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245Y1 -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 Google Patents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245Y1
KR200373245Y1 KR20-2004-0030827U KR20040030827U KR200373245Y1 KR 200373245 Y1 KR200373245 Y1 KR 200373245Y1 KR 20040030827 U KR20040030827 U KR 20040030827U KR 200373245 Y1 KR200373245 Y1 KR 200373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frame
seal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4-0030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2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2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12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two or more sealing-lines or -planes between the wing and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과, 이에 장착된 창짝을 포함하는 창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창짝프레임(21)이 실외에서 보아 상기 창틀의 창틀프레임(1)에 70% 이상 가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창짝프레임(21)의 창짝외측계단부(22)의 기울기(α) 및 상기 창틀프레임(1)의 창틀계단부(11)의 기울기(β)가 3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창틀프레임(1)의 창틀계단부(11)의 안쪽면에는 2개의 시일삽입홈(G1)(G2)이 인접하게 형성하고 이에 2개의 고무시일(R1)(R2)이 삽입 장착되어 창짝프레임(21)과 접하게 되며, 상기 창짝프레임(21)의 창짝내측계단부(23)의 안쪽면에는 1개의 시일삽입홈(G3)을 형성하고 이에 1개의 고무시일(R3)이 삽입 장착되어 창틀프레임(1)과 접하게 되어 3중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외부 관측자가 보았을 때 본 고안의 창은 그 입면이 깔끔하고 평탄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Hidden frame window}
본 고안은 건물에 설치되는 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부에서 보았을 때 창짝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에 70% 이상 가려지도록 하여 노출된 전체 프레임의 높이와 창틀 프레임의 높이 차를 줄이고, 각 프레임의 실외측으로 형성된 계단부(階段部)의 기울기를 30 ~ 60 °정도로 낮게 하여 외부 관측자의 시야각에 영향 받지 않도록 하여 그 입면이 깔끔하고 평탄하게 보이도록 한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창을 나타낸 것으로 하나의 고정창(400)과 하나의 여닫이창(200)을 하나의 창틀(100)에 장착시킨 창의 외부에서 본 입면도로서, 창틀프레임(100)의 중간에 고정된 중간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우측에는 고정창(400)이 창틀프레임(100)과 중간프레임(100)에 직접 설치되고, 좌측에는 창짝프레임(200)으로 둘러싸인 여닫이창(200)이 상기 창틀프레임(100)과 중간프레임(100)에 여닫이가동연결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은 창은 고정창(400)측의 노출된 프레임 높이와 여닫이창(200)측의 노출된 프레임 높이가 상당한 차이가 나고 있다. 그 이유는 여닫이창(200)의 창짝프레임(201)이 대부분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도 6은 도 4의 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여닫이창(200)측은 창틀프레임(100)과 창짝프레임(201)이 계단식(階段式)으로 거의 직각에 가까운 형태로 단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창유리와 창짝프레임(201), 중간프레임(300)과 창짝프레임(201)도 마찬가지로 단(段)을 이루고 있다.
고정창(400)측도 창틀프레임(100)과 창유리가 계단식으로 거의 직각에 가까운 형태로 단을 이루고 있으며, 중간프레임(300)과 창유리 또한 같은 식으로 단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창에서 여닫이창(200)의 밀폐구조는 창틀프레임(100)의 시일삽입홈(G101)에 삽입된 고무시일(R101) 및 중간프레임(300)의 시일삽입홈(G102)에 삽입된 고무시일(R102)와 창착프레임(201)의 실외측 표면이 접하여 1차적으로 밀폐가 이루어지며, 2차적으로 창짝프레임(201)의 시일삽입홈(G103)에 삽입된 고무시일(R103)과 창틀프레임(100)의 실내측 표면과 중간프레임(300)의 실내측 표면이 접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는 2중 밀폐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실외측에서 창을 보면 창틀프레임(100)과 더불어 창짝프레임(201)의 대부분이 보이기 때문에 우측 고정창(400)측과 좌측 여닫이창(200)측이 확연히 구분이 되므로 좌우가 불균형하며 특히 여닫이창(200)은 전체적으로 프레임이 두껍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고, 단을 이루고 있는 형태는 외부에서 보았을 때 시야각에 따른 창의 전체적인 모습(특히 창유리의 보이는 면)이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굴곡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 외부에서 보았을 때 창짝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에 70% 이상 가려지도록 하여 노출된 전체 프레임의 높이와 창틀 프레임의 높이 차를 줄이고, 각 프레임 사이 및 프레임과 창유리 사이의 단들이 30 ~ 60°정도로 낮은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여 외부 관측자의 시야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그 입면이 깔끔하고 평탄하게 보이도록 한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창틀과, 이에 장착된 창짝을 포함하는 창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창짝프레임이 실외에서 보아 상기 창틀의 창틀프레임에 70% 이상 가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짝 플레임이 가려진 창이 적용된 하나의 고정창과 하나의 여닫이창이 하나의 창틀에 장착된 창의 외부에서 본 입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나의 고정창과 하나의 여닫이창을 하나의 창틀에 장착시킨 창의 외부에서 본 입면도
도 5는 도 4의 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창틀프레임 2: 여닫이창
3: 중간프레임 4: 고정창
11: 창틀계단부 21: 창짝프레임
22: 창짝외측계단부 23: 창짝내측계단부
31: 중간프레임계단부 G1,G2,G3,G4,G5,G1',G2': 시일삽입홈
R1,R2,R3,R4,R5,R1',R2': 고무시일 α,β: 기울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은 창틀과, 이에 장착된 창짝을 포함하는 창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창짝프레임이 실외에서 보아 상기 창틀의 창틀프레임에 70% 이상 가려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창짝프레임의 창짝외측계단부의 기울기 및 상기 창틀프레임의 창틀계단부의 기울기가 3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창틀프레임의 창틀계단부의 안쪽면에는 2개의 시일삽입홈이 인접하게 형성하고 이에 2개의 고무시일이 삽입 장착되어 창짝프레임과 접하게 되며, 상기 창짝프레임의 창짝내측계단부의 안쪽면에는 1개의 시일삽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1개의 고무시일이 삽입 장착되어 창틀프레임과 접하게 되어 3중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짝 플레임이 가려진 창이 적용된 하나의 고정창과 하나의 여닫이창이 하나의 창틀에 장착된 창을 외부에서 본 입면도로서, 창틀의 중간에 고정 설치된 중간프레임(3)을 기준으로 좌측이 여닫이창(2)이며 우측이 고정창(4)이다. 즉, 4개의 창틀프레임(1)을 결합하여 형성한 창틀에 중간프레임(3)을 개재하여 우측으로 고정창(4)을 상하 및 우측의 창틀프레임(1)과 중간프레임(3) 사이에 고정 장착시키고, 좌측으로는 상하 및 좌측의 창틀프레임(1)과 중간프레임(3) 사이에 여닫이창(2)을 장착시킨 것이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선 A-A' 및 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창틀프레임(1) 'ㄴ' 자형으로 계단식으로 창유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실내측이 개방되고 실외측은 튀어나와 창틀계단부(1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창틀계단부(11)의 안쪽으로는 고무시일(R1)(R2)을 삽입장착시키기 위한 시일삽입홈(G1)(G2)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창틀프레임(1)의 개방부측의 안쪽에는 창유리를 고정시키는 보조프레임을 장착시킬때 사용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프레임(3)은 창틀의 중간부에 고정 장착되어 창틀프레임(1)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ㅗ' 자형으로 좌우 동형이며, 상기 창틀(1)과 동일 형상인 중간프레임계단부(31) 및 요홈이 형성되어 우측의 고정창(4)을 구성한다. 즉, 상기 중간프레임계단부(31)의 안쪽에는 시일삽입홈(G1')(G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부측의 안쪽으로는 보조프레임을 창짝시킬때 사용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닫이창(2)의 창짝프레임(21)은 안쪽으로는 창유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실내측이 개방되고 실외측은 튀어나와 창짝외측계단부(22)를 형성하며, 바깥쪽으로는 여닫이창(2)을 닫을 때에 창틀프레임(1) 및 중간프레임(3)에 걸려 창(2)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창짝내측계단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창짝내측계단부(23)의 안쪽으로는 고무시일(R3)이 삽입 장착되는 시일삽입홈(G3)가 형성되어 밀폐를 돕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계단부(11), 중간프레임계단부(31) 및 창짝외측계단부(22)는 모두 창유리면에 대하여 급하지 않고 완만하게 기울어져 있다. 상기 계단부(11)(31)(22)의 기울기(α)(β)는 30 ~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기울기(α)(β)가 이보다 작은 경우는 각 프레임(1)(3)(21)의 강도가 약하게 되거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각 프레임(1)(3)(21)을 두껍게 형성해야 하고, 기울기(α)(β)가 이보다 큰 경우는 외부에서 창을 보았을 때 시야각에 따라 입면의 형태에 변화가 많이 발생하여 울퉁불퉁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상기 고정창(4)의 설치 구조와 여닫이창(2)의 설치 가동구조는 일반적인 고정창 및 여닫이창의 설치구조 및 설치 가동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에서는 우측의 고정창(4) 측과 좌측의 여닫이창(2) 측을 서로 비교 했을 때, 좌측의 여닫이창(2) 측에서는 창틀프레임(1) 및 중간프레임(3)에 의해 대부분이 가려진 창짝프레임(21)의 일부가 시야에 들어오고 있다. 즉, 외부에서 보아 본 고안의 실시에에 따른 창은 마치 좌우가 동일한 것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1)의 창틀계단부(11) 및 중간프레임(3)의 중간프레임계단부(31)를 길게 형성하고, 창짝프레임(21)의 높이를 짧게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상기 여닫이창(2)을 닫았을 때의 밀폐구조는 3중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창틀프레임(1)의 창틀계단부(11)의 안쪽면에 2개의 시일삽입홈(G1)(G2)을 인접하게 형성하고 이에 2개의 고무시일(R1)(R2)을 삽입 장착시켜 창짝프레임(21)과 접하게 하고, 상기 중간프레임(3)의 중간프레임계단부(31)의 안쪽면에 2개의 시일삽입홈(G1')(G2')을 인접하게 형성하여 이에 2개의 고무시일(R1')(R2')을 삽입 장착시켜 창짝프레임(21)과 접하게 하며, 상기 창짝프레임(21)의 창짝내측계단부(23)의 안쪽면에 형성된 1개의 시일삽입홈(G3)에 1개의 고무시일(R3)이 삽입 장착시켜 창틀프레임(1) 및 중간프레임(3)과 접하게 하여 3중의 밀폐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짝이 가려진 창을 적용하게 되면 건물 외부에서 보았을 때 창짝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에 70% 이상 가려지게 되어 노출된 전체 프레임의 높이와 창틀 프레임의 높이 차가 적고, 각 프레임 사이 및 프레임과 창유리 사이의 단들이 30 ~ 60°정도로 낮은 기울기를 가지므로 외부 관측자의 시야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그 입면이 깔끔하고 평탄하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창틀과, 이에 장착된 창짝을 포함하는 창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창짝프레임(21)이 실외에서 보아 상기 창틀의 창틀프레임(1)에 70% 이상 가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프레임(21)의 창짝외측계단부(22)의 기울기(α) 및 상기 창틀프레임(1)의 창틀계단부(11)의 기울기(β)가 3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1)의 창틀계단부(11)의 안쪽면에는 2개의 시일삽입홈(G1)(G2)이 인접하게 형성하고 이에 2개의 고무시일(R1)(R2)이 삽입 장착되어 창짝프레임(21)과 접하게 되며, 상기 창짝프레임(21)의 창짝내측계단부(23)의 안쪽면에는 1개의 시일삽입홈(G3)을 형성하고 이에 1개의 고무시일(R3)이 삽입 장착되어 창틀프레임(1)과 접하게 되어 3중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KR20-2004-0030827U 2004-11-01 2004-11-01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KR200373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827U KR200373245Y1 (ko) 2004-11-01 2004-11-01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827U KR200373245Y1 (ko) 2004-11-01 2004-11-01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245Y1 true KR200373245Y1 (ko) 2005-01-14

Family

ID=4935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827U KR200373245Y1 (ko) 2004-11-01 2004-11-01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24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76B1 (ko) * 2005-11-14 200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층용 창호
KR100758378B1 (ko) 2006-02-16 200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층용 창호
KR200464215Y1 (ko) 2010-07-14 2012-12-18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
KR20160004135A (ko) * 2014-07-02 2016-01-12 김순석 미서기 문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
KR101969370B1 (ko) * 2018-07-16 2019-04-16 주식회사 중일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76B1 (ko) * 2005-11-14 200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층용 창호
KR100758378B1 (ko) 2006-02-16 200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층용 창호
KR200464215Y1 (ko) 2010-07-14 2012-12-18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
KR20160004135A (ko) * 2014-07-02 2016-01-12 김순석 미서기 문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
KR101687173B1 (ko) * 2014-07-02 2016-12-16 김순석 미서기 문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
KR101969370B1 (ko) * 2018-07-16 2019-04-16 주식회사 중일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1662A1 (en) Door, light, and method
KR200373245Y1 (ko) 창짝 프레임이 가려진 창
US6581588B2 (en) Door of insulating glass for a cooking chamber of a cooking appliance
KR100942482B1 (ko) 미닫이 창문
KR20130117277A (ko)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KR20180091801A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KR200449582Y1 (ko) 한옥 시스템 창호
KR200183492Y1 (ko) 창문 및 창틀용 프레임
KR200300529Y1 (ko) 창호의 결로와 누수 방지 및 마감구조
JPH10331526A (ja) 引違い窓
CN213297642U (zh) 一种极简双内开双平齐门窗型材结构
CN213116099U (zh) 一种开窗外遮阳结构
CN218780282U (zh) 一种扇纱组合式提升窗
CN210564077U (zh) 幕墙开窗结构及建筑
CN216974662U (zh) 一种单开门设有防水结构铝合金门窗
CN205689091U (zh) 一种组装式防尘装饰条
CN107503457A (zh) 一种带隐藏式内开扇的明框幕墙系统
CN217872416U (zh) 隐藏式内平开窗用合页机构
CN218150457U (zh) 一种新型无中挺对开窗纱一体式结构
CN211173705U (zh) 一种铜木复合窄框隐扇内平开窗
KR200141041Y1 (ko) 채광용 유리창을 구비한 여닫이문의 결합구조
CN207739920U (zh) 一种可拆卸外挂纱窗用纱扇框
CN213269664U (zh) 一种新型隔音防水窗户
JPH08177318A (ja) 引違い窓の窓枠
JP3155096U (ja) 建物用天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