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170B1 - 단열 커튼월 - Google Patents

단열 커튼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170B1
KR102533170B1 KR1020220045383A KR20220045383A KR102533170B1 KR 102533170 B1 KR102533170 B1 KR 102533170B1 KR 1020220045383 A KR1020220045383 A KR 1020220045383A KR 20220045383 A KR20220045383 A KR 20220045383A KR 102533170 B1 KR102533170 B1 KR 102533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outdoor
insulation
heat insul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병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온
Priority to KR102022004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구조물의 실내부위에 설치된 구조체부와, 이 구조체부의 실외부위에 끼워맞춤되는 제1 단열부와, 이 제1 단열부의 실외부위에 끼워맞춤되어 지지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의 실외부위에 결합되는 제2 단열부와, 구조체부의 실외부위에 제1 단열부와 연결부를 함께 결합시키며 구조체부와 제1 단열부 사이의 이격공간을 조절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체부와 마감부 사이에 제1 단열부와 제2 단열부를 연결부를 개재해서 결합시키고 구조체부와 제1 단열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고정부에 의해 이격공간을 조절함으로써, 구조체부와 제1 단열부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 이들 사이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변형을 완화시키고 열변형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열 커튼월{INSULATED CURTAIN WALL}
본 발명은 단열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된 유리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유리벽체를 지지하는 단열 커튼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curtain wall)은 건물의 주체 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 상에 외부로부터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 및 수평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체로서, 유리벽체와 같은 마감재를 탈부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체를 말하며, 통상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들 프레임에 장착되는 어댑터 부재를 매개로 해서 복층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벽체를 설치하게 된다.
최근에는 건축구조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기 위해 커튼 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커튼월이란 하중을 지지하지 않은 비내력 칸막이 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에너지 효율화 측면에서 열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고단열, 고기밀의 커튼월 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커튼월은 주로 고층의 건축구조물에 사용되므로, 수평 및 수직 프레임을 현장에서 시공 설치하는 작업이 어렵고,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더욱이 미려한 외관을 위해 외벽의 거의 전면을 유리 마감재로 처리하기 때문에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냉난방 비용이 증가하며, 또한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커튼월은 창호재료로서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나, 플라스틱은 단열성능이 탁월하나 소재 자체의 신축이 크고,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고 화재시 낮은 발화온도와 유독가스 배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최근 건축구조물은 초고층화, 밀집화 될수록 창호의 크기 역시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높은 강도와, 신축이 적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발화온도가 기존 PVC 보다 높은 알루미늄이 탁월할 것이나, 열전도율이높고, 대류에 의한 열손실이 크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대부분 커튼월의 창호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은, 알루미늄재의 프레임의 열손실이 크기 때문이며, 창호성능은 유리벽체와 커튼월 프레임의 평균치로 평가되므로, 유리벽체의 경우에는 표면에 특수재로 이루어진 단열필름을 부착하여 보완이 가능하나, 커튼월의 경우에는 알루미늄재을 이용한 커튼월 프레임에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존재하여 이에 대한 보완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커튼월은 상하로 이루어진 유리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층의 유리벽체의 하중을 하부에서 지지하게 되나, 유리벽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미비하여 유리벽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저하되어 커튼월이 분리 및 이탈되거나 변형되며 이들 사이의 기밀성능 및 단열성능도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커튼월의 프레임과 브래킷 사이의 결합시 체결고정 수단에 의해 체결고정하게 되므로 프레임에 브래킷의 설치 뿐만 아니라 브래킷의 탈부착도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래킷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마감부재가 브래킷에 고정설치되고 실링재에 의해 마감처리되므로, 마감부재의 고정 설치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마감부재를 선택적으로 교체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8639호 (2013년01월0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7236호 (2013년04월0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6339호 (2016년11월1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구조체부와 마감부 사이에 제1 단열부와 제2 단열부를 연결부를 개재해서 결합시키고 구조체부와 제1 단열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고정부에 의해 이격공간을 조절함으로써, 구조체부와 제1 단열부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 이들 사이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변형을 완화시키고 열변형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체부와 마감부 사이에 제1 단열부와 제2 단열부를 연결부를 개재해서 결합시킴으로써, 커튼월의 실내부위와 실외부위 사이에 2중의 단열부재를 설치하여 이중단열에 의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조립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단열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체부와 마감부 사이에 동일한 구성의 단열부와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조립 및 시공시 작업시간 및 제작비용을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단열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체와 연결부에 다양한 마감부와 단열부를 구비함으로써, 히든바와 캡바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커튼월의 조립 및 시공에 적용할 수 있는 단열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체부의 내부에 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체부의 내구성 및 지지강성을 향상시켜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조체부의 수직 연결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열부와 연결부 사이에 복수개의 치형편을 설치하여 복수개의 지점에서 치합함으로써, 제1 단열부와 연결부 사이의 결합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내진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실내부위에 설치되며, 실외부위의 양단에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구조체부(10); 상기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에 끼워맞춤되어 양단부위가 지지되되 중간부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끼워맞춤되는 제1 단열부(20); 상기 제1 단열부(20)의 실외부위에 끼워맞춤되어 지지되며, 실외부위에 제1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부(30); 상기 연결부(30)의 실외부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결합홈에 걸어맞춤되는 제2 단열부(40); 및 상기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에 상기 제1 단열부(20)와 상기 연결부(30)를 함께 결합시키며, 상기 구조체부(10)와 상기 제1 단열부(20) 사이의 이격공간을 조절하는 고정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조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체부(10)의 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90);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구조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를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연결시키는 고정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를 지지하는 제1 지지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를 지지하는 제2 지지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실외부위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의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이격홈;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실내부위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의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이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단열부(40)의 실외부위에 결합되는 금속재의 외부마감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외부마감부(60)는, 상기 제2 단열부(40)의 실외부위에 결합되어, 실외부위를 커버링하는 외부마감편; 상기 외부마감편의 실내부위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단열부(40)의 실외부위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외부 결합편; 및 상기 외부마감편의 실내부위의 일단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제1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마감부(60)의 실내측에 형성된 제1 걸림홈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외부마감부(60)의 측면이나 상면이나 하면을 마감하는 금속재의 외곽마감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조체부(10)는, 실내부위에 설치되며,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조체; 상기 구조체의 실외측의 중앙부위의 양단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 상기 구조체의 중앙부위에 실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정의 경사각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 접촉편; 상기 구조체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내부 걸림홈; 및 상기 구조체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중공으로 형성된 내부 중공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단열부(20)는, 내측의 양단부위가 실내측으로 소정각도 절곡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접촉되는 제1 단열편; 상기 제1 단열편의 양단에 돌출 형성된 제1 걸림돌기; 상기 제1 단열편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실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끼움턱; 상기 제1 단열편의 실내부위의 양단에 함몰 형성된 제1 함몰홈; 상기 제1 단열편의 실외부위의 양측 2개 지점에서 치합하도록 복수개가 각각 형성된 제1 치형편; 및 상기 제1 단열편의 실외부위의 중앙에 함몰 형성된 제1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단열편은, 실내부위와 상기 구조체부(10)와의 사이에 경사각으로 설치되어, 중앙부위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제1 단열부(20)의 실외부위에 접촉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양단에 실내측으로 소정각도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열부(20)의 실외부위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결합돌기; 상기 연결편의 실외부위의 중앙에 함몰 형성된 제1 결합홈; 상기 연결편의 실내부위의 양측 2개 지점에서 치합하도록 복수개가 각각 형성된 연결 치형편; 및 상기 연결편의 실내부위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연결 끼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체부와 마감부 사이에 제1 단열부와 제2 단열부를 연결부를 개재해서 결합시키고 구조체부와 제1 단열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고정부에 의해 이격공간을 조절함으로써, 구조체부와 제1 단열부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 이들 사이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변형을 완화시키고 열변형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조체부와 마감부 사이에 제1 단열부와 제2 단열부를 연결부를 개재해서 결합시킴으로써, 커튼월의 실내부위와 실외부위 사이에 2중의 단열부재를 설치하여 이중단열에 의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조립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조체부와 마감부 사이에 동일한 구성의 단열부와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조립 및 시공시 작업시간 및 제작비용을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조체와 연결부에 다양한 마감부와 단열부를 구비함으로써, 히든바와 캡바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커튼월의 조립 및 시공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조체부의 내부에 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체부의 내구성 및 지지강성을 향상시켜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조체부의 수직 연결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단열부와 연결부 사이에 복수개의 치형편을 설치하여 복수개의 지점에서 치합함으로써, 제1 단열부와 연결부 사이의 결합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내진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분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은, 구조체부(10), 제1 단열부(20), 연결부(30), 제2 단열부(40), 고정부(50) 및 지지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축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된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를 지지하는 히든바 등과 같은 단열 커튼월이다.
구조체부(10)는, 건축구조물의 실내부위에 설치되며 실외부위의 양단에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부위에 접촉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구조부재로서, 구조체(11), 끼움홈(12), 접촉편(13), 내부 걸림홈(14) 및 내부 중공편(15)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체(11)는, 건축구조물의 실내부위에 설치되는 구조부재로서,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어 커튼월의 실내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끼움홈(12)은, 구조체(11)의 실외측의 중앙부위에 함몰 형성되어 제1 단열부(20)가 끼워맞춤되는 끼움부재로서, 구조체(11)의 실외부위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13)은, 구조체(11)의 실외측의 중앙부위에 실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정의 경사각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 접촉부재로서, 끼움홈(12)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제1 단열부(20)의 내부에 접촉되어 접촉력 및 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편(13)의 경사각은, 수직방향을 기준해서 실내측으로 15°∼45°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접촉편(13)에 제1 단열부(20)와 연결부(30)를 고정부(50)의 의해 수직방향을 기준해서 경사방향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선의 경사각으로는 20°∼30°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부 걸림홈(14)은, 구조체(11)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으로서, 여기에 외곽마감부(70)의 일단이 걸어맞춤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내부 중공편(15)은, 구조체(11)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중공으로 형성된 중공부재로서, 구조체(11)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돌출되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구조체부(10)와 제1 단열부(20)의 결합시 이들 사이에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제1 단열부(20)는,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에 끼워맞춤되어 양단부위가 지지되되 중간부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구조체부(10)의 끼움홈(12)에 끼워맞춤되는 단열부재로서, 제1 단열편(21), 제1 걸림돌기(22), 제1 끼움턱(23), 제1 함몰홈(24), 제1 치형홈(25) 및 제1 끼움홈(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단열편(21)은, 내측의 양단부위가 실내측으로 소정각도 절곡 형성되어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접촉 지지되는 단열부재로서, 접촉편(13)의 양단에 지지되되 중앙부위가 이격되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접촉편(13)의 절곡면에 대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경사각(θ1)이나 제2 경사각(θ2)으로 절곡되며 커튼월의 실내부위와 실외부위 사이에 설치되어 실외부위로부터의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 단열편(21)은, 제1 단열편(21)의 실내부위와 구조체부(10)와의 사이에 제1 경사각(θ1)이나 제2 경사각(θ2)으로 설치되어, 제1 단열편(21)의 중앙부위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단열편(21)과 접촉편(13) 사이의 제1 경사각(θ1)이나 제2 경사각(θ2)은, 1°∼10°로 형성되어, 제1 단열편(21)과 접촉편(13) 사이의 중앙부위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단부위가 서로 고정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선의 제1 경사각(θ1)이나 제2 경사각(θ2)으로는 3°∼6°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열부재로는, 방음, 결로차단, 단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분말상태의 PVC(Polyvinyl chloride)를 압출 성형하여 경화시킨 후 절단하여 생산된 PVC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걸림돌기(22)는, 제1 단열편(21)의 양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로서,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에 함몰 형성된 끼움홈(12)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제1 단열편(21)을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에 걸림 결합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제1 끼움턱(23)은, 제1 단열편(21)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실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턱부재로서, 여기에 연결부(30)의 양단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고정지지되어 있다.
제1 함몰홈(24)은, 제1 단열편(21)의 실내부위의 양단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제1 단열편(21)의 실내부에 함몰공간이 형성되어 제1 단열편(21)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제1 치형홈(25)은, 제1 단열편(21)의 실외부위의 양측 2개 지점에서 치합하도록 복수개가 각각 연장 형성된 치형부재로서, 여기에 연결부(30)의 치형편과 2개 지점에서 치합되어 고정 지지하게 된다.
제1 끼움홈(26)은, 제1 단열편(21)의 실외부위의 중앙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연결부(30)의 끼움편이 삽입되어 제1 단열부(20)와 연결부(30)의 결합시 결합위치의 파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30)는, 제1 단열부(20)의 실외부위에 끼워맞춤되어 지지되며 실외부위에 제1 결합홈(33)이 형성된 금속재의 연결부재로서, 연결편(31), 결합돌기(32), 제1 결합홈(33), 연결돌기(34), 연결 치형편(35) 및 연결 끼움편(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편(31)은, 제1 단열부(20)의 제1 단열편(21)의 실외부위에 접촉되는 연장부재로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어 커튼월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결합돌기(32)는, 연결편(31)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어 실내측으로 소정각도 절곡 형성되어 제1 단열부(20)의 제1 끼움턱(23) 사이에 끼워맞춤되어 지지되는 결합부재로서, 제1 단열부(20)의 제1 단열편(21)의 실외부위에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32)는 제1 단열편(21)의 실외부위에 밀착되도록 제1 단열편(21)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절곡되며 커튼월의 실내부위와 실외부위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부위와 실외부위의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제1 결합홈(33)은, 연결편(31)의 실외부위의 중앙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되되 양단에 결합턱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단열부(40)를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연결하여 1차적으로 고정지지하게 된다.
연결돌기(34)는, 제1 결합홈(33)의 실외부위의 중앙에 연장형성되되 실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여기에 제2 단열부(40)를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연결하여 2차적으로 고정지지하게 된다.
연결 치형편(35)은, 연결편(31)의 실내부위의 양측 2개 지점에서 제1 단열부(20)와 치합하도록 복수개가 각각 연장 형성된 치형부재로서, 여기에 제1 단열부(20)의 치형편과 2개 지점에서 치합되어 고정 지지하게 된다.
연결 끼움편(36)는, 연결편(31)의 실내부위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끼움부재로서, 여기에 제1 단열부(20)의 끼움홈이 결합되어 제1 단열부(20)와 연결부(30)의 결합시 결합위치의 파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단열부(40)는, 연결부(30)의 실외부위의 제1 결합홈(33)에 결합되며 제1 결합홈(33)에 걸어맞춤되는 단열부재로서, 제2 단열편(41), 제2 걸림돌기(42) 및 제2 끼움홈(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단열편(41)은, 내측의 양단부위가 실내측으로 소정각도 절곡 형성되어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에 접촉되는 단열부재로서, 연결편(31)에 밀착되도록 연결편(31)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절곡 형성되며, 커튼월의 실내부위와 실외부위 사이에 설치되어 실외부위로부터의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단열부재로는, 방음, 결로차단, 단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분말상태의 폴리아미드(polyamide)를 압출 성형하여 경화시킨 후 절단하여 생산된 폴리아미드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걸림돌기(42)는, 제2 단열편(41)의 실내부위의 양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로서, 연결부(30)의 실외부위에 함몰 형성된 제1 결합홈(33)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제2 단열편(41)을 연결부(30)의 실외부위에 걸림 결합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제2 끼움홈(43)은, 제2 단열편(41)의 실내부위의 중앙에 실외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연결부(30)의 양단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고정지지되어 있다.
고정부(50)는,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에 상기 제1 단열부(20)와 상기 연결부(30)를 함께 결합시키며 구조체부(10)와 제1 단열부(20) 사이의 이격공간을 조절하는 고정부재로서, 제1 단열부(20)의 제1 단열편(21)과 연결부(30)의 연결편(31)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 고정되는 피스 또는 나사못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부(90)는, 구조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조체부(10)의 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지지프레임(91), 고정편(92), 제1 지지편(93), 제2 지지편(94), 제1 이격홈(95) 및 제2 이격홈(96)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프레임(91)은, 구조체부(10)의 내부 둘레에 접촉해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로서, 구조체부(10)의 내부 둘레에 삽입되어 구조체부(10)의 내부 둘레를 접촉해서 지지하여 구조체부(10)의 내부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고정편(92)은, 지지프레임(91)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어 구조체부(10)를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연결시키는 고정부재로서, 구조체부(10)를 수직으로 연결시 피스못이나 나사못을 체결하여 구조체부(10)를 수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제1 지지편(93)은, 지지프레임(91)의 일방에 돌출 형성되어 구조체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지지프레임(91)의 일방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되 이격 설치되어 구조체부(10)의 내부 일방면을 접촉해서 지지하게 된다.
제2 지지편(94)은, 지지프레임(91)의 타방에 돌출 형성되어 구조체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지지프레임(91)의 타방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되 이격 설치되어 구조체부(10)의 내부 타방면을 접촉해서 지지하게 된다.
제1 이격홈(95)은, 지지프레임(91)의 실외부위에 함몰 형성되어 구조체부(10)의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홈부재로서, 지지프레임(91)의 실외부위에 복수개가 함몰 형성되어 구조체부(10)와 지지부(90) 사이에 복수개의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이격홈(96)은, 지지프레임(91)의 실내부위에 함몰 형성되어 구조체부(10)의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홈부재로서, 지지프레임(91)의 실내부위에 복수개가 함몰 형성되어 구조체부(10)와 지지부(90) 사이에 복수개의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은, 구조체부(10), 제1 단열부(20), 연결부(30), 제2 단열부(40), 고정부(50), 외부마감부(60), 외곽마감부(70) 및 지지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축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된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를 지지하는 캡바 등과 같은 단열 커튼월이다.
제2 실시예의 구조체부(10), 제1 단열부(20), 고정부(50) 및 지지부(90)는, 제1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구성이 상이한 연결부(30), 제2 단열부(40), 외부마감부(60) 및 외곽마감부(7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연결부(30)는, 제1 단열부(20)의 실외부위에 끼워맞춤되어 지지되며 실외부위에 제1 결합홈(33)이 형성된 금속재의 연결부재로서, 연결편(31), 결합돌기(32), 제1 결합홈(33), 연결 치형편(35) 및 연결 끼움편(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편(31)은, 제1 단열부(20)의 제1 단열편(21)의 실외부위에 접촉되는 연장부재로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어 커튼월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결합돌기(32)는, 연결편(31)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어 실내측으로 소정각도 절곡 형성되어 제1 단열부(20)의 제1 끼움턱(23) 사이에 끼워맞춤되어 지지되는 결합부재로서, 제1 단열부(20)의 제1 단열편(21)의 실외부위에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32)는 제1 단열편(21)의 실외부위에 밀착되도록 제1 단열편(21)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절곡되며 커튼월의 실내부위와 실외부위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부위와 실외부위의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제1 결합홈(33)은, 연결편(31)의 실외부위의 중앙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되되 양단에 결합턱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단열부(40)를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연결하여 1차적으로 고정지지하게 된다.
연결 치형편(35)은, 연결편(31)의 실내부위의 양측 2개 지점에서 제1 단열부(20)와 치합하도록 복수개가 각각 연장 형성된 치형부재로서, 여기에 제1 단열부(20)의 치형편과 2개 지점에서 치합되어 고정 지지하게 된다.
연결 끼움편(36)는, 연결편(31)의 실내부위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끼움부재로서, 여기에 제1 단열부(20)의 끼움홈이 결합되어 제1 단열부(20)와 연결부(30)의 결합시 결합위치의 파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단열부(40)는, 연결부(30)의 실외부위에 결합되며 제1 결합홈에 걸어맞춤되는 단열부재로서, 제2 단열편(41), 제2 걸림돌기(42), 제3 걸림돌기(44), 제3 끼움홈(45) 및 제4 끼움홈(46)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단열편(41)은, 내측의 양단부위가 실내측으로 소정각도 절곡 형성되어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에 접촉되는 단열부재로서, 연결편(31)에 밀착되도록 연결편(31)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절곡 형성되며 커튼월의 실내부위와 실외부위 사이에 설치되어 실외부위로부터의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단열부재로는, 방음, 결로차단, 단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액체상태의 고강도 폴리우레탄을 알루미늄 바아에 충진하여 경화시킨 후 절단하여 생산하는 아존(azon)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걸림돌기(42)는, 제2 단열편(41)의 실내부위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로서, 연결부(30)의 실외부위에 함몰 형성된 제1 결합홈(33)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제2 단열편(41)을 연결부(30)의 실외부위에 걸림 결합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제3 걸림돌기(44)는, 제2 단열편(41)의 실외부위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로서, 외부마감부(60)의 실내부위에 함몰 형성된 외부 결합편(62)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제2 단열편(41)을 외부마감부(60)의 실내부위에 걸림 결합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제3 끼움홈(45)은, 제2 단열편(41)의 실내부위의 양단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연결부(30)의 제1 결합홈(33)의 선단에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턱이 각각 결합되어 고정지지된다.
제4 끼움홈(46)은, 제2 단열편(41)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외부마감부(60)의 외부 결합편(62)의 선단에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턱이 각각 결합되어 고정지지된다.
고정부(50)는,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에 상기 제1 단열부(20)와 상기 연결부(30)를 함께 결합시키며 구조체부(10)와 제1 단열부(20) 사이의 이격공간을 조절하는 고정부재로서, 제1 단열부(20)의 제1 단열편(21)과 연결부(30)의 연결편(31)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 고정되는 피스 또는 나사못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마감부(60)은, 제2 단열부(40)의 실외부위에 결합되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의 마감부재로서, 외부마감편(61), 외부 결합편(62), 제1 걸림홈(63) 및 제2 걸림홈(64)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마감편(61)은, 제2 단열부(40)의 제2 단열편(41)의 실외부위에 결합되는마감부재로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대략 "ㅏ"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튼월의 외부를 마감하게 된다.
외부 결합편(62)은, 외부마감편(61)의 실내부위의 중앙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되되 양단에 결합턱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단열부(40)의 제3 걸림돌기(44)에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고정지지하게 된다.
제1 걸림홈(63)은, 외부마감편(61)의 실외부위의 일단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되되 결합턱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튼월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를 고정지지하거나 외곽마감부(70)의 일단을 결합하여 지지하게 된다.
제2 걸림홈(64)은, 외부마감편(61)의 실외부위의 타단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되되 결합턱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튼월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를 고정지지하거나 외곽마감부(70)의 일단을 결합하여 지지하게 된다.
외곽마감부(70)는 외부마감부(60)의 실내측에 형성된 제1 걸림홈(63)과 구조체부(10)의 내부 걸림홈(14) 사이에 양단이 각각 걸어맞춤되어 외부마감부(60)의 측면이나 상면이나 하면을 마감하는 금속재의 외곽마감부재로서, 외곽마감편(71), 제1 끼움편(72) 및 제2 끼움편(73)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곽마감편(71)은, 외부마감부(60)의 제1 걸림홈(63)과 구조체부(10)의 내부 걸림홈(14) 사이에 양단이 각각 걸어맞춤되는 마감부재로서, 외부마감부(60)의 측면이나 상면이나 하면을 마감하도록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끼움편(72)은, 외곽마감편(71)의 일방에 돌출된 걸림부재로서, 외부마감부(60)의 제1 걸림홈(63)에 걸어맞춤 결합에 의해 고정지지하게 되고, 제2 끼움편(73)은, 외곽마감편(71)의 타방에 돌출된 걸림부재로서, 구조체부(10)의 내부 걸림홈(14)에 걸어맞춤 결합에 의해 고정지지하게 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의한 단열 커튼월은, 구조체부(10), 제1 단열부(20), 연결부(30), 제2 단열부(40), 고정부(50), 외부마감부(60), 외곽마감부(70), 오사이부(80) 및 지지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축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된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를 지지하는 캡바 등과 같은 단열 커튼월이다.
제3 실시예의 구조체부(10), 제1 단열부(20), 연결부(30), 제2 단열부(40), 고정부(50), 외곽마감부(70) 및 지지부(90)는, 제2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구성이 상이한 외부마감부(60)와 외곽마감부(70)와 오사이부(8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외부마감부(60)은, 제2 단열부(40)의 실외부위에 결합되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의 마감부재로서, 외부마감편(61), 외부 결합편(62), 제1 걸림홈(63) 및 제3 걸림홈(65)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마감편(61)은, 제2 단열부(40)의 제2 단열편(41)의 실외부위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로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대략 "ㅏ"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튼월의 외부를 마감하게 된다.
외부 결합편(62)은, 외부마감편(61)의 실내부위의 중앙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되되 양단에 결합턱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단열부(40)를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연결하여 고정지지하게 된다.
제1 걸림홈(63)은, 외부마감편(61)의 실외부위의 일단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되되 결합턱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튼월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를 고정지지하게 된다.
제3 걸림홈(65)은, 외부마감편(61)의 실외부위의 타단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되되 결합턱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튼월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를 고정지지하는 오사이부(80)가 여기에 걸어맞춤 결합하여 고정지지하게 된다.
오사이부(80)는, 외부마감부(60)의 실내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어맞춤되는 마감부재로서, 외부마감부(60)의 측면이나 상면이나 하면을 마감하도록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고, 오사이편(81), 제1 걸림편(82), 제2 걸림편(83), 제2 지지홈(84)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사이편(81)은, 외부마감부(60)의 외부마감편(61)의 실외부위의 일면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로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대략 "ㅅ"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튼월의 외곽둘레를 마감하며,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를 고정지지하는 오사이 등과 같은 지지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 걸림편(82)은, 오사이편(81)의 하부 일방에 돌출된 걸림부재로서, 외부마감부(60)의 제3 걸림홈(65)의 일단에 걸어맞춤 결합에 의해 고정지지하게 되고, 제2 걸림편(83)은, 오사이편(81)의 하부 타방에 돌출된 걸림부재로서, 외부마감부(60)의 제3 걸림홈(65)의 타단에 걸어맞춤 결합에 의해 고정지지하게 되어 있다.
제2 지지홈(84)은, 오사이편(81)의 실외부위의 상부에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되되 결합턱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튼월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2중유리의 유리벽체 또는 3중유리의 유리벽체를 고정지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체부와 마감부 사이에 제1 단열부와 제2 단열부를 연결부를 개재해서 결합시키고 구조체부와 제1 단열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고정부에 의해 이격공간을 조절함으로써, 구조체부와 제1 단열부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 이들 사이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변형을 완화시키고 열변형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조체부와 마감부 사이에 제1 단열부와 제2 단열부를 연결부를 개재해서 결합시킴으로써, 커튼월의 실내부위와 실외부위 사이에 2중의 단열부재를 설치하여 이중단열에 의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조립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조체부와 마감부 사이에 동일한 구성의 단열부와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조립 및 시공시 작업시간 및 제작비용을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조체와 연결부에 다양한 마감부와 단열부를 구비함으로써, 히든바와 캡바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커튼월의 조립 및 시공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조체부의 내부에 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체부의 내구성 및 지지강성을 향상시켜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조체부의 수직 연결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단열부와 연결부 사이에 복수개의 치형편을 설치하여 복수개의 지점에서 치합함으로써, 제1 단열부와 연결부 사이의 결합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내진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구조체부 20: 제1 단열부
30: 연결부 40: 제2 단열부
50: 고정부 60: 외부마감부
70: 외곽마감부 80: 오사이부
90: 지지부

Claims (10)

  1. 건축구조물의 실내부위에 설치되며, 실외부위의 양단에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구조체부(10);
    상기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에 끼워맞춤되어 양단부위가 지지되되 중간부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끼워맞춤되는 제1 단열부(20);
    상기 제1 단열부(20)의 실외부위의 양단의 제1 끼움턱 사이에 끼워맞춤되어 지지되며, 실외부위에 제1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부(30);
    상기 연결부(30)의 실외부위의 제1 결합홈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결합홈에 걸어맞춤되는 제2 단열부(40);
    상기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에 상기 제1 단열부(20)와 상기 연결부(30)를 함께 결합시키며, 상기 구조체부(10)와 상기 제1 단열부(20) 사이의 이격공간을 조절하는 고정부(50); 및
    상기 구조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체부(10)의 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90);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부(10)는,
    실내부위에 설치되며,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조체;
    상기 구조체의 실외측의 중앙부위의 양단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
    상기 구조체의 중앙부위에 실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정의 경사각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 접촉편;
    상기 구조체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내부 걸림홈; 및
    상기 구조체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중공으로 형성된 내부 중공편;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구조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를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연결시키는 고정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를 지지하는 제1 지지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를 지지하는 제2 지지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실외부위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의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이격홈;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실내부위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의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이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커튼월.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부(40)의 실외부위에 형성된 제3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금속재의 외부마감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커튼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감부(60)는,
    상기 제2 단열부(40)의 실외부위에 결합되어, 실외부위를 커버링하는 외부마감편;
    상기 외부마감편의 실내부위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단열부(40)의 제3 걸림돌기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외부 결합편; 및
    상기 외부마감편의 실내부위의 일단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제1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커튼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감부(60)의 실내측에 형성된 제1 걸림홈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외부마감부(60)의 측면이나 상면이나 하면을 마감하는 금속재의 외곽마감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커튼월.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부(20)는,
    내측의 양단부위가 실내측으로 소정각도 절곡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부(10)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접촉되는 제1 단열편;
    상기 제1 단열편의 양단에 돌출 형성된 제1 걸림돌기;
    상기 제1 단열편의 실외부위의 양단에 실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끼움턱;
    상기 제1 단열편의 실내부위의 양단에 함몰 형성된 제1 함몰홈;
    상기 제1 단열편의 실외부위의 양측 2개 지점에서 치합하도록 복수개가 각각 형성된 제1 치형편; 및
    상기 제1 단열편의 실외부위의 중앙에 함몰 형성된 제1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커튼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편은, 실내부위와 상기 구조체부(10)와의 사이에 경사각으로 설치되어, 중앙부위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커튼월.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제1 단열부(20)의 실외부위에 접촉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양단에 실내측으로 소정각도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열부(20)의 실외부위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결합돌기;
    상기 연결편의 실외부위의 중앙에 함몰 형성된 제1 결합홈;
    상기 연결편의 실내부위의 양측 2개 지점에서 치합하도록 복수개가 각각 형성된 연결 치형편; 및
    상기 연결편의 실내부위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연결 끼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커튼월.
KR1020220045383A 2022-04-12 2022-04-12 단열 커튼월 KR10253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383A KR102533170B1 (ko) 2022-04-12 2022-04-12 단열 커튼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383A KR102533170B1 (ko) 2022-04-12 2022-04-12 단열 커튼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170B1 true KR102533170B1 (ko) 2023-05-17

Family

ID=8654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383A KR102533170B1 (ko) 2022-04-12 2022-04-12 단열 커튼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1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39B1 (ko) 2012-10-16 2013-01-04 전병섭 이중단열복합 커튼월 프레임
KR101247236B1 (ko) 2012-10-16 2013-04-05 전병섭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KR101676339B1 (ko) 2016-03-11 2016-11-15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단열 및 수밀성능이 증가된 pvc 복합 커튼월
KR20180137257A (ko) * 2017-06-16 2018-12-27 동광건철공업(주) 일체형 단열재를 포함하는 커튼월
KR102117529B1 (ko) * 2019-01-28 2020-06-02 주식회사 선우시스 유리창 고정구조
KR20200110926A (ko) * 2019-03-18 2020-09-28 주식회사 투바이포 구조 보강형 단열 창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39B1 (ko) 2012-10-16 2013-01-04 전병섭 이중단열복합 커튼월 프레임
KR101247236B1 (ko) 2012-10-16 2013-04-05 전병섭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KR101676339B1 (ko) 2016-03-11 2016-11-15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단열 및 수밀성능이 증가된 pvc 복합 커튼월
KR20180137257A (ko) * 2017-06-16 2018-12-27 동광건철공업(주) 일체형 단열재를 포함하는 커튼월
KR102117529B1 (ko) * 2019-01-28 2020-06-02 주식회사 선우시스 유리창 고정구조
KR20200110926A (ko) * 2019-03-18 2020-09-28 주식회사 투바이포 구조 보강형 단열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782B1 (ko) 꼭지바의 연결구조 변형을 통한 단열성능 및 설치공정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KR101065044B1 (ko)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105797B1 (ko) 이중 단열형 커튼월
KR101235718B1 (ko) 유닛 타입 스틸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장착구조
KR101617787B1 (ko) 커튼월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KR102345489B1 (ko) 단열 커튼월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20110003998A (ko) 단열성능 개선을 위한 알루미늄 창호
KR20190016060A (ko) 견고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튼월.
KR101848856B1 (ko)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010521B1 (ko) 단열 커튼월
KR20100094019A (ko) 역보 시스템 커튼월
KR101616990B1 (ko) 열관류율이 향상된 단열 샤시구조체
KR101969379B1 (ko) 커튼월 유닛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KR102533170B1 (ko) 단열 커튼월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KR20170113479A (ko) 견고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튼월.
KR200449582Y1 (ko) 한옥 시스템 창호
CN213391715U (zh) 幕墙式窗
KR101623939B1 (ko)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커튼월 창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