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370B1 -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 Google Patents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370B1
KR101969370B1 KR1020180082448A KR20180082448A KR101969370B1 KR 101969370 B1 KR101969370 B1 KR 101969370B1 KR 1020180082448 A KR1020180082448 A KR 1020180082448A KR 20180082448 A KR20180082448 A KR 20180082448A KR 101969370 B1 KR101969370 B1 KR 101969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member
window
outer frame
intermedi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일
Priority to KR102018008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아서 외장재로 적합한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서기창은, 좌측 실내측에 위치되는 좌측 내부 프레임; 상기 좌측 내부프레임에 연결되는 좌측 틀부재; 상기 좌측 틀부재에 연결되어 좌측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좌측 외부 프레임; 중간 실내측에 위치되는 제1 중간 프레임; 상기 제1 중간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중간 틀부재; 상기 제1 중간 틀부재로부터 실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외부 틀부재; 상기 외부 틀부재에 연결되어 중간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중간 외부 프레임; 상기 제1 중간 프레임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실내측에 위치되는 제2 중간 프레임; 상기 제2 중간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중간 틀부재; 우측 실내측에 위치되는 우측 내부 프레임; 상기 우측 내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우측 틀부재; 상기 우측 틀부재에 연결되어 우측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우측 외부 프레임; 일측은 상기 좌측 외부 프레임 또는 좌측 틀부재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중간 외부 프레임 또는 외부 틀부재에 부착되는 고정 유리창; 일측은 상기 제1 중간 틀부재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중간 틀부재에 부착되는 가동 유리창; 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아서 외관이 우수하고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면서 환기에 유리한 미서기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Horizontally sliding window with hidden window frame from outside}
본 발명은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아서 외장재로 적합한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은 벽체가 내력을 지지하지 않고 단순히 칸막이 구실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축 용어로는 '비내력 칸막이벽'이라 한다.
커튼월 구조에서 커튼월은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리 등과 같은 재료로 마감을 하여 외장용으로 큰 기능을 갖는다.
그런데 유리와 같은 투명한 외장부재로 커튼월을 형성하게 되면, 태양광선이 그대로 건물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커튼월에서는 열었을 때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환기창(프로젝트창)이 설치되어 있지만, 창의 열림이 제한적이고 창이 열릴 경우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미서기창은 2짝, 4짝으로 창이 이루어져 있어서 한쪽을 옆으로 밀어서 열게 되면 2짝이 겹쳐져서 서게 되는 창을 말하고, 환기에 유리하여 일반적인 창문의 형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미서기창의 경우 창틀 사이에 유리가 끼워진 형태로서, 창틀이 외부에 노출되어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366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아서 외관이 우수하고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면서 환기에 유리한 미서기창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은, 좌측 실내측에 위치되는 좌측 내부 프레임; 상기 좌측 내부프레임에 연결되는 좌측 틀부재; 상기 좌측 틀부재에 연결되어 좌측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좌측 외부 프레임; 중간 실내측에 위치되는 제1 중간 프레임; 상기 제1 중간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중간 틀부재; 상기 제1 중간 틀부재로부터 실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외부 틀부재; 상기 외부 틀부재에 연결되어 중간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중간 외부 프레임; 상기 제1 중간 프레임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실내측에 위치되는 제2 중간 프레임; 상기 제2 중간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중간 틀부재; 우측 실내측에 위치되는 우측 내부 프레임; 상기 우측 내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우측 틀부재; 상기 우측 틀부재에 연결되어 우측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우측 외부 프레임; 일측은 상기 좌측 외부 프레임 또는 좌측 틀부재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중간 외부 프레임 또는 외부 틀부재에 부착되는 고정 유리창; 일측은 상기 제1 중간 틀부재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중간 틀부재에 부착되는 가동 유리창;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동 유리창이 개방될 때, 상기 제1 중간 프레임, 상기 제1 중간 틀부재, 상기 제2 중간 프레임, 상기 제2 중간 틀부재는 상기 가동 유리창과 함께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 중간 틀부재는 상기 가동 유리창의 일측을 "ㄷ"자 형태로 감싸고, 상기 제2 중간 틀부재는 상기 가동 유리창의 타측의 전면을 제외하고 측면과 후면을 "ㄴ"자 형태로 감싼다.
또한, 상기 가동 유리창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 중간 틀부재와 상기 외부 틀부재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중간 틀부재와 상기 우측 틀부재의 사이에는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중간 외부 프레임 또는 외부 틀부재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프레임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우측 외부 프레임 또는 우측 틀부재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 프레임이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은 상기 미서기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아서 외관이 우수하고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면서 환기에 유리한 미서기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을 실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B-B'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좌우로 연속되는 미서기창을 실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C-C'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D-D'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을 갖는 커튼월을 실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E-E'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F-F'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을 실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B-B'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미서기창은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아서 외관이 우수하므로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미서기창(100)은 좌측 내부 프레임(110), 좌측 틀부재(111), 좌측 외부 프레임(112), 제1 중간 프레임(120), 제1 중간 틀부재(121), 외부 틀부재(130), 중간 외부 프레임(131), 제2 중간 프레임(140), 제2 중간 틀부재(141), 우측 내부 프레임(150), 우측 틀부재(151), 우측 외부 프레임(152), 고정 유리창(101), 가동 유리창(102) 등을 포함한다.
좌측 내부 프레임(110)은 좌측 실내측에 위치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틀부재(111)는 좌측 내부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틀부재(111)는 단열을 위해 사용된다.
좌측 외부 프레임(112)은 좌측 틀부재(111)에 연결되어 좌측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좌측 외부 프레임(112)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내부 프레임(110), 좌측 틀부재(111), 좌측 외부 프레임(112)은 필요에 따라 전체가 하나로 통합될 수도 있고,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중간 프레임(120)은 중간 실내측에 위치된다. 제1 중간 프레임(120)은 복수의 프레임이 연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중간 틀부재(121)는 제1 중간 프레임(120)에 연결된다.
외부 틀부재(130)는 제1 중간 틀부재(121)로부터 실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중간 외부 프레임(131)은 외부 틀부재(130)에 연결되어 중간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중간 외부 프레임(131) 또는 외부 틀부재(130)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프레임(135)이 부착될 수 있다.
제2 중간 프레임(140)은 제1 중간 프레임(120)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실내측에 위치된다.
제2 중간 틀부재(141)는 제2 중간 프레임(140)에 연결된다. 제2 중간 프레임(140)과 제2 중간 틀부재(141) 사이에는 가동 유리창(102)이 폐쇄될 때 우측 틀부재(151)와 충격되지 않고 우측 틀부재(151)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하는 스토퍼(142)가 위치될 수 있다.
우측 내부 프레임(150)은 우측 실내측에 위치된다. 우측 틀부재(151)는 우측 내부프레임(150)에 연결된다.
우측 외부 프레임(152)은 우측 틀부재(151)에 연결되어 우측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우측 외부 프레임(152) 또는 우측 틀부재(151)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 프레임(155)이 부착될 수 있다.
고정 유리창(101)은 일측이 좌측 외부 프레임(112) 또는 좌측 틀부재(111)에 부착되고, 타측은 중간 외부 프레임(131) 또는 외부 틀부재(130)에 부착된다. 고정 유리창(101)의 부착을 위해 접착재료[예를 들어, 실리콘(113, 133) 또는 양면테이프(114, 134)]가 이용될 수 있다.
가동 유리창(102)은 일측이 제1 중간 틀부재(121)에 부착되고, 타측은 제2 중간 틀부재(141)에 부착된다.
가동 유리창(102)이 개방될 때, 제1 중간 프레임(120), 제1 중간 틀부재(121), 제2 중간 프레임(140), 제2 중간 틀부재(141)는 가동 유리창(102)과 함께 이동한다.
제1 중간 틀부재(121)와 제2 중간 틀부재(141)는 가동 유리창(102)을 감싸는 형태가 된다. 예를 들어, 제1 중간 틀부재(121)는 가동 유리창(102)의 일측을 "ㄷ"자 형태로 감싸고, 제2 중간 틀부재(141)는 가동 유리창(102)의 타측의 전면을 제외하고 측면과 후면을 "ㄴ"자 형태로 감싼다. 제1 중간 틀부재(121)가 가동 유리창(102)의 측면과 후면을 "ㄴ"자로 감싸는 형태도 가능하다.
가동 유리창(102)이 닫힌 상태에서, 제1 중간 틀부재(121)와 외부 틀부재(130)의 사이에는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125)가 위치된다. 또한, 제2 중간 틀부재(141)와 우측 틀부재(151)의 사이에도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145)가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유리창(101)은 실외 측에 노출되는 창틀 없이 좌측 외부 프레임(112)과 중간 외부 프레임(131)에 부착된다. 또한, 가동 유리창(102)은 실외 측에 노출되는 창틀 없이 제1 중간 틀부재(121)와 제2 중간 틀부재(141)에 부착된다.
가동 유리창(102)이 개방될 때, 제1 중간 틀부재(121)는 고정 유리창(101)의 후면(실내측)에 위치되어 실외 측에 노출되지 않고, 제2 중간 틀부재(141)도 가동 유리창(102)의 측면과 후면을 "ㄴ"자 형태로 감싸므로 실외 측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고정 유리창(101)과 가동 유리창(102)이 모두 실외 측에 노출되지 않아서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될 경우, 외관이 우수하면서 환기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내부 프레임(160)은 상부 실내측에 위치된다. 상부 틀부재(161)는 상부 내부 프레임(160)에 연결된다. 상부 외부 프레임(162)은 상부 틀부재(161)에 연결되어 상부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상부 외부 프레임(162) 또는 상부 틀부재(161)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프레임(165)이 부착될 수 있다.
상부 중간 프레임(170)은 상부 실내측에 위치된다. 상부 중간 틀부재(171)는 상부 중간 프레임(171)에 연결된다.
하부 중간 프레임(180)은 상부 중간 프레임(170)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실내측에 위치된다. 하부 중간 틀부재(181)는 하부 중간 프레임(180)에 연결된다.
하부 내부 프레임(190)은 하부 실내측에 위치된다. 하부 틀부재(191)는 하부 내부 프레임(190)에 연결된다. 하부 외부 프레임(192)은 하부 틀부재(191)에 연결되어 하부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가동 유리창(102)은 상부 중간 틀부재(171)와 하부 중간 틀부재(181)에 접착재료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부 중간 틀부재(171)와 하부 중간 틀부재(181)는 가동 유리창(102)의 측면과 후면을 "ㄴ"자 형태로 감쌀 수 있다.
가동 유리창(102)의 폐쇄 상태에서, 상부 틀부재(161)와 상부 중간 틀부재(171)의 사이에는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175)가 위치된다. 또한, 상부 내부 프레임(160)과 상부 중간 프레임(170)의 사이에도 모헤어(175)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틀부재(191)와 하부 중간 틀부재(181)의 사이에는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185)가 위치된다. 또한, 하부 내부 프레임(190)과 하부 중간 프레임(180)의 사이에도 모헤어(185)가 위치될 수 있다.
하부 중간 프레임(180)과 하부 중간 틀부재(181)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는 가동 유리창(102)을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186)가 위치된다. 롤러(186)는 하부 내부 프레임(190) 또는 하부 틀부재(191)에 형성된 레일(19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좌우로 연속되는 미서기창을 실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C-C'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D-D'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미서기창(200)은 상하좌우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된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미서기창(200)은 좌측 내부 프레임(210), 좌측 틀부재(211), 좌측 외부 프레임(212), 제1 중간 프레임(220), 제1 중간 틀부재(221), 외부 틀부재(230), 중간 외부 프레임(231), 제2 중간 프레임(240), 제2 중간 틀부재(241), 우측 내부 프레임(250), 우측 틀부재(251), 우측 외부 프레임(252), 고정 유리창(201), 가동 유리창(202) 등을 포함한다.
좌측 내부 프레임(210)은 좌측 실내측에 위치되고, 좌측 틀부재(211)는 좌측 내부프레임(210)에 연결된다. 좌측 외부 프레임(112)은 좌측 틀부재(211)에 연결되어 좌측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중간 프레임(220)은 중간 실내측에 위치되고, 제1 중간 틀부재(221)는 제1 중간 프레임(220)에 연결된다.
외부 틀부재(230)는 제1 중간 틀부재(221)로부터 실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중간 외부 프레임(231)은 외부 틀부재(230)에 연결되어 중간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중간 외부 프레임(231) 또는 외부 틀부재(230)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프레임(235)이 부착될 수 있다.
제2 중간 프레임(240)은 제1 중간 프레임(220)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실내측에 위치된다. 제2 중간 틀부재(241)는 제2 중간 프레임(240)에 연결된다. 제2 중간 프레임(240)과 제2 중간 틀부재(241) 사이에는 스토퍼(242)가 위치될 수 있다.
우측 내부 프레임(250)은 우측 실내측에 위치되고, 우측 틀부재(251)는 우측 내부프레임(250)에 연결된다. 우측 외부 프레임(252)은 우측 틀부재(251)에 연결되어 우측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우측 외부 프레임(252) 또는 우측 틀부재(251)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 프레임(255)이 부착될 수 있다.
고정 유리창(201)은 일측이 좌측 외부 프레임(212) 또는 좌측 틀부재(211)에 부착되고, 타측은 중간 외부 프레임(231) 또는 외부 틀부재(230)에 부착된다. 가동 유리창(202)은 일측이 제1 중간 틀부재(221)에 부착되고, 타측은 제2 중간 틀부재(241)에 부착된다.
우측 내부 프레임(250)의 우측에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2개의 가동 유리창(202)이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가동 유리창(202)이 개방될 때, 제1 중간 프레임(220), 제1 중간 틀부재(221), 제2 중간 프레임(240), 제2 중간 틀부재(241)는 가동 유리창(202)과 함께 이동한다.
가동 유리창(202)이 닫힌 상태에서, 제1 중간 틀부재(221)와 외부 틀부재(230)의 사이에는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225)가 위치된다. 또한, 제2 중간 틀부재(241)와 우측 틀부재(251)의 사이에도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245)가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고정 유리창(201)과 가동 유리창(202)은 실외 측에 노출되는 창틀 없이 다른 부재에 부착된다. 가동 유리창(202)이 개방될 때도 실외 측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고정 유리창(201)과 가동 유리창(202)이 모두 실외 측에 노출되지 않아서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될 경우, 외관이 우수하면서 환기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내부 프레임(260)은 상부 실내측에 위치된다. 상부 틀부재(261)는 상부 내부 프레임(160)에 연결된다. 상부 외부 프레임(262)은 상부 틀부재(261)에 연결되어 상부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상부 외부 프레임(262) 또는 상부 틀부재(261)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프레임(265)이 부착될 수 있다.
상부 중간 프레임(270)은 상부 실내측에 위치된다. 상부 중간 틀부재(271)는 상부 중간 프레임(271)에 연결된다.
하부 중간 프레임(280)은 상부 중간 프레임(270)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실내측에 위치된다. 하부 중간 틀부재(281)는 하부 중간 프레임(280)에 연결된다.
하부 내부 프레임(290)은 하부 실내측에 위치된다. 하부 틀부재(291)는 하부 내부 프레임(290)에 연결된다. 하부 외부 프레임(292)은 하부 틀부재(291)에 연결되어 하부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가동 유리창(202)은 상부 중간 틀부재(271)와 하부 중간 틀부재(281)에 접착재료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가동 유리창(202)의 폐쇄 상태에서, 상부 틀부재(261)와 상부 중간 틀부재(271)의 사이에는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275)가 위치된다. 또한, 상부 내부 프레임(260)과 상부 중간 프레임(270)의 사이에도 모헤어(275)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틀부재(291)와 하부 중간 틀부재(281)의 사이에는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285)가 위치된다. 또한, 하부 내부 프레임(290)과 하부 중간 프레임(280)의 사이에도 모헤어(285)가 위치될 수 있다.
하부 중간 프레임(280)과 하부 중간 틀부재(281)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는 가동 유리창(202)을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286)가 위치된다. 롤러(286)는 하부 내부 프레임(290) 또는 하부 틀부재(291)에 형성된 레일(29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하부 내부 프레임(290)의 하부에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 반복 배치되어, 2개의 가동 유리창(202)이 상하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을 갖는 커튼월을 실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E-E'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F-F' 라인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커튼월(300)은 실내측에 미서기창을 좌우로 연속하여 배치한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된다.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커튼월(300)은 좌측 내부 프레임(310), 좌측 틀부재(311), 좌측 외부 프레임(312), 제1 중간 프레임(320), 제1 중간 틀부재(321), 외부 틀부재(330), 중간 외부 프레임(331), 제2 중간 프레임(340), 제2 중간 틀부재(341), 우측 내부 프레임(350), 우측 틀부재(351), 우측 외부 프레임(352), 고정 유리창(301), 가동 유리창(302) 등을 포함한다.
좌측 내부 프레임(310)은 좌측 실내측에 위치되고, 좌측 틀부재(311)는 좌측 내부프레임(310)에 연결된다. 좌측 외부 프레임(312)은 좌측 틀부재(311)에 연결되어 좌측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중간 프레임(320)은 중간 실내측에 위치되고, 제1 중간 틀부재(321)는 제1 중간 프레임(320)에 연결된다.
외부 틀부재(330)는 제1 중간 틀부재(321)로부터 실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중간 외부 프레임(331)은 외부 틀부재(330)에 연결되어 중간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중간 외부 프레임(331) 또는 외부 틀부재(330)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프레임(335)이 부착될 수 있다.
제2 중간 프레임(340)은 제1 중간 프레임(320)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실내측에 위치된다. 제2 중간 틀부재(341)는 제2 중간 프레임(340)에 연결된다. 제2 중간 프레임(340)과 제2 중간 틀부재(341) 사이에는 스토퍼(342)가 위치될 수 있다.
우측 내부 프레임(350)은 우측 실내측에 위치되고, 우측 틀부재(351)는 우측 내부프레임(350)에 연결된다. 우측 외부 프레임(352)은 우측 틀부재(351)에 연결되어 우측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우측 외부 프레임(352) 또는 우측 틀부재(351)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 프레임(355)이 부착될 수 있다.
고정 유리창(301)은 일측이 좌측 외부 프레임(212) 또는 좌측 틀부재(311)에 부착되고, 타측은 중간 외부 프레임(331) 또는 외부 틀부재(330)에 부착된다. 가동 유리창(302)은 일측이 제1 중간 틀부재(321)에 부착되고, 타측은 제2 중간 틀부재(341)에 부착된다.
우측 내부 프레임(350)의 우측에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2개의 가동 유리창(302)이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가동 유리창(302)이 개방될 때, 제1 중간 프레임(320), 제1 중간 틀부재(321), 제2 중간 프레임(340), 제2 중간 틀부재(341)는 가동 유리창(302)과 함께 이동한다.
가동 유리창(302)이 닫힌 상태에서, 제1 중간 틀부재(321)와 외부 틀부재(330)의 사이에는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325)가 위치된다. 또한, 제2 중간 틀부재(341)와 우측 틀부재(351)의 사이에도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345)가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고정 유리창(301)과 가동 유리창(302)은 실외 측에 노출되는 창틀 없이 다른 부재에 부착된다. 가동 유리창(302)이 개방될 때도 실외 측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고정 유리창(301)과 가동 유리창(302)이 모두 실외 측에 노출되지 않아서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될 경우, 외관이 우수하면서 환기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내부 프레임(360)은 상부 실내측에 위치된다. 상부 틀부재(361)는 상부 내부 프레임(360)에 연결된다. 상부 외부 프레임(362)은 상부 틀부재(361)에 연결되어 상부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상부 외부 프레임(362) 또는 상부 틀부재(361)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프레임(365)이 부착될 수 있다.
상부 중간 프레임(370)은 상부 실내측에 위치된다. 상부 중간 틀부재(371)는 상부 중간 프레임(371)에 연결된다.
하부 중간 프레임(380)은 상부 중간 프레임(370)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실내측에 위치된다. 하부 중간 틀부재(381)는 하부 중간 프레임(380)에 연결된다.
하부 내부 프레임(390)은 하부 실내측에 위치된다. 하부 틀부재(391)는 하부 내부 프레임(390)에 연결된다. 하부 외부 프레임(392)은 하부 틀부재(391)에 연결되어 하부 실외측으로 연장된다.
가동 유리창(302)은 상부 중간 틀부재(371)와 하부 중간 틀부재(381)에 접착재료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가동 유리창(302)의 폐쇄 상태에서, 상부 틀부재(361)와 상부 중간 틀부재(371)의 사이에는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375)가 위치된다. 또한, 상부 내부 프레임(360)과 상부 중간 프레임(370)의 사이에도 모헤어(375)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틀부재(391)와 하부 중간 틀부재(381)의 사이에는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385)가 위치된다. 또한, 하부 내부 프레임(390)과 하부 중간 프레임(380)의 사이에도 모헤어(385)가 위치될 수 있다.
하부 중간 프레임(380)과 하부 중간 틀부재(381)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는 가동 유리창(302)을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386)가 위치된다. 롤러(386)는 하부 내부 프레임(390) 또는 하부 틀부재(391)에 형성된 레일(39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틀부재는 단열을 위해 사용되고, 단열복합이 아닌 일반창으로 할 경우에는 프레임과 틀부재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내부 프레임(110), 좌측 틀부재(111), 좌측 외부 프레임(112) 등은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미서기창
101 : 고정 유리창
102 : 가동 유리창
110 : 좌측 내부 프레임
111 : 좌측 틀부재
112 : 좌측 외부 프레임
120 : 제1 중간 프레임
121 : 제1 중간 틀부재
125 : 모헤어
130 : 외부 틀부재
131 : 중간 외부 프레임
135 : 제1 수직 프레임
140 : 제2 중간 프레임
141 : 제2 중간 틀부재
142 : 스토퍼
145 : 모헤어
150 : 우측 내부 프레임
151 : 우측 틀부재
152 : 우측 외부 프레임
155 : 제2 수직 프레임
160 : 상부 내부 프레임
161 : 상부 틀부재
162 : 상부 외부 프레임
165 : 수평 프레임
170 : 상부 중간 프레임
171 : 상부 중간 틀부재
175 : 모헤어
180 : 하부 중간 프레임
181 : 하부 중간 틀부재
185 : 모헤어
186 : 롤러
190 : 하부 내부 프레임
190' : 레일
191 : 하부 틀부재
192 : 하부 외부 프레임

Claims (7)

  1. 미서기창에 있어서,
    상부 실내측에 위치되는 상부 내부 프레임(160);
    상기 상부 내부 프레임(160)에 연결되는 상부 틀부재(161);
    상기 상부 틀부재(161)에 연결되어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외부 프레임(162);
    상기 상부 외부 프레임(162)에 부착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프레임(165);
    상기 상부 틀부재(161)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부 중간 프레임(170);
    상기 상부 중간 프레임(170)에 연결되는 상부 중간 틀부재(171);
    상기 상부 중간 프레임(170)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는 하부 중간 프레임(180);
    상기 하부 중간 프레임(180)에 연결되는 하부 중간 틀부재(181);
    상기 하부 중간 프레임(180)의 하부에서 실내측에 위치되는 하부 내부 프레임(190);
    상기 하부 내부 프레임(190)에 연결되는 하부 틀부재(191);
    상기 하부 틀부재(191)에 연결되어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외부 프레임(192);
    상기 상부 중간 틀부재(171)와 상기 하부 중간 틀부재(181)의 사이에 부착되는 가동 유리창(102);
    상기 가동 유리창(102)을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186);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중간 틀부재(181)는 상기 가동 유리창(102)의 하부 측면과 후면을 "ㄴ"자 형태로 감싸고,
    상기 롤러(186)는 상기 하부 중간 틀부재(181)과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 중간 프레임(180)과 상기 하부 중간 틀부재(18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가동 유리창(102)의 후면에 위치됨으로써, 외부에 상기 롤러(186)를 수용하기 위한 창틀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서기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틀부재(191)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 상기 롤러(186)를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190')이 형성되는 미서기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틀부재(161)와 상기 상부 중간 틀부재(171)의 사이 그리고 상기 하부 틀부재(191)와 상기 하부 중간 틀부재(181)의 사이에는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가 위치되는 미서기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서기창을 포함하는 커튼월.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82448A 2018-07-16 2018-07-16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KR101969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48A KR101969370B1 (ko) 2018-07-16 2018-07-16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48A KR101969370B1 (ko) 2018-07-16 2018-07-16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189A Division KR102086754B1 (ko) 2019-04-09 2019-04-09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370B1 true KR101969370B1 (ko) 2019-04-16

Family

ID=6628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448A KR101969370B1 (ko) 2018-07-16 2018-07-16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496A (ko) * 2019-04-09 2020-01-28 주식회사 중일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376Y1 (ko) * 1999-11-03 2000-05-15 박기영 레일은폐형 창호(또는 문)장치
KR200373245Y1 (ko) * 2004-11-01 2005-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KR20070051653A (ko) * 2005-11-14 2007-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층용 창호
KR100823663B1 (ko) 2007-12-28 2008-04-21 (주)거산토탈시스템 슬라이딩 창호가 구비된 투명 마감 방식의 커튼월 구조
KR20150114786A (ko) * 2014-04-02 2015-10-13 정선경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KR20180078667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범용성을 구비하는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376Y1 (ko) * 1999-11-03 2000-05-15 박기영 레일은폐형 창호(또는 문)장치
KR200373245Y1 (ko) * 2004-11-01 2005-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KR20070051653A (ko) * 2005-11-14 2007-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층용 창호
KR100823663B1 (ko) 2007-12-28 2008-04-21 (주)거산토탈시스템 슬라이딩 창호가 구비된 투명 마감 방식의 커튼월 구조
KR20150114786A (ko) * 2014-04-02 2015-10-13 정선경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KR20180078667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범용성을 구비하는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496A (ko) * 2019-04-09 2020-01-28 주식회사 중일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KR102086754B1 (ko) * 2019-04-09 2020-03-09 주식회사 중일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298B1 (ko) 알루미늄과 피브이씨를 적용한 복합 미서기 이중창 시스템 창호
KR200460496Y1 (ko) 창호
KR101520149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KR101929705B1 (ko) 방수효과가 향상된 창틀
KR101969370B1 (ko)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KR101515800B1 (ko) 시스템 창호
KR102086754B1 (ko)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KR101583722B1 (ko) 다중 레일 고기밀성 창호
KR101450303B1 (ko) 방범 및 난간 기능이 일체화된 슬림형 쓰리트랙 단열 창호
KR200419514Y1 (ko) 이중 창호
KR101732853B1 (ko) 단열 창호
KR101471244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창호
KR200472327Y1 (ko) 슬라이딩 이중창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1365692B1 (ko) 투트랙 창호 레일과 삼중 유리가 구성된 이중 아존타입 단열구조
KR101571375B1 (ko) 이중창호
TWI617731B (zh) Frame structure of the push window
KR102280618B1 (ko) 복합 창호
KR101929704B1 (ko) 방풍효과가 향상된 창틀
JP6999476B2 (ja) 建具
KR20100001878A (ko) 슬라이딩 창호가 구비된 커튼월의 개선구조
CN205689091U (zh) 一种组装式防尘装饰条
JP2019167712A (ja) 建具
KR101678193B1 (ko) 건물의 외장 기능을 갖는 창호
JPH0431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