-09-18 2010-02-24 주식회사 인트켐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접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40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1496C (e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rchitectural moldings and insulation sheets to buildings
CA2556327A1 (en) Screed joints
US20090272060A1 (en) Cladding System for Roofs and Facades
KR20100044971A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100318006B1 (ko)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US8511012B2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KR200417783Y1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구조물
JP4447097B2 (ja) 構造物躯体カバーの隙間塞ぎ構造
KR20060008115A (ko) 건축물 외표면 장식용 몰딩
KR100759196B1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구조물
JP2719638B2 (ja) タイルの取付工法
JP3252243B2 (ja) 無端状ガスケットを有するサッシ
KR0132892Y1 (ko)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
KR200227262Y1 (ko) 건축용 샌드위치 판넬
KR200380125Y1 (ko)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KR200215058Y1 (ko) 벽체마감용 사이딩패널
JPH0354543Y2 (ko)
JP2004238987A (ja) 外断熱壁材、又は床材等の建築下地材の製造方法と、この方法で製造される外断熱壁材、又は床材等の建築下地材、並びに外壁の構築工法、又は屋外床面の構築工法
EP0566562A1 (en) STRUCTURE PANEL AND CONNECTOR BETWEEN SUCH PANEL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OF THEM.
JPH01105857A (ja) 壁外断熱構築法
JPH0315759Y2 (ko)
JP4465086B2 (ja) 建築物
KR20060071449A (ko)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JP2001164648A (ja) バルコニー隔てスクリーンのベースブロック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960003563Y1 (ko) 베란다용 창문 가이드 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