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853B1 - 단열 창호 - Google Patents

단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853B1
KR101732853B1 KR1020160145025A KR20160145025A KR101732853B1 KR 101732853 B1 KR101732853 B1 KR 101732853B1 KR 1020160145025 A KR1020160145025 A KR 1020160145025A KR 20160145025 A KR20160145025 A KR 20160145025A KR 101732853 B1 KR101732853 B1 KR 101732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heat insulating
side window
outdoor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헌
박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6014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two or more separate insulating zones alternating with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 E06B2003/26352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hollow
    • E06B2003/26354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hollow fi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69Specific material characteristics
    • E06B2003/26378Specific material characteristics comprising foa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87Performing extra functions
    • E06B2003/26389Holding sealing strips or forming sealing abu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갖고,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창틀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유리 패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창짝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창틀 프레임은, 실내 측 창틀과 실외 측 창틀 및 상기 실내 측 창틀과 실외 측 창틀은 연결하며, 상기 실내 측 창틀 및 실외 측 창틀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단열바를 포함하고, 창짝 프레임은, 실내 측 창짝과 실외 측 창짝 및 상기 실내 측 창짝과 실외 측 창짝은 연결하며, 상기 실내 측 창짝 및 실외 측 창짝과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2 및 제3 단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로 이루어진 공간에는 제1 폼 충진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폼 충진재는,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고정된 단열 창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단열 창호{Insulation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단열 창호에 관한 것으로, 전도 및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창호는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외곽 틀을 형성하는 창호 프레임과 창호 프레임에 결합 되는 유리창을 포함하고 있다.
아파트나 건물과 같은 각종 건축물에서, 실외와의 열 전달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이 창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창호 부분에서의 열 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열 구조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최근에는 알루미늄 창호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알루미늄은 폴리염화비닐 대비 높은 열 전달율을 가지며, 소재 특성상 단열에 취약한 특성을 갖고있다.
도 1은 종래 알루미늄 창호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단열바(3)는 소정 두께와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서, 내부 알루미늄 형재(1)와 외부 알루미늄 형재(2) 사이에서 이를 단순히 연결 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뿐, 그 형태상 단열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레임 내부 전체에 단열패널 등 단열재를 결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고 있으나 단열재를 부착하기 위해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며, 복잡한 구조를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 제10-0890036호
본 발명은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알루미늄 단열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를 갖고,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창틀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유리 패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창짝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창틀 프레임은, 실내 측 창틀과 실외 측 창틀 및 상기 실내 측 창틀과 실외 측 창틀은 연결하며, 상기 실내 측 창틀 및 실외 측 창틀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단열바를 포함하고, 창짝 프레임은, 실내 측 창짝과 실외 측 창짝 및 상기 실내 측 창짝과 실외 측 창짝은 연결하며, 상기 실내 측 창짝 및 실외 측 창짝과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2 및 제3 단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로 이루어진 공간에는 제1 폼 충진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폼 충진재는,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고정된 단열 창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폼 충진재는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고정되고, 나머지 단열바와 소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짝 프레임은 상기 유리 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유리고정 가스켓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리고정 가스켓은, 상기 유리패널과 인접한 제3 단열바와 접촉하도록 연장 형성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짝 프레임은 틸트 또는 턴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창틀 프레임에는 상기 창짝 프레임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제2 단열바와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단열바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2 단열바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제2 단열바와 접촉 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단열 가스켓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열바 및 단열 가스켓은, 상기 제1 및 제3 단열바에 형성된 중공부 보다 크게 형성된 복수 개의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단열바로 이루어진 공간에는 제2 폼 충진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폼 충진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단열바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측 창틀, 실외 측 창틀, 실내 측 창짝 및 실외 측 창짝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바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폼 충진재는 폴리우레탄폼(PU, polyurethane foam), 폴리스티렌폼(PS, polystyrene foam) 및 발포 PV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를 갖고,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창틀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유리패널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창짝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창틀 프레임은, 상기 제1 창짝 프레임을 지지하는 실내 측 창틀과 상기 제2 창짝 프레임을 지지하는 실외 측 창틀 및 상기 실내 측 창틀과 실외 측 창틀은 연결하며, 상기 실내 측 창틀 및 실외 측 창틀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단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창짝 프레임은, 각각 실내 측 창짝과 실외 측 창짝 및 상기 실내 측 창짝과 실외 측 창짝은 연결하며, 상기 실내 측 창짝 및 실외 측 창짝과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2 및 제3 단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로 이루어진 공간에는 제1 폼 충진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폼 충진재는,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은, 상기 실내 측 창틀과 실외 측 창틀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단열바가 상기 제1 및 제2 창짝 프레임 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제1 단열바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단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커버는 상기 실내 측 창틀과 제1 창짝 프레임의 실외 측 창짝 사이, 및 상기 실외 측 창틀과 제2 창짝 프레임의 실내 측 창짝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창짝 프레임의 실외 측 창짝에 마련된 가스켓과 상기 제2 창짝 프레임의 실내 측 창짝에 마련된 가스켓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창짝 프레임은 상기 실내 측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폼 충진재는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고정되고, 나머지 단열바와 소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창짝 프레임은 상기 유리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유리고정 가스켓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리고정 가스켓은, 상기 유리패널과 인접한 제3 단열바와 접촉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측 창틀, 실외 측 창틀, 제1 및 제2 창짝 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단열바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폼 충진재는 폴리우레탄폼(PU, polyurethane foam), 폴리스티렌폼(PS, polystyrene foam) 및 발포 PVC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열 창호에 따르면 전도 및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알루미늄 창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로, 특히 틸트 또는 턴 방식으로 개폐되는 알루미늄 단열 창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알루미늄 단열 창호(10)는 개구부를 갖고,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창틀 프레임(100); 및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유리 패널(30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창짝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100)은 실내 측 창틀(110)과 실외 측 창틀(120) 및 상기 실내 측 창틀(110)과 실외 측 창틀(1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단열바(1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단열바(130)는 상기 창틀 프레임(1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홈(150)에 끼움 방식으로 체결하여 상기 실내 측 창틀(110)과 실외 측 창틀(120) 사이의 외기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되도록 설치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제1 단열바(1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복수 개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단열바(131,131’)가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공간에 제2 폼 충진재(1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부를 형성하는 단열바 사이에 폼 충진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실내 측 창틀(110)과 실외 측 창틀(120) 사이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도 및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폼 충진재(132)는 상기 한 쌍의 제1 단열바(131,131’)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한 단열바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폼 충진재(132)는 상기 한 쌍의 제1 단열바(131,131’)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압출 공정을 통해 단열바를 생산한 후 연속 공정으로 단열바에 폼이 형성되도록,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단열바의 일면에 폼을 발포 시켜 폼 충진재와 단열바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각각 성형된 단열바와 폼 충진재를 후 공정에서 접착 시킴으로써 일체형으로 제작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폼 충진재는 단열바에 미리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단열바에 폼 충진재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단열바(130)는 상기 실내 측 창틀(110) 및 실외 측 창틀(120)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짝 프레임(200)은 실내 측 창짝(210), 실외 측 창짝(220), 제2 단열바(230) 및 제3 단열바(231)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230,231)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복수개의 중공부를 포함하며, 소정 공간이 구비되도록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간에 제1 폼 충진재(2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부를 형성하는 단열바 사이에 폼 충진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실내 측 창짝(210)과 실외 측 창짝(220) 사이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도 및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폼 충진재(232)는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230,231)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한 단열바와 소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폼 충진재(132)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폼 충진재(232)는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제작될 수 있어, 상기 제1 폼 충진재(232)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바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있어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창짝 프레임(200)은 상기 유리패널(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유리 고정 가스켓(310, 311)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고정 가스켓(310,311)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리패널(300)과 인접한 제3 단열바(231)와 접촉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리고정 가스켓(310,311)은 긴 날개형태의 바람막이로 상기 제3 단열바(231)와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어, 상기 유리패널(300)을 고정함과 동시에 유리와 창짝 사이의 내부 공기 층을 여러 개로 분할 함으로써, 공기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창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예로 창짝 프레임(200)이 틸트 또는 턴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창짝 프레임(200)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100)에는 상기 제2 단열바(230)와 접촉하도록 단열 가스켓(14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단열 가스켓(140)은 상기 제1 단열바(130)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2 단열바(23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제2 단열바(230)와 접촉 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단열 가스켓(140)은 상기 제1 단열바(131)에 형성된 돌출부(141)에 걸림 장착 고정되어, 경질 소재로 이루어진 제2 단열바(230)와 접촉 시 탄성 변형에 의해 밀착되는 구조를 이루어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 단열바 및 단열 가스켓은 상기 제1 및 제3 단열바에 형성된 중공부(S2) 보다 크게 형성된 복수 개의 중공부(S3)를 포함함으로서, 내부에 큰 공기층을 형성하는 구조를 이룬다.
특히, 도2를 기준으로, 상기 유리 패널(300)의 중심선을 따라, 외기와 내기를 단열시키기 위한 단열 라인(L)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단열바(130), 단열 가스켓(140), 제2 단열바(230) 및 제3 단열바(231)가 대략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 가스켓(140)과 제2 단열바(230)로 이루어지는 단열라인(L)에는 상기 창짝 프레임(200)과 창틀 프레임(100) 사이 공간부(S1)를 외기 측과 내기 측으로 구획하고, 상기 단열 가스켓(140)과 제2 단열바(230) 내부에 보다 크게 형성된 중공부(S3)에 의해 밀폐 공기 층을 형성하여 단열 성능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바 및 단열 가스켓의 폭 또는 너비는 상기에서 서술한 단열라인(L)의 폭 또는 너비에 따라 조절 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창짝 프레임이 틸트 또는 턴 방식으로 개폐될 때, 상기 창틀 프레임(100)과 창짝 프레임(200) 사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S1)에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열성을 유지하기 위해 작은 크기의 가스켓을 다수 개 결합 장착하는 종래의 복잡한 구조에 비해 본 발명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기밀성 및 단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실내 측 창틀(110), 실외 측 창틀(120), 실내 측 창짝(210), 실외 측 창짝(22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바는(131,131’,230,231)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plastic),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chloride) 및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폼 충진재는 폴리우레탄폼(PU, polyurethane foam), 폴리스티렌폼(PS, polystyrene foam) 및 발포 PV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실외로부터 실내로의 열 전달은 두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첫째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소재의 내외부의 온도차이에 기인한 전도에 의한 열 전달이고, 둘째는 실내 측 프레임과 실외 측 프레임 사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공기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10)는 이격 형성된 단열바 사이에 폼 충진재를 구비함으로써 전도 및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넓은 공기층이 형성된 복수 개의 중공부(S3)를 포함하는 연질의 단열 가스켓(140)과 경질의 제2 단열바(230)를 접촉 되도록 구비하며, 단열 라인(L)에 상기 제1 단열바(130), 단열 가스켓(140), 제2 및 제3 단열바(230,231)를 대략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열함으로써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 할 수 있게 되어 기밀성과 단열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로, 특히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되는 알루미늄 단열 창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알루미늄 단열 창호(20)는 개구부를 갖고,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창틀 프레임(400); 및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창틀 프레임(4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유리패널(600)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창짝 프레임(510,5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400)은, 상기 제1 창짝 프레임(510)을 지지하는 실내 측 창틀(410)과 상기 제2 창짝 프레임(520)을 지지하는 실외 측 창틀(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외 측 창틀(420) 및 실내 측 창틀(410)을 연결하며, 상기 실내 측 창틀 및 실외 측 창틀(410,420)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단열바(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열바(4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복수 개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제1 단열부재(431,4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열부재(431,431’)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하여 간격 사이에 폼 충진재를 추가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열바(430)는 상기 창틀 프레임(4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홈(450)에 끼움 방식으로 체결하여 상기 실내 측 창틀 과 실외 측 창틀(410,420) 사이가 밀폐되도록 설치 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창틀 프레임(400)은 상기 제1 단열바(430)가 상기 제1 및 제2 창짝 프레임(510,520) 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제1 단열바(430)를 둘러싸며, 상기 실내 측 창틀(410)과 실외 측 창틀(420)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단열 커버(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커버(440)는 상기 실내 측 창틀(410)과 제1 창짝 프레임의 실외 측 창짝(512) 사이, 및 상기 실외 측 창틀(420)과 제2 창짝 프레임의 실내 측 창짝(521)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단열커버(440)는 상기 제1 창짝 프레임의 실외 측 창짝(512)에 마련된 가스켓(580)과 상기 제2 창짝 프레임의 실내 측 창짝(521)에 마련된 가스켓(580’)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 커버(440)는 상기 제1 단열바(430)를 둘러싸도록 연결 구비되며, 상기 제1 단열바(43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이스 부(441)와 상기 실내 측 창틀(410)과 제1 창짝 프레임의 실외 측 창짝(512)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제1 연장부(442) 및 상기 실외 측 창틀(420)과 제2 창짝 프레임의 실내 측 창짝(521)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제2 연장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441) 길이는 상기 제1 단열부재(431,431’)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장부(442)는 상기 제1 창짝 프레임의 실외 측 창짝(512)에 마련된 가스켓(580)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연장부(443)는 상기 제2 창짝 프레임의 실내 측 창짝(521)에 마련된 가스켓(580’)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단열 커버(440)의 구조 및 배치에 의해 실질적으로 외기에 노출될 수 있는 실외 측 창짝(512)으로부터 실내로의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중공부에 의해 상기 제1 단열바(430) 및 단열 커버(440)는 전도 및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단열 커버(440)의 복수 개의 중공부는 상기 제1 단열바(430)에 형성된 중공부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큰 공기층을 형성하는 구조를 이루어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창짝 프레임(510,520)은 각각 실내 측 창짝(511,521)과 실외 측 창짝(512,522)을 연결하는 제2 및 제3 단열바(530,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530,5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복수 개의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공간에 제1 폼 충진재(550)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폼 충진재(550)는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530,540)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머지 한 단열바와 소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폼 충진재(550)가 제2 및 제3 단열바(530,540)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제작될 때, 상기 제1 폼 충진재(550)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창짝 프레임(510)은 상기 실내 측 창틀 프레임(4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름수단(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름수단(560)은 실내 측 창틀 프레임(410)에 형성된 레일(561)과 상기 레일(561)에 대응 되도록 상기 제1 창짝 프레임(510)에 형성되는 롤러(56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561)과 롤러(562)에 의해 상기 제1 창짝 프레임(510)이 슬라이드 이동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창짝 프레임(520)에도 상기와 같은 구름수단 또는 지지부재(570)가 더 포함되어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및 제2 창짝 프레임(510,520)은 상기 유리패널(6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유리고정 가스켓(610,6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고정 가스켓(610,611)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리패널(600)과 인접한 제3 단열바(540)와 접촉하도록 연장 형성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리고정 가스켓(610,611)은 긴 날개형태의 바람막이로 상기 제3 단열바(540)와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어, 상기 유리패널(600)을 고정함과 동시에 유리와 창짝 사이의 내부 공기 층을 여러 개로 분할 함으로써, 공기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 측 창틀(410), 실외 측 창틀(420), 제1 및 제2 창짝 프레임(510,52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바(430,530,540)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plastic),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chloride) 및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폼 충진재(550)는 폴리우레탄폼(PU, polyurethane foam), 폴리스티렌폼(PS, polystyrene foam) 및 발포 PV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창호(20)는 이격 형성된 단열바 사이에 폼 충진재를 구비함으로써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제1 단열바(43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넓은 공기층이 형성된 복수 개의 중공부를 포함하는 단열 커버(440) 및 이와 접촉되도록 배치된 가스켓(580,580’) 에 의해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 할 수 있게 되어 기밀성과 단열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10: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100: 창틀 프레임
110: 실내 측 창틀 120: 실외 측 창틀
130: 제1 단열바 140: 단열 가스켓
200: 창짝 프레임
210: 실내 측 창짝 220: 실외 측 창짝
230: 제2 단열바 231: 제3 단열바
232: 제1 폼 충진재
300: 유리패널
310, 311: 유리고정 가스켓
20: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400: 창틀 프레임
410: 실내 측 창틀 420: 실외 측 창틀
430: 제1 단열바 440: 단열 커버
510: 제1 창짝 프레임 520: 제2 창짝 프레임
530: 제2 단열바 540: 제3 단열바
550: 제1 폼 충진재
560: 구름수단
600: 유리패널
610, 611: 유리고정 가스켓

Claims (18)

  1. 개구부를 갖고,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창틀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유리 패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창짝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창틀 프레임은, 실내 측 창틀과 실외 측 창틀 및 상기 실내 측 창틀과 실외 측 창틀은 연결하며, 상기 실내 측 창틀 및 실외 측 창틀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단열바를 포함하고,
    상기 창짝 프레임은, 실내 측 창짝과 실외 측 창짝 및 상기 실내 측 창짝과 실외 측 창짝은 연결하며, 상기 실내 측 창짝 및 실외 측 창짝과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2 및 제3 단열바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 프레임에는 상기 창짝 프레임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제2 단열바와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단열바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2 단열바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제2 단열바와 접촉 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단열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로 이루어진 공간에는 제1 폼 충진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폼 충진재는, 상기 제2 및 제3 단열바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고정되고, 나머지 단열바와 소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제2 단열바 및 단열 가스켓의 중공부는 상기 제1 및 제3 단열바의 중공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단열 가스켓과 제2 단열바로 이루어지는 단열 라인에는 상기 창짝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사이 공간부를 외기 측과 내기 측으로 구획하고, 상기 단열 가스켓과 제2 단열바 내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3 단열바에 형성된 중공부 보다 크게 형성된 중공부에 의해 밀폐 공기층이 형성되는 단열 창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프레임은 상기 유리 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유리고정 가스켓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리고정 가스켓은, 상기 유리패널과 인접한 제3 단열바와 접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프레임은 틸트 또는 턴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단열바로 이루어진 공간에는 제2 폼 충진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폼 충진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단열바 중 어느 한 단열바에 일체로 고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측 창틀, 실외 측 창틀, 실내 측 창짝 및 실외 측 창짝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바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폼 충진재는
    폴리우레탄폼(PU, polyurethane foam), 폴리스티렌폼(PS, polystyrene foam) 및 발포 PV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145025A 2016-11-02 2016-11-02 단열 창호 KR10173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025A KR101732853B1 (ko) 2016-11-02 2016-11-02 단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025A KR101732853B1 (ko) 2016-11-02 2016-11-02 단열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853B1 true KR101732853B1 (ko) 2017-05-04

Family

ID=5874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025A KR101732853B1 (ko) 2016-11-02 2016-11-02 단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37B1 (ko) * 2018-09-10 2019-03-27 주식회사 한솔에이치더블유디 밀폐성능이 향상된 개선형 슬라이딩 창호구조
KR102569546B1 (ko) * 2022-05-02 2023-08-24 주식회사 이건창호 열 변형 방지 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98Y1 (ko) * 2002-04-18 2002-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늄 창호의 단열성 향상 구조
KR101334224B1 (ko) 2011-07-15 2013-11-29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CN103912191A (zh) 2014-02-26 2014-07-09 泰诺风保泰(苏州)隔热材料有限公司 一种复合型材节能门窗
KR101465508B1 (ko) * 2014-09-25 2014-11-26 (주)하이퍼윈도우 단열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98Y1 (ko) * 2002-04-18 2002-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늄 창호의 단열성 향상 구조
KR101334224B1 (ko) 2011-07-15 2013-11-29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턴 앤드 틸트 시스템 창호
CN103912191A (zh) 2014-02-26 2014-07-09 泰诺风保泰(苏州)隔热材料有限公司 一种复合型材节能门窗
KR101465508B1 (ko) * 2014-09-25 2014-11-26 (주)하이퍼윈도우 단열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37B1 (ko) * 2018-09-10 2019-03-27 주식회사 한솔에이치더블유디 밀폐성능이 향상된 개선형 슬라이딩 창호구조
KR102569546B1 (ko) * 2022-05-02 2023-08-24 주식회사 이건창호 열 변형 방지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431177B1 (ko) 커튼월 단열시스템
KR200479863Y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KR101153212B1 (ko) 단열복합의 프로젝트 이중 창
KR101485125B1 (ko) 복합창 시스템
KR101554922B1 (ko) 구조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KR102345489B1 (ko) 단열 커튼월
KR101465508B1 (ko) 단열 창호
KR20170074069A (ko) 단열 창문틀
KR101732853B1 (ko) 단열 창호
KR20190022179A (ko) 다중 챔버를 구비한 창짝과 이를 포함한 창호
EP3805507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glass fixing gasket and window glass panel fixing bracket of fixed window in sliding window system comprising segmented window frame
KR101709700B1 (ko) 단열 및 조립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짝 및 그 제조방법
US4516356A (en) Insulated plastic frame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KR101654567B1 (ko)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1953406B1 (ko)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RU2702399C1 (ru) Система оконной рамы для вакуумного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го стеклопакета
KR101365692B1 (ko) 투트랙 창호 레일과 삼중 유리가 구성된 이중 아존타입 단열구조
KR101949136B1 (ko) 단열 창호
KR102077342B1 (ko)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에서 2변 지지 프레임 윈도우 샤시와 도어 프레임이 상호 겹쳐지는 측면 섹션에서의 단열 구조
KR101969370B1 (ko)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KR101467446B1 (ko) 단열 창호
KR101915430B1 (ko) 단열 창틀 구조
JP7378856B2 (ja) スライディング窓戸システムの2辺支持フレームウィンドウサッシとドアフレームとが相互に重なる側面セクションにおける断熱構造
KR20170130160A (ko) 여밈대의 기밀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