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804B1 -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 Google Patents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804B1
KR101394804B1 KR1020130132461A KR20130132461A KR101394804B1 KR 101394804 B1 KR101394804 B1 KR 101394804B1 KR 1020130132461 A KR1020130132461 A KR 1020130132461A KR 20130132461 A KR20130132461 A KR 20130132461A KR 101394804 B1 KR101394804 B1 KR 101394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ndow frame
width direction
hea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동신
Original Assignee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13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거실과 발코니와 같은 벽-슬래브 등 구조체 연결부의 창호 프레임이 설치되는 부분에 열교차단기능을 갖도록 단열재가 구성된 창호 프레임 고정틀을 구성하도록 하여, 발코니 슬래브의 에어핀 작용을 단절시키고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내부가 비어 있는 각재의 형상으로 하부에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하부로 돌출되도록 결합턱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폭방향 타측면과 모서리에 결합구성되는 외부 단열재와; 본체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구성되며,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근이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열교차단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Window fixing frame with blocking thermal bridge}
본 발명은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거실과 발코니와 같은 벽-슬래브 등 구조체 연결부의 창호 프레임이 설치되는 부분에 열교차단기능을 갖도록 단열재가 구성된 창호 프레임 고정틀을 구성하도록 하여, 발코니 슬래브의 에어핀 작용을 단절시키고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벽-슬래브 등 구조체 연결부의 창호 프레임 설치시에는 건물의 내단열, 외단열 목적으로 부착되는 단열재가 연속될 수 없으므로 수직부재나 수평부재로 인한 열교(thermal bridge)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의 외기로 노출된 발코니와 같은 슬래브는 외벽체로부터 돌출되어 건축물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외기 환경 즉,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차에 의한 결로 발생이나 실내 온도(에너지)의 손실을 일으키는 에어핀(Air fin)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에 창호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벽체에 경계 결합부의 내부에 내부 단열재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창호 프레임이 결합되는 벽체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공동주택의 창호 프레임이 설치되는 고정턱의 내측에 단열재를 구성하여 내단열을 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내단열 시에는 열교가 차단되지 않아 실내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2012-0032638호 "열교 차단용 단열재 구조"(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열교 차단용 단열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구조는, 장방형의 단열재;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상부철근 및 하부철근; 상기 단열재의 저면에 부착되는 내화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용 단열재 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슬래브간의 열교차단을 하는 단열재로서, 슬래브간의 열교를 차단할 수는 있으나, 별도로 창호 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창호 프레임 설치시에 창호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에서의 결로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창호 프레임이 설치된 부분에는 열교가 차단되지 않아 실내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슬래브의 하부에 창호 프레임 설치를 위한 별도로 고정턱을 설치하고 창호 프레임을 설치하고 내부에 단열재를 구성하고, 커튼 박스를 설치하는 등의 시공과정이 복잡한 문제점도 있었다.
특허공개 제2012-0032638호 "열교 차단용 단열재 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래브의 하부에 별도로 고정턱을 설치하고 창호 프레임을 설치하고 내부에 단열재를 구성하고, 커튼 박스를 설치하는 등의 일련의 시공과정을 유닛화한 고정틀을 슬래브에 고정설치하고 창호 프레임을 시공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고정틀 본체의 외측면에 외부 단열재를 구성하도록 하여 실내의 내부에서 단열재시공시에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 및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정틀 본체의 상부면에 열교차단 단열재를 별도로 구성하여 기존의 창호 프레임의 상부 고정턱 및 슬래브에서 발생하는 열교를 차단할 수 있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각재의 형상으로 하부에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하부로 돌출되도록 결합턱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폭방향 타측면과 모서리에 결합구성되는 외부 단열재와; 본체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구성되며,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근이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열교차단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체의 폭방향의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통기구가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평형하게 구성되는 상부판과 상부판의 양단부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연장된 측면판 및 일측 측면판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거치판으로 형성되는 커튼 박스가 본체의 폭방향 일측면에 측면판이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열교차단 단열재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강선을 파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파형의 결합재가 매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고정틀 본체는 강재 또는 FRP를 포함한 복합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은 슬래브의 하부에 별도로 고정턱을 설치하고 창호 프레임을 설치하고 내부에 단열재를 구성하고, 커튼 박스를 설치하는 등의 일련의 시공과정을 유닛화한 고정틀을 슬래브에 고정설치하고 창호 프레임을 시공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고정틀 본체의 외측면에 외부 단열재를 구성하도록 하여 실내의 내부에서 단열재시공시에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 및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정틀 본체의 상부면에 열교차단 단열재를 별도로 구성하여 기존의 창호 프레임의 상부 고정턱 및 슬래브에서 발생하는 열교를 차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이 설치 공동주택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열교 차단용 단열재 구조가 채택된 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이 설치 공동주택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1)은 공동주택의 거실과 발코니와 같은 벽-슬래브 등 구조체 연결부의 거실용 창호 프레임(2)이 설치되는 부분의 상층부 슬래브(S)에 설치되어 거실의 창호 프레임(2)이 설치되도록 한다. 즉, 창호 프레임(2)의 상부와 창호 프레임이 설치되는 상층부 슬래브(S)의 하부 사이에 본 발명의 고정틀(1)이 설치된다.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1)은 창호 프레임(2)의 상부면이 설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폭방향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외부 단열재(30)와, 본체(10)의 상부면에 관통근(41)이 관통되어 형성된 열교차단 단열재가 결합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본체(10)는 거실용 창호 프레임(2)의 상부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단면은 내부가 비어있는 각형 파이프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창호 프레임(2)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각재의 형상으로 하부에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하부로 돌출되도록 결합턱(11)이 형성된다.
본체(10)의 하부면은 창호 프레임(2)의 상부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이며, 본체(10) 하부면의 실내측으로 치우쳐 결합턱(11)이 형성되도록 하여, 창호 프레임(2)의 시공시에 정확한 위치에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결합턱(11)은 실내 거실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사선으로 구성하여 돌출되는 턱이 없이 완만하게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폭방향의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통기구(12)가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통기구(12)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와 본체(10)의 내부의 공간과 유통되도록 하여, 실내에서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10)는 강재 또는 FRP를 포함한 복합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강재로 형성되면,철근 등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FRP와 같은 복합소재로 구성하여, 중량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존의 공동 주택의 거실 창호 프레임(2) 설치시에 거실 실내 천정측에 내부 단열재를 구성하도록 하였으나, 이때에는 실내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창호 프레임(2)이 설치되는 본 발명의 고정틀의 실외측에 외단을 하도록 외부 단열재(30)를 구성하도록 하여, 결로 등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단열재(30)는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10)의 실외측 측면에 결합구성되며, 동시에 창호 프레임(2)의 상부 프레임이 결합되지 않은 모서리면에도 결합구성되도록 하여 단열성능을 높이도록 한다. 즉, 외부단열재(30)와 결합턱(11)은 창호 프레임(2)의 두께만큼 이격되고, 외부단열재(30)와 결합턱(11)의 이격된 사이에 창호 프레임(2)의 상부 프레임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열교차단 단열재(40)가 결합구성된다.
열교차단 단열재(40)는 슬래브(S)의 콘크리트 간의 열교 방지효과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소재가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일반적인 단열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열재(40)는 사각 블럭 형태로 형성되며, 열교차단 단열재(4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폭보다는 좁게 형성되는데 그 두께는 적용되는 현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열교차단 단열재(40)는 상부 슬래브(S)에 인입되도록 구성되어, 외기 환경 즉,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차에 의한 결로 발생이나 실내 온도(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열교차단 단열재(40)는 본체(10)의 상부면에 본체(10)의 전 길이방향으로 결합구성되며, 열교차단 단열재(40)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관통근(41)이 일정간격으로 구성된다. 관통근(41)은 열교차단 단열재(40)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면, 슬래브(S) 내에 구조 보강재인 철근과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연속되도록 한다.
또한, 열교차단 단열재(4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파형의 결합재(42)가 매입되어 구성되도록 하여, 상부 슬래브(S)에 열교차단 단열재(40)가 매입될 때 이종 재질간의 합성력을 높여 결합력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본체(10)의 일측면 즉, 실내측의 측면에는 커튼 박스(20)가 결합되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커튼 박스(20)는 일반적으로 별도로 천정에 설치하고 내단열을 하도록 하는데, 이를 본 발명의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1)과 결합구성하도록 하여, 고정틀(1)과 커튼 박스(20)를 일체로 유닛화 하여, 별도로 커튼 박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고정틀(1)을 슬래브(S)에 매입 시공하면, 창호 프레임(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틀(1)이 설치됨과 동시에 커튼 박스(20) 까지 동시에 설치되고, 내단열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내단열을 위하여 별도로 커튼 박스를 시공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고정틀(1)의 외측면에 외부 단열재(30)로 외단열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내단열이 필요가 없어 커튼 박스(20)를 고정틀(1)과 결합하여 유닛화 하도록 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커튼 박스(20)는 일반적인 커튼 박스(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평형하게 구성되는 상부판(21)과 상부판(21)의 양단부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연장된 측면판(22a)(22b) 및 일측 측면판(22a)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거치판(23)으로 형성된다.
상부판(21) 및 측면판(22a)(22b)이 이루는 공간은 추후 실내의 커튼 설치를 위하여 고정봉, 레일 등이 설치되는 공간이며, 거치판(23)은 천정틀이 거치되기 위하여 구성된다. 만약 본체(10)에 통기구(12)가 통공되어 구성되어 있다면, 커튼박스(20)의 측면판(22a)에도 본체(10)와 결합시 통기구(12)와 일치하는 위치에 동일하게 관통하도록 통기구(12)가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체(10)의 폭방향의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통기구(12)가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통기구(12)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와 본체(10)의 내부의 공간과 유통되도록 하여, 실내에서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튼 박스(20)는 거치판(23)이 형성된 반대편의 측면판(22b)이 본체(10)의 폭방향의 일측면 즉, 실내측면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은 슬래브의 하부에 별도로 고정턱을 설치하고 창호 프레임을 설치하고 내부에 단열재를 구성하고, 커튼 박스를 설치하는 등의 일련의 시공과정을 유닛화한 고정틀을 슬래브에 고정설치하고 창호 프레임을 시공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고정틀 본체의 외측면에 외부 단열재를 구성하도록 하여 실내의 내부에서 단열재시공시에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 및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정틀 본체의 상부면에 열교차단 단열재를 별도로 구성하여 기존의 창호 프레임의 상부 고정턱 및 슬래브에서 발생하는 열교를 차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고정틀
2 : 창호 프레임
10 : 본체
11 : 결합턱
12 : 통기구
20 : 커튼 박스
21 : 상부판
22a, 22b : 측면판
23 : 거치판
30 : 외부 단열재
40 : 열교차단 단열재
41 : 관통근
42 : 결합재
S : 슬래브

Claims (5)

  1. 내부가 비어 있는 각재의 형상으로 하부에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하부로 돌출되도록 결합턱(11)이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폭방향 타측면과 모서리에 결합구성되는 외부 단열재(30)와;
    본체(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구성되며,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근(41)이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열교차단 단열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10)의 폭방향의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통기구(12)가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평형하게 구성되는 상부판(21)과 상부판(21)의 양단부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연장된 측면판(22a)(22b) 및 일측 측면판(22a)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거치판(23)으로 형성되는 커튼 박스(20)가 본체(10)의 폭방향 일측면에 측면판(22b)이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열교차단 단열재(4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강선을 파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파형의 결합재(42)가 매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5.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틀 본체(10)는 강재 또는 FRP를 포함한 복합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KR1020130132461A 2013-11-01 2013-11-01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KR10139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461A KR101394804B1 (ko) 2013-11-01 2013-11-01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461A KR101394804B1 (ko) 2013-11-01 2013-11-01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804B1 true KR101394804B1 (ko) 2014-05-15

Family

ID=5089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461A KR101394804B1 (ko) 2013-11-01 2013-11-01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8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638A (ko) * 2010-09-29 2012-04-0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열교 차단용 단열재 구조
KR101220044B1 (ko) * 2010-12-03 2013-01-08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
KR101219849B1 (ko) * 2010-12-03 2013-01-08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
KR101282458B1 (ko) * 2011-09-02 2013-07-04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축물용 창호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638A (ko) * 2010-09-29 2012-04-0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열교 차단용 단열재 구조
KR101220044B1 (ko) * 2010-12-03 2013-01-08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
KR101219849B1 (ko) * 2010-12-03 2013-01-08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
KR101282458B1 (ko) * 2011-09-02 2013-07-04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축물용 창호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800B1 (ko) 불연속 철근을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KR101247235B1 (ko) 노출바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커튼월 프레임
KR101785279B1 (ko) 충진단열재를 이용한 외장 단열패널 설치구조
KR101462801B1 (ko) 불연속 철근 및 결합 부재를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KR20110003998A (ko) 단열성능 개선을 위한 알루미늄 창호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102040634B1 (ko) 단열구조가 보강된 커튼월
KR100675620B1 (ko) 조립식 벽체판넬과 이를 이용한 건물벽체
KR101877759B1 (ko) 가변형 창호 시스템
KR101169028B1 (ko) 이중단열 커튼월
JP5411037B2 (ja) 鉄骨併用鉄筋コンクリート壁式構造建築物の断熱構造
KR101394804B1 (ko)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KR200480225Y1 (ko) 열차단성능이 우수한 외장패널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외장패널 결합구조
KR101529559B1 (ko) C형 스틸 형강과 알루미늄 프레임이 결합된 유닛형 커튼월 구조
KR101394726B1 (ko) 슬래브 착탈형 고정유닛을 이용한 공동 주택의 창호 프레임 시공방법
KR101400963B1 (ko) 창호용 3중 단열 프레임
KR20120032638A (ko) 열교 차단용 단열재 구조
KR102462960B1 (ko) 외단열 선조립 벽체 모듈
KR101783849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JP2023542443A (ja) 構造物を組み立てるための多目的構造パネル
KR101381107B1 (ko) 하이브리드 패널의 고정구조
KR101289241B1 (ko) 하이브리드 패널을 이용한 벽 및 하이브리드 패널을 이용한 벽의 형성방법
KR200396304Y1 (ko) 조립식 벽체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
KR101930473B1 (ko)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