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582Y1 - 한옥 시스템 창호 - Google Patents

한옥 시스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582Y1
KR200449582Y1 KR2020080008800U KR20080008800U KR200449582Y1 KR 200449582 Y1 KR200449582 Y1 KR 200449582Y1 KR 2020080008800 U KR2020080008800 U KR 2020080008800U KR 20080008800 U KR20080008800 U KR 20080008800U KR 200449582 Y1 KR200449582 Y1 KR 200449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ain frame
gasket
hanok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305U (ko
Inventor
황두진
Original Assignee
(주)황두진건축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황두진건축사무소 filed Critical (주)황두진건축사무소
Priority to KR2020080008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58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5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92Fixing of window panes in openings in 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0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 E06B3/5821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hooked on or in the frame member, fixed by clips or otherwise elastically fix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옥 시스템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메인프레임(11)의 안착부(14)의 제1지지면(15)에 제1브라켓(20)이 고정되며, 상기 제1브라켓(20)이 끼움홈(23)에 제1가스켓(25)이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바아(50)에 제2브라켓(60)이 고정되고, 상기 제2브라켓(60)의 고정돌기(63)가 제2가스켓(65)의 돌기삽입홈(67)에 삽입됨에 의해 제2가스켓(65)이 제2브라켓(60)에 결합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안착부(14)에 유리블럭(40)을 설치하여 상기 제1가스켓(25)에 의해 유리블럭(40)의 일면 가장자리가 지지되게 한 다음, 상기 제2가스켓(65)이 상기 유리블럭(40)의 타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바아(50)를 상기 메인프레임(11)에 체결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메인프레임과 고정바아에 브라켓 및 가스켓이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과 고정바아의 체결에 의해 유리블럭을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한옥 창호의 외관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옥, 창호, 브라켓, 가스켓, 방풍

Description

한옥 시스템 창호{systematic windows and doors for a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본 고안은 한옥 시스템 창호에 관한 것으로, 한옥의 내외부를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목재프레임과 유리가 결합된 창이나 문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인 한옥은 미적인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 건물의 편리함과 내구성에 밀려 점차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다. 한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종이와 목재로 구성된 창호에서 비롯되는데, 한옥의 창호가 단열과 방풍이라는 가옥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그동안 한옥 창호를 개선해보기 위해, 종이 대신에 유리를 목재프레임에 끼워 넣는 종래 기술들이 있었는데, 유리와 목재의 결합만으로 방풍 성능을 높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목재 프레임에 유리를 결합시키기 위해 목재 프레임 중앙에 홈을 형성하고 유리를 상기 홈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목재프레임과 유리 사이에 실런트를 채워 기밀성을 높이려 하였으나, 그 제조공정이 번거롭고 한옥 창호의 고유 디자인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옥 창호의 외관과 분위기를 유지하되, 단열 및 방풍 성능이 개선된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한옥 창호의 구성을 규격화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유리블럭; 상기 유리블럭의 일면 가장자리와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기 유리블럭의 일면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제1지지면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유리블럭의 일면 가장자리 사이 틈새를 막는 제1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블럭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면과 마주하는 일면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유리블럭의 타면 가장자리 사이 틈새를 채우는 제2가스켓을 포함하는 고정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면 중 문턱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끼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끼움브라켓에 요입되게 형성된 요입채널에 상기 문턱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매우는 밀폐가스켓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이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며, 서로 맞닿아 있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의 외면이 각각 평행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이 동시에 열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경사면 중 어느 일면 구비되는 설치브라켓에 차폐가스켓이 고정되고, 상기 차폐가스켓의 선단은 마주하는 경사면에 밀착되어 상기 경사면 사이의 틈새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마주보는 메인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창호를 장식하는 살대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바아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못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브라켓에는 걸이후크와 체결후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단과 체결단으로 구성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랜스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단과 체결단이 상기 걸이후크와 체결후크에 각각 걸어짐에 의해 상기 고정바아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한옥 시스템 창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창호의 구성인 메인프레임과 고정바아에 각각 브라켓과 가스켓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고정바아를 못으로 체결하거나 스냅온 형식으로 체결하여 창호를 완성하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유리와 브라켓 사이에 가스켓이 구비되므로 한옥 창호 의 미관은 해치치 않으면서 방풍 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한옥 시스템 창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한옥 시스템 창호가 적용된 양문 여닫이형 창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한옥 시스템 창호의 제1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도 1의 A-A'선에 의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의 B-B' 선에 의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한옥 시스템 창호는 크게 메인프레임(11), 상기 메인프레임(11)에 일측이 지지되는 유리블럭(40), 상기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1)에 설치된 유리블럭(40)의 타측을 지지하는 고정바아(50)으로 구성된다.
메인프레임(11)은 창호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창호의 상하좌우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재질은 목재이다. 상기 메인프레임(11)이 목재로 형성되므로 알루미늄 창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열이 잘 이루어진다. 상기 창호의 내부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프레임(11)의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안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4)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횡단면 형상이 'L'자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4)의 제1지지면(15)에는 후술할 제1가스켓(25)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브라켓(20)이 결합된다. 상기 제1브라켓(20)은 상기 안착부(14)의 제1지지면(15)에 체결되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1)과 결합된다.
상기 제1브라켓(20)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브라켓(20)은 상기 유리블럭(40)과의 사이에 제1가스켓(25)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브라켓(20)의 일단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끼움집게(21)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집게(21)에는 후술할 유리고정체(46)의 끼움돌기(48)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20)의 타측에는 끼움홈(23)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23)에는 상기 유리블럭(40)과 상기 제1브라켓(20) 사이의 틈새를 채워 공기 유동을 막기 위한 제1가스켓(25)이 고정된다.
유리블럭(40)은 본 실시예에서 복층유리로 구성된다. 즉, 한 쌍의 유리(41) 사이에 스페이서(44)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유리(41)와 스페이서(44)의 단부가 유리고정체(46)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유리고정체(46)의 양측에는 상기 끼움집게(21, 6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8,48')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유리블럭(40)은 반드시 복층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시중에 판매되는 다양한 창호용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바아(50)는 상기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블럭(40)의 타측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바아(50)는 목재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아(50)는 상기 메인프레임(11)에 못(52)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바아(50)와 상기 메인프레임(11)의 결합면(54) 은 상기 제1지지면(15)과 직교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못(52)은 상기 결합면(54)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못(52)이 창호의 정면이나 배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바아(50)의 상기 제1지지면(15)과 마주하는 제2지지면(56)에는 제2브라켓(60)이 결합된다. 상기 제2브라켓(60)도 상기 고정바아(50)에 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2브라켓(60)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돌기(48')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끼움집게(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60)의 타측에는 후술할 제2가스켓(65)의 돌기삽입홈(67)에 삽입되는 고정돌기(6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브라켓(60)에는 제2가스켓(65)이 고정된다. 상기 제2가스켓(65)의 일측에는 상기 제2브라켓(60)의 고정돌기(63)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67)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가스켓(65)의 상기 돌기삽입홈(67)이 형성되는 반대측에는 그 선단이 상기 유리(41)에 밀착되는 다수개의 기밀부(69)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외면 중 문틀(K)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안착홈(7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71)에는 끼움브라켓(72)이 결합된다. 상기 끼움브라켓(72)은 내부에 요입채널(74)이 형성되어 밀폐가스켓(76)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밀폐가스켓(76)은 상기 요입채널(74)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문틀(K)과 메인프레임(11)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는다. 이러한 밀폐가스켓(76)은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외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와 같이, 여닫이 형 창문에서 서로 맞닿아 있는 메인프레임(11)의 외면은 평행한 경사면(82,82')으로 형성된다. 이는 두 개의 문짝이 동시에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서로 맞닿아 있는 메인프레임(11)의 외면에 경사면(82,82')이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에 있는 문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해야만 나머지 좌측에 있는 문도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메인프레임(11)의 닿는 면이 서로 단차지게 형합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즉, 일측 문짝에서 돌출된 걸림턱이 타측문짝에 돌출된 걸이턱에 걸어져, 타측문짝을 열어야만 일측 문짝이 열릴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상기 경사면(82,82')에는 각각 요입되는 설치홈(83,83')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83,83')에는 설치브라켓(85,85')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설치브라켓(85,85')에 형성된 요입채널(87,87')에는 상기 경사면(82,82')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차폐가스켓(89,89')이 설치된다. 상기 차폐가스켓(89,89')은 서로 비스듬한 위치에 설치되어, 차폐가스켓(89,89')의 선단이 마주하는 경사면에 밀착되는 것이 좋다.
도면부호 90은 창호를 장식하기 위한 살대로서, 상기 살대(90)는 상기 메인프레임(11)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한옥 시스템 창호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메인프레임(11)과 고정바아(50)를 별도로 조립하여 미리 준비하여 둔다. 즉, 메인프레임(11)의 제1지지면(15)에 제1브라켓(20)을 고정시킨다. 상기 제1 브라켓(20)의 끼움홈(23)에는 제1가스켓(25)을 끼운다.
마찬가지로, 고정바아(50)의 제2지지면(56)에 제2브라켓(60)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2브라켓(60)의 고정돌기(63)가 상기 제2가스켓(65)의 돌기삽입홈(67)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2가스켓(65)을 제2브라켓(60)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20)이 고정된 메인프레임(11)의 안착부(14)에 유리블럭(4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유리블럭(40)의 가장자리 일면이 상기 제1가스켓(25)에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브라켓(20)이 고정된 고정바아(50)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안착부(14)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바아(50)와 메인프레임(11)의 결합면(54)이 맞닿으면서, 상기 제2브라켓(60)에 끼워진 제2가스켓(65)이 상기 유리블럭(40)의 가장자리 타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아(50)와 메인프레임(11)을 관통하는 못으로 상기 고정바아(50)와 메인프레임(11)을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안착홈(71)에 끼움브라켓(72)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끼움브라켓(72)에 밀폐가스켓(76)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되면, 한옥 시스템 창호의 조립이 완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메인프레임(11)이 제1브라켓(20)과 제1가스켓(25)이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고, 고정바아(50)도 제2브라켓(60)과 제2가스켓(65)이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1)에 유리블럭(4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아(50)를 못으로 고정함으로써 창호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한옥 창호가 규격화되어 조립공정이 수월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가스 켓(25,65)과, 밀폐가스켓(76)과 차폐가스켓(89)에 의해 기밀성이 유지되어 한옥 창호의 방풍성능이 향상되고 방음도 잘 되는 이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한옥창호의 제2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10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메인프레임(111)과 고정바아(150)가 못과 같은 체결구 없이 스냅온 형식으로 체결된다. 즉, 메인프레임(111)에 고정된 제1브라켓(120)과 고정바아(150)에 고정된 제2브라켓(160)이 서로 걸어짐으로써 메인프레임(111)과 고정바아(150)가 체결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4와 같이, 제1브라켓(120)은 메인프레임(111)의 안착부(114)의 내면을 따라 L자형으로 형성되며, 유리블럭(140)을 지지하는 지지부(120a)와, 상기 고정바아(150)와 체결되기 위한 록킹부(120b)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20a)는 상기 유리블럭(140)의 일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그 선단에 형성된 끼움홈(123)에는 제1가스켓(125)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록킹부(120b)는 상기 지지부(120a)와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유리블럭(140)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후크(124a)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124a)에는 후술할 랜스(164)의 걸림단(164a)이 걸어진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120b)의 일측에는 체결후크(124b)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124b)에는 후술할 체결단(164b)이 걸어진다.
고정바아(150)에는 제2브라켓(160)이 고정된다. 상기 제2브라켓(160)의 일측에는 제2가스켓(165)이 끼워지는 고정돌기(163)가 형성된다. 상기 제2브라켓(160)의 타측에는 랜스(164)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랜스(164)는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랜스(164)의 선단에는 상기 걸이후크(124a)에 걸어지는 걸림단(164a)이 형성되며, 상기 랜스(164)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기저부에는 상기 체결후크(124b)에 걸어지는 체결단(164b)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단(164b)은 상기 걸림단(164a)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체결단(164b)도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랜스(164)의 걸림단(164a)과 체결단(164b)이 상기 제1브라켓(120)의 걸이후크(124a)와 체결후크(124b)에 각각 걸어짐에 의해 상기 고정바아(150)와 메인프레임(111)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못과 같은 체결구로 고정바아(150)와 메인프레임(111)을 결합시킬 필요 없이, 고정바아(150)의 랜스(164)를 상기 걸이후크(124a)와 체결후크(124b)에 끼우는 작업만으로 고정바아(150)를 메인프레임(111)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고정바 아(50)의 형상을 달리하여, 고정바아(50)와 메인프레임(11)의 결합면(54)이 상기 제1지지면(15)과 평행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못(52)의 체결면적이 내부에서 바라본 창호의 입면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바아(50)의 외면 전체가 될 수 있으므로, 못(52) 체결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한옥 시스템 창호가 적용된 양문 여닫이형 창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한옥 시스템 창호의 제1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도 1의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한옥 시스템 창호의 제2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한옥 시스템 창호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메인프레임 14: 안착부
14: 제1지지면 20: 제1브라켓
21: 끼움집게 25: 제1가스켓
40: 유리블럭 46: 유리고정체
50: 고정바아 52: 못
54: 결합면 56: 제2지지면
60: 제2브라켓 63: 고정돌기
65: 제2가스켓 67: 돌기삽입홈
71: 안착홈 72: 끼움브라켓
76: 밀폐가스켓 82,82': 경사면
83: 설치홈 85: 설치브라켓
89: 차폐가스켓 124a: 걸이후크
124b: 체결후크 164: 랜스
164a: 걸림단 164b: 체결단

Claims (7)

  1. 유리블럭;
    상기 유리블럭의 일면 가장자리와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기 유리블럭의 일면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제1지지면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유리블럭의 일면 가장자리 사이 틈새를 막는 제1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블럭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면과 마주하는 일면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유리블럭의 타면 가장자리 사이 틈새를 채우는 제2가스켓을 포함하는 고정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옥 시스템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면 중 문턱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끼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끼움브라켓에 요입되게 형성된 요입채널에 상기 문턱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매우는 밀폐가스켓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시스템 창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이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며, 서로 맞닿아 있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의 외면이 각각 평행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이 동시에 열리는 것이 방지되는 한옥 시스템 창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중 어느 일면 구비되는 설치브라켓에 차폐가스켓이 고정되고, 상기 차폐가스켓의 선단은 마주하는 경사면에 밀착되어 상기 경사면 사이의 틈새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시스템 창호.
  5.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메인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창호를 장식하는 살대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시스템 창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아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못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시스템 창호.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에는 걸이후크와 체결후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단과 체결단으로 구성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랜스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단과 체결단이 상기 걸이후크와 체결후크에 각각 걸어짐에 의해 상기 고정바아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시스템 창호.
KR2020080008800U 2008-07-01 2008-07-01 한옥 시스템 창호 KR200449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800U KR200449582Y1 (ko) 2008-07-01 2008-07-01 한옥 시스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800U KR200449582Y1 (ko) 2008-07-01 2008-07-01 한옥 시스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05U KR20100000305U (ko) 2010-01-11
KR200449582Y1 true KR200449582Y1 (ko) 2010-07-21

Family

ID=4419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800U KR200449582Y1 (ko) 2008-07-01 2008-07-01 한옥 시스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5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456B1 (ko) 2012-06-01 2014-02-17 주식회사 티엔디 영창 교체식 한옥 시스템 창호와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1983713B1 (ko) 2018-06-12 2019-05-29 장원 보강 심재가 구비된 목재 단열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958B1 (ko) * 2009-09-09 2015-12-31 (주) 엘지토스템비엠 창호
KR102202734B1 (ko) * 2018-11-30 2021-01-13 정영호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053A (ja) 1996-11-25 1998-06-09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ガラス取付構造およびガラス窓
KR20040038147A (ko) * 2002-10-31 2004-05-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배리어 형성방법
KR200438147Y1 (ko) 2007-01-05 2008-01-28 주식회사동양강철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053A (ja) 1996-11-25 1998-06-09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ガラス取付構造およびガラス窓
KR20040038147A (ko) * 2002-10-31 2004-05-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배리어 형성방법
KR200438147Y1 (ko) 2007-01-05 2008-01-28 주식회사동양강철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456B1 (ko) 2012-06-01 2014-02-17 주식회사 티엔디 영창 교체식 한옥 시스템 창호와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1983713B1 (ko) 2018-06-12 2019-05-29 장원 보강 심재가 구비된 목재 단열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05U (ko) 201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6869B2 (ja) 外壁取付部材及び外壁構造
US3722161A (en) Curtain wall window gasket construction
KR101554922B1 (ko) 구조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KR200449582Y1 (ko) 한옥 시스템 창호
KR200465656Y1 (ko) 분할식 창호
US5150983A (en) Corner lock
KR102034107B1 (ko) 오픈형 조인트 구조를 갖는 외장패널조립체의 시공방법
KR20190032680A (ko) 단열 커튼월
JP2012001967A (ja) 開口部装置と外壁材の間の目地工法
KR101685608B1 (ko) 건물의 외관으로 노출되는 이질재의 바를 개선한 커튼 월 시스템
JP3542961B2 (ja) 複合サッシの下枠
KR102064613B1 (ko) 단열 방풍 현관문
KR101697739B1 (ko) 복합 커튼월
GB2565255A (en) Seal element, assembly, and method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20220007183A (ko) 분리형 이중창호 및 시공방법
JP2002180748A (ja) 複合サッシの窓枠
KR102533170B1 (ko) 단열 커튼월
JP7041019B2 (ja) 建具
KR101566931B1 (ko) 커튼월 공틀일체형 구조
JP6757582B2 (ja) 建具とその組み立て方法
JP2001262792A (ja) 建築物等のパネル取付構造
JP3416814B2 (ja) 段窓サッシ
JP7232742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